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975B1 -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 및 공정 - Google Patents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 및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975B1
KR102055975B1 KR1020167009912A KR20167009912A KR102055975B1 KR 102055975 B1 KR102055975 B1 KR 102055975B1 KR 1020167009912 A KR1020167009912 A KR 1020167009912A KR 20167009912 A KR20167009912 A KR 20167009912A KR 102055975 B1 KR102055975 B1 KR 10205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thermal fluid
flue gas
capture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121A (ko
Inventor
비나이 암테
아지트 쿠마르 다스
수라지트 센굽타
마노즈 야다브
수쿠마르 맨달
알록 팔
아제이 굽타
라메쉬 부자드
사티아나레이아나 레디 아쿠리
라제셔 동가라
Original Assignee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1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 B01D53/1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according to the "fluidised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30Alkali meta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60Inorganic bases or salts
    • B01D2251/602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60Inorganic bases or salts
    • B01D2251/606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01D2253/1124Metal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2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65Employing advanced heat integration, e.g. Pinch 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CO2를 함유하는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이산화 탄소(CO2)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시스템과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산화 탄소 포집 매질의 재생을 위한 공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 및 공정 {A MULTI-COMPRESSION SYSTEM AND PROCES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 탄소 포집 매질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공정에 관한 것이다.
정유 공장, 화석 연료 기반 발전소, 시멘트 공장에서 발생하는 연도 가스는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단기 및 장기적으로 심한 악영향을 주는 이산화 유황(SO2) 및 삼산화 유황(SO3), 유화 수소(H2S), 염화 수소(HCl), 불화 수소(HF), 산화 질소, 이산화 탄소(CO2)를 함유한다. 그러므로 연도 가스를 대기에 놓아주기 전에 연도 가스에서 상술된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한 각이한 전략들이 고안되었다.
연도 가스에 있는 CO2의 양은 석탄을 적게 태우고 석탄 화력 발전소의 효율을 개선하며 CO2 포집에 이어 포집한CO2를 저장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들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예연소와 후연소(post-combustion), 산소 연소와 같은 여러가지 CO2 포집 기술 가운데서 후연소는 현존 처리 공장(process plant)들의 대규모 개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가장 유망한 기술로 되고 있다.
습식 세정 아민 흡수와 같은 흡수 기술은 이산화 탄소 포집을 위한 또 다른 재래식 기술이다. 그러나 흡수 기술은 (i) 액상을 통한 확산 저항으로 인하여 CO2 의 흡수 속도가 제한되는 것; (ii) 아민 재생을 위한 에너지 수요가 높은 것 (2.5 4.0 GJ/톤 CO2); (iii) 연도 가스에 산소가 있는 것으로 인하여 용매가 산화 분해되고 산성화되며 이로 인하여 이산화 탄소 포집을 위한 이용 가능한 알칼리성의 상실을 초래 할 뿐아니라 이를 부식성으로 되게 하는 것; (iv) 뚜렷한 휘발성으로 인한 아민의 유실이 가공 처리된 가스에 아민의 평형 유실을 일으키는 것; (v) 아민의 열 분해와 그로 인하여 연속 사용에 적합치 않고 새로운 보충 아민의 실질적인 양을 필요하게 하는 것, 과 같은 여러가지 결점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아민 흡수 공정은 주위 온도에서의 이산화 탄소 포집에 국한된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더우기, 흡수 기술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는 방법은 에너지를 전기 또는 증기 형태로 또는 이들 두가지 형태로 요하며 이는 발전소와 같은 처리 공장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하여 발전소의 전반 효율을 13%로 까지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비용이 낮고/또는 에너지 통합된 공정을 개발하려는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후연소 범주에 속하는 고체 흡착 재료를 채용하는 흡착 공정들은 흡수 기반 공정에 대한 대안으로 부합된다. 그것은 물을 고체 지지체로 대신하면 물에 비해 고체 지지체의 열 용량이 낮은 것으로 인하여 이산화 탄소 포집에 필요한 에너지가 대폭 감소되기 때문이다. 흡착 기술에 의한 이산화 탄소 포집 방법에 대해 개시된 문헌은 상당한CO2 포집 능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포집 매질의 재생에 필요한 높은 온도와 많은 자금이 공정의 전반 비용과 시간 효율성에 영향을 준다.
US 7731782 및 7947120은 이산화 탄소 흡착에 제올라이트를 채용하고 탈착 단계에서 이산화 탄소가 많이 들어있는 결과의 스트림의 압축 열을 이용하는 흡착 공정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이산화 탄소가 많이 들어있는 스트림을 흡착-탈착 단계후 압축하고 발생된 열을 열 수요를 맞추는데 이용하며 결과적으로 공정을 실행하는데 상당한 에너지를 필요케 한다.
WO 2012083108은 이산화 탄소 포집을 위하여 탄산나트륨 보강 흡착제에 기반한 흡착 공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동력 생산을 위한 기초 유체인 LPG 또는 프로판과의 열 교환에 의해 흡착체에서 발열 열을 이용한다. 추가적으로LPG와 프로판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과 재고만 추가된다.
US 5917136은 개량된 알루미나 흡착제를 이용하는 이산화 탄소 포집을 위한 압력 변동 흡착 공정을 개시한다. 개량된 흡착체는 대략0.11-0.29 밀리몰/g의 이산화 탄소 수착 능력을 가지지만 값이 비싸다.
