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975B1 -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 - Google Patents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975B1
KR102056975B1 KR1020180000607A KR20180000607A KR102056975B1 KR 102056975 B1 KR102056975 B1 KR 102056975B1 KR 1020180000607 A KR1020180000607 A KR 1020180000607A KR 20180000607 A KR20180000607 A KR 20180000607A KR 102056975 B1 KR102056975 B1 KR 10205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separation
water
housing
separa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560A (ko
Inventor
보-위 후앙
빙-화 후앙
Original Assignee
보-위 후앙
빙-화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위 후앙, 빙-화 후앙 filed Critical 보-위 후앙
Publication of KR2019002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00Steam locomotives or rail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는 물 유입구 및 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물 유입구의 개구에 덮개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및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 모듈;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전기 분해 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기액 분리 모듈과 상기 전기 분해 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분리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물 유입구에 물을 넣으면 물이 상기 분리 시트의 홀을 거쳐 상기 전기 분해 유닛으로 흘러 들어가, 상기 전기 분해 유닛이 물을 수증기로 가열하고 수증기가 상기 관체,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물과 기체를 분리하며, 기체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로써, 물과 기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기체로 증발되지 않은 수자원을 재활용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Compound Green-energy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기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기체로 증발되지 않은 수자원을 재활용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증기 기관차에는 연료 엔진이 사용되는데, 연료 엔진은 연소되는 분사식 오일 가스를 이용해 동력을 생성하므로, 장시간 사용 후 연소 과정에서 탄소가 침적되는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게다가, 현재 대부분의 증기 기관차는 시내 지역에서 운행되고 있는데, 시내 지역에서는 단거리로 운행되며 교통 체증이 있기 때문에 저속으로 운행되거나 브레이크를 밟아 신호등에서 대기해야 한다. 따라서, 증기 기관차의 엔진이 장시간 저속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오일 가스가 완전히 연소되지 않게 되며 대량의 탄소가 침적된다. 이렇게 탄소가 침적되면 엔진 안에 쉽게 축적되어, 오일 소모량이 많아지고 작동 효율이 낮아지며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증기 기관차의 운행 과정에서 침적되는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기존의 차량에 있는 탄소 제거 장치를 사용했다. 상기 차량의 탄소 제거 장치는 주로 배관을 통해 수소를 증기 기관차의 엔진 안으로 도입하는 방식으로서, 수소 및 엔진 안에 침적된 탄소를 결합시킨 후 수소의 낮은 발화점과 산소의 연소 촉진 성질을 이용해 엔진 작동 시 상기 수소 및 침적된 탄소의 혼합물을 연소시키며, 상기 침적된 탄소를 태워서 미세한 탄소 분자를 형성한 후 배기관으로 배출시키면 엔진 내에 침적된 탄소를 제거할 수 있어, 작동 효율이 낮고 오일 소모량이 높다는 단점을 개선했다.
그러나, 상기 수소를 생성하려면 기액 분리기를 사용해 물을 전기 분해 한 후 수소를 생성해야 하는데, 종래의 기액 분리기는 수소의 생성 효율이 낮으며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회수해 재활용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물과 기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기체로 증발되지 않은 수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 유입구 및 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물 유입구의 개구에 덮개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및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 모듈;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전기 분해 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기액 분리 모듈과 상기 전기 분해 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분리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물 유입구에 물을 넣으면 물이 상기 분리 시트의 홀을 거쳐 상기 전기 분해 유닛으로 흘러 들어가, 상기 전기 분해 유닛이 물을 수증기로 가열하고 수증기가 상기 관체,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물과 기체를 분리하며, 기체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에서,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바닥판 및 복수의 기액 분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 상방에는 복수의 기액 분리 부재가 순차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각 기액 분리 부재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 1 스토퍼가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각 제 1 스토퍼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각 기액 분리 부재에는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관통홀은 엇갈리게 설치된다.
상기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에서,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옆측에 설치된다.
상기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에서,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제 2 기액 분리 부재, 배기 밸브, 물 유입 밸브, 복수의 경사판, 분리판 및 복수의 제 2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 상방의 일단에는 상기 배기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 하방의 일단에는 상기 물 유입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액 분리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경사판 및 상기 분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경사판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각 경사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스토퍼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분리판은 상기 복수의 경사판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판 일측에는 복수의 경사편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경사편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경사편의 간격 사이에는 각각의 제2 스토퍼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물과 기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기체로 증발되지 않은 수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내부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시트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한 국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의 기액 분리 부재 구조에 대한 국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二)이다.
