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145B1 - 건축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45B1
KR102054145B1 KR1020180148569A KR20180148569A KR102054145B1 KR 102054145 B1 KR102054145 B1 KR 102054145B1 KR 1020180148569 A KR1020180148569 A KR 1020180148569A KR 20180148569 A KR20180148569 A KR 20180148569A KR 102054145 B1 KR102054145 B1 KR 10205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co
friendly
wal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섭
Original Assignee
우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섭 filed Critical 우창섭
Priority to KR102018014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36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91Heat reflecting layers or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용 구조체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구조체는, 건축물의 벽체,지붕을 형성 할 수 있고 또 기존 건축물의 내벽 혹은 외벽에 적용되는 벽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 유닛은, 외곽을 틀을 형성하는 골조 프레임; 상기 골조 프레임 내에 충전되는 친환경 충전부; 및 상기 골조 프레임의 외측을 피복하는 외측 피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구조체{Loess panels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축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바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이 가정과 직장, 공공장소, 다양한 매장 등과 같은 건축물이다.
과거에는 생활수준이 낮아 건축물의 장식성과 기능성이 중시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물은 단순한 건축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건강성, 생활 편의성, 안전성과 같은 높은 주거성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에 신설되는 각종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 공사와 외부 외장공사,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도 장식성을 보강해서 시공하는 한편, 단열성, 방음성 등과 같은 기능성도 많이 반영되어 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 부착되는 부재는 주로 타일, 대리석, 보드 등이 있으며, 각각의 부재는 종류에 따른 특성에 따라 벽면에 부착되는 수단과 방법 또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 부착되는 부재는 주로 단열재와 방음재와 같은 건축 내외장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건축물은 장식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건축 패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숍이나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경우 주기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교체 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 외장재 교체 공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번 벽면에 부착된 장식 부재를 재시공할 경우 부착된 장식 부재와 패널 전체를 뜯어내고 새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 공사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벽면에 장식만 교체할 수 있는 건축 패널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건축 패널(1)의 구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건축 패널(1)은 조립식 구조라서 서로 조립하기에 용이하며, 이로 인해 도 2와 같은 벽체의 조립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건축 패널(1)의 경우, 조립 기능에만 그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단열 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단열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도 3과 같은 형태의 건축 패널(10)이 제안된 바 있다. 도 3의 건축 패널(10)은 중공(17)이 형성된 CRC 외장보드(11)와, 외장보드(11)의 정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면에 단열부재(1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외장보드(11)와 단열부재(12)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단열부재(12)는 요철(凹凸) 구조로 이루어지게 제1 및 제2 단열판재(12a,12b)로 구성된다. 단열부재(12)를 구성하는 제1 단열판재(12a)의 일면에는 알루미늄박막 또는 폴리에틸렌필름(polyethylene film) 등의 필름층(18)이 마련된다.
한편, 도 3과 같은 구조의 경우, 중공(17)이 형성되는 한편 단열부재(12)가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합판 구조인 도 1 및 도 2에 비해 단열 기능이 향상될 수는 있지만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패널 구조체를 지난번 출원한 바 있으며, 현재 심사 중에 있다. 다만, 이번에는 지난번 출원된 기술에 더하여 좀 더 기능성이 개선된 신개념의 건축용 구조체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3530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8025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077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392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축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내벽 혹은 외벽에 적용되는 벽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 유닛은, 외곽을 틀을 형성하는 골조 프레임; 상기 골조 프레임 내에 충전되는 친환경 충전부; 및 상기 골조 프레임의 외측을 피복하는 외측 피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골조 프레임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 바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로 바아에 연결되어 격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비직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친환경 충전부는, 미네랄 울, 락(rock) 울 또는 글라스 울, ALC , 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벽체 유닛의 일측 혹은 한 쌍의 상기 벽체 유닛 사이에 배치되되 인공의 화학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 천연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유닛과 상기 친환경 천연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 필름; 및 상기 단열 필름과 상기 벽체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열반사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해서 시공한 건축벽체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골조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는 골조 프레임에 친환경 충전부가 일부 충전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에 적용되는 골조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용 구조체의 예시 사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용 구조체의 편측 구조 사용 사진들이다.
