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456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456B1
KR102058456B1 KR1020150123145A KR20150123145A KR102058456B1 KR 102058456 B1 KR102058456 B1 KR 102058456B1 KR 1020150123145 A KR1020150123145 A KR 1020150123145A KR 20150123145 A KR20150123145 A KR 20150123145A KR 102058456 B1 KR102058456 B1 KR 10205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area
display device
half mirr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72A (ko
Inventor
승정아
이정훈
조태형
오미아
임경애
이현일
전상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456B1/ko
Priority to US15/220,746 priority patent/US10215993B2/en
Priority to EP16183071.6A priority patent/EP3136161A3/en
Priority to CN201610685583.5A priority patent/CN106482443B/zh
Publication of KR2017002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partially transparent surfaces without spectral selecti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02F1/133557Half-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외부의 빛을 일부 반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이 상기 인쇄층의 색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DISPLAY APPARATUS AND APPLIANC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된 가전기기의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요즘 가전기기는 설정 상태 및 작동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 해 주거나, 다양하고 복잡한 메뉴 조작을 위하여 LCD()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터치 방식 또는 비터치 방식)를 가전기기의 전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가전기기에 부분적으로 LCD가 적용된 경우, LCD가 오프(off) 되었을 때, 가전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 디자인의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가전기기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LCD를 사용 중이 아닐 때 LCD를 오프 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런데 가전기기에 구비된 LCD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 LCD 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의 전원까지 오프 된 것으로 오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오프 된 상태에서도 가전기기의 외관 디자인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전기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가전기기와 디자인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확장되게 보여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시 주변부와 일체감을 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외부의 빛을 일부 반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이 상기 인쇄층의 색상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이 오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이 노출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후방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정전용량식 터치키가 배치되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마스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키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킹부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층은 비전도성 필름이며, 상기 하프 미러층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투명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층은 강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층은 상기 투명 보호층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와 정렬되는 위치에 설정되는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브젝트의 일부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한변이 상기 오브젝트의 한변과 가상의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층의 색상과 상기 본체의 색상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층은 광 투과율이 65% 내지 85%일 수 있다.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과, 오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과, 및 상기 인쇄층의 색상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에 냉장실 또는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일 부분이 상기 손잡이의 일 부분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프 미러층의 색상과 상기 본체의 색상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 오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 및 상기 인쇄층의 색상이 모두 동일한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디스펜서가 설치된 추가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부분이 상기 디스펜서의 일 부분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와 디자인이 상이한 가전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전기기 본체에 구비된 단일 오브젝트와 조화를 이루도록 정렬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on) 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b는 좌/우 근접센서를 위한 제1 및 제2 홀이 인쇄층의 중앙에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영상표시영역의 범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off) 되어 영상표시영역에 GUI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on) 되어 영상표시영역에 GUI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될 때, 사용자가 접근 용이한 높이에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및 하단에 근접센서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20은 다양한 냉장고 디자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렬되는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가전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공기 청정기, 세탁물 건조장치 등과 같인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10)는 본체(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는 외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오브젝트(2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 오브젝트 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오브젝트(21,23)는 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부품들(예를 들면, 디스펜서, 조작패널, 손잡이, 