공기 또는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공정들은 대부분 탈착된 수증기 생성물(순수한 이산화 탄소)을 압축하여 얻어진 열과 함께 외부 원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형태의 열 이용은 공정의 비용 효과성을 별로 개선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과 연관된 결점들을 극복하는 연도 가스에 있는 이산화 탄소 제거를 위한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적이고 비용이 낮은 공정과 함께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적어도 한 개의 실시 방식이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들중 일부를 여기 하기에서 논의하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포집 매질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집 매질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비용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집 매질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산화 탄소 포집 매질의 재생을 위한 비용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의 일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을 완화시키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유리성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예정이 아닌 하기의 설명들과 첨부 도들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CO2를 함유한 연도 가스에서 이산화 탄소(CO2)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공정을 제공하며; 상기 공정은 하기 단계들:
i. 제1송풍기(B1)를 거쳐 연도 가스의 흐름을 안내하여 높은 온도의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는 단계;
ii. 순환 열 유체를 이용하여 제1 열 교환기(Hex-B)의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열을 적출하여 가열된 열 유체와 냉각된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는 단계;
iii. 냉각된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CO2 흡착체(A)로 안내하는 단계;
iv. 흡착체(A)에 유동화된 연한CO2 포집 매질을 통과시켜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연도 가스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v. 제1 사이클론(C1)에서 상기의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상기 연도 가스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vi. CO2가 없는 분리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차후 처리를 위해 배기관으로 안내하는 단계;
vii. 상기 분리된 진한 포집 매질을 제2의 열 교환기(Hex-E)로 인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열된 열 유체를 이용하여 이를 재생 온도에 가깝게 가열함으로써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수득하는 단계;
viii.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탈착체(D)에 공급하는 단계;
ix. 가열된 비열 유체를 순환시켜 탈착체(D)에서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가열하여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에서CO2를 탈착함으로써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과 CO2가스의 혼합물을 발생시키고 선택적으로 탈착체(D)에서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유동화하기 위하여 발생된 CO2가스의 일부를 이용하는 단계
x.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에서 CO2가스를 분리하는 단계;
xi. 제4 열 교환기(Hex-A)에서 외부적 폐열(IN)을 이용하면서 비열 유체를 가열하여 서모사이펀(thermosyphon)원리에 의하여 탈착체(D)를 거쳐 가열된 비열 유체를 순환시켜 증기-액체 혼합물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기-액체 분리기(S)에서 상기 증기-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 제5 열 교환기(Hex-A')에서 가열된 열 유체를 이용하여 분리된 액체 상 비열 유체를 더 가열하는 단계, 제5 열 교환기(Hex-A')에서 흘러나오는 증기와 증기-액체 분리기(S)로 부터 컨버저(converger)에 안내된 증기를 수렴하는 단계, 승압 압축기(BC)를 이용하여 더 압축하고 가열하는 단계, 익스팬더(expander)(Ex)를 거쳐 탈착체(D)를 벗어나는 비열 유체를 확장시켜 냉각하는 단계와 비열 유체를 제4 열 교환기(Hex-A)로 인도하여 사이클을 반복하는 단계;
xii. 흡착체(A)에서의 흡착을 위하여 순환 열 유체를 이용하면서 제3 열 교환기(Hex-C)에서 분리된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을 냉각하여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수득하여 공정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냉각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X)의 일부를 제3의 열 교환기(Hex-C)에서 상기 분리된 포집 매질을 유동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흡착체(A)의 온도를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에서의 CO2의 흡착 공정 동안에 흡착체(A)를 거쳐 순환하는 외부적 찬물(C/W)을 이용하여 조종될 수 있다. 흡착체(A)에서의 흡착 반응은 50-70oC의 온도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포집 매질은 지지된 알칼리 금속 탄산염과 지지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지지된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가 될 수 있다.
흡착체(A)로 부터 나오는 무거운 부분적으로 진한/연한 포집 매질(O')을 제1 사이클론을 거쳐 흡착체(A)로 재순환시킨다.
제2 열 교환기(Hex-E)에서, 상기 진한 포집 매질은 하기 단계들:
i. 제3 열 교환기(Hex-C)를 벗어나는 열 유체를 순환시키는 단계;
ii. 제1 열 교환기(Hex-B)에서 접수된 열 유체를 순환시켜 제2 열 교환기(Hex-E)를 벗어나는 더운 열 유체를 수득하는 단계, 에 의하여 가열된다.
제2 열 교환기(Hex-E)를 벗어나는 더운 열 유체를 제6 열 교환기(Hex-D)에서 제1 (Hex-B) 및 제3열 교환기(Hex-C)에서의 차후 순환을 위하여 외부적 찬물 원을 이용하면서 냉각시킬수 있다.
탈착체(D)의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에서 효과적으로 CO2를 탈착하기 위하여 130-150oC의 온도로 가열하여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과 CO2가스를 발생시킬수 있다. 탈착체(D)에서 발생된CO2가스의 일부를 탈착체(D)로 스트림(Y)로서 그리고 진한 포집 매질의 유동화를 위하여 제2 열 교환기(Hex-E)로 스트림(Z)로서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흡착체(A)와 상기 탈착체(D)는 조밀 유동화 및 거품 유동화, 거품 흡수 유동화, 난류 유동화, 속성 유동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방법으로 작동하는 순환하는 호상 연결된 유동화된 베드 반응기이다.
비열 유체는 물과 메타놀, 아세톤,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가 될 수 있다.
CO2은 제2 사이클론(C2)의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CO2의 일부는 하류 사용을 위하여 제7 열 교환기(Hex-F)에서 냉각할 수 있다.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은 제6 열 교환기(Hex-D)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열 유체에 의하여 제3 열 교환기(Hex-C)에서 냉각할 수 있다.
보충 포집 매질 스트림을 흡착체(A)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에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CO2를 함유한 연도 가스로 부터 이산화 탄소(CO2)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하기들:
i. 연도 가스 스트림을 접수하고 상기 연도 가스 스트림을 가압하여 높은 온도를 갖는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적응된 제1 송풍기(B1);
ii. 상기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과 열 유체를 접수하고 상기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으로 부터 열을 상기 열 유체로 전달하여 가열된 열 유체와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도록 적응된 제1 열 교환기(Hex-B);
iii. 포집 매질이CO2를 흡착하여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적응되어 있는, 상기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과 유동화된 연한 냉각 포집 매질, 제3 열 교환기(Hex-C)에서 발생하는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도록 적응된 흡착체(A);
iv. 상기 진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상기 진한 포집 매질을 제1 열 교환기(Hex-B)와 제3 열 교환기(Hex-C)로 부터 접수된 가열된 열 유체로 예정 재생 온도에 가깝게 가열하여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수득하도록 적응된 제2 열 교환기(Hex-E);
v.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또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가열하여CO2를 탈착하여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과 CO2가스를 발생하도록 적응된 탈착체(D);
vi. 상기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을 냉각하여 상기 흡착체(A)에 흡착시키기 위한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발생시키도록 적응된 제3 열 교환기(Hex-C);
vii. 제1 열 교환기(Hex-B)와 상기 제2 열 교환기(Hex-E), 상기 제3 열 교환기(Hex-C), 제5 열 교환기(Hex-A'), 제6 열 교환기(Hex-D)를 거쳐 상기 열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적응된 열 유체 순환 시스템;
viii. 상기 탈착체(D)를 거쳐 비열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적응된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
ix. 제4 열 교환기(Hex-A)로 부터 증기 액체 혼합물을 접수하고 비열 유체의 증기와 액체 상을 분리하도록 적응된 증기- 액체 분리기(S)
x. 증기-액체 분리기(S)에서 비열 유체의 액체 상을 접수하고 상기 액체 상을 기화시키도록 적응된 제5 열 교환기(Hex-A');
xi. 제5 열 교환기(Hex-A')에서 발산되는 증기와 증기-액체 분리기(S)로 부터 안내된 증기를 수렴하고 비열 유체의 혼합 증기를 승압 압축기로 안내하도록 적응된 컨버저(converger)(Cv);
xii.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에 온라인되고, 탈착체(D)에 공급되기 전에 비열 유체의 혼합 증기를 압축하고 가열하도록 적응된 승압 압축기(BC);
xiii.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에 온라인되고, 외부적 폐열(IN)을 이용하여 제4 열 교환기(Hex-A)에서 가열하기 위하여 탈착체(D)에서 벗어나는 상기 비열 유체를 감압(depressurize)하고 냉각하도록 적응된 익스팬더(expander)(Ex);
xiv. 찬 열 유체를 상기 제1(Hex-B) 및 제3 열 교환기(Hex-C)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열 교환기(Hex-E)로 부터 열 유체를 접수하고 상기 열 유체를 냉각하도록 적응된 제6 열 교환기(Hex-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뜨겁고 진한 포집 매질과CO2가 없는 상기 연도 가스 스트림을 분리하도록 적응된 제1 사이클론(C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과CO2 가스를 분리하도록 적응된 제 2 사이클론(C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시스템은 또한 상기 흡착체(A)와 상기 제6 열 교환기(Hex-D)에 찬물(C/W)을 공급하도록 적응된 찬물 원을 포함할 수 있다.