도 1 내지 도 8을 동시에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는 물 유입구(12) 및 배기구(11)를 구비하며 상기 물 유입구(12)의 개구에 덮개(13)가 설치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21) 및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 모듈(2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전기 분해 유닛(40); 및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기액 분리 모듈(20)과 상기 전기 분해 유닛(40)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31)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32)을 구비하는 분리 시트(30);를 포함하되, 상기 물 유입구(12)에 물을 넣으면 물이 상기 분리 시트(30)의 홀(32)을 거쳐 상기 전기 분해 유닛(40)으로 흘러 들어가, 상기 전기 분해 유닛(40)이 물을 수증기로 가열하고 수증기가 상기 관체(31),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21) 및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물과 기체를 분리하며, 기체가 상기 배기구(11)를 통해 하우징(10) 외측으로 배출되게 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액 분리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에 대한 분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한 국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의 기액 분리 부재 구조에 대한 국부 확대도로써,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21)는 바닥판(211) 및 복수의 기액 분리 부재(212)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211) 상방에는 복수의 기액 분리 부재(212)가 순차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각 기액 분리 부재(212)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 1 스토퍼(213)가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각 제 1 스토퍼(213)는 공극(214)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211) 및 상기 각 기액 분리 부재(212)에는 관통홀(2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관통홀(215)은 엇갈리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는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21) 옆측에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一)로서,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는 제 2 기액 분리 부재(221), 배기 밸브(222), 물 유입 밸브(223), 복수의 경사판(224), 분리판(225) 및 복수의 제 2 스토퍼(2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 상방의 일단에는 상기 배기 밸브(222)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 하방의 일단에는 상기 물 유입 밸브(223)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액 분리 부재(221)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경사판(224) 및 상기 분리판(225)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경사판(224)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각 경사판(224)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스토퍼(213)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스토퍼(213)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분리판(225)은 상기 복수의 경사판(224)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판(225) 일측에는 복수의 경사편(227)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경사편(227)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경사편(227)의 간격 사이에는 각각의 제2 스토퍼(226)가 배열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二)로서,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상기 덮개(13)를 열고 상기 물 유입구(12)를 통해 물을 넣으면, 물이 상기 분리 시트(30)의 홀(32)을 거쳐 상기 전기 분해 유닛(40)으로 흘러 들어가, 상기 전기 분해 유닛(40)이 물을 수증기로 가열하고 수증기가 상기 관체(31),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21) 및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22)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물과 기체를 분리하며, 기체가 상기 배기구(11)를 통해 하우징(10) 외측으로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상기 기액 분리 부재(212)의 제 1 스토퍼(213), 및 상기 제 2 기액 분리 부재(221)의 제 2 스토퍼(226)의 구조를 이용해 물과 기체를 분리함으로써, 기체가 상기 배기 밸브(222)를 거친 후 다시 상기 배기구(11)를 거쳐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고, 물이 상기 물 유입 밸브(223)를 거쳐 상기 전기 분해 유닛으로 역류하게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가 물과 기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기체로 증발되지 않은 수자원을 재활용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0 하우징
11 배기구
12 물 유입구
13 덮개
20 기액 분리 모듈
21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211 바닥판
212 기액 분리 부재
213 제 1 스토퍼
214 공극
215 관통홀
22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
221 제 2 기액 분리 부재
222 배기 밸브
223 물 유입 밸브
224 경사판
225 분리판
226 제 2 스토퍼
227 경사편
30 분리 시트
31 관체
32 홀
40 전기 분해 유닛

Claims (4)

  1. 물 유입구 및 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물 유입구의 개구에 덮개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제 1 기액(gas-water) 분리 어셈블리 및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 모듈;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전기 분해 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기액 분리 모듈과 상기 전기 분해 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관체 및, 바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분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바닥판 및 복수의 기액 분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 상방에는 복수의 기액 분리 부재가 순차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각 기액 분리 부재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 1 스토퍼가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각 제 1 스토퍼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각 기액 분리 부재에는 관통홀이 엇갈리게 설치되며,
    상기 물 유입구에 물을 넣으면 물이 상기 분리 시트의 홀을 거쳐 상기 전기 분해 유닛으로 흘러 들어가, 상기 전기 분해 유닛이 물을 수증기로 가열하고 수증기가 상기 관체,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물과 기체를 분리하며, 기체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기액 분리 장치(gas-water separating devoce).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기액 분리 어셈블리 옆측에 설치되는 기액 분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는 제 2 기액 분리 부재, 배기 밸브, 물 유입 밸브, 복수의 경사판, 분리판 및 복수의 제 2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 상방의 일단에는 상기 배기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액 분리 어셈블리 하방의 일단에는 상기 물 유입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액 분리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경사판 및 상기 분리판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경사판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각각의 경사판에는 복수의 제 1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스토퍼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기 분리판은 상기 복수의 경사판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판 일측에는 복수의 경사편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경사편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토퍼는 상기 복수의 경사편(227)의 간격 사이에 각각 배열되는 기액 분리 장치.
