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374B1 -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374B1
KR102054374B1 KR1020180058644A KR20180058644A KR102054374B1 KR 102054374 B1 KR102054374 B1 KR 102054374B1 KR 1020180058644 A KR1020180058644 A KR 1020180058644A KR 20180058644 A KR20180058644 A KR 20180058644A KR 102054374 B1 KR102054374 B1 KR 102054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late
plate
armature
door
check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557A (ko
Inventor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8005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374B1/ko
Priority to PCT/KR2019/002679 priority patent/WO2019225841A1/ko
Publication of KR2019013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리면서 상기 체커아암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와 이격되어 아마츄어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아마츄어와 접촉되어 상기 아마츄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마찰판; 상기 마찰판과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어부재; 및 상기 마찰판과 접촉하여 상기 마찰판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점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Sw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및 수동조작의 변환과정에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부드럽게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도어의 인너패널 앞쪽 측면의 중앙부에 도어 체커(door checker) 장치를 설치하여 도어가 그 개폐경로 중에 2개 지점 내지 3개 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체커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며 회전을 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과, 상기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체커아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어가 그 이동경로상의 일정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 체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도어 체커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체커아암(90)은 도어체커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커아암(90)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30) 내의 변환수단(40)이 상기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1차 감속기어(41) 및 2차 감속기어(42) 및 전달기어(43)를 통하여 회전력이 변환 및 전달된다. 이러한 회전력은 회전수단(50)으로 전달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기어(43)는 회전부재(51)를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부재(5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도 10에서 A 방향) 상기 회전부재(51)와 맞물려 있는 탄성부재(52)는 그 외경이 증가되도록 탄성변형되고 일정이상 외경이 증가되면 상기 통부재(53)의 내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통부재(53)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통부재(53)에 고정된 마찰판(5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찰판(54)은 고정자(6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마찰판(54) 및 통부재(53)는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열리게 되면 변환수단(40) 및 통부재(53)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어의 주변에 물체가 감지되어 도어가 계속 열리는 경우 그 도어가 물체에 부딪힐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감시센서와 연결된 제어수단(70)은 전기적 신호를 상기 고정자(60)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자(60)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고정자(60)에 의하여 전자력이 발생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기 마찰판(54)은 상기 고정자(60)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찰판(54)이 고정자(6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마찰판(54)의 회전은 억제되며 이에 따라서 마찰판(54)과 고정된 통부재(53), 회전부재(51), 변환수단(40) 및 체커아암(90)의 운동이 멈춰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도어의 열림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서 도어가 더이상 열리지 않게 됨에 따라서 외부의 물체와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2차 감속기어(42) 내에는 탄성삽입부재(423)가 마련되어 있어 제1기어부재(421)와 제2기어부재(422) 사이의 급작스런 충격(열리던 도어가 갑자기 멈춤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전체적인 도어 체커(2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찰판(54)이 고정자(6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어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마찰판(54)은 고정자(60)에 부착되고 통부재(53)는 마찰판(54)에 부착되어 회전이 구속되지만, 회전부재(51)는 회전이 가능하게 전체적으로 변환수단(40)과 체커아암(9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의 도어 체커장치에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열고 닫거나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열고 닫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마찰판에 부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전자력을 이용하여 마찰판에 회전부재를 붙었이거나 떨어지게 하는 온,오프 제어만으로 자동 및 수동변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수동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찰판에서 회전부재를 떨어뜨리게 하고, 자동으로 도어를 열고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력을 가하여 마찰판과 회전부재를 서로 밀착시키고 구동모터에서 구동력을 가하게 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자동조작에서 수동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마찰판을 회전부재로부터 순간적으로 떨어뜨리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에 부착된 마찰판에서 전자력을 제거하여 회전부재를 마찰판에서 이격시켜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되는데, 순간적으로 마찰판이 회전부재로부터 이격됨으로서 사용자가 느끼는 이질감이 크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및 수동조작의 변환과정에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부드럽게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과,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체커아암과 맞물리면서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체커아암에 전달하여 도어가 차체측에 대해서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리면서 상기 체커아암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와 이격되어 아마츄어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아마츄어와 접촉되어 상기 아마츄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마찰판;
상기 마찰판과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어부재; 및
상기 마찰판과 접촉하여 상기 마찰판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점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여 상기 마찰판이 상기 아마츄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회전수단의 일단에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캠플레이트; 및
