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440B1 -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440B1
KR102056440B1 KR1020190065289A KR20190065289A KR102056440B1 KR 102056440 B1 KR102056440 B1 KR 102056440B1 KR 1020190065289 A KR1020190065289 A KR 1020190065289A KR 20190065289 A KR20190065289 A KR 20190065289A KR 102056440 B1 KR102056440 B1 KR 10205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oil
transfer
transformer
heat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월
오태석
Original Assignee
대륜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륜기업(주) filed Critical 대륜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01F27/14Expansion chambers; Oil conservators; Gas cushions; Arrangements for purifying, drying, or fil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변압기에서 배출되어 여과기로 공급되는 절연유를 예열하여 상기 여과기로 공급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며,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여과기의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연유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되, 적어도 하나의 직선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직선이송통로에 구비되어 열기를 제공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가열하는 히팅부재; 및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예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HEATING APPARATUS FOR INSULATING OIL OF TRANSFORMER}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절연유를 여과시켜 재주입하는 과정에서 절연유를 가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함으로써 특히 동절기에 절연유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력용 변압기(MTR)는 전기설비에서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장치로서, 이를 테면 송배전선로에 접속되어 전원에 연결된 1차 권선과 부하에 연결된 2차 권선을 통해 전력은 그대로 둔 채 어떤 전압을 그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전압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송배전선로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설치되는 전력용 변압기는 전력계통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그 역할이 매우 크다.
이러한 전력용 변압기는 내부에는 절연유가 채워져 변압기 내의 권선에 습기나 먼지로 인하여 절연내력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권선에서 발생되는 열을 오일의 대류나 복사에 의해 방열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변압기는 가동 중에 고압 및 고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안정적인 가동환경을 고려해 항상 적정한 부하율을 유지하고 적정한 시기에 절연유를 여과 및 교체하여 변압기 내부 절연유를 최적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여기서,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는 절연 및 방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장기사용으로 인해 절연유 내부에 불순물이나 수분 등이 생성되어 절연유의 효과를 저해시키게 된다.
이러한 변압기의 불순물은 외부 유입의 예도 있지만, 사실상 코어를 구성하는 탄소성분에 의해 변압기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이에 따라 변압기는 주기적으로 절연유를 배출하여 여과시킨 후 다시 주입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변압기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변압기에 내장된 절연유를 변압기에서 배출시키고, 배출된 절연유를 여과기로 공급하여 절연유에 포함된 수분이나 불순물을 제거한 후 다시 변압기로 공급하였다.
이때, 동절기에는 절연유의 점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진공펌프나 여과기에 부하가 가중되면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특허출원 제 10-2005-0087503호에 개시된 '활선 상태에서의 변압기 절연유 자동 공급장치 및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일단은 변압기 본체 하단에 형성된 배유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펌프와 연결되는 배유라인 상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변압기 본체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의 수위 레벨을 감지하는 절연유 감지기와, 상기 절연유 감지기에 의해 제1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절연유가 내부로 압송되면 이를 여과하고 여과된 절연유를 일시 저장하는 여과기와, 일단은 상기 여과기와 연결된 제2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입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2펌프가 작동되면 여과된 절연유를 변압기 내부로 일정량 공급되게 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절연유 감지기, 제1,2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로 구성되는 변압기 절연유 자동 공급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도 변압기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예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특히 동절기에는 펌프 및 여과기의 부하가 증가하고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변압기에서 배출되어 여과기로 공급되는 절연유를 예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함으로써 여과기 및 진공펌프의 부하를 감소시켜 절연유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할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변압기와 여과기의 사이에 직선이송통로를 형성하고 직선이송통로로 이송되는 절연유를 가열함으로써 절연유가 원활하게 가열될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직선이송통로를 복수로 구성하여 다단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절연유를 다단계로 가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절연유가 가열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추가하거나 생략하여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절연유와 히팅부재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면서 절연유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절연유의 유량이나 온도에 따라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압기에서 