KR102058567B1 -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67B1
KR102058567B1 KR1020170178641A KR20170178641A KR102058567B1 KR 102058567 B1 KR102058567 B1 KR 102058567B1 KR 1020170178641 A KR1020170178641 A KR 1020170178641A KR 20170178641 A KR20170178641 A KR 20170178641A KR 102058567 B1 KR102058567 B1 KR 10205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voltaic module
photovoltaic
solar
ligh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663A (ko
Inventor
임주창
홍인철
문고영
Original Assignee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는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SOLAR ENERGY GENERATION APPARATUS HAVING SOLAR ENERGY GENERATION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된 부지에서 최대한 많은 양의 발전량의 확보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모듈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설비의 설치구조물은 태양광의 이동방향과 입사각을 기준으로 하여 인위적으로 방향 설치나 경사각을 부여하여 설계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태양광 모듈의 설치방법은 크게 고정식과 추적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정식은 태양빛을 가장 많이 받는 시간대와 태양고도를 기준으로 설계한 방식이고, 추적식은 태양빛을 따라 이동하며 발전하는 방식이다.
고정식 방법은 설계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들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정 시간대에만 발전이 가능하여 전체 발전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추적식 방법은 태양이 떠 있는 주간시간대에 발전량을 최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물 구동 부위의 잦은 고장과 장비를 이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설치의 용이함과 비용절감을 위해 특정 지역에서 태양광을 가장 많이 받는 시간대를 기준으로 한 고정식 방법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으나, 이후 발전량을 더 높이기 위해 추적식 구조물이 보급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추적식 구조물은 비용대비 발전량이 많지 않고 잦은 고장으로 보급률이 크게 떨어져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는 구조물의 설치면적에서의 발전량이 한정되어 용지면적과 발전량이 비례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용지면적 대비 발전량을 증대시키면서,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고 장기간 운용에 대한 고장의 우려가 없는 구조설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정된 면적 내에 많은 양의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하여 동일 면적 내에서 발생하는 발전량을 최대한 확보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가 불가능했던 협소 용지에서도 충분한 발전량을 확보하고, 태양의 고도 및 시간대에 상관없이 설치된 모든 태양전지모듈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함께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반사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중 어느 하나를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을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빛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설치면 중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설치면을 제1 면이라 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직접 받지 않는 상기 설치면을 제2 면이라 정의할 때, 빛이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2 면에 구비된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1 면에 구비된 상기 반사패널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되는 프레임부과,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함께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반사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중 어느 하나를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을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빛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설치면 중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설치면을 제1 면이라 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직접 받지 않는 상기 설치면을 제2 면이라 정의할 때, 빛이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2 면에 구비된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1 면에 구비된 상기 반사패널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면 프레임부를 다각뿔 또는 각뿔대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하고 각 설치면에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함으로써 한정된 면적 내에 많은 양의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하여 동일 면적 내에서 발생하는 발전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공간이 좁아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가 불가능했던 협소 용지에서도 충분한 발전량을 확보할 수 있고, 장치의 발전효율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패널을 구비하여 태양의 고도 및 시간대에 상관없이 설치된 모든 태양전지모듈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레임부에 지지대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에 입사되는 빛과 반사되는 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태양광 발전모듈과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0)는 복수로 배열되는 태양광 발전모듈(100)을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모듈(100)은 프레임부(200)와 태양전지패널(300)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프레임부(200)는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는 다각형의 밑면과 삼각형의 옆면을 구비한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각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삼각형의 옆면은 설치면이 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3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다각뿔 형상의 프레임부(200)의 모든 옆면이 설치면이 될 수 있고, 모든 설치면에 태양전지패널(300)을 복수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면적 내에 많은 태양전지패널(300)을 