상기 캠플레이트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대해서 상대회전하면서 회전수단의 축방향을 따라서 위치이동하는 푸쉬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축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마찰판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캠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접촉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웜기어와 맞물려서 회전운동하고, 상기 웜기어는 제1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제1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와 연결된 푸쉬플레이트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아마츄어와 상기 마찰판 사이에는 상기 마찰판을 상기 제1위치를 향하여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는, 마찰판과 아마츄어가 가압수단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자동에서 수동조작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일구성인 회전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개폐수단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일 구성의 분리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6의 개폐수단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100)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01)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102)과,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102)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체커아암(102)과 맞물리면서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체커아암(102)에 전달하여 도어가 차체측에 대해서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11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수단(110)은, 하우징(120), 회전수단(130), 아마츄어(140), 마찰판(150), 탄성바이어스수단(160), 기어부재(170) 및 가압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면은 자동차용 도어 측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에는 상기 체커아암(102)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도 상기 체커아암(102)이 관통될 수 있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통과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체커아암(102)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커아암(102)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커아암(102)의 기엇니는 하우징(120) 내부의 기어들과 맞물림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단(130)은, 상기 하우징(120) 내에 배치되며 상기 체커아암(102)과 맞물리면서 상기 체커아암(102)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수단(130)은,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하단이 상기 체커아암(102)과 직간접적으로 맞물려 결합됨으로서 체커아암(102)과 회전수단(130)은 서로 연동되어 동작한다. 즉, 회전수단(130)이 회전하면 체커아암(102)이 슬라이드 이동하고, 체커아암(102)이 슬라이드 이동하면 회전수단(1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130)은, 캠플레이트(18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핀이 끼우지는 상부(131)와, 다각형 단면을 가지면서 아마츄어(140)가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부(132)와, 기엇니가 마련되어 체커아암(102)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체커아암(102)과 직간접적으로 맞물리는 하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수단(130)의 중간부(132)에는 아마츄어(140) 뿐 아니라, 푸쉬플레이트(182), 마찰판(150), 탄성바이어스수단(160)이 함께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마츄어(140)는 회전수단(13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제1구멍(141)이 형성된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구멍(141)은 상기 회전수단(130)의 중간부(132)와 대응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30)과 아마츄어(140)가 함께 연동되어 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아마츄어(140)는 마찰판(150)을 중앙에 두고 마찰판(150)의 상부(131)와 하부(133)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아마츄어(140)에서 상기 마찰판(150)와 마주보는 면에는 소정의 안착홈(142)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안착홈(142)은 상기 제1구멍(141)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안착홈(142)에는 탄성바이어스부재인 판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마찰판(150)은, 상기 아마츄어(140)와 이격되어 아마츄어(140)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아마츄어(140)와 접촉되어 상기 아마츄어(14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마찰판(150)은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원형의 제2구멍(151)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3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마찰판(150)은 회전수단(130)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아마츄어(140)와 이격되거나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마찰판(15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52)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어서 마찰판(150)을 외측에서 감싸고 있는 기어부재(170)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부재(170)의 외주에는 구동모터(190)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190)가 회전하게 되면 기어부재(170) 및 마찰판(150)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찰판(150)은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아마츄어(140)와 접촉하였을 때 마찰력에 의하여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0)은, 상기 아마츄어(140)와 상기 마찰판(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찰판(150)은 상기 아마츄어(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마찰판(150)을 상기 제1위치를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고 있어서, 가압수단(180)에 의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바이어스수단(160)은,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아마츄어(140)의 안착홈(142)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압수단(180)에 의하여 가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판 스프링이 평평한 상태로 변화됨으로서 상기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접촉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어부재(170)는, 상기 링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 마찰판(150)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어부재(170)의 내주면에는 상기 마찰판(150)의 걸림돌기(152)가 끼워걸릴 수 있는 걸림홈(171)이 복수 마련되어 있어서 기어부재(170)와 마찰판(150)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어부재(170)의 외주면에는 나삿니가 마련되어 있어서 구동모터(190)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수단(1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기어부재(170)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수단(180)은, 상기 마찰판(150)과 접촉하여 상기 마찰판(150)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점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압수단(180)은 회전수단(13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마찰판(150)을 가압하여 상기 마찰판(150)이 상기 아마츄어(140)에 접촉된 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압수단(180)은, 캠플레이트(181) 및 푸쉬플레이트(182)를 포함한다.
