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12B1 - 원심 분급기 - Google Patents

원심 분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12B1
KR102057912B1 KR1020130105988A KR20130105988A KR102057912B1 KR 102057912 B1 KR102057912 B1 KR 102057912B1 KR 1020130105988 A KR1020130105988 A KR 1020130105988A KR 20130105988 A KR20130105988 A KR 20130105988A KR 102057912 B1 KR102057912 B1 KR 10205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lower case
discharged
discharge port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525A (ko
Inventor
최재헌
강성형
이기용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덮개;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원심 분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심 분급기{Centrifugal classifier}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미립의 입자를 얻기 위해 연속식으로 분급이 가능한 원심 분급기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전자 부품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미립의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세라믹 전자 부품의 성능은 출발 물질을 보다 미립의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미립의 입자의 경우, 입자끼리 서로 뭉치려는 힘이 강해져 응집체 또는 조립의 입자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막기 어렵다.
따라서 세라믹 전자 부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입자를 잘 분산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응집체 또는 조립의 입자의 생성으로 인해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세라믹 전자 부품을 제조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미립의 입자들을 얻기 위해서는 분산 전 또는 분산 후에 응집체 또는 생성된 조립의 입자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분산성이 좋은 미립의 입자를 얻기 위해서는 출발 원료의 제작이 가장 중요하다.
출발 원료의 제작만으로는 미립의 입자의 응집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분급 또는 분쇄, 해쇄 등의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건식 분급은 1㎛ 이하의 미립의 입자에서는 효율이 떨어지고 분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분급 이후의 습식 공정을 적용하기 전에 재응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습식 분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배치식 습식 분급을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배치식 습식 분급을 이용하는 경우, 각 배치별로 동일한 양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분쇄, 해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출발 물질에 비해 입도가 넓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분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조분 컷트와 정류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분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본 발명과 같이 회전판에 형성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날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지 아니하여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1-137784호
본 발명은 습식, 연속 방식으로 응집체 또는 조립의 입자를 제거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미립의 입자를 얻을 수 있는 원심 분급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미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효율 향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원뿔형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구는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거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는 냉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회전판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조립의 입자와 미립의 입자를 분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슬러리를 회전판을 이용함으로써 조립의 입자와 미립의 입자를 분급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조립의 입자와 미립의 입자를 분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효율 향상부를 포함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슬러리를 분급하는 과정에서 슬러리가 정체되거나, 분급되지 못하는 슬러리를 줄임으로써 분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회전판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확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5b는 제2 토출구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효율 향상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난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상부 덮개(10), 하부 케이스(20) 및 회전판(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미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덮개(10); 상기 상부 덮개(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가이드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20); 상기 가이드부(22)와 상기 상부 덮개(10)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23); 및 상기 상부 덮개(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31)를 가지는 회전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로는 분급할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주입된 슬러리는 상기 회전판(30)에 의해 조립의 입자와 미립의 입자가 분급될 수 있다.
상기 분급된 미립의 입자는 상기 제1 토출구(11)를 통하여 토출되고, 상기 분급된 조립의 입자는 상기 제2 토출구(23)을 통하여 토출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외부에 냉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상기 회전판(30)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조립의 입자와 미립의 입자를 분급시키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시에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은 원심 분급기의 분급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각 부재를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외부에 형성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상기 회전판(3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0)은 원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3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판(30)의 중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31)는 분급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31)는 상기 회전판(30)의 중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직선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날개(31)는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조립의 입자에 더욱 크게 작용할 수 있도록 곡선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0)은 1개만 이용할 수 도 있으나, 2개 이상의 회전판(30)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회전판(30)을 형성하는 경우, 미립의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상기 회전판(30)의 중심부에 형성시켜야 한다.
2개 이상의 회전판(30)을 이용함으로써 분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B를 확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신 분급기는 유입구(21)를 통하여 슬러리가 주입된다.
상기 슬러리는 외부에 펌프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지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하여 주입된다.
주입된 슬러리는 압력에 의하여 제1 토출구(11) 및 제2 토출구(23)를 향하여 밀려 올라가게 되는데, 회전판(30)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슬러리에 원심력이 가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러리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 중 조립의 입자는 원심력의 영향을 미립의 입자에 비해 크게 받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압력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슬러리에서 조립의 입자는 회전판(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판(30)의 바깥으로 밀려나게 된다.
특히, 회전판(30)에는 복수의 날개(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31)에 의하여 상기 조립의 입자에 원심력이 더욱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반해 미립의 입자는 조립의 입자에 비해 원심력의 영향을 적기 때문에, 유입되는 슬러리의 압력에 의하여 서서히 제1 토출구(11)를 통하여 토출된다.
즉, 조립의 입자는 상기 회전판(3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판(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2 토출구(23)를 통하여 토출되고, 미립의 입자는 상기 회전판(3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의 영향을 적게 받아 상기 회전판(30)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토출구(11)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하기의 표 1은 회전판(30)은 분당 회전수(rpm)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11)로 토출되는 미립의 입자의 평균 입경을 나타낸 것이다.
분당 회전수(rpm) 평균 입경(nm)
2000 143
3000 142
4000 141
5000 140
6000 138
7000 136
8000 134
9000 132
10000 131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토출되는 미립의 입자의 평균 입경은 상기 회전판(30)의 분당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분당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영향을 받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점점 작아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당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입자들은 상기 회전판(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2 토출구(23)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
도 5a 및 5b는 제2 토출구(23)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토출되는 압력에 따라서 슬러리의 원심 분급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a 와 같이 상기 제2 토출구(23)는 상부 덮개(10)의 주위로 복수의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함으로써 토출되는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와 같이 상기 상부 덮개(10)와 하부 케이스(20)의 가이드부(22)와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토출구(2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은 경우, 상기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효율 향상부(24)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22)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효율 향상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는 슬러리를 상기 유입구(21)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효율 향상부(24)가 없는 경우에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22)가 접하는 부분에 슬러리가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22)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효율 향상부(24)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분급기의 분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상부 덮개
11: 제1 토출구
20: 하부 케이스
21: 유입구
22: 가이드부
23: 제2 토출구
24: 효율 향상부
30: 회전판
31: 날개