설치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300)은 설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패널(300)은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태양전지패널(300)은 설치면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삼각형 형상인 각각의 설치면에 복수의 태양전지패널(300)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0)의 설치면이 모두 경사진 면으로 마련되므로 특히 태양의 고도가 높은 경우에는 모든 설치면에 태양광이 조사되어 모든 태양전지패널(300)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300)을 설치면에 설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300)은 프레임부(200)에 직접 설치하거나 후술하는 반사패널(40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부(200)를 다각뿔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하고 각 설치면에 태양전지패널(300)을 구비함으로써 한정된 면적 내에 많은 양의 태양전지패널(3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면적 내에서 발생하는 발전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공간이 좁아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가 불가능했던 협소 용지에서도 동일 면적 대비 최대한의 발전량을 확보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발전효율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200)는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부(200)는 다각형의 밑면과 사다리꼴의 옆면을 구비한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2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각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0)는, 상기한 사각뿔 형상의 프레임부(200)와 같이 설치면이 경사진 면으로 마련되므로 특히 태양의 고도가 높은 경우에는 모든 설치면에 태양광이 조사되어 모든 태양전지패널(300)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100)은 반사패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패널(400)은 프레임부(200)의 옆면인 설치면에 구비되고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반사패널(400)은 태양전지패널(300)과 함께 설치면에 구비될 수 있고, 태양광이 입사되면 태양전지패널(300)이 구비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태양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된 빛은 이웃하게 설치된 다른 태양광 발전모듈(100)의 설치면 측으로 반사되어 다른 태양광 발전모듈(100)의 태양전지패널(300)로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절과 시간에 따라 빛의 고도가 낮아져서 태양광이 태양광 발전모듈(100)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경우에도, 태양광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인 음영영역의 설치면은 이웃하는 태양광 발전모듈(100)의 반사패널(400)로부터 빛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의 고도에 관계없이 모든 설치면이 태양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장치(10)의 발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반사패널(400)은 알루미늄 박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반사패널(40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면에 구비되어 프레임부(20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반사패널(400)을 프레임부(200)에 설치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태양전지패널(300) 이외의 영역에서 빛의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양한 설치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는 하부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30)과 지지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210)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프레임(230)은, 하부프레임(2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하부프레임(210)의 각 모서리(211)에서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D)을 향해 연장되는 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D)은 각뿔 또는 각뿔대 형상인 프레임부(200)의 꼭지점이 되는 점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임의의 점(D)은 하부프레임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L) 상에 놓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200)가 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프레임(230)은 하부프레임(210)의 모서리(211)에서 상기한 임의의 점(D)인 꼭지점까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0)가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프레임(230)은 하부프레임(210)의 모서리(211)에서 꼭지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프레임(230)과 하부프레임(210)의 연결 형태에는 한정이 없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프레임부(200)가 사각뿔 형태인 경우, 사각형상의 하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10)의 모서리(211)와 꼭지점을 연결하는 네 개의 직선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삼각형상의 프레임 네 개를 옆으로 연결하여 하부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3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된 사각뿔 형태의 프레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50)는 상부프레임(230)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태양전지패널(3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대(250)는 수평하게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부프레임(2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대(250)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복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태양전지패널(300)을 배면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패널(400)은 설치면 상에, 태양전지패널(300)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패널(300)이 설치되는 영역을 회피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패널(300)은 지지대(250)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반사패널(400)은 태양전지패널(300)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반사패널(400)을 설치하는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반사패널(400)은 설치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300)은 