찬물 원을 또한 시스템에서 생산된 CO2를 냉각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시스템은 또한 상기 제2 사이클론(C2)에서 CO2가스를 접수하고 가압된 CO2 가스를 상기 탈착체(D)에 스트림(Y)로서 그리고 상기 제2 열 교환기(Hex-E)에 스트림(Z)로서 공급하도록 적응된 제2 송풍기(B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매질은 지지된 알칼리 금속 탄산염과 지지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지지된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가 될 수 있다.
상기 흡착체(A)와 상기 탈착체(D)는 조밀 유동화 및 거품 유동화, 거품 흡수 유동화, 난류 유동화, 속성 유동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방법으로 작동하는 순환하는 호상 연결된 유동화된 베드 반응기이다.
비열 유체는 물과 메타놀, 아세톤, 프로판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가 될 수 있다.
보충 포집 매질의 스트림을 흡착체(A)에 넣기 전에 제3 열 교환기(Hex-C)를 벗어나는 상기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에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첨부 도들을 참조로 서술할 것이다:
도 1은 이산화 탄소 포집 매질을 이용하여 연도 가스에 포함된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정유 공장들과 화석 연료 기반 발전소, 시멘트 공장과 임의의 다른 잠재적인 방출 원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연도 가스 원들로 부터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원들에서 생성된 과잉의 연도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다중 압축 사이클을 동반하며 포집 매질의 재생 단계에서의 열 수요를 보상하기 위하여 압축으로 인하여 발생된 열을 적출하는 고온 열 전달 유체(열 유체)를 채용하고 순환 비열 유체를 선택적으로 압축 및 팽창하기 위한 열 펌프를 채용하며 그것은 처리 공장의 폐열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CO2를 함유한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이산화 탄소(CO2)를 포집하기 위한 시스템(100)과 공정을 제공하며 여기서 본 발명은 또한 이산화 탄소 포집 매질의 재생을 위한 공정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과 공정을 도 1을 참조로 하여 서술하며 이 시스템의 기본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첨부 도에서 지적한 숫자들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참조를 주었다.
본 발명에 따라 이 시스템(100)은 하기 요소들을 포함한다:
* 제1 송풍기(B1);
* 제1 열 교환기(Hex-B);
* 탈착체(A);
* 제2 열 교환기(Hex-E);
* 탈착체(D);
* 제3 열 교환기(Hex-C).
* 열유체순환 시스템;
* 비열유체순환 시스템;
* 승압압축기(BC);
* 익스팬더(expander)(Ex);
* 제4 열교환기(Hex-A);
* 증기-액체분리기(S);
* 컨버저(converger)(Cv);
* 제5 열교환기(Hex-A');
* 제6 열교환기(Hex-D).
본 발명의 공정은 처음으로 외부의 공장 또한 장치에 원천을 둔 CO2를 함유한 뜨거운 연도 가스 스트림을 제1 송풍기(B1)로 안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졔1 송풍기는 연도 가스 스트림의 압력과 온도를 증가하는데 이용된다.
제1 송풍기(B1)에서 나오는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제1 열 교환기(Hex-B)가 접수하고 제1 열 교환기(Hex-B)는 열 교환기(Hex-B)를 거쳐 순환되는 열유체를 이용하여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열을 적출하여 가열된 열 유체와 냉각된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열의 적출은 제6 열 교환기(Hex-D)로 부터 나오는 순환 열 유체를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 순환 열 유체는 다우섬(Dowtherm)과 글리콜과 같은 원유와 탄화 수소 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탈착체(A)는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과 유동화된 차고 연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여기서 차고 연한 포집 매질은 CO2 을 흡착하고 진한 포집 매질(흡착된 CO2가 있는 포집 매질)을 CO2(O)가 없는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포집 매질은 유동화 방식에서 작용 가능하다. 흡착체(A)에 들어가자 마자 제1열 교환기(Hex-A)에서 발생하는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은 포집 매질을 유동화한다. 이는 포집 매질이 흡착체(A)의 바닥에서 케이크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응기 벽체에 부착되거나 중합화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집 매질에서 CO2가스의 최대 흡착을 유도한다. 고압 연도 가스는 포집 매질이 유동화되고 중력에 거슬러 이동하도록 하여 포집 매질의 최대 표면적이 CO2를 함유한 연도 가스 스트림에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전형적으로 포집 매질은 지지된 금속 탄산염과 지지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지지된 아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포집 매질의 수착 능력은 포집 매질 매 킬로그램 당 이산화 탄소 50-200 그램에 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집 매질은 재생후 실질적으로 이산화 탄소 이전의 포집 매질과 같은 수착 능력(> 99%)을 가진다. 흡착 반응이 발열성이므로 찬물(C/W)의 외부적 공급을 도입하여 흡착체(A)의 온도 증가를 제어한다. 흡착체(A)의 흡착 반응은 50-70oC의 온도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고 총 흡착 시간을 최소로 한다. 포집 매질 베드 우에서의 연도 가스 흐름의 끌힘으로 인하여 포집 매질 입자들이 흡착체(A)를 거쳐 제1사이클론(C1)로 우로 올라간다. CO2(O)가 없는 연도 가스 스트림과 흡착된 CO2를 갖는 진한 포집 매질을 제1 사이클론(C1)에서 분리한다. CO2(O)가 없는 연도 가스 스트림을 차후 처리를 위하여 배기관으로 보내고 대기로 배출하지만; 진한 포집 매질을 탈착체(A)의 바닥에서 스트림(O')로서 재주입한다. 제2열 교환기(Hex-E)는 진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진한 포집 매질을 예정 재생 온도에 가깝게 가열하여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수득한다. 제2열 교환기(Hex-E)는 하류로 이용되는 탈착체(D)의 열 부하를 감소시킨다. 제2 열 교환기(Hex-E)에서의 가열은 제1 열 교환기(Hex-B) 와 제3 열 교환기(Hex-C)에서 발생하는 순환 열 유체에 의하여 진행된다.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 스트림과 두개의 더운 열 유체 스트림은 제2 열 교환기(Hex-E)에서 발생한다. 더운 열 유체 스트림은 제6 열 교환기(Hex-D)에서 외부적 찬물 원에 의하여 냉각되어 제1 열 교환기(Hex-B)와 제3 열 교환기(Hex-C)로 보내지는 냉각된 열 유체 스트림을 제공한다.
