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853B1 -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853B1
KR102057853B1 KR1020150184790A KR20150184790A KR102057853B1 KR 102057853 B1 KR102057853 B1 KR 102057853B1 KR 1020150184790 A KR1020150184790 A KR 1020150184790A KR 20150184790 A KR20150184790 A KR 20150184790A KR 102057853 B1 KR102057853 B1 KR 10205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bogie
disposed
unit
transport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307A (ko
Inventor
김진형
백영환
박찬경
김영진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5018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8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은, 폐루프 형태의 이송대차용 궤도; 이송대차용 궤도에 탑재되어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 이송대차; 및 단일의 틸팅축을 기초로 제1 및 제2 이송대차 간의 상대적인 상하좌우 틸팅동작을 수행하는 단일 틸팅모듈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Carriage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틸팅축을 구비하는 단일 틸팅모듈을 이용해서 이송대차들을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의 빈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고속운전에 적합하여 물동량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HS(Overhead Shuttle), OHT(Overhead Hoist Transport) 등을 포함하는 소위, 이송대차 시스템은 이송할 소형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대차 시스템은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대차와, 이송대차가 주행 가능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되 주행궤도와 주행궤도에서 분기된 분기궤도를 포함하는 이송대차용 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대차 시스템이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클린 룸(clean room) 내의 천장공간에 주행궤도와 주행궤도에서 분기된 분기궤도가 설치되며, 이송대차는 이송포트들 사이를 주행궤도 및 분기궤도를 따라 주행하면서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이송대차 시스템과 유사한 형태의 물류 시스템으로서, 예컨대 물류센터 등에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의 적용이 고려될 수 있다.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의 천장에 설치되는 이송대차 시스템과 달리,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은 물류센터 등의 바닥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류센터 내에서 각종 물류품들을 원하는 장소(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역시, 폐루프 형태의 이송대차용 궤도와, 이송대차용 궤도에 탑재되어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되는 다수의 이송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대차들은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하면서 물류품을 실어 나를 수 있다.
이때,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송대차들은 마치 기차(train)처럼 서로 연결되어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연속 주행하면서 물류품을 실어 나를 수 있는데, 이 경우, 이송대차들이 효율적으로 또한 고속으로 주행되려면 이송대차들이 상대적으로 틸팅(tiling)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그래야만 이송대차들이 줄지어 직선 혹은 곡선의 이송대차용 궤도를 주행할 수 있다.
이에, 이송대차들을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에 있어서 상하 틸팅을 위한 상하 틸팅부와, 좌우 틸팅을 위한 좌우 틸팅부를 개별적으로 적용하면서 이송대차들을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으나 이처럼 상하 틸팅부와 좌우 틸팅부를 개별적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부품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틸팅 및 좌우 틸팅의 틸팅축 위치가 서로 달라서 틸팅동작이 유연하지 못해 잔고장이 많아질 수밖에 없고, 또한 구조상 고속운전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진보된 구조의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3139호(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2009.03.0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의 틸팅축을 구비하는 단일 틸팅모듈을 이용해서 이송대차들을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의 빈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고속운전에 적합하여 물동량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루프 형태의 이송대차용 궤도;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에 탑재되어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 이송대차; 및 단일의 틸팅축을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차 간의 상대적인 상하좌우 틸팅동작을 수행하는 단일 틸팅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차 연결부는, 상기 제1 이송대차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대차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일 틸팅모듈은 상기 단일의 틸팅축 상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이송대차에 결합되는 세로블록; 및 상기 세로블록에 교차되게 연결되되 판면에 제1 관통부가 형성되는 가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이송대차에 결합되는 세로벽체; 및 상기 세로벽체의 단부에서 상기 세로벽체에 교차되게 절곡되며, 판면에 상기 제1 관통부와 동축적으로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가로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 틸팅모듈은, 상기 제2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유닛 헤드와, 상기 유닛 헤드와 연결되는 유닛 샤프트와, 상기 유닛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로벽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가로벽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를 구비하는 틸팅축 유닛; 상기 틸팅축 유닛의 유닛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 통과홀을 구비하는 볼(ball)이 내장되며, 상기 제1 관통부 내에 배치되는 구면 베어링(spherical bearing); 및 상기 구면 베어링의 샤프트 통과홀을 통과한 상기 유닛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틸팅축 유닛과 상기 구면 베어링의 볼을 연결시키는 유닛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 틸팅모듈은, 상기 가로블록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닛 샤프트의 틸팅 동작은 허용하면서 상기 구면 베어링의 상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상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 및 상기 가로블록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면 베어링의 하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하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랜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 헤드와 상기 가로벽체에는 위치 조정을 위한 위치 조정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대차는, 상기 제1 이송대차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대차 골조; 상기 제1 대차 골조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컨베이어; 상기 제1 대차 골조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대차 