윈도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브젝트(21,23)는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폭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7)(예를 들어, LCD 패널일 수 있다)가 가전기기(10) 전체의 디자인 또는 본체(20)의 디자인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본체(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오브젝트(21,23)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은 가전기기의 형상, 모양, 색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2 이상의 조합을 고려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정렬되는 위치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이 제1 오브젝트(22)의 상단(22a)과 가상의 제1 직선(L1)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하단(30b)이 제1 오브젝트(22) 하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오브젝트(23)의 하단(23a)과 가상의 제2 직선(L2)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직선(L1,L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 및 하단(30b)은 각각 후술하는 투명 보호층(31)의 상단(31a) 및 하단(31b)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30)는 2개의 오브젝트(21,23)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서만 정렬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와 디자인이 상이한 가전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전기기 본체에 구비된 단일 오브젝트와 조화를 이루도록 정렬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가전기기(10a)의 본체(20a)에 단일 오브젝트(25)만 구비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단일 오브젝트(25)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단일 오브젝트(25)의 하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좌단(30c)이 단일 오브젝트(25)의 좌단(25b)과 가상의 제3 직선(L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우단(30d)이 단일 오브젝트(25)의 우단(25b)과 가상의 제4 직선(L4)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본체(20,20a)에 구비된 오브젝트와 정렬됨으로써 디자인적인 조화를 이룸으로써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적어도 일부는 오브젝트의 일부와 정렬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적어도 한 변이 오브젝트의 한 변과 가상의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20,20a)와 디자인 적인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본체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갖는 후술하는 하프 미러층(3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프 미러층(33)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37)를 은폐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본체(20,20a)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가짐에 따라 본체(20,20a)와의 일체감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후술하는 인쇄층(35)의 색상을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7)의 온/오프 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외곽선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시각적으로 일체감을 줄 수 있고, 동시에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된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on) 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좌/우 근접센서를 위한 제1 및 제2 홀이 인쇄층의 중앙에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투명 보호층(31), 하프 미러층(33), 인쇄층(35), 디스플레이부(37) 및 투명 전극층(3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투명 보호층(31), 하프 미러층(33), 인쇄층(35), 투명 전극층(39) 및 디스플레이부(37)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보호층(31)과 하프 미러층(33)은 제1 접착필름(51)(예를 들면, OCA: Optically Clear. Adhesive)을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고, 후면에 인쇄층(35)이 형성된 하프 미러층(33)과 전면에 투명 전극층(39)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37)와 제2 접착필름(53)(예를 들면, OCA)을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투명 보호층(31)은 강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7)의 전방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37)를 보호할 수 있다.
하프 미러층(33)은 투명 보호층(3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프 미러층(33)은 강화 유리가 파손되었을 때 유리 조각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 필름이 합지된 광학 PET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프 미러층(33)은 일면에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금속이 초 박막형태로 증착하되 소정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하프 미러층(33)의 광 투과율은 65%~8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광 투과율이 65%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37a)에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며, 광 투과율이 85%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7) 오프 시 디스플레이부(37)를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하프 미러층(33)은 일반 거울과 동일한 반사율을 갖지만, 후방으로부터 소정 밝기의 광원 즉, 디스플레이부(37)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어 디스플레이부(37)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하프 미러층(33)을 통해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 미러층(33)은 디스플레이부(37)가 온(on) 되었을 때 디스프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에서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하프 미러층(33)은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off) 되었을 때 빛을 반사하여 거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부(37)를 은폐할 수 있다. 아울러 하프 미러층(33)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20)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체(20)에 대하여 이질감을 주지 않고 본체(20)와 단일 개체로 인식될 수 있는 일체감을 줄 수 있어 본체(20)와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 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37)가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프 미러층(33)의 색상이 본체(20)의 색상과 일치되거나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 되었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가전기기(10) 전체가 오프 되었다는 느낌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인쇄층(35)은 하프 미러층(33)의 후면에 인쇄 처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35)은 디스플레이부(37)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인쇄층(35)은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37)가 노출되는 제1 영역(35a)과, 제1 영역(35a)을 제외한 제2 영역(35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35)의 제1 영역(35a)은 디스플레이부(37)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부(37)를 가리지 않도록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이다.