반사패널(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부프레임(230)에 설치된 지지대(250)를 커버하도록 반사패널(400)을 설치한 후, 반사패널(400)의 상면에 태양전지패널(300)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패널(300)은 지지대(250)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하여 지지대(2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다수 개가 적층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면 중 태양전지패널(300)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 태양빛을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패널(40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면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반사패널(400)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100) 중 어느 하나를 제1 태양광 발전모듈(101)이라하고 제1 태양광 발전모듈(101)에 이웃하는 다른 태양광 발전모듈(100)을 제2 태양광 발전모듈(102)이라할 때, 제1 태양광 발전모듈(101)에 구비된 태양전지패널(300)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어 제2 태양광 발전모듈(102)에 구비된 반사패널(400)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는, 옆면인 설치면(도 7의 a면,b면,c면,d면)이 삼각형인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빛이 지면에 경사진 방향(B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 설치면 중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설치면(a면)을 제1 면(261)이라하고, 제1 면(261)에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직접 받지 않는 설치면(c면)을 제2 면(262)이라 정의할 때,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100)은, 제1 태양광 발전모듈(101)의 제1 면(261)과 제2 태양광 발전모듈(102)의 제2 면(26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빛이 지면에 경사진 방향(B 방향)으로 입사될 때, 제1 태양광 발전모듈(101)의 제2 면(262)에 구비된 태양전지패널(300)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어 제2 태양광 발전모듈(102)의 제1 면(261)에 구비된 반사패널(400)에서 반사된 빛을 받을 수 있다(도 7의 C 방향의 빛 참조). 도 6의 알파벳 대문자인 A는 지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고도가 높은 빛이고, B는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이고, C는 태양광 발전모듈(100)의 반사패널(400)에서 반사되는 빛이다. 또한, 도 7에서 알파벳 소문자인 a,b,c,d는 프레임부(200)의 옆면인 설치면이다.
즉, 태양광이 경사진 방향으로 비스듬히 조사되는 경우, 설치면 중 c 면은 음영영역이 되어 c 면에 설치된 태양전지패널(300)은 태양광을 받을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100)은 반사패널(400)을 구비하여, 제2 태양광 발전모듈(102)의 a 면의 반사패널(400)에서 반사된 빛(C 방향 참조)을 제1 태양광 발전모듈(101)의 c 면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빛이 경사지게 입사되는 경우에도 태양광 발전모듈(100)의 설치면에 설치된 모든 태양전지패널(300)에서 빛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면적 내에 많은 양의 태양전지패널(300)을 설치할 수 있고, 태양의 고도 및 시간대에 상관없이 설치된 모든 태양전지패널(300)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 면적 내에서 최대한의 발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100)이 배치되는 영역은, 제1 영역(Ⅰ)과 제1 영역(Ⅰ)의 외측에 제1 영역(Ⅰ)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영역(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Ⅰ)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100a)은 프레임부(200)의 형상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영역(Ⅱ)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100b)은 프레임부(200)의 형상이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형상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사되는 빛을 사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반사율이 좋은 반면, 프레임부(200)의 형상이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각뿔 형상에 비해 소요되는 설치면적이 적고 설치구조가 간단하며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10)는, 사방으로 빛을 반사시킬 필요가 있는 내측 영역인 제1 영역(Ⅰ)의 프레임부(200)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측으로 빛을 반사시킬 필요가 없는 테두리의 외측 영역인 제2 영역(Ⅱ)의 프레임부(200)는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동일면적에서 최대한의 발전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비용과 작업공정 면에서 장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 및 이를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면 프레임부를 다각뿔 또는 각뿔대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하고 각 설치면에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함으로써 한정된 면적 내에 많은 양의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하여 동일 면적 내에서 발생하는 발전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공간이 좁아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가 불가능했던 협소 용지에서도 충분한 발전량을 확보할 수 있고, 장치의 발전효율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패널을 구비하여 태양의 고도 및 시간대에 상관없이 설치된 모든 태양전지모듈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태양광 발전장치 Ⅰ: 제1 영역
Ⅱ: 제2 영역 100: 태양광 발전모듈
100a: 제1 영역의 태양광 발전모듈
100b: 제2 영역의 태양광 발전모듈
101: 제1 태양광 발전모듈 102: 제2 태양광 발전모듈
200: 프레임부 210: 하부프레임
211: 모서리(하부프레임의) 230: 상부프레임
250: 지지대 261: 제1 면
262: 제2 면 300: 태양전지패널
400: 반사패널 A: 높은 고도의 빛
B: 경사 빛 C: 반사 빛
D: 상부의 임의의 점

Claims (12)

  1.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함께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반사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중 어느 하나를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을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빛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설치면 중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설치면을 제1 면이라 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직접 받지 않는 상기 설치면을 제2 면이라 정의할 때,