도 15는 천연, 친환경 소재들의 복합적인 보드화에 따른 예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골조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미지, 도 8은 도 6의 정면도, 그리고 도 9는 골조 프레임에 친환경 충전부가 일부 충전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100)는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100)는 비단, 내장 혹은 외장재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아래의 도 13a 내지 도 15처럼 본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는 내장 혹은 외장재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이미지는 후술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100)는 건축물의 내벽 혹은 외벽에 적용되는 벽체 유닛(11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건축용 구조체(100)는 벽체 유닛(110)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유닛(11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의 패널, 블록(block)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건축물의 벽체를 쌓아 올릴 때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단 사각의 패널, 블록(block) 구조가 아닐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벽체 유닛(110)은 골조 프레임(120), 친환경 충전부(130), 그리고 외측 피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골조 프레임(120)은 외곽을 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와, 다수의 연결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부(121)들 모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 바아(121a)와,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다수의 가로 바아(121a)에 연결되어 격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 바아(12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바아(121a)들과 세로 바아(121b)들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그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격자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 친환경 충전부(130)의 재료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친환경 충전부(130)가 고체 덩어리 형태라면 가로 바아(121a)들과 세로 바아(121b)들의 개수를 줄여 그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격자 크기를 크게 유지해도 무관하다.
그렇지만, 친환경 충전부(130)가 볏짚처럼 분리된 구조라면 가로 바아(121a)들과 세로 바아(121b)들의 개수를 늘여 그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격자 크기를 줄이면 될 것이다.
연결 프레임(123)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프레임(123)은 비직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그 사이에 배치되는 천연, 친환경 충전부(130)의 이탈을 저지시키는데 유리하다.
연결 프레임(123)들이 사이드 프레임부(121)들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기 때문에 블록 구조의 친환경 충전부(130)를 한 장씩 채워 넣기에 유리하다.
한편,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와, 다수의 연결 프레임(123)을 포함하는 골조 프레임(120)을 적용함에 있어서 골조 프레임(120)이 철근 등의 금속 재질이라면 사이드 프레임부(121)와 연결 프레임(123)을 용접으로 조립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이 플라스틱 재질이라면 와이어로 조립하거나 볼트 등으로 조립할 수 있다.
친환경 충전부(130)는 골조 프레임(120) 내에 충전되는 충전제이다. 친환경 충전부(130)는, 미네랄 울, 락(rock) 울, ALC, 폼 , 또는 글라스 울 등 각종의 천연, 친환경 기능성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덩어리 형태 혹은 볏짚처럼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연 보드, 참숯가루, 왕겨숯, 편백톱밥, 볏짚보드 등으로 친환경 충전부(130)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친환경 충전부(130)에 불연처리를 할 경우, 불연 제품으로서의 안정성 확보에도 유리할 수 있다.
외측 피복부(140)는 골조 프레임(120)의 외측을 피복하는 뿐이다. 외측 피복부(140)는 콘크리트를 비롯해서 황토 등 다양한 물질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200)는 한 쌍의 벽체 유닛(110) 사이에 친환경 천연 보드(25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벽체 유닛(110)과 친환경 천연 보드(250)를 하나씩 사용해도 무방한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벽체 유닛(110)은 전술한 실시예의 벽체 유닛(110)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피한다.
친환경 천연 보드(250)는 기존의 스티로폼 등처럼 인공의 화학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 천연 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폐기할 때도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친환경 천연 보드(250)는 볏짚을 응집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볏짚 보드, 왕겨숯을 응집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왕겨숯 보드, 참숯을 응집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참숯 보드, 편백 톱밥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볏짚 보드, 왕겨숯 보드 또는 참숯 보드 등 천연, 친환경 재료를 선택해서 친환경 천연 보드(250)를 제작할 경우,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이들 천연 소재로부터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이 방출될 수 있어서 유익하며, 또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300)는 한 쌍의 벽체 유닛(110)과, 한 쌍의 벽체 유닛(110) 사이에 배치되는 친환경 천연 보드(250)를 포함한다. 벽체 유닛(110)과 친환경 천연 보드(250)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벽체 유닛(110)과 친환경 천연 보드(250) 사이에는 단열 필름(361)이 배치되고, 단열 필름(361)과 벽체 유닛(110) 사이에는 열반사 필름(362)이 배치된다.
이처럼 단열 필름(361)과 열반사 필름(362)이 적용될 경우, 건축용 구조체(300)의 단열 및 보온 기능, 그리고 난연 또는 불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에 적용되는 골조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골조 프레임(220) 역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와, 다수의 연결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대(470)가 배치된다. 보강대(470)들 역시, 철선, 철근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연결 프레임(123)과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 프레임(123)을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천연, 친환경 소재라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지진,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연 제품이라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는 도 13a 내지 도 15처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5의 경우, 편의상 도면 참조부호 없이 이미지만 적용했다.