Claims (6)

  1. 미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원뿔형인 원심 분급기.
  2. 미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부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효율 향상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 분급기.
  3. 삭제
  4. 미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덮개 사이에 위치하며, 조립의 입자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적어도 2개 이상인 원심 분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구는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거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심 분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는 냉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심 분급기.
KR1020130105988A 2013-09-04 2013-09-04 원심 분급기 KR10205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88A KR102057912B1 (ko) 2013-09-04 2013-09-04 원심 분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88A KR102057912B1 (ko) 2013-09-04 2013-09-04 원심 분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25A KR20150027525A (ko) 2015-03-12
KR102057912B1 true KR102057912B1 (ko) 2019-12-20

Family

ID=5302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988A KR102057912B1 (ko) 2013-09-04 2013-09-04 원심 분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2236A (zh) * 2020-04-09 2020-08-04 杭州讹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原料质量不同研磨之后可以自动分离研磨装置
KR20230127617A (ko) 2022-02-25 2023-09-01 비제이알 주식회사 분급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843A (ja) 2002-07-24 2004-02-26 Ricoh Co Ltd 分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トナーの製造方法
JP2008142681A (ja) * 2006-12-13 2008-06-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湿式遠心分級方法およびその湿式遠心分級方法で得られた金属微粒子スラリー
JP2011125786A (ja) 2009-12-17 2011-06-30 Kotobuki Kogyo Kk 湿式の分級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071B2 (en) * 2006-07-14 2011-12-27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Rotating cone classifier
JP4794647B2 (ja) * 2009-04-17 2011-10-19 定男 篠原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とその分離板と固液分離方法
KR101161011B1 (ko) * 2010-04-26 2012-07-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심 분리 원리에 의한 가스하이드레이트 연속 제조 및 탈수 장치 및 방법
JP6021217B2 (ja) * 2012-06-21 2016-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備えた見守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843A (ja) 2002-07-24 2004-02-26 Ricoh Co Ltd 分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トナーの製造方法
JP2008142681A (ja) * 2006-12-13 2008-06-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湿式遠心分級方法およびその湿式遠心分級方法で得られた金属微粒子スラリー
JP2011125786A (ja) 2009-12-17 2011-06-30 Kotobuki Kogyo Kk 湿式の分級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2236A (zh) * 2020-04-09 2020-08-04 杭州讹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原料质量不同研磨之后可以自动分离研磨装置
CN111482236B (zh) * 2020-04-09 2021-10-08 上海汇融细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原料质量不同研磨之后可以自动分离研磨装置
KR20230127617A (ko) 2022-02-25 2023-09-01 비제이알 주식회사 분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25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914153A (en) The powder classifying device
KR102057912B1 (ko) 원심 분급기
US5094391A (en) Pneumatic classifier
KR20150027278A (ko) 회전식 분급기 및 수직형 밀
KR20140016334A (ko) 분체의 분급 방법
CN206778626U (zh) 重晶石粉碎装置及生产系统
KR100206609B1 (ko) 입자이중분리기
WO2013105553A1 (ja) 高純度ゴム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4353612A (zh) 一种分级轮叶片可伸缩调节离心式分级机
JP5493937B2 (ja) 金属微粉の分級方法
CN108212362A (zh) 一种研磨分离装置及砂磨机
KR200442763Y1 (ko) 분산분쇄기용 임펠러
JP6248718B2 (ja) 竪型粉砕機
CN209138836U (zh) 一种基于离心研磨的制砂装置
JP2006075822A (ja) 微粉体製造装置、含水あるいは含油物質の微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9597320U (zh) 一种化工原料破碎机
CN208146422U (zh) 一种超微粉碎机的分级筛选装置
CN207138298U (zh) 分级转子
CN210022321U (zh) 一种新材料样品粉碎用旋风磨
CN109465072A (zh) 一种化工原料破碎机
CN204320662U (zh) 一种分级轮叶片可伸缩调节离心式分级机
CN208449510U (zh) 一种医药原料用粉碎装置
CN215507082U (zh) 一种具有离心式分离器的研磨机
KR100210597B1 (ko) 분급기의 원심로터 조분유입방지구조
US2850245A (en) Grin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