배출되어 여과기로 공급되는 절연유를 예열하여 상기 여과기로 공급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여과기의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연유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되, 적어도 하나의 직선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직선이송통로에 구비되어 열기를 제공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가열하는 히팅부재; 및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예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관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변압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여과기를 향해 연장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이송통로가 복수로 형성되는 제1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제1 이송관과 동일한 지그재그 형태의 관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제1 이송관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타단부가 상기 여과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송관; 및 상기 제2 이송관과 상기 제1 이송관을 연결하는 이송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연결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상기 제2 이송관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여과기로 공급하는 삼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이송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직선이송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어 상기 절연유와 접촉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발열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가열하는 히팅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히팅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절연유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면서 상기 절연유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유 가열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로 이송되는 상기 절연유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유 가열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로 이송되는 상기 절연유의 유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유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변압기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이송부재의 직선이송통로로 이송하면서 히팅부재를 통해 가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함으로써 특히, 동절기에 절연유의 점도를 낮춰서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여과기나 진공펌프의 감소시키면서 절연유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를 구성하는 제1 이송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면서 복수의 직선이송통로가 구비되므로 각 직선이송통로에 제각기 설치되는 히팅부재를 통해 절연유를 다단계로 가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이송관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이송관이 구비될 경우에는 제1 이송관 및 제2 이송관 각각의 직선이송통로에 히팅부재가 다단계로 배치되므로 절연유를 더욱 원활하게 가열할 수 있고, 하나의 히팅부재가 고장일 경우에도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관과 제2 이송관의 이송연결관에 삼방밸브가 구비될 경우에는 제1 이송관을 통과한 절연유를 제2 이송관을 통해 여과기로 공급하거나 직접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2 이송관에 의한 절연유의 가열을 선택적으로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히팅부재를 구성하는 히팅봉에 와류발생날개가 구비될 경우에는 히팅봉과 절연유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송되는 절연유에 와류가 발생하므로 절연유가 더욱 원활하게 여과기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히팅부재가 유량센서 및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절연유가 공급될 경우에만 히팅부재가 작동할 수 있고, 절연유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의 제1 이송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의 제1 이송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10)는 변압기에 내장된 절연유를 여과기로 공급할 경우 변압기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예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10)는 이송부재(100), 히팅부재(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100)는 절연유의 이송통로 및 가열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이송부재(100)는 미도시된 변압기와 여과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기의 진공펌핑압력에 의해 변압기에서 배출되는 절연유의 이송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히팅부재(2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절연유를 이송과정에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재(100)는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이동통로(100a)를 통해 절연유의 이송통로 및 가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관(110), 제2 이송관(120) 및 이송연결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110)은 관체로 형성되어 절연유의 이송통로 및 가열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구비되는 유입구(111)를 통해 변압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관(110)은 유입구(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유입밸브(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송관(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됨으로써 직선이송통로(100a)가 다층을 이루면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이송관(110)은 복수의 직선이송통로(100a)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히팅부재(200)를 각각의 직선이송통로(100a)에 수용함으로써 절연유를 이송과정에서 다단계로 가열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부재(100)는 후술되는 제2 이송관(120) 및 이송연결관(130)의 구성이 생략되면서 제1 이송관(1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이송관(110)은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타단부에 