골조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주행 내륜; 상기 제1 주행 내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내륜;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주행 외륜; 및 상기 제1 주행 외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외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송대차는, 상기 제2 이송대차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대차 골조; 상기 제2 대차 골조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단위 컨베이어; 상기 제2 대차 골조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대차 골조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주행 내륜; 상기 제2 주행 내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내륜;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주행 외륜; 및 상기 제2 주행 외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외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는,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내륜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륜 레일; 상기 내륜 레일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주행 외륜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륜 레일; 및 상기 내륜 레일과 상기 외륜 레일을 연결하는 다수의 레일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륜 레일의 곡선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차의 주행 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외륜의 궤도이탈을 저지시키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 레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는, 상기 내륜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 및 상기 외륜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 레일이 위치되는 상기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는 상기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보다 사이즈가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대차와 상기 제2 이송대차 사이에 배치되는 안전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이 배치되는 상기 제1 이송대차와 상기 제2 이송대차에는 상기 안전발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발판 지지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대차와 상기 제2 이송대차에 마련되는 발판 지지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틸팅축을 구비하는 단일 틸팅모듈을 이용해서 이송대차들을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의 빈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고속운전에 적합하여 물동량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송대차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이송대차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1 및 제2 단위 컨베이어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대차 연결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대차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송대차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 및 제2 이송대차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제1 및 제2 단위 컨베이어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대차 연결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대차 연결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은 단일의 틸팅축을 구비하는 단일 틸팅모듈(330)을 이용해서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의 빈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고속운전에 적합하여 물동량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송대차용 궤도(400)와,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와,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이송대차용 궤도(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 형태로 된 순환궤도이다.
도 1에는 타원 형태의 이송대차용 궤도(400)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송대차용 궤도(400)의 형태가 반드시 도 1과 같을 필요는 없다. 즉 폐루프 형태를 이루기만 하면 이송대차용 궤도(400)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송대차용 궤도(400)는 예컨대, 물류센터 등의 바닥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대차용 궤도(400)는 내륜 레일(410)과, 내륜 레일(4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륜 레일(420)과, 다수의 레일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륜 레일(410)은 자세히 후술할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주행 내륜(141,24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주행되는 장소를 이룬다.
내륜 레일(410)의 상부 영역에는 단부(411a)가 절곡 형성되는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411)가 마련된다.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411)는 혹시 모를 제1 및 제2 주행 내륜(141,24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제1 및 제2 주행 내륜(141,241)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아 제1 및 제2 주행 내륜(141,241)을 보호한다.
외륜 레일(420)은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주행되는 장소를 이룬다. 외륜 레일(420)은 내륜 레일(41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외륜 레일(420)의 상부 영역에도 단부(412a)가 절곡 형성되는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421)가 마련된다.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421)는 혹시 모를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아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을 보호한다.
다수의 레일 연결부(430)는 내륜 레일(410)과 외륜 레일(420)이 안적적인 이격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륜 레일(410)과 외륜 레일(420)를 연결한다. 다수의 레일 연결부(430)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이송대차용 궤도(400) 중 직선부에서의 내륜 레일(410)과 외륜 레일(420), 그리고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411)와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421)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도 1의 이송대차용 궤도(400) 중 곡선부에서의 내륜 레일(410)과 외륜 레일(420), 그리고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411)와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421)는 구조가 서로 상이하다. 즉 외륜 레일(420)의 곡선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경사면(441)을 구비하는 경사 레일(440)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경사 레일(440)은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주행 시 특히,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고속 주행 시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이 궤도이탈되는 것을 저지시킨다.