KR1020180000607A 2017-01-24 2018-01-03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 KR102056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02718 2017-01-24
TW106102718A TWI639765B (zh) 2017-01-24 2017-01-24 複合式綠能淨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60A KR20190024560A (ko) 2019-03-08
KR102056975B1 true KR102056975B1 (ko) 2019-12-17

Family

ID=6281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607A KR102056975B1 (ko) 2017-01-24 2018-01-03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65304B2 (ko)
JP (1) JP6607541B2 (ko)
KR (1) KR102056975B1 (ko)
CA (1) CA2990226C (ko)
DE (1) DE102018100007A1 (ko)
MY (1) MY190151A (ko)
PH (1) PH12018000013B1 (ko)
TW (1) TWI63976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924A (ja) 2002-01-28 2003-10-10 Calsonic Kansei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用凝縮器
KR101609875B1 (ko) * 2015-07-28 2016-04-07 (주)포엘디자인 오존제거필터 일체형 산소 발생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503B1 (ko) * 1969-06-05 1975-07-31
JP3412267B2 (ja) * 1994-06-30 2003-06-03 東陶機器株式会社 水の電解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3301686B2 (ja) * 1995-10-24 2002-07-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宇宙機器用発電・蓄電装置
JP2002352829A (ja) * 2001-05-23 2002-12-06 Calsonic Kansei Corp 燃料電池用コンデンサ
TWI280149B (en) * 2006-04-10 2007-05-01 Shiung-Jr Li Filter structure
JP2007323969A (ja) * 2006-06-01 2007-12-1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燃料電池発電装置
JP5269426B2 (ja) * 2008-01-30 2013-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水素生成システム
US20100071868A1 (en) * 2008-09-19 2010-03-25 Nordyne Inc. Hvac units, heat exchangers, buildings, and methods having slanted fins to shed condensation or for improved air flow
TWM400880U (en) * 2010-08-05 2011-04-01 Stone & Resource Ind R&D Center Treatment device for waste solution
JP2014517877A (ja) * 2011-05-23 2014-07-24 アドバンスド コンバスチョン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可燃性燃料並びに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TWM441670U (en) * 2012-05-22 2012-11-21 Guang Zeyuan Energy Co Ltd Filtration structure for separation of gas and water contained therein
JP2014001117A (ja) * 2012-06-20 2014-01-09 Sharp Corp 水素製造装置および発電装置
JP2015168836A (ja) * 2014-03-05 2015-09-28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水素酸素発生装置
US10465300B2 (en) * 2014-10-16 2019-11-05 Hsin-Yung Lin Gas generator
TWM553363U (zh) * 2017-01-24 2017-12-21 bo yu Huang 氫能除碳節源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924A (ja) 2002-01-28 2003-10-10 Calsonic Kansei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用凝縮器
KR101609875B1 (ko) * 2015-07-28 2016-04-07 (주)포엘디자인 오존제거필터 일체형 산소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0226C (en) 2020-07-21
US10465304B2 (en) 2019-11-05
US20180209055A1 (en) 2018-07-26
JP6607541B2 (ja) 2019-11-20
CA2990226A1 (en) 2018-07-24
JP2018118242A (ja) 2018-08-02
MY190151A (en) 2022-03-31
PH12018000013A1 (en) 2018-09-17
PH12018000013B1 (en) 2018-09-17
TWI639765B (zh) 2018-11-01
DE102018100007A1 (de) 2018-07-26
KR20190024560A (ko) 2019-03-08
TW201827699A (zh)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0978B (zh) 具有排气再循环系统的大型二冲程柴油发动机
CN202914159U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器
KR101387655B1 (ko) 바이오메스 가스화 합성가스 정제장치
KR102056975B1 (ko) 복합형 그린 에너지 정화기
CN211530089U (zh) 横式燃料电池阳极尾气气水分离装置
CN104879192A (zh) 一种曲轴箱油气分离器
CN102698568A (zh) 一种强化冷却及多级再生的二氧化碳捕集再生系统
CN108868963B (zh) 一种增压发动机的集成式油气分离结构
CN103244237A (zh) 油气分离器、发动机和汽车
KR20190000620U (ko) 수소 에너지 탄소 제거 절전기
WO2020052660A1 (zh) 一种滤板式发动机油气分离装置
CN202777868U (zh) 闪蒸罐
CN108361126B (zh) 复合式绿能净化机
CN201603627U (zh) 一种具有螺旋式迷宫结构的旋风式油气分离器
CN206580677U (zh) 氢能除碳节源机
CN214485750U (zh) 一种热解油分离系统
CN113996170A (zh) 脱硫后高效除尘除雾脱白装置及处理方法
RU2012113140A (ru) Способ осушки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путем совмест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растворителя и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CN105036084B (zh) 一种从空气中提取富氧和富氮气体的系统与方法
CN205679427U (zh) 一种发动机燃烧分析装置
CN202822825U (zh) 闪蒸罐
CN202789014U (zh) 汽车发动机的油气分离盖
CN103143246B (zh) 一种有机废弃物裂解炉的气体处理装置
CN206580550U (zh) 氢水分离回路装置
CN101890271A (zh) 一种提高双氧水生产中芳烃气回收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