제2 열 교환기(Hex-E)에서 나오는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은 다음 탈착체(D)로 공급되며 여기서 이는 더운 순환 비열 유체에 의하여 재생된다. 탈착체(D)로 들어가기 전에 순환 비열 유체를 외부적 폐기열(IN)을 이용하여 제4 열 교환기(Hex-A)에서 가열하여 증기 혼합물을 수득한다. 증기 혼합물의 증기와 액체 상은 증기-액체 분리기(S)에서 분리된다. 액체 상을 제5 열 교환기(Hex-A')로 공급하여 제1 열 교환기(Hex-B)에 원천을 둔 가열된 열 유체 스트림으로 가열한다. 제5 열 교환기(Hex-A')에서 생기는 증기 뿐아니라 분리기(S)로 부터 안내된 증기들을 수렴 장치(Cv)에서 수렴하고, 차후 이는 승압 압축기(BC)를 통과하여 압축된 비열 유체를 제공하며 이는 차후 탈착체(D)를 통과한다. 탈착체(D)에서 진한 포집 매질의 재생을 위하여 필요한 열 에너지는 비열 유체의 잠재적인 응축 열에 의하여 제공된다.
가열 단계는 CO2탈착(포집 매질 재생)을 일으키며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과 CO2 가스를 발생시킨다. 탈착체(D)에서 재생 반응은 130-150oC의 온도에서 효과적으로 일어난다. 촉매를 연속적으로 순환할 수 있는 임의의 반응기를 흡착 및 탈착 공정을 위하여 채용할 수 있지만 순환하는 호상 연결된 유동화 된 베드 반응기들을 이용하는데 그것은 이들이 (i) 신속 혼합에 의하여 균일한 온도 분배를 용이하게 하고 순환하는 흡착체와의 열 교환에 의하여 에너지 효율적으로 되게 하고; (ii) 가스 우회의 영향을 줄여 가스와 입자들 사이에 높은 열 과대 양 전달 속도를 발생시키고; (iii) 발열 흡착 반응 동안에 열점 발생을 막고; (iv) 높은 표면 속도를 제공하여 반응기 크기를 감속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흡착체(A)와 탈착체(D)들은 조밀 유동화 및 거품 유동화, 거품 흡수 유동화, 난류 유동화, 속성 유동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방법으로 작동하는 호상 연결되고 순환하고 유동화된 베드 반응기들이다. 압축된 비열 유체는 탈착체(D)를 지난 후 익스팬더(expander)(Ex)에서 팽창되며 여기서 비열 유체를 냉각하여 제4 열 교환기(Hex-A)와 전 공정을 가열하기 위하여 다시 이용한다.
제2 사이클론(C2)은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 CO2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분리한다. 제2 사이클론(C2)에서 분리된 CO2 의 일부를 제 7 열 교환기(Hex-F)에서 냉각하여 하류 이용한다. 제 2 송풍기(B2)는 제 2 사이클론에서 CO2가스를 접수하여 압축된 CO2가스를 탈착체(D)에 스트림(Y)로서, 유동화를 위하여 제2 열 교환기(Hex-E)에 스트림(Z)로서 공급한다. 제3 열 교환기(Hex-C)는 탈착체(D)에서 나오는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이를 제6 열 교환기(Hex-D)에 원천을 둔 냉각된 열 유체 스트림으로 냉각하여 냉각된 열 유체 스트림을 수득한다. 보충 포집 매질 스트림을 흡착체(A)에 들어가기 전에 냉각된 열 유체 스트림에 주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은 열 유체 순환 시스템 과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 을 포함한다. 열 유체 순환 시스템은 제1 열 교환기(Hex-B)와 제2 열 교환기(Hex-E), 제3 열 교환기(Hex-C), 제5 열 교환기(Hex-A'), 제6 열 교환기(Hex-D)을 거쳐 열 유체를 순환시키며 전체 시스템(100)의 온도와 엔탈피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열 펌프 개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비열 유체를 압축하고 팽창시킨다. 전형적으로 비열 유체는 물과 메타놀, 아세톤, 프로판올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비열 유체는 25 - 105oC의 비등점을 가지며 1-10바르의 압력범위에서 작용 가능하다. 열 펌프 개념은 처리 공장 폐열(IN)에 의한 비열 유체의 순환식 증발과 압축, 응축, 팽창을 동반한다. 여기서 비열 유체는 열 에너지를 벌충하기 위하여 50oC 만큼 낮은 온도와 200oC 만큼 높은 온도에서 얻을 수 있는 처리 공장 폐열에 의하여 증발된다. 정유 공장에서의 저온 공정 폐열 원천은 핀팬(fin-fan) 냉각기 또는 물 냉각기를 이용하여 스트림이 냉각되는 정제 칼럼 상부 제품을 비제한 적으로 포함하지만 발전소에서는 열공정 스트림이나 다른 산업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공장 폐열의 온도 레벨은 포집 매질 재생에 이용할 수 있지만 열 에너지를 온도 기울기에 대처하여 열 원에서 히트 싱크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와 연료, 고온 폐열과 같은 고가 동력 에너지를 비교적 적은 양으로 이용하면서 열 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체(D)에 들어가기 전에 비열 유체를 제4 열 교환기(Hex-A)에서 외부적 폐열(IN)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제5 열 교환기(Hex-A')는 결과의 부분적으로 기화된 비열 유체를 접수하여 제1 열 교환기(Hex-B)에 원천을 둔 가열된 열 유체 스트림으로 더 가열한다. 승압 압축기(BC)는 결과의 기화된 비열 유체를 접수하여 이를 비열 유체의 응축 온도가 재생 온도보다 높아지는 압력으로 압축한다. 결과의 압축된 비열 유체가 탈착체(D)를 거쳐 지나간다. 익스팬더(expander)(Ex)는 탈착체(D)에서 나오는 압축된 비열 유체를 접수하고 이를 팽창시켜 공정에서 반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비열 유체를 제공하여 냉각시킨다. 이 냉각된 비열 유체는 익스팬더(expander)에서의 감압추 액체 상을 띤다.