본 실시예처럼 외륜 레일(420)의 곡선부에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경사면(441)을 구비하는 경사 레일(440)을 덧대어 배치할 경우,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고속 주행 시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이 들리는 만큼 그 높이를 보상해줄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고속 주행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동량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사 레일(440)이 위치되는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421)는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411)보다 사이즈가 더 크게 마련된다. 이는 외륜 레일(420) 상에 경사 레일(440)을 덧대어 배치되기 때문에 그 높이를 보상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는 이송대차용 궤도(400)에 탑재되어 이송대차용 궤도(400)를 따라 주행되는 대차이다.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는 이송대차용 궤도(400)를 따라 주행되면서 상부에 탑재되는 물류품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이송대차용 궤도(400) 상에 대차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되는 2대의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송대차(100,200)의 개수는 도면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즉 기차처럼 이송대차(100,200)는 3대 이상 여러 대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이송대차(100,200)들은 동일한 형태의 대차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2대의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개시하고 있는 것이다.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제1 이송대차(100)는 제1 이송대차(100)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대차 골조(110)와, 제1 대차 골조(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컨베이어(120)와, 제1 대차 골조(110)의 단부에서 제1 대차 골조(110)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130)과, 제1 교차 프레임(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주행 내륜(141)과, 제1 주행 내륜(141)에 교차 배치되어 제1 이송대차(100)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내륜(142)과, 제1 교차 프레임(1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주행 외륜(151)과, 제1 주행 외륜(151)에 교차 배치되어 제1 이송대차(100)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외륜(15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이송대차(200)는 제2 이송대차(200)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대차 골조(210)와, 제2 대차 골조(2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단위 컨베이어(220)와, 제2 대차 골조(210)의 단부에서 제2 대차 골조(210)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230)과, 제2 교차 프레임(2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주행 내륜(241)과, 제2 주행 내륜(241)에 교차 배치되어 제2 이송대차(200)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내륜(242)과, 제2 교차 프레임(2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주행 외륜(251)과, 제2 주행 외륜(251)에 교차 배치되어 제2 이송대차(200)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외륜(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대차(100)와 제2 이송대차(200)에는 제1 단위 컨베이어(120)와 제2 단위 컨베이어(220)는 각각 다수 개씩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위 컨베이어(120,220)들은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가 주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가 주행되는 동안 제1 및 제2 단위 컨베이어(120,220) 상에 적재된 물류품은 이송대차용 궤도(400)의 바깥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이송대차(100)와 제2 이송대차(200) 사이에는 다수의 안전발판(500)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단위 컨베이어(120,220)가 멈춘 경우, 작업자는 제1 및 제2 단위 컨베이어(120,220) 상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도 있는데,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 또한 내부 구조물들로 작은 물류품 등이 빠지지 않도록 망 형태의 안전발판(500)이 마련된다.