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은 하프 미러층(33)의 테두리(또는 에지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은 소정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39)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7)와 인쇄층(35) 간의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부(37)의 크기가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까지 확대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인쇄층(35)의 색상은 디스플레이부(37)가 온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GUI의 배경 색상이 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에 GUI가 표시될 때 GUI의 배경과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37)의 외곽선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7)가 온 상태에서도 전술한 오프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7) 전체가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으로 확대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한편, 인쇄층(35)과 디스플레이부(37)는 디스플레이부(37)가 온/오프 상태에서 항상 동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인쇄층(35)의 색상, 오프 될 때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 및 온 될 때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GUI의 배경 색상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인쇄층(35)은 제2 영역(35b) 중에서 일부분 즉, 제1 영역(35a)의 하단에 인접하는 터치 영역(35c)에 대응하는 인쇄층(35)의 후방에 터치키(36)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키(36)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일 수 있으며, 터치 영역(35c)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마스킹부(35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키(36)는 사용자가 각 마스킹부(35d)에 대응하는 영역에 터치하면 해당 마스킹부(35d)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킹부(35d)에 사용자의 터치가 행해지면 터치키(36)가 이 터치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30)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GUI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마스킹부(35d)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키(36)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광원(36a)(예를 들면, LED 모듈)을 배치하여 마스킹부(35d)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35c)의 하측으로 좌측에 카메라(38a)로 광이 입사되는 제1 홀(35e)과, 제1 홀(35e) 하측에 좌 근접센서(38b) 및 우 근접센서(38c)를 위한 제2 및 제3 홀(35f,35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홀(35f,35g)은 터치 영역(35c)의 하측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좌 근접센서(38b) 및 우 근접센서(38c) 역시 제2 및 제3 홀(35f,35g)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37)는 투명 보호층(31) 및 하프 미러층(33)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프레이부(37)가 21.5 인치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 보호층(31) 및 하프 미러층(33)은 30 인치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층(35)의 제1 영역(35a)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부(37)의 외곽선은 인쇄층(35)의 제1 영역(35a)의 외곽선과 일치한다. 이에 따라, 도 5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7)가 온 되어 영상표시영역(37a)에 GUI가 표시될 때, GUI의 배경 색상이 인쇄층(35)의 색상과 동일하므로 디스플레이부(37)와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 간의 경계의 구분이 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부(37)의 크기가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을 포함하는 크기로 인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영상표시영역의 범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7)는 인쇄층(35)과의 경계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도 6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7)의 에지부분에 마진을 두지 않을 수 도 있으므로, 영상표시영역(37a)의 실 사용 영역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6의 (a)와 같이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부(1)는 외곽선까지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가전기기의 본체와 디스플레이부(1)의 경계가 너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불안정적이거나 전체 디자인과 어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의 에지부분에 소정의 마진(m1,m2)을 설정하고, 이 마진 만큼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영상표시영역이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스플레이부(1)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30)에 비해 영상표시영역의 크기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투명 전극층(39)은 ITO(Indium Tin Oxide)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전극층은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입력 좌표를 알아낼 수 있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투명 전극층(39)는 센싱 레이어와 이에 적층되는 구동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층(39)은 전면에 적층 배치되는 하프 미러층(33)의 비전도성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행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이 터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7)이 영상표시영역이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를 냉장고(100)로 한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냉장고(100)에 구비된 오브젝트(도어의 손잡이(132), 디스펜서(150))와 정렬을 이루는 배치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off) 되어 영상표시영역에 GUI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내측에 복수의 냉장실 및 복수의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냉장실 및 각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도어(121,122,123,124)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도어(121,122,123,124)에는 사용자가 도어(121,122,123,124)를 여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131,132,133,134)가 각각 구비된다. 