상기 캠플레이트(181)는, 회전수단(130)의 일단에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단(130)은 소정의 구속수단에 의하여 위치가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푸쉬플레이트(182)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캠플레이트(181)는 중앙에 제3구멍(1811)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플레이트(181)의 배면에는 제3구멍(1811)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경사면(181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경사면(1812)은 120도의 간격으로 총 3개가 마련되어 있어서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3개의 경사면(1812)들 사이에는 푸쉬플레이트(182)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푸쉬플레이트(182)의 접촉돌기(1821)가 접촉하였을 때 상기 푸쉬플레이트(182)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단턱(181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82)는 상기 캠플레이트(181)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캠플레이트(181)에 대해서 상대회전하면서 회전수단(130)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하위치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82)의 하측에는 아마츄어(140)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아마츄어(140)의 하측에는 마찰판(150)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푸쉬플레이트(182)에는 상기 캠플레이트(181)의 경사면(1812)과 접촉하는 접촉돌기(1821)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18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캠플레이트(181)의 경사면(1812)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캠플레이트(181)의 경사면(1812) 중에서 높이가 낮은 위치에 접촉돌기(1821)가 놓이는 경우에는 푸쉬플레이트(182)가 전체적으로 상승하여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캠플레이트(181)의 경사면(1812) 중에서 높이가 높은 위치에 접촉돌기(1821)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푸쉬플레이트(182)가 전체적으로 하강하여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여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푸쉬플레이트(182)의 외측에는 웜기어(18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웜기어(183)와 푸쉬플레이트(182)를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웜기어(183)의 외측에는 제1모터(184)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1모터(184)가 회전하면 웜기어(183) 및 상기 웜기어(183)와 연결된 푸쉬플레이트(182)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푸쉬플레이트(18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경사면(1812)을 따라서 이동하는 접촉돌기(1821)에 의하여 상기 푸쉬플레이트(182)가 축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100)의 작동모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서는 마찰판(150)과 아마츄어(140)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구동모터(190)의 회전력이 회전수단(130)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도어를 수동으로 조작시에는 체커아암(102)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하여 회전수단(130)이 회전운동하고, 이에 따라서 마찰판(150)만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90)와 연결된 아마츄어(140)는 상기 마찰판(150)과 s1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 사이에 마련된 탄성바이어스수단(160)에 의하여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 사이의 이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자동으로 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18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서 웜기어(183)가 회전하면서 푸쉬플레이트(182)가 웜기어(183)와 함께 회전한다. 푸쉬플레이트(182)의 회전에 따라서 접촉돌기(1821)가 경사면(181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182)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캠플레이트의 하면과 푸쉬플레이트의 상면이 서로 s2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푸쉬플레이트(182)가 하강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아래에 위치한 아마츄어(140) 및 마찰판(150)을 가압하면서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 사이의 이격공간을 없애면서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상호접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푸쉬플레이트(182)가 하강하면서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을 가압시키는 경우에는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 사이에 마련된 탄성바이어스수단(160)이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바이어스수단(160)이 안착홈(142) 내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서로 접촉되도록 한다. 푸쉬플레이트(182)가 충분하게 하강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확실하게 접촉하여 아마츄어(140)와 마찰판(150)이 연동되어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구동모터(190)에 의한 구동력이 회전수단(130)까지 전달되면서 도어가 자동으로 힌지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캠플레이트(181)의 경사면(1812)에 의하여 푸쉬플레이트(182)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면서 마찰판(150)과 아마츄어(140)가 서로 점진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변환되는 경우에도 이질감이 느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반대로 자동으로 동작하는 도어를 수동으로 변환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작동을 위해서 도어를 잡은 경우에도 캠플레이트의 경사면에 의하여 서서히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아마츄어와 마찰판이 서로 점진적으로 이격되어 마찰력이 제거됨으로서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일이 없게 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전자력에 의한 흡인작용에 의하여 아마츄어와 마찰판이 급격하게 이격되거나 붙게 되게 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불러일으키게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이질감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수단을 조절하여 도어를 고정하는 힘을 가변하여 차량의 경사조건에 따라 도어를 고정하는 힘을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작동 시 힘을 들이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평지에서는 도어를 약하게 고정하여 수동 작동 시 힘이 적게 들어가게 할 수 있으며, 경사로에서는 도어를 강하게 고정하여 도어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도어 개폐장치 101...고정부재
102...체커아암 110...개폐수단