본 발명의 공정의 선택적인 실시 방식에서 제1 열교환기(Hex-B)에서 나오는 냉각되고 압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은 제3 열 교환기(Hex-C)에서 스트림(X)로서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을 유동화하는데 이용한다.
본 발명은 다중 압축 사이클을 채용한다. 연도 가스 스트림과 비열 유체 스트림과 같은 매 스트림 고리에서의 압축 사이클은 필요한 열과 포집 매질의 재생을 위한 재이용을 제공한다. 과잉 양을 갖거나/갖지 않는 연도 가스는 제1 압축 사이클에서 압축되어 포집 공정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필요 열량을 발생한다. 제2 압축 사이클에서 비열 유체의 압축은 충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이는 포집 매질의 재생과 열 수요를 벌충하기 위한 공정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백히 열펌프 원리를 이용한 비열 유체에 의한 저온 공정 폐열의 재생과 열 유체에 의한 연도 가스 열의 재생을 이용하거나 결합하여 공정내에서의 열 수요 부족을 벌충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 공장에서 이용 가능한 저온 공정 폐열 스트림은 스트림 발생에 이용될 수 없다. 정유 공장에서의 저온 공정 폐열 원천은 핀팬(fin-fan) 냉각기 또는 물 냉각기를 이용하여 스트림이 냉각되는 정제 칼럼 상부 제품을 비제한 적으로 포함하지만 발전소에서는 열공정 스트림이나 다른 산업 공정으로 부터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달리 랑비되는 많은 열량을 이산화 탄소 포집 공정에서 포집 매질의 재생에 재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모든 주요 성능 파라미터에 대하여 재래식 아민 기반 흡수 공정과 비교할 때 상당한 우점을 제공한다. 재래식 아민 기반 흡수 공정에서 포집 매질을 재생하는데 필요되는 전체 열은 본 발명의 공정에서 필요되는 열보다 크다. 본 발명의 연도 가스 냉각기는 연도 가스 스트림과 관련한 최대의 열을 벌충하여 공정내에서 이용한다. 다른 측면에서 열의 대부분은 재래식 아민 공정에서의 냉각 동안에 유실된다. 임의의 포집 공정에서 증기 수요는 상당하게 포집 매질의 재생과 관련한 작동 비용에 영향을 주지만 본 발명은 증기 발생과 비교할 때 보잘 것 없는 가치를 가지는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얻어지는 열을 이용하여 재생 단계를 위한 열 수요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 수요되는 찬물의 양은 종래의 아민 기반 공정에서 수요되는 양보다 현저하게 작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 방식에 비추어 논의한다.
실시례 1: 본 발명에 따르는 CO 2 포집 공정과 재래식 흡수 공정과의 비교
A]본 발명에 따르는 CO2의 포집 공정
160oC 온도와 1바르 압력의 65TPH(시간당톤수)의 연도 가스 스트림 [이산화탄소: 16, 산소:2, 질소: 나머지, 건조한 상태의 조성물(부피 %)]을 제1 송풍기(1.31MW)에 주입하여228oC 의 온도와 1.5바르 압력의65TPH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였다.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제1 열 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된 순환하는 열 유체로서 제1 열 교환기에 보냈고 여기서 가압된 스트림에서 나오는 열을 다우섬(Dowtherm)을 제1 열 교환기를 거치도록 된 40oC의 열 유체로 순환하여 적출하였다. 40oC의 열 유체는시스템의 제6 열 교환기에 원천을 두고 있다. 열 적출 후, 55oC의 온도와 1.4바르의 65TPH의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과 215oC의 37.65TPH의 가열된 열 유체 스트림을 수득하였다.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의 일부를 CO2흡착체에 우회시키고 여기서 알루미나에 지지된 유동화되고 차고 연한 포집 매질 탄산칼륨을 주입하였다. 유동화된 차고 연한 포집 매질이 연도 가스 스트림에 있는 CO2 를 흡착하여 70oC의 CO2가 없는52.5TPH의 처리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켰고 이는 제 1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후 배기관으로 배출하였다. 흡착된 CO2가 많은70oC의 132.5TPH의 포집 매질도 수득하였다. 흡착체의 온도를 반응기를 거쳐 순환하도록 된 30oC의 외부적 찬물로 조절하였고(55oC) 흡착체에서 발생한 진한 포집 매질을CO2연도 가스로 부터 제 1 사이클론에서 분리하고 탈착체로 재순환하였다.
70oC의 132.5TPH의 진한 포집 매질을 제2 열 교환기로 이동시켰고 여기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열 교환기에서 나오는 215oC의 제1 열 유체 스트림(26.5TPH)으로 다우섬(Dowtherm)을 이용하여 다시 제3 열 교환기에서 나오는 110oC의 제2 열 유체 스트림(88.5TPH)으로 다우섬(Dowtherm)을 이용하여 이 진한 포집 매질을 130oC의 재생 온도에 가깝게 가열하였다. 130oC의 132.5TPH의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 스트림과110oC 와 80oC의 두개의 더운 열 유체 스트림이 제2 열 교환기에서 발생하였다. 더운 열 유체 스트림을 30oC의 외부적 냉각수를 이용하여 제6 열 교환기에서 냉각하였다. 이 냉각된 열 유체 스트림을 차후 제1 및 제3 열 교환기로 보냈다.
제2 열 교환기에서 나오는 130oC, 132.5TPH의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탈착체(D)로 공급하고 여기에서 이는 232oC, 3.25 바르, 13.5TPH의 압축된 물-증기(비열 유체) 스트림의 잠재적인 응축 열에 의하여 제공되는 열을 이용하여 130oC에서 재생되었다.
232oC, 13.5 TPH의 압축된 비열 유체 스트림을 하기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을 거쳐 수득하였다.
- 비열 유체를 처리 공장 폐열을 이용하여 제4 열 교환가에서 가열하고114oC, 1.55 바르의13.5TPH 증기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94.4% 증기).