배출구가 마련되어 여과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관(120)은 제1 이송관(110)에 의해 가열되는 절연유를 추가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2 이송관(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관(110)과 동일한 지그재그 형태의 관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후술되는 이송연결관(130)을 통해 제1 이송관(110)과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타단부에 구비되는 배출구(121)를 통해 여과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절연유를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송관(120)은 배출구(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연결관(130)은 제1 이송관(110)과 제2 이송관(12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관(110) 및 제2 이송관(120)의 하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관(110)과 제2 이송관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재(200)는 이송부재(100)를 구성하는 직선이송통로(100a)에 각각 배치되어 열기를 제공하면서 절연유를 가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히팅부재(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봉(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히팅봉(210)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발열하는 부재로, 봉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제1 이송관(110) 및 제2 이송관(120)을 이루는 복수의 직선이송통로(100a)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히팅봉(210)은 예컨대 전기보일러나 열교환기 등에 적용되는 히팅봉과 같이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유는 제1 이송관(110) 및 제2 이송관(120)으로 이동하면서 히팅봉(210)과 열접촉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히팅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발생날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발생날개(220)는 절연유의 열접촉면적을 확장시키면서 절연유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절연유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와류발생날개(220)는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히팅봉(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절연유와 접촉할 수 있으며, 날개형태로 형성되어 히팅봉(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절연유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발생날개(220)는 동일체를 이루면서 스크루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로 이루어져 히팅봉(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히팅부재(200)를 구성하는 히팅봉(210)을 제어하면서 절연유를 가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스위치나 제어모듈이 구비된 콘트롤박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히팅부재(200)를 구성하는 히팅봉(210)에 각각 연결되어 히팅봉(210)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절연유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320) 및 유량센서(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320)는 이송부재(100)로 이송되는 절연유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온도센서(32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히팅봉(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히팅봉(210)을 제어하면서 온도센서(32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절연유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절연유의 과열이나 과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320)는 이송부재(100) 중 제2 이송관(120)의 배출구(121) 쪽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써 히팅봉(210)에 의해 가열이 완료된 절연유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340)는 이송부재(100)로 이송되는 절연유의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유량센서(34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히팅봉(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유량센서(340)를 통해 절연유의 흐름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만 히팅봉(2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량센서(340)는 이송부재(100) 중 제1 이송관(110)의 유입구(111) 쪽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써 변압기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이송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방밸브(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삼방밸브(140)는 3방향의 유로를 가지면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이송연결관(130)에 설치되어 이송연결관(130)을 개폐할 수 있으며, 미도시된 여과기에 연결되어 절연유를 제2 연결관(120)으로 공급하거나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방밸브(140)는 이송연결관(130)에 설치된 상태로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면서 제1 이송관(110)을 제2 이송관(120)과 소통시키거나, 제1 이송관(110)을 여과기와 소통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제1 이송관(110)에서 가열된 절연유의 추가적인 가열을 수행할 경우, 삼방밸브(140)를 통해 제1 이송관(110)을 제2 이송관(120)과 소통시킴으로써 절연유를 제2 이송관(120)을 거쳐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300)는 제1 이송관(110)에서 가열된 절연유의 추가적인 가열을 생략할 경우, 삼방밸브(140)를 통해 제1 이송관(110)을 여과기와 소통시킴으로써 절연유를 제2 이송관(120)으로 공급하지 않고 여과기로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삼방밸브(140)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면서 수동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변압기의 절연유를 여과기로 필터링할 경우, 제1 이송관(110)은 유입구(111)를 통해 변압기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이송관(120)은 배출구(121)를 통해 여과기에 연결될 수 있다.
여과기의 진공펌핑압력이 가해질 경우, 절연유는 변압기에서 배출되어 제1 이송관(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된다.