안전발판(500)이 제1 이송대차(100)와 제2 이송대차(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안전발판(500)이 배치되는 제1 이송대차(100)와 제2 이송대차(200)에는 안전발판(5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발판 지지대(510,520)가 마련된다. 이때, 제1 이송대차(100)와 상기 제2 이송대차(200)에 마련되는 발판 지지대(510,520)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대차 연결부(300)는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상대적으로 틸팅(tiling)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즉 제1 이송대차(100)에 대해 제2 이송대차(200)가, 혹은 제2 이송대차(200)에 대해 제1 이송대차(100)가 상하로(θ1,θ2, 도 10 참조) 혹은 좌우로(θ3,θ4, 도 10 참조) 틸팅될 수 있도록 대차 연결부(300)가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에 있어서 상하 틸팅을 위한 상하 틸팅부(미도시)와, 좌우 틸팅을 위한 좌우 틸팅부(미도시)를 개별적으로 적용하면서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으나 이처럼 상하 틸팅부와 좌우 틸팅부를 개별적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부품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틸팅 및 좌우 틸팅의 틸팅축 위치가 서로 달라서 틸팅동작이 유연하지 못해 잔고장이 많아질 수밖에 없고, 또한 구조상 고속운전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틸팅축을 기초로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 간의 상대적인 상하좌우 틸팅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틸팅모듈(330)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일 틸팅모듈(330)이 적용되면 상하 틸팅부와 좌우 틸팅부를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보다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상하 틸팅 및 좌우 틸팅의 틸팅축 위치가 동일한 장소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틸팅동작이 유연하여 잔고장의 빈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고속운전에 적합하여 물동량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차 연결부(300)는 제1 이송대차(10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이송대차(20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320)와, 단일의 틸팅축 상에서 제1 연결부재(310)와 상기 제2 연결부재(320)에 연결되는 단일 틸팅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0)는 제1 이송대차(100)에 결합되는 세로블록(311)과, 세로블록(311)에 교차되게 연결되되 판면에 제1 관통부(313)가 형성되는 가로블록(3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블록(311)에는 통공(311a)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311a)은 무게 감소를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세로블록(311)은 제1 이송대차(100)의 제1 교차 프레임(1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310)는 제1 이송대차(100)와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0)는 제2 이송대차(200)에 결합되는 세로벽체(321)와, 세로벽체(321)의 단부에서 세로벽체(321)에 교차되게 절곡되며, 판면에 제1 관통부(313)와 동축적으로 제2 관통부(323)가 형성되는 가로벽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0)의 세로벽체(321)는 제2 이송대차(200)의 단부 플랜지(26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320)는 제2 이송대차(200)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단부 플랜지(260)의 상부에는 더미 덮개 플랜지(261)가 더 연결되어 상부에서 제2 연결부재(32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 연결부재(310) 및 제2 연결부재(320)에 단일의 틸팅축을 기초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 간의 상대적인 상하좌우 틸팅동작을 가능케 하는 단일 틸팅모듈(330)은 틸팅축 유닛(331)과, 구면 베어링(332, spherical bearing)과, 틸팅축 유닛(331) 및 구면 베어링(332)을 고정시키는 유닛 고정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축 유닛(331)은 제2 연결부재(320)의 제2 관통부(3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유닛 헤드(331a)와, 유닛 헤드(331a)와 연결되는 유닛 샤프트(331b)와, 유닛 헤드(331a)에 연결되고 가로벽체(322)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볼트(B1)에 의해 가로벽체(322)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331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랜지(331c)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공(331d)이 형성되는데, 다수의 볼트공(331d) 중 선택된 몇몇의 볼트공(331d)에 다수의 볼트(B1)가 체결됨으로써, 틸팅축 유닛(331)의 고정 플랜지(331c)가 가로벽체(3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유닛 헤드(331a)와 가로벽체(322)에는 위치 조정을 위한 위치 조정 패턴(P1,P2,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위치 조정 패턴(P1,P2, 도 11 참조)을 참조하여 다수의 볼트(B1)를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 조정 패턴(P1,P2, 도 11 참조)은 화살표 패턴으로 형성되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구면 베어링(332)은 틸팅축 유닛(331)의 유닛 샤프트(331b)가 통과되는 샤프트 통과홀(332b)을 구비하는 볼(332a, ball)이 내장된 베어링으로서, 제1 연결부재(310)의 제1 관통부(313) 내에 배치된다.
이처럼 구면 베어링(332)이 제1 연결부재(310)의 제1 관통부(313) 내에 배치되고, 구면 베어링(332) 내에 임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볼(332a) 내에 틸팅축 유닛(331)의 유닛 샤프트(331b)가 통과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이송대차(100)에 대해 제2 이송대차(200)가, 혹은 제2 이송대차(200)에 대해 제1 이송대차(100)가 상하로(θ1,θ2, 도 10 참조) 혹은 좌우로(θ3,θ4, 도 10 참조) 틸팅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틸팅동작이 유닛 샤프트(331b)와 구면 베어링(332)의 볼(332a)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잔고장 발생이 없으며, 효율 역시 우수하다.
제1 연결부재(310)의 제1 관통부(313) 내에 배치되는 구면 베어링(332)의 자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334)와, 하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335)가 마련된다.