120...하우징 130...회전수단
131...상부 132...중간부
133...하부 140...아마츄어
141...제1구멍 142...안착홈
150...마찰판 151...제2구멍
152...걸림돌기 160...탄성바이어스수단
170...기어부재 171...걸림홈
180...가압수단 181...캠플레이트
1811...제3구멍 1812...경사면
1813...단턱 182...푸쉬플레이트
1821...접촉돌기 183...웜기어
184...제1모터

Claims (6)

  1.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과,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체커아암과 맞물리면서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체커아암에 전달하여 도어가 차체측에 대해서 스윙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리면서 상기 체커아암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와 이격되어 아마츄어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아마츄어와 접촉되어 상기 아마츄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마찰판;
    상기 마찰판과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어부재; 및
    상기 마찰판과 접촉하여 상기 마찰판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점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수단이 작동해서 마찰판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면 마찰판이 아마츄어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면서 마찰력이 서서히 증가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점차 증가하면서 회전수단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여 상기 마찰판이 상기 아마츄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일단에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캠플레이트; 및
    상기 캠플레이트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대해서 상대회전하면서 회전수단의 축방향을 따라서 위치이동하는 푸쉬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축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마찰판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위치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플레이트에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웜기어와 맞물려서 회전운동하고, 상기 웜기어는 제1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제1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와 연결된 푸쉬플레이트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와 상기 마찰판 사이에는 상기 마찰판을 상기 제1위치를 향하여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KR1020180058644A 2018-05-23 2018-05-23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KR102054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644A KR102054374B1 (ko) 2018-05-23 2018-05-23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PCT/KR2019/002679 WO2019225841A1 (ko) 2018-05-23 2019-03-07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644A KR102054374B1 (ko) 2018-05-23 2018-05-23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57A KR20190133557A (ko) 2019-12-03
KR102054374B1 true KR102054374B1 (ko) 2019-12-10

Family

ID=6861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644A KR102054374B1 (ko) 2018-05-23 2018-05-23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4374B1 (ko)
WO (1) WO2019225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64B1 (ko) * 2019-11-15 2021-01-15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KR102340322B1 (ko) * 2020-07-02 2021-12-20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85B1 (ko) 1998-08-03 2007-07-13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구동장치
JP2007232184A (ja) * 2006-03-03 2007-09-13 Ntn Corp 2ウェイクラッチユニット
JP2011058352A (ja) 2009-09-14 2011-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自動車構成部品を固定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297A (ja) * 2004-02-12 2005-08-25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の開閉方法
JP4345108B2 (ja) * 2004-09-29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チェック装置
KR101716409B1 (ko) * 2015-07-07 2017-03-14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85B1 (ko) 1998-08-03 2007-07-13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구동장치
JP2007232184A (ja) * 2006-03-03 2007-09-13 Ntn Corp 2ウェイクラッチユニット
JP2011058352A (ja) 2009-09-14 2011-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自動車構成部品を固定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57A (ko) 2019-12-03
WO2019225841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374B1 (ko)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JP4249818B2 (ja) 外部バック・ミラー
US11187008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20513488A (ja) 改良型ドア制御システム
US7161100B1 (en) Limit switch mechanism for door opening
JP5150319B2 (ja)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9163877A (ja) カーオーディオのフロントパネル操作装置
CN101513627B (zh) 用于实验室设备等的箱盖的盖闭体
US9702179B2 (en) Closer device and vehicle door locking device
US20170009508A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tailgate operator
WO2014082601A1 (zh) 具有铰接式阀芯的阀门
US6504276B2 (en) Motor actuator having simplified interfitting connection
KR101754978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2173000B1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200452407Y1 (ko) 패닉기능을 갖는 기어박스
CN106476617B (zh) 燃料门结构
KR102172999B1 (ko) 복수 개의 마찰판을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101595841B1 (ko) 캐스터
CN104675260A (zh) 车辆用门开闭装置
KR200486293Y1 (ko) 도어락용 클러치 방식 기어박스
KR102340322B1 (ko) 자동차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CN111691749A (zh) 一种门锁通配离合装置及智能门锁
KR102623945B1 (ko) 클러치 액추에이터 장치
JP2010203129A (ja) 自動ドア開閉装置及びトルクリミッタ
KR20110139353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핸들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