- 제4 열 교환기(Hex-A)로 부터 13.5TPH의 증기 혼합물을 증기-액체 분리기에 공급하여12.746TPH의 충분히 기화된 비열 유체와0.754TPH 의 비열 유체를 분리하였다.
- 증기 액체 분리기에서 나오는 액체 상의 0.754TPH의 비열 유체 스트림이 제5 열 교환기를 통과하였고 여기서 이 스트림은 제1 열 교환기에 원천을 둔 215oC, 11.15TPH의 열 유체에 의하여 가열하였다.
- 액체 분리기에서 나오는 충분히 기화된 비열 유체 스트림과 제5 열 교환기(Hex-A')에서 얻어진 스트림을 수렴하여113oC, 1.45 바르, 13.5TPH의 비열 유체를 수득하였다 (100% 증기).
- 13.5TPH의 충분히 기화된 비열 유체 스트림은232oC, 3.25바르의 비열 유체 스트림을 제공하는 차후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승압 압축기 (0.85MW)를 통과한다.
가열 단계는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에서CO2가 탈착되게 하고130oC, 120TPH의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과12.5TPH CO2 가스의 혼합물을 발생시켰다. CO2 가스는 제2 사이클론에서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CO2의 일부는 30oC에서 찬물을 이용하여 냉각되었다. CO2 가스 스트림의 다른 일부를 탈착체(D)와 제2 열 교환기에서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의 유동화를 위하여 이용하였다.
분리된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을 제3 열 교환기에 안내하여 제6 열 교환기에 원천을 둔40oC, 88.5TPH의 열 유체를 이용하여 냉각하였다. 55oC, 120TPH의 결과의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공정의 반복을 위하여 흡착체에 안내하였다. 보충 포집 매질 스트림도 흡착체에 들어가기 전에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에 주입하였다.
B] 본 발명의 공정과 재래식 흡수 공정과의 비교
종래의 아민 기반 흡수 공정과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진 CO2포집 공정을 표1에서 제공하였고 이는 이산화 탄소 매 톤에 해당하여 재래식 아민 기반 흡수 공정과 비교한 본 발명의 공정의 효과성을 보여준다.
표1: 본 발명의 재래식 흡수 공정과의 비교
주요 성능 파라미터
( 기초:이산화 탄소 톤당 포집 )
재래식 흡착 공정 본 발명의 공정
정제 공장 발전소에서 나오는 연도 가스 스트림에 대한 온도 (oC)창 160 - 250 160 - 250
연도 가스 송풍기 압력 창 (바르) 1.5 - 2.0 1.5 - 2.0
수착을 위하여 압축된 연도 가스의 온도 창 (oC) 30 - 40 50 - 65
용매/흡착제 재생 온도 창 (oC) 105 - 120 130 - 150
처리 공장 폐열 스트림을 위한 온도 창 (oC) NA 90 - 150
작업 유체의 증발과 응축의 온도 차 (oC) NA 110 - 120
총 에너지 수요 양(GJ) 3.0 - 4.2 0.375 - 0.4
재생을 위한 외부 증기 @ 4 바르 (톤) 2.0 - 3.5 0.0
냉각 수 (m3) 70 - 105 40 - 50
전력 (MW) 1.75 - 2.0 1.5 - 2.0
작동 비용 Bb (0.15 - 0.2)×B
NA: 적용되지 않음
a연도 가스 냉각기에서 열이 유실 되어 흡수 온도를 보장한다.
b기선 비용 = B
본 발명의 실시방식과 이의 여러가지 특징과 유리성들은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실시방식들을 참조로 설명된다. 공지된 성분들과 공정 기술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례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방식들이 실행되는 방식들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방식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자고 의도된다. 따라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특정 실시 방식들에 대한 상기 설명은 실시례의 일반 특성을 완전히 나타낼 것이며 따라서 당업자들은 현존지식을 적용하여 일반 개념에서 이탈하지 않고 이러한 특정 실시 방식들을 쉽게 변경하고/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적용 및 변경은 개시된 실시례들과 동일한 의미와 범위내에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본 명세서에서 채용된 술어 또는 용어들은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 방식들은 바람직한 실시 방식의 견지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 방식들이 여기서 설명된 실시 방식들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수정하여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기술적 장점들
본 발명의 공정과 체계는 연도 가스와 연관된 열을 이용하고 이를 공정내에서의 열 수요를 보충하는데 이용하여 공정의 비용 효과성과 환경적 가치를 높였다.
본 발명은 또한 연도 가스 스트림의 이산화 탄소 포집을 위하여 이용되는 포집 매질의 재생을 위하여 다중 압축 사이클을 이용하여 작동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열 통합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정과시스템은 따라서 현존 설비로 쉽게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비열 유체의 일단 압축 공정을 통하여 낮은 포텐셜에서 높은 포텐셜로 에너지의 펌핑을 담보하는 열펌프를 동반하여 응축에 의한 높은 온도에서의 열 폐기가 재생 단계에 충분한 열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어 《포함한다(comprise)》, 또는 《포함한다(comprises)》이나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와 같은 변형들은 지적된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임의의 다른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의 제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또는 《적어도 하나의》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목적이나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성분 또는 수량의 사용을 나타낸다.