    빛이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2 면에 구비된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1 면에 구비된 상기 반사패널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킴으로써, 태양의 고도 및 빛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모두에 구비된 상기 태양전지패널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복수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옆면에 설치면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설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함께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반사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중 어느 하나를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에 이웃하는 다른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을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이라 하고,
    빛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설치면 중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설치면을 제1 면이라 하고, 상기 제1 면에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빛을 직접 받지 않는 상기 설치면을 제2 면이라 정의할 때,
    빛이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2 면에 구비된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1 면에 구비된 상기 반사패널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널은, 상기 설치면 상에,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상기 반사패널 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모듈의 상기 제2 면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널은 알루미늄 박막으로 마련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다각형 형상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을 향해 연장되는 선 상에 마련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이 배치되는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외측에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형상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형상이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12. 삭제
KR1020170178641A 2017-12-22 2017-12-22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5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41A KR102058567B1 (ko) 2017-12-22 2017-12-22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41A KR102058567B1 (ko) 2017-12-22 2017-12-22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63A KR20190076663A (ko) 2019-07-02
KR102058567B1 true KR102058567B1 (ko) 2019-12-24

Family

ID=6725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641A KR102058567B1 (ko) 2017-12-22 2017-12-22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712A (ko) 2019-11-11 2021-05-20 한국전기연구원 프랙탈 구조의 태양전지 판넬
KR20210086067A (ko) * 2019-12-31 2021-07-08 농업회사법인 고호팜 주식회사 인삼밭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삼의 연작 재배 방법
KR20230061025A (ko) * 2021-10-28 2023-05-08 한국전기연구원 간접광을 집광시키기 위한 입체태양전지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887A (ja) * 2002-06-07 2004-01-15 Kenichi Suzuki 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台
KR101116995B1 (ko) 2010-09-01 2012-03-07 오대국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092A (ko) * 2006-09-21 2008-03-26 김송귀 피라미드형 태양광발전소
KR20120102283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세종에너지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군사용 침입보안시스템
KR20140028181A (ko) * 2012-07-25 2014-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887A (ja) * 2002-06-07 2004-01-15 Kenichi Suzuki 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台
KR101116995B1 (ko) 2010-09-01 2012-03-07 오대국 다이아몬드형 다방향 고정추적식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63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394B1 (ko)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이용하는 양면태양광모듈 발전기와 그 발전방법
KR102058567B1 (ko)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
US9988776B2 (en) Wind screens for photovoltaic arrays and methods thereof
JP5294184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20112765A (ja) 太陽光反射板
KR101035550B1 (ko) 반사판을 이용한 적층식 집광 시스템
JP5704342B2 (ja) 太陽光発電装置
JP3196882U (ja) 地上設置型の太陽光発電設備
KR20190111599A (ko)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016285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연결구조
KR20140072403A (ko) 반사판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68937B1 (ko) 피라미드형 태양광 발전 구조체
JP3174073U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0764099B1 (ko) 반사판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및 태양광 집광판 제조방법
KR102373237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JP2014103381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2246148B1 (ko) 태양광발전단지 통로 위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가능 다각도평면반사체
JP2015228729A (ja) ソーラーパネルサイト
KR101968938B1 (ko) 피라미드형 태양광 발전 구조체들의 최적배치를 통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2005142383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36454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66175B1 (ko) 탑미러 효율향상구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JP3173456U (ja) 太陽光発電装置
JPH0745854A (ja) 太陽光発電装置
JP7066587B2 (ja) 太陽光発電装置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