도 13a 및 도 13b는 건축물의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용 구조체의 예시 사진들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용 구조체의 편측 구조 사용 사진들이며, 도 15는 천연, 친환경 소재들의 복합적인 보드화에 따른 예시 사진인데, 이들처럼 다양한 위치와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는 내장 혹은 외장재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벽체, 지붕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내장 혹은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건축용 구조체 110 : 벽체 유닛
120 : 골조 프레임 121 : 사이드 프레임부
121a : 가로 바아 121b : 세로 바아
123 : 연결 프레임 130 : 친환경 충전부
140 : 외측 피복부 250 : 친환경 천연 보드
361 : 단열 필름 362 : 열반사 필름
470 : 보강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건축물의 내벽 혹은 외벽에 적용되는 벽체 유닛(110)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 유닛(110)은,
    외곽 틀을 형성하도록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121)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23)이 구비된 골조 프레임(120);
    상기 골조 프레임(120) 내에 충전되는 친환경 충전부(130); 및
    상기 골조 프레임(120)의 외측을 피복하는 외측 피복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12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 바아(121a);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로 바아(121a)에 연결되어 격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 바아(121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123)은 비직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친환경 충전부(130)는, 미네랄 울, 락(rock) 울 또는 글라스 울 ALC, 폼 중에서 선택되거나, 친환경 소재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단열 또는 방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천연 보드, 참숯가루, 왕겨숯, 편백톱밥, 볏짚보드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다수의 가로 바아(121a) 및 상기 다수의 세로 바아(121b)는 상기 친환경 충전부(130)가 고체 덩어리 형태인지 분리된 형태인지에 따라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다수의 가로 바아(121a) 및 상기 다수의 세로 바아(121b)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격자 크기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벽체 유닛(110)의 일측 혹은 한 쌍의 상기 벽체 유닛(110) 사이에 배치되되 인공의 화학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볏짚을 응집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볏짚 보드, 왕겨숯을 응집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왕겨숯 보드, 참숯을 응집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참숯 보드, 편백 톱밥 중에서 선택되는 친환경 천연 보드(250);
    상기 벽체 유닛(110)과 상기 친환경 천연 보드(250)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 필름(361); 및
    상기 단열 필름(361)과 상기 벽체 유닛(110) 사이에 배치되는 열반사 필름(3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구조체.
KR1020180148569A 2018-11-27 2018-11-27 건축용 구조체 KR10205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69A KR102054145B1 (ko) 2018-11-27 2018-11-27 건축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69A KR102054145B1 (ko) 2018-11-27 2018-11-27 건축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145B1 true KR102054145B1 (ko) 2019-12-10

Family

ID=6900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569A KR102054145B1 (ko) 2018-11-27 2018-11-27 건축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1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07A (ko) 2002-10-2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카본 브릿지 교환장치
KR20110073845A (ko) * 2009-12-24 2011-06-30 이기열 황토 벽체 시공방법
KR20110080257A (ko) 2010-01-05 2011-07-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매 회수 장치
KR20120062407A (ko) *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20130007721A (ko)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50139254A (ko) 2014-06-03 2015-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저온 유체 저장탱크용 코너 패널 및 이를 가지는 초저온 유체 단열 시스템
KR20180122091A (ko) * 2017-05-02 2018-11-12 정동철 단열재가 포함된 조립식 목재 패널 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07A (ko) 2002-10-2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카본 브릿지 교환장치
KR20110073845A (ko) * 2009-12-24 2011-06-30 이기열 황토 벽체 시공방법
KR20110080257A (ko) 2010-01-05 2011-07-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매 회수 장치
KR20120062407A (ko) *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20130007721A (ko)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50139254A (ko) 2014-06-03 2015-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저온 유체 저장탱크용 코너 패널 및 이를 가지는 초저온 유체 단열 시스템
KR20180122091A (ko) * 2017-05-02 2018-11-12 정동철 단열재가 포함된 조립식 목재 패널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693Y1 (ko)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EA201001294A1 (ru) Сборный элемент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202090460U (zh) 一种复合墙体
RU110110U1 (ru) Панель из натурального бамбука
KR102054145B1 (ko) 건축용 구조체
CN206646680U (zh) 一种模块化装配式墙体
CN209323730U (zh) 用于装配式或折叠式构建物的复合板
CN205348551U (zh) 一种隔音型建筑隔墙板
KR20150091549A (ko)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KR101380391B1 (ko) 단열층을 구비하는 황토벽체 및 그 제조방법
CN205637313U (zh) 一种多功能复合板
KR102075104B1 (ko) 단열재 패널 구조체
CN104805928A (zh) 泵浇芯材纤维板覆面夹心保温外墙
KR20170003836U (ko)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CN102251603B (zh) 一种龙骨架组件与保温板结合的建筑构件
CN203716340U (zh) 具耐燃防火隔热功能的轻质隔间墙组合结构
CN104612302A (zh) 免拆楼板保温模板
CN205000546U (zh) 组合墙板
JP6759493B2 (ja) 木製建築部材
KR101168237B1 (ko) 싱크대용 상판 결합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2717A (ko) 벽체용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
JP2004346527A (ja) 壁式構造の建物
CN213062624U (zh) 一种强度较高的建筑保温板
KR100387162B1 (ko) C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692583B1 (ko) 전통 목조건축물의 황토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