물리적 파라미터들, 크기들 또는 양들에 대하여 언급된 수값들은 근사값들에 불과하며 파라미터들, 크기들 또는 양들에 배당된 이 수값들보다 크거나 작은 값들도 명세서에서 특별히 반대되게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간다는 것을 예상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례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례는 오직 실시례의 방식으로만 제공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대한 고찰로부터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발명의 공정 또는 화합물 또는 식 또는 이들의 배합에서의 변경 및 수정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명확하게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항들과 이들의 등가물은 이러한 형태 또는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내에 속하는 것으로 하여 이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20)

  1. CO2를 포함하는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이산화 탄소(CO2)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하기 단계들:
    i. 제1송풍기를 거쳐 연도 가스의 흐름을 안내하여 높은 온도의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는 단계;
    ii. 순환 열 유체를 이용하여 제1 열 교환기의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에서 열을 적출하여 가열된 열 유체와 냉각된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는 단계;
    iii. 냉각된 가압 연도 가스 스트림을 CO2 흡착체로 안내하는 단계;
    iv. 흡착체에 유동화된 연한 CO2 포집 매질을 통과시켜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연도 가스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v. 제1 사이클론에서 상기의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상기 연도 가스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vi. CO2가 없는 분리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차후 처리를 위해 배기관으로 안내하는 단계;
    vii. 상기 분리된 진한 포집 매질을 제2의 열 교환기로 인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열된 열 유체를 이용하여 이를 재생 온도에 가깝게 가열함으로써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수득하는 단계;
    viii.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탈착체에 공급하는 단계;
    ix. 가열된 비열 유체를 순환시켜 탈착체에서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가열하여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에서 CO2를 탈착함으로써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과 CO2 가스의 혼합물을 발생시키고 선택적으로 탈착체에서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유동화하기 위하여 발생된 CO2 가스의 일부를 이용하는 단계
    x.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에서 CO2 가스를 분리하는 단계;
    xi. 제4 열 교환기에서 외부적 폐열을 이용하면서 비열 유체를 가열하여 서모사이펀(thermosyphon) 원리에 의하여 탈착체를 거쳐 가열된 비열 유체를 순환시켜 증기-액체 혼합물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기-액체 분리기에서 상기 증기-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 제5 열 교환기에서 가열된 열 유체를 이용하여 분리된 액체 상 비열 유체를 더 가열하는 단계, 제5 열 교환기에서 흘러나오는 증기와 증기-액체 분리기로부터 컨버저(converger)에 안내된 증기를 수렴하는 단계, 승압 압축기를 이용하여 더 압축하고 가열하는 단계, 익스팬더(expander)를 거쳐 탈착체를 벗어나는 비열 유체를 확장시켜 냉각하는 단계와 비열 유체를 제4 열 교환기로 인도하여 사이클을 반복하는 단계;
    xii. 흡착체에서의 흡착을 위하여 순환 열 유체를 이용하면서 제3 열 교환기에서 분리된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을 냉각하여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수득하여 공정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의 일부를 제3 열 교환기에서 상기 분리된 포집 매질을 유동화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 제1항에 있어서, 흡착체의 온도는 차고 연한 포집 매질에 CO2를 흡착하는 공정 동안에 탈착체를 거쳐 순환하는 외부적 찬물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매질은 지지된 알칼리 금속 탄산염과 지지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지지된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것을 특징하는 공정.
  5. 제1항에 있어서, 흡착체로부터 나오는 무거운 부분적으로 진한/연한 포집 매질을 제1사이클론을 거쳐 흡착체로 재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열 교환기에서 상기 진한 포집 매질은 하기들:
    i. 제3 열 교환기를 벗어나는 순환 열 유체;
    ii. 제1 열 교환기에서 접수된 순환 열 유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제2 열 교환기를 벗어나는 더운 열 유체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7. 제1항에 있어서, 제2 열 교환기를 벗어나는 더운 열 유체는 제1 와 제3 열 교환기에서 더 순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적 찬물을 이용하여 제6 열 교환기에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8. 제1 항에 있어서, 탈착체에서 발생하는 CO2의 일부는 탈착체로 스트림으로서 그리고 진한 포집 매질의 유동화를 위하여 제2 열 교환기로 스트림으로서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와 상기 탈착체는 조밀 유동화 및 거품 유동화, 거품 흡수 유동화, 난류 유동화, 속성 유동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방법으로 작동하는 순환하고 호상 연결된 유동화된 베드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열 유체는 물과 메타놀, 아세톤,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1. 제1항에 있어서, CO2는 제2 사이클론의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CO2의 일부는 제7 열 교환기에서 하류 사용을 위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2. 제1항에 있어서,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은 제3 열 교환기에서 제6 열 교환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각된 열 유체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3. 제1항에 있어서, 보충 포집 매질 스트림을 흡착체로 들어가기 전에 상기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4. CO2를 함유한 연도 가스로부터 이산화 탄소(CO2)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하기들:
    i. 연도 가스 스트림을 접수하고 상기 연도 가스 스트림을 가압하여 높은 온도를 갖는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적응된 제1송풍기;
    ii. 상기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과 열 유체를 접수하고 상기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열을 상기 열 유체로 전달하여 가열된 열 유체와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을 수득하도록 적응된 제1 열 교환기;
    iii. 포집 매질이 CO2를 흡착하여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연도 가스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적응되어 있는, 상기 냉각되고 가압된 연도 가스 스트림과 유동화된 연한 냉각 포집 매질, 제3 열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도록 적응된 흡착체;
    iv. 상기 진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상기 진한 포집 매질을 제1 열 교환기와 제3 열 교환기로부터 접수된 가열된 열 유체로 예정 재생 온도에 가깝게 가열하여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수득하기 위한 제2 열 교환기;
    v.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접수하고 또 상기 가열된 진한 포집 매질을 가열하여 CO2를 탈착하여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과 CO2 가스를 발생하도록 적응된 탈착체;
    vi. 상기 뜨거운 연한 포집 매질을 냉각하여 상기 흡착체에 흡착시키기 위한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을 발생시키도록 적응된 제3 열 교환기;
    vii.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 상기 제3 열 교환기, 제5 열 교환기, 제6 열 교환기를 거쳐 상기 열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적응된 열 유체 순환 시스템;
    viii. 상기 탈착체를 거쳐 비열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적응된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
    ix. 제4 열 교환기로부터 증기 액체 혼합물을 접수하고 비열 유체의 증기와 액체 상을 분리하도록 적응된 증기- 액체 분리기;
    x. 증기-액체 분리기에서 비열 유체의 액체 상을 접수하고 상기 액체 상을 기화시키도록 적응된 제5 열 교환기;
    xi. 제5 열 교환기에서 발산되는 증기와 증기-액체 분리기로부터 안내된 증기를 수렴하고 비열 유체의 혼합 증기를 승압 압축기로 안내하도록 적응된 컨버저(converger);
    xii.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에 온라인되고, 탈착체에 공급되기 전에 비열 유체의 혼합 증기를 압축하고 가열하도록 적응된 승압 압축기;
    xiii. 비열 유체 순환 시스템에 온라인되고, 외부적 폐열을 이용하여 제4 열 교환기에서 가열하기 위하여 탈착체에서 벗어나는 상기 비열 유체를 감압(depressurize)하고 냉각하도록 적응된 익스팬더(expander);