이 경우, 상부 좌/우측에 배치된 한 쌍의 도어(121,122)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손잡이(131,132)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좌/우측에 배치된 한 쌍의 도어(123,124)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손잡이(133,134)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좌측에 배치된 도어(121)에는 디스펜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상부 우측 도어(12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우측 도어(122)의 손잡이(132)와 디스펜서(150)에 정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이 손잡이(132)의 상단(132a)과 가상의 제5 직선(L5)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하단(30b)이디스펜서(150)의 하단(151)과 가상의 제6 직선(L6)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상의 제5 및 제6 직선(L5,6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 및 하단(30b)은 각각 투명 보호층(31)의 상단(31a) 및 하단(31b)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복수의 오브젝트(손잡이(132)와 디스펜서(150))와 동시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손잡이(132)와 디스펜서(150) 중 어느 하나에만 정렬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7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7)가 오프되는 경우, 하프 미러층(33)의 색상이 본체(110)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가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7)가 하프 미러층(33)에 의해 자연스럽게 은폐되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30)가 본체(110)와 동질감을 줄 수 있어 본체(110)의 디자인 또는 전체적인 냉장고(100)의 디자인과 조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on) 되어 영상표시영역에 GUI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37)가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37)의 영상표시영역(37a)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이 하프 미러층(33)의 후면에 인쇄된 인쇄층(35)의 제2 영역(35b)의 색상과 동일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인쇄층(35)간의 경계는 육안으로 쉽게 파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전체 크기(또는 투명 보호층(31)의 크기, 하프 미러층(33)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37)가 디스플레이 장치(30) 전체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확장되어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될 때, 사용자가 접근 용이한 높이에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7)는 디스플레이 장치(30) 내의 어느 한 배치 영역 가운데 사용자(1)가 팔(3)을 들어 올릴 때 접근이 용이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성인 사용자를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부(37)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90㎝ ~ 140㎝ 정도의 범위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37)의 높이는 대략 120㎝ ~ 140㎝ 범위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7)는 도 9에 도시된 가상의 제7 직선과, 가상의 제7 직선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가상의 제8 직선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및 하단에 근접센서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대부분이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의 도어(12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 및 하단에 근접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1 및 제2 지지구(32a',32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도어(122')의 전면에 형성된 수용홈(122a')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투명 보호층(31') 및 하프 미러층(33')의 각 상단 및 하단에는 근접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1 및 제2 지지구(32a',32b')가 배치되는 요홈(31a',31b';33a',3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지지구(32a',32b')는 전면이 도어(122')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인쇄층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지지구(32a',32b')의 색상은 냉장고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한 것으로, 도어(122')나 디스플레이 장치(30')와 디자인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미설명 부호 36'는 터치키이고,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인쇄층 및 투명 전극층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2 내지 도 20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냉장고들이 개시되며, 이 냉장고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에 형성된 오브젝트(예를 들면, 손잡이)과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2 내지 도 20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 및 하단(30b)은 각각 투명 보호층(31)의 상단(31a) 및 하단(31b)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각각 도시된 냉장고(200,200a)는 앞서 설명한 도 7의 냉장고(100)와 마찬가지로 본체(210) 전면에 4개의 도어(221,222,223,224) 및 각 도어(221,222,223,224)에 구비되는 4개의 손잡이(231,232,233,2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2 및 도 13에 각각 도시된 냉장고(200,200a)는 디스펜서(150)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냉장고(100)와 상이하다.
먼저, 도 1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200)의 상부 우측 도어(2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본체(210)에 구비된 오브젝트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이 상부 우측 도어(222)의 손잡이(232) 상단(232a)과 함께 가상의 제9 직선(L9)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200a)의 상부 좌측 도어(2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이 상부 좌측 도어(221)의 손잡이(231) 상단(231a)과 함께 가상의 제10 직선(L10)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각각 도시된 냉장고(300,300a)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냉장고(200,200a)와 달리 본체(210) 전면의 상하로 2개의 도어(321,3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도어(321)는 하부 좌측으로 손잡이(331)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부 도어(321)의 상하 폭은 하부 도어(322)의 상하 폭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300)의 상부 도어(3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하단(30b)이 상부 도어(321)의 손잡이(331) 하단(331a)과 함께 가상의 제11 