상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334)는 가로블록(312)의 상단부에 볼트(B2) 결합되며, 유닛 샤프트(331b)의 틸팅 동작은 허용하면서 구면 베어링(332)의 상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335)는 가로블록(312)의 하단부에 볼트(B3) 결합되며, 구면 베어링(332)의 하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닛 고정부재(333)는 구면 베어링(332)의 샤프트 통과홀(332b)을 통과한 상기 유닛 샤프트(331b)의 단부 홀(331e, 도 12 참조)에 고정됨으로써 틸팅축 유닛(331)과 구면 베어링(332)의 볼(332a)을 하나의 몸체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틸팅축을 구비하는 단일 틸팅모듈(330)을 구비하는 대차 연결부(300)를 이용해서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를 상대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잔고장의 빈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고속운전에 적합하여 물동량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륜 레일(420)의 곡선부에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경사면(441)을 구비하는 경사 레일(440)이 덧대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고속 주행 시 제1 및 제2 주행 외륜(151,251)이 들리는 만큼 그 높이를 보상해줄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제1 및 제2 이송대차(100,200)의 고속 주행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동량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제1 이송대차 110 : 제1 대차 골조
120 : 제1 단위 컨베이어 130 : 제1 교차 프레임
141 : 제1 주행 내륜 142 : 제1 가이드 내륜
151 : 제1 주행 외륜 152 : 제1 가이드 외륜
200 : 제2 이송대차 210 : 제2 대차 골조
220 : 제2 단위 컨베이어 230 : 제2 교차 프레임
241 : 제2 주행 내륜 242 : 제2 가이드 내륜
251 : 제2 주행 외륜 252 : 제2 가이드 외륜
300 : 대차 연결부 310 : 제1 연결부재
311 : 세로블록 312 : 가로블록
313 : 제1 관통부 320 : 제2 연결부재
321 : 세로벽체 322 : 가로벽체
323 : 제2 관통부 330 : 단일 틸팅모듈
331 : 틸팅축 유닛 331a : 유닛 헤드
331b : 유닛 샤프트 331c : 고정 플랜지
331d : 볼트공 332 : 구면 베어링
332a : 볼 332b : 샤프트 통과홀
333 : 유닛 고정부재 334 : 상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
335 : 하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 400 : 이송대차용 궤도
410 : 내륜 레일 412 :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
420 : 외륜 레일 421 :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
430 : 레일 연결부 440 : 경사 레일
441 : 경사면 500 : 안전발판
510,520 : 발판 지지대

Claims (14)

  1. 폐루프 형태의 이송대차용 궤도;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에 탑재되어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 이송대차; 및
    단일의 틸팅축을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차 간의 상대적인 상하좌우 틸팅동작을 수행하는 단일 틸팅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대차는,
    상기 제1 이송대차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대차 골조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대차 골조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주행 내륜과 제1 주행 외륜;
    상기 제1 대차 골조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컨베이어;
    상기 제1 주행 내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내륜; 및
    상기 제1 주행 외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외륜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대차는,
    상기 제2 이송대차가 주행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대차 골조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대차 골조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주행 내륜과 제2 주행 외륜;
    상기 제2 대차 골조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단위 컨베이어;
    상기 제2 주행 내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내륜; 및
    상기 제2 주행 외륜에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대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외륜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는,
    상기 제1 및 제2 주행 내륜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륜 레일;
    상기 내륜 레일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주행 외륜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륜 레일;
    상기 내륜 레일과 상기 외륜 레일을 연결하는 다수의 레일 연결부;
    상기 외륜 레일의 곡선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이송대차의 주행 시 상기 제1 및 제2 주행 외륜의 궤도이탈을 저지시키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 레일;
    상기 내륜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 및
    상기 외륜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되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레일이 위치되는 상기 외륜 이탈 방지용 덮개는 상기 내륜 이탈 방지용 덮개보다 사이즈가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부는,
    상기 제1 이송대차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대차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일 틸팅모듈은 상기 단일의 틸팅축 상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이송대차에 결합되는 세로블록; 및
    상기 세로블록에 교차되게 연결되되 판면에 제1 관통부가 형성되는 가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이송대차에 결합되는 세로벽체; 및