이때, 유량센서(340)는 절연유의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유량센서(340)의 감지신호에 따라 히팅봉(2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유는 제1 이송관(110) 및 제2 이송관(120)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직선이송통로(100a)에 설치된 히팅봉(210)에 의해 가열된 후, 배출구(121)로 배출되어 여과기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온도센서(320)를 통해 감지되는 절연유의 온도를 기반으로 히팅봉(210)을 제어하여 절연유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고, 유량센서(340)에서 절연유의 유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히팅봉(21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제1 이송관(110)에서 가열된 절연유를 제2 이송관(120)으로 공급하지 않고 여과기로 직접 공급할 경우에는 삼방밸브(140)를 제어하여 제2 이송관(120)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하고 여과기로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절연유를 여과기로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10)에 의하면, 변압기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이송부재(100)의 직선이송통로로 이송하면서 히팅부재(200)를 통해 가열하여 여과기로 공급함으로써 특히, 동절기에 절연유의 점도를 낮춰서 여과기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여과기나 진공펌프의 감소시키면서 절연유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100 : 이송부재 100a : 직선이송통로
110 : 제1 이송관
111 : 유입구 112 : 유입밸브
120 : 제2 이송관
121 : 배출구 122 : 배출밸브
130 : 이송연결관 140 : 삼방밸브
200 : 히팅부재
210 : 히팅봉
220 : 와류발생날개
300 : 제어부
320 : 온도센서 340 : 유량센서

Claims (8)

  1. 변압기에서 배출되어 여과기로 공급되는 절연유를 예열하여 상기 여과기로 공급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여과기의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연유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되, 적어도 하나의 직선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직선이송통로에 구비되어 열기를 제공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가열하는 히팅부재; 및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예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관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변압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여과기를 향해 연장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이송통로가 복수로 형성되는 제1 이송관을 포함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제1 이송관과 동일한 지그재그 형태의 관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제1 이송관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타단부가 상기 여과기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송관; 및
    상기 제2 이송관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이송관을 소통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송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연결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상기 제2 이송관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여과기로 공급하는 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이송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직선이송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어 상기 절연유와 접촉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발열하면서 상기 절연유를 가열하는 히팅봉을 포함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히팅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절연유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면서 상기 절연유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날개를 더 포함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 가열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로 이송되는 상기 절연유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 가열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로 이송되는 상기 절연유의 유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유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KR1020190065289A 2019-06-03 2019-06-03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KR10205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89A KR102056440B1 (ko) 2019-06-03 2019-06-03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89A KR102056440B1 (ko) 2019-06-03 2019-06-03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440B1 true KR102056440B1 (ko) 2019-12-16

Family

ID=6905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89A KR102056440B1 (ko) 2019-06-03 2019-06-03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4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45Y1 (ko) 2005-07-19 2005-10-20 고영관 순환식 오일히터
KR101520480B1 (ko) 2014-04-04 2015-06-16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677910B1 (ko) 2015-11-24 2016-11-22 명성파인텍 주식회사 고압 오일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45Y1 (ko) 2005-07-19 2005-10-20 고영관 순환식 오일히터
KR101520480B1 (ko) 2014-04-04 2015-06-16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677910B1 (ko) 2015-11-24 2016-11-22 명성파인텍 주식회사 고압 오일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857B2 (en) Hot water system
CN204084813U (zh) 电气的裸线连续式加热器
EP3830489B1 (en) Internally heated phase change material heat batteries
KR102056440B1 (ko) 변압기용 절연유 가열장치
EP33143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pressure of a gas
JP2012186164A (ja) 迅速加熱式電気ヒーター
KR101652268B1 (ko) 직접가열식 대용량 전기보일러
KR200488100Y1 (ko)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배관용 히팅 장치
CN105972813A (zh) 电热锅炉
KR200482921Y1 (ko) 난방용 온수 분배장치
KR100888853B1 (ko)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
DE102013012724A1 (de) Vorrichtung zur Erwärmung von Heizwasser für eine Warmwasserbereitung
NL2015440B1 (en) Satellite for central heating or for teleheating with multifunction presettings.
JP4117777B2 (ja) 給湯方法
KR20100105511A (ko)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의 보조온수통
CN217423649U (zh) 一种智能恒温快热式电热水器
KR100348429B1 (ko) 전자식 보일러 시스템
CN209402744U (zh) 一种高效率管道式电加热器
JP3378828B2 (ja) 給湯装置
KR101122595B1 (ko) 보일러
US20170292734A1 (en) Heating module for water heater
JP5066429B2 (ja) 給湯装置、制御方法、及び給湯システムの改修方法
KR20100074964A (ko)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 장치
CN102848459A (zh) 一种水泥养护箱
CN105241064A (zh) 一种水箱及包括该水箱的热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