직선(L11)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300a)의 하부 도어(3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좌단(30c)이 상부 도어(321)의 손잡이(331) 우단(331b)과 함께 가상의 제12 직선(L12)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8에 각각 도시된 냉장고(400,400a,400b)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냉장고(300,300a)와 마찬가지로 본체(410) 전면의 상하로 2개의 도어(421,42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부 도어(421)는 하부 좌측으로 손잡이(431)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421)의 상하 폭은 하부 도어(422)의 상파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400)의 상부 도어(4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하단(30b)이 상부 도어(421)의 손잡이(431) 상단(431a)과 함께 가상의 제12 직선(L12)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수직 중심선이 상부 도어(421)의 수직 중심선에 해당하는 가상의 제14 중심선(L14)과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400a)의 상부 도어(4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하단(30b)이 상부 도어(421)의 손잡이(431) 하단(431b)과 함께 가상의 제15 직선(L15)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400b)의 상부 도어(4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좌단(30c)이 상부 도어(421)의 손잡이(431) 우단(431c)과 함께 가상의 제16 직선(L16)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각각 도시된 냉장고(500,500a)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냉장고(300,300a,400,400a,400b)와 같이 본체(510) 전면에 2개의 도어(521,522)가 구비지만, 이 2개의 도어(521,522)는 좌우로 배치된다. 이때, 좌측 도어(521)의 좌우 폭은 우측 도어(521)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500)의 우측 도어(5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b)이 우측 도어(522)의 손잡이(532)에 수평으로 형성된 직선(532a)과 함께 가상의 제17 직선(L17)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손잡이의 상,하,좌,우단이 아닌 손잡이(532)의 일부에 표시된 선과 같은 도형을 기준으로 정렬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냉장고(500a)의 좌측 도어(5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단(30a)이 우측 도어(522)의 손잡이(532)에 표시된 직선(532a)과 함께 가상의 제18 직선(L18)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수직 중심선이 좌측 도어(521)의 수직 중심선에 해당하는 가상의 제19 중심선(L19)과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가전기기 20: 본체
30: 디스플레이 장치 31: 보호층
33: 하프 미러층 35: 인쇄층
36: 터치키 37: 디스플레이부
39: 투명 전극층
100,200,200a,300,300a,400,400a,400b,500,500a: 냉장고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며, 외부의 빛을 일부 반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이 상기 인쇄층의 색상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이 오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이 노출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후방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정전용량식 터치키가 배치되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마스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킹부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층은 비전도성 필름이며,
    상기 하프 미러층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투명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층은 강화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층은 상기 투명 보호층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하프 미러층의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와 정렬되는 위치에 설정되는 가전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브젝트의 일부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한변이 상기 오브젝트의 한변과 가상의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층의 색상과 상기 본체의 색상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층은 광 투과율이 6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과, 오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 및 상기 인쇄층의 색상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층은 상기 투명 보호층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이 노출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층의 후방에는 상기 제2 영역 중 정전용량식 터치키가 배치되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마스킹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키 주변에는 상기 마스킹부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층은 비전도성 필름이며,
    상기 하프 미러층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투명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9. 내측에 냉장실 또는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일 부분이 상기 손잡이의 일 부분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더 큰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층; 상기 투명 보호층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프 미러층; 및 상기 하프 미러층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프 미러층의 색상과 상기 본체의 색상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온 상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배경의 색상, 오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표시영역의 색상, 및 상기 인쇄층의 색상이 모두 동일한 가전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디스펜서가 설치된 추가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부분이 상기 디스펜서의 일 부분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KR1020150123145A 2015-08-31 2015-08-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05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45A KR102058456B1 (ko) 2015-08-31 2015-08-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US15/220,746 US10215993B2 (en) 2015-08-31 2016-07-27 Display apparatus and home appliances having the same
EP16183071.6A EP3136161A3 (en) 2015-08-31 2016-08-05 Display apparatus and home appliances having the same
CN201610685583.5A CN106482443B (zh) 2015-08-31 2016-08-18 显示装置和具有该显示装置的家用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45A KR102058456B1 (ko) 2015-08-31 2015-08-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72A KR20170025972A (ko) 2017-03-08