    상기 세로벽체의 단부에서 상기 세로벽체에 교차되게 절곡되며, 판면에 상기 제1 관통부와 동축적으로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가로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틸팅모듈은,
    상기 제2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유닛 헤드와, 상기 유닛 헤드와 연결되는 유닛 샤프트와, 상기 유닛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로벽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가로벽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를 구비하는 틸팅축 유닛;
    상기 틸팅축 유닛의 유닛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 통과홀을 구비하는 볼(ball)이 내장되며, 상기 제1 관통부 내에 배치되는 구면 베어링(spherical bearing); 및
    상기 구면 베어링의 샤프트 통과홀을 통과한 상기 유닛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틸팅축 유닛과 상기 구면 베어링의 볼을 연결시키는 유닛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틸팅모듈은,
    상기 가로블록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닛 샤프트의 틸팅 동작은 허용하면서 상기 구면 베어링의 상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상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 및
    상기 가로블록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면 베어링의 하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하부 이탈 저지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 헤드와 상기 가로벽체에는 위치 조정을 위한 위치 조정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대차와 상기 제2 이송대차 사이에 배치되는 안전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이 배치되는 상기 제1 이송대차와 상기 제2 이송대차에는 상기 안전발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발판 지지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대차와 상기 제2 이송대차에 마련되는 발판 지지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KR1020150184790A 2015-12-23 2015-12-23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KR10205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790A KR102057853B1 (ko) 2015-12-23 2015-12-23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790A KR102057853B1 (ko) 2015-12-23 2015-12-23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07A KR20170075307A (ko) 2017-07-03
KR102057853B1 true KR102057853B1 (ko) 2019-12-20

Family

ID=5935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790A KR102057853B1 (ko) 2015-12-23 2015-12-23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9743A (zh) * 2017-11-28 2018-03-27 四川玉扬纺织有限公司 纺织各车间之间的经轴转运机构
KR102066516B1 (ko) * 2019-07-18 2020-01-15 인천교통공사 발판 일체형 궤도차량용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557B1 (ko) * 2000-01-21 2001-12-22 백영문 이송대차
JP2002069904A (ja) * 2000-09-01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ノレール軌道桁の曲線部舗装構造および曲線部舗装方法
KR100389673B1 (ko) * 2000-11-28 2003-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 개의 관절을 갖는 유연 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557B1 (ko) * 2000-01-21 2001-12-22 백영문 이송대차
JP2002069904A (ja) * 2000-09-01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モノレール軌道桁の曲線部舗装構造および曲線部舗装方法
KR100389673B1 (ko) * 2000-11-28 2003-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 개의 관절을 갖는 유연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07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2271B (zh) 搬運系統
JP6202199B6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CN100333950C (zh) 无人搬运车系统
US8127687B2 (en) Material handling system including dual track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TWI644850B (zh) Temporary storage device, handling system, and temporary storage method
US8800745B2 (en) Modular manufacturing line including work tool having work tool spray nozz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WO2015174181A6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TWI414468B (zh) Roof buffer and its transfer method
CN102923427A (zh) 物品运送设备
WO2010080982A2 (en) Friction drive material handling system including composite bea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521498B1 (ko)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JP6291228B2 (ja) 自動保管設備及び自動倉庫
KR102057853B1 (ko) 이송대차 소팅 시스템
KR101407417B1 (ko) 반송 시스템
KR101407418B1 (ko) 반송 시스템
TW202116589A (zh) 搬運系統及保管部
KR20120136839A (ko) 운송물 처리장치
CN100473593C (zh) 具有整装传送带的货物传送系统
TW201900532A (zh) 保管系統
JP2018193222A (ja) 保管システム
KR101396226B1 (ko) 반송시스템
JP2008222137A (ja) 吊下げ搬送設備
JP2018193223A (ja) 保管システム及び保管方法
JP2024058394A (ja) 搬送システム
TW202346171A (zh) 保管架及搬送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7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20

Effective date: 2019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