    xiv. 찬 열 유체를 상기 제1 및 제3 열 교환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열 교환기로부터 열 유체를 접수하고 상기 열 유체를 냉각하도록 적응된 제6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뜨겁고 진한 포집 매질과 CO2가 없는 연도 가스 스트림을 분리하도록 적응된 제1 사이클론과 상기 뜨겁고 연한 포집 매질과 CO2 가스를 분리하도록 적응된 제2 사이클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와 상기 제6 열 교환기에 찬물을 공급하도록 적응된 찬물 원을 포함하고 찬물 원은 시스템에서 생산된 CO2를 냉각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제2 사이클론에서 CO2 가스를 접수하고 가압된 CO2 가스를 상기 탈착체에 스트림으로서 그리고 제2 열 교환기에, 스트림으로서 공급하도록 적응된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매질은 지지된 알칼리 금속 탄산염과 지지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지지된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이고 상기 비열 유체는 물과 메타놀, 아세톤,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와 상기 탈착체는 조밀 유동화 및 거품 유동화, 거품 흡수 유동화, 난류 유동화, 속성 유동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방법으로 작동하는 순환하는 호상 연결된 유동화된 베드 반응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보충 포집 매질 스트림을 탈착체로 들어가기 전에 제3 열 교환기를 벗어나는 상기 냉각된 연한 포집 매질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7009912A 2013-10-09 2014-09-29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 및 공정 KR102055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191/MUM/2013 2013-10-09
PCT/IN2014/000629 WO2015056272A2 (en) 2013-10-09 2014-09-29 A multi-compression system and proces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IN3191MU2013 IN2013MU03191A (ko) 2013-10-09 2014-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121A KR20160067121A (ko) 2016-06-13
KR102055975B1 true KR102055975B1 (ko) 2019-12-13

Family

ID=5282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912A KR102055975B1 (ko) 2013-10-09 2014-09-29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 및 공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1593B2 (ko)
KR (1) KR102055975B1 (ko)
IN (1) IN2013MU03191A (ko)
WO (1) WO20150562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2726A1 (en) * 2013-10-09 2015-04-16 Reliance Industries Limited A single compression system and proces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N109310941B (zh) 2016-03-31 2022-07-22 英万茨热科技有限公司 使用蒸汽用于再生的吸附气体分离
CN107115776A (zh) * 2017-04-18 2017-09-01 长沙紫宸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水泥窑烟气中co2连续捕集的装备系统
US10794227B1 (en) * 2018-08-22 2020-10-06 Walter B. Freeman System and method for harnessing latent heat to generate energy
CN111265983B (zh) * 2020-03-25 2021-02-02 吐鲁番瑞德化轻有限公司 两段二元烟气处理系统
EP4359107A1 (en) * 2021-06-23 2024-05-01 Entegris, Inc. Gas-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11617981B1 (en) * 2022-01-03 2023-04-04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for capturing CO2 with assisted vapor compression
TW202400286A (zh) * 2022-03-11 2024-01-01 美商恩特葛瑞斯股份有限公司 氣體處理系統及方法
GB2624212A (en) * 2022-11-10 2024-05-15 Rolls Royce Plc Direct air capture system and method
CN116212593A (zh) * 2023-04-18 2023-06-06 河北正元氢能科技有限公司 尿素生产用低温深冷二氧化碳捕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9075A (zh) 2007-11-28 2011-01-05 布莱阿姆青年大学 从废气中捕集二氧化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6064A (en) 1995-10-04 1997-08-1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ase treated alumina in pressure swing adsorption
US6033456A (en) * 1998-02-06 2000-03-07 Texaco Inc. Integration of partial oxidation process and direct reduction reaction process
EP1590080A2 (en) * 2002-12-18 2005-11-02 University Of Ottawa Amine modified adsorbent, its preparation and use for dry scrubbing of acid gases
JP5346926B2 (ja) 2007-05-18 2013-11-20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圧縮熱を利用する、排煙からのco2の温度スイング吸着
US20090220406A1 (en) * 2008-02-29 2009-09-03 Greatpoint Energy, Inc. Selective Removal and Recovery of Acid Gases from Gasification Products
US8535417B2 (en) * 2008-07-29 2013-09-17 Praxair Technology, Inc. Recovery of carbon dioxide from flue gas
CA2781195C (en) * 2009-11-18 2018-09-18 G4 Insights Inc. Method and system for biomass hydrogasification
WO2012030374A2 (en) * 2010-09-02 2012-03-08 Butamax (Tm) Advanced Buofuels Llc Process to remove product alcohol from a fermentation by vaporization under vacuum
EP2663381B1 (en) 2010-12-17 2018-05-02 Research Triangle Institute Heat recovery from sorbent-based co2 capture
JP5812694B2 (ja) * 2011-05-31 2015-11-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二酸化炭素回収方法および装置
US20130081426A1 (en) 2011-09-30 2013-04-04 Vitali Victor Lissianski Low temperature heat exchanger system and method
KR101336778B1 (ko) * 2011-12-12 2013-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381443B1 (ko) * 2012-06-27 2014-04-04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JP6016513B2 (ja) * 2012-08-09 2016-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o2回収装置およびco2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9075A (zh) 2007-11-28 2011-01-05 布莱阿姆青年大学 从废气中捕集二氧化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272A2 (en) 2015-04-23
IN2013MU03191A (ko) 2015-07-03
US9931593B2 (en) 2018-04-03
WO2015056272A3 (en) 2015-06-18
US20160236137A1 (en) 2016-08-18
KR20160067121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75B1 (ko) 이산화 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다중 압축 시스템 및 공정
US9399939B2 (en) Combustio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combustion exhaust gas
JP5964842B2 (ja) Co2捕捉における熱統合
KR20120112604A (ko) 포집 매질의 재생방법
JP2013533426A (ja) 炭素捕捉を有するジェットエンジン
EP2883595A1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KR102055976B1 (ko)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단일 압축 시스템 및 공정
JP5855130B2 (ja) 蒸気再圧縮設備を設置した二酸化炭素化学吸収システム
JP5738137B2 (ja) Co2回収装置およびco2回収方法
JP2013059726A (ja) Co2回収装置およびco2回収方法
TW201315529A (zh) 在吸收與解吸方法中之熱回收
KR20130039185A (ko) 에너지효율이 향상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N100364643C (zh) 一种从排气中吸附回收净化有机物的方法和装置
WO2013111097A1 (en) Ammonia capturing by co2 product liquid in water wash liquid
Jung et al. Moving bed adsorption process based on a PEI-silica sorbent for CO2 capture
JP6088240B2 (ja) 二酸化炭素の回収装置、及び該回収装置の運転方法
WO2012073553A1 (ja) Co2回収システム
EP2644250B1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JPWO2019168180A1 (ja) Co2回収装置及びco2回収方法
WO2012073552A1 (ja) Co2回収システム
RU2659991C2 (ru) Способ абсорбционного выде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з газовых смесей абсорбентами, содержащими водные растворы аминов
Song et al. Design of a low-cost CO2 capture process based on heat integration technology
WO2015052727A2 (en) A multi-compression system and proces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A3233689A1 (en) Gas capture system comprising a heat pump using a liquid sorbent with combined temperature and pressure sw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