KR102058456B1 true KR102058456B1 (ko) 2019-12-23

Family

ID=5711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45A KR102058456B1 (ko) 2015-08-31 2015-08-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5993B2 (ko)
EP (1) EP3136161A3 (ko)
KR (1) KR102058456B1 (ko)
CN (1) CN106482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8182B2 (en) 2015-07-15 2019-03-12 Lg Electronics Inc. Door for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0037B1 (ko) * 2015-09-01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GB2555419B (en) * 2016-10-26 2019-04-24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KR102345097B1 (ko) * 2016-11-29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27962B1 (ko) * 2016-12-12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08936355U (zh) * 2018-09-05 2019-06-0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空气净化器
KR102143408B1 (ko) * 2018-09-07 2020-08-11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주식회사 월패드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9286B1 (ko) * 2018-09-21 202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윈도우 보호 필름
US11650628B1 (en) * 2018-10-03 2023-05-16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ouch screen
WO2020194784A1 (ja) * 2019-03-28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10125376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28689A (ko) * 2020-04-17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WO2022044960A1 (ja) * 2020-08-27 2022-03-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EP4215987A4 (en) * 2020-11-26 2024-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OUSEHOLD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169257A1 (zh) * 2022-03-10 2023-09-14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全面屏显示装置、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US20230332821A1 (en) * 2022-04-15 2023-10-1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ead-front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525A1 (ja) * 2013-01-16 2014-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ミラーディスプレイ、ハーフミラープレート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905B2 (ja) 1987-12-26 1995-05-01 ブルース・ヘンリー・ランバート 冷蔵庫
JP4208187B2 (ja) 2002-10-28 2009-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705069B1 (ko) 2004-12-02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틸팅 어셈블리
JP5085028B2 (ja) 2005-10-20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99247B2 (en) 2005-11-23 2012-01-17 Electric Mirror, Llc Back lit mirror with media display device
EP2169450B1 (en) 2007-07-11 2016-03-09 Nissha Printing Co., Ltd. Display protection plate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132463B1 (ko) 2009-02-20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JP4629146B2 (ja) 2009-03-31 2011-02-0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機器用隠蔽フィルム、それを使用する機器、及び、機器の被隠蔽部の隠蔽方法
JP5232839B2 (ja) 2009-08-31 2013-07-10 浜新硝子株式会社 薄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10058303A (ko) 2009-11-26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11105768A2 (ko) *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04331A1 (en) 2011-03-09 2014-01-02 Nitto Denko Corporation Shatterproofing member with harden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JP2013061436A (ja) 2011-09-13 2013-04-04 Lenovo Singapore Pte Ltd 液晶シャッタを備える電子機器
KR101899974B1 (ko) * 2012-03-16 2018-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72477B1 (ko) 2012-11-21 2014-12-12 김영수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203455820U (zh) 2013-08-27 2014-02-26 苏州市健邦触摸屏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
US9456405B2 (en) 2014-01-30 2016-09-2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operation in coverage enhancement mode wit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eam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525A1 (ja) * 2013-01-16 2014-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ミラーディスプレイ、ハーフミラープレート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6161A2 (en) 2017-03-01
US10215993B2 (en) 2019-02-26
US20170059875A1 (en) 2017-03-02
CN106482443B (zh) 2019-10-22
EP3136161A3 (en) 2017-04-19
CN106482443A (zh) 2017-03-08
KR2017002597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4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N107782051B (zh) 电子设备
CN104428740B (zh) 一种颜色可变的终端
RU2622784C2 (ru) Электронное игровое и/или развлек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21263B1 (ko) 냉장고
US20130119847A1 (en) Refrigerator
US9058937B2 (en) Touch panel
JP6591736B2 (ja) 操作パネル及び洗濯機
EP2647326B1 (en) Display and control elem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US9310918B2 (en) Touch display having a reflective type display screen
US20110175849A1 (en) Optical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RU2653098C1 (ru) Холодильник
CN102768589B (zh) 触控面板
CN102768588B (zh) 触控面板
WO2007085981A2 (en)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UA114180C2 (uk) Електронний ігровий та/або розваж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TW201512620A (zh) 冰箱
TWM419989U (en) Touch panel
JP2018077044A (ja) 冷蔵庫
KR102276651B1 (ko) 전자 디바이스
KR100993054B1 (ko) 냉장고
JP2015055361A (ja) 冷蔵庫
CN110096212A (zh) 家用电器的控制方法和家用电器
JP2015215568A (ja) 機器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