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549A -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549A
KR20150091549A KR1020140011307A KR20140011307A KR20150091549A KR 20150091549 A KR20150091549 A KR 20150091549A KR 1020140011307 A KR1020140011307 A KR 1020140011307A KR 20140011307 A KR20140011307 A KR 20140011307A KR 20150091549 A KR20150091549 A KR 20150091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anel
insulation material
wall structur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139B1 (ko
Inventor
박용주
Original Assignee
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주 filed Critical 박용주
Priority to KR102014001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1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는, 한옥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진 목재 기둥의 사이에 가로로 설치된 상·하인방과 세로로 설치된 주선, 벽선 또는 문선 사이에 설치되는 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구조의 가운데에 한 장으로 설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하기 위해 주변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벽판넬; 상기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면에 설치된 벽판넬을 상기 결합구멍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와 너트; 및 상기 벽판넬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막기 위한 다수의 마감구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구조의 외부에 있는 주선, 벽선 또는 문선에는 상기 벽판넬과 결합하기 위한 턱이 형성되며, 턱에 결합되는 벽판넬의 모서리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단열재와 실외측 벽판넬 사이에 열반사단열재가 더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열반사단열재와 인접하는 벽판넬 사이에는 상·하에 있는 인방에 결합되어 세로로 설치되는 "ㅡ"형, "ㅗ"형 또는 "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중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A prefabricated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본 발명의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한옥의 벽체를 단열성, 방음성과 방습기능이 우수하고, 시공기간이 짧으면서도 튼튼하며, 시공비가 저렴한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 건축물이 주거 건물의 대세를 이루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마당이나 정원이 없는 획일적인 아파트 생활이 싫증이 나서, 마당과 정원을 갖추고 애완동물과 더불어 살 수 있는 단독주택, 더 나아가서는 우리의 전통적인 한옥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한옥마을 조성을 적극 권장하고 있고, 건강한 삶에 대한 갈망과 친환경적인 우리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증대 등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원발명은 한옥의 벽체에 관한 것으로, 전통적인 한옥의 벽체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하인방과 상인방을 가로로 설치하고, 상인방과 하인방 사이의 공간에 몇 개의 중깃을 세로로 설치한 후, 중깃에 의지해서 가시새 또는 눌외라고 하는 다수의 대나무 조각을 중깃에 가로로 대고 새끼줄로 감아 촘촘히 엮어 흙벽을 붙이기 위한 벽체의 뼈대를 준비한다.
준비된 뼈대에 붙이는 흙은 보통 황토를 사용하며 물에 고르게 이긴 후, 마른 짚을 잘게 썰어 이겨진 흙에 섞어 다시 한번 잘 이긴 후 준비된 뼈대에 초벌 바르기를 하는데, 짚은 섞는 이유는 흙이 뼈대에 잘 붙도록 하고, 흙이 말라 부피가 줄어들어도 금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초벌 바르기를 한 후 3 ~ 5일이 지나 어느 정도 마르면 초벌을 바른 벽에 재벌 바르기를 하고, 3 ~ 5일이 지나 흙이 마르면 최종적으로 정벌 또는 미장 바르기를 하여 5일 정도가 더 지나면 흙이 말라 벽체 바르기 작업이 완성된다.
이처럼 한옥 벽체는 뼈대를 완성한 후, 날씨가 좋을 때에도 최소 10일 이상 걸리므로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 전체적인 건축기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벽체의 두께가 얇고 흙의 단열 성능이 높지 않으며, 건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흙벽에 따른 무게로 균열과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고, 벽과 기둥(150) 사이에 틈이 많이 발생하여 단열과 방음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통 한옥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 0022371호에서는 한옥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세워진 목재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벽체 구조를, 기둥과 상·하인방 사이에서 각각 고정되는 격자골조 사이의 안쪽에 여러 개의 왕겨가 충진된 그물망 형태의 단열부대를 층층이 쌓아올려 격자골조에 고정한 단열부대층을 두고, 상기 단열부대층의 바깥면에 인방에 고정한 철망을 설치하고, 상기 각 철망을 흙벽으로 덮어 벽을 마감하는 시공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왕겨가 충진된 그물망 형태의 단열부대는 왕겨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단열에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왕겨는 유기 물질로 내부에 곰팡이나 벌레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왕겨의 냄새는 쥐를 유인하여 쥐가 벽에 구멍을 뚫는 일도 발생할 수 있고, 단열부대층의 바깥에는 철망을 두고 흙벽을 하여 흙벽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인 시공기간이 길고, 건물이 완성된 후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벽에 금이 가고 틈이 만들어져 단열과 방음에 결함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한옥의 고질적인 결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실내외의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웃풍과 결로현상을 없애고, 실내외의 방음을 개선하고, 습기의 출입을 차단하며, 경량의 소재를 사용하여 한옥벽의 시공시 초벌, 재벌, 정벌을 위해 최소 10일 이상이 걸리던 시공시간을 1/5 이하로 줄이고, 조립과 재설치가 간단하여 창문 위치를 옮긴다거나 벽의 형태를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으며, 하인방의 부식시 하인방의 교체가 용이하고, 벽체의 구조물을 규격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거여건을 개선하고 건설비용을 낮추어 한옥의 경쟁력을 크게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는, 한옥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진 목재 기둥(150)의 사이에 가로로 설치된 상·하인방(200, 210)과 세로로 설치된 주선(220), 벽선 또는 문선 사이에 설치되는 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구조의 가운데에 한 장으로 설치되는 단열재(300); 상기 단열재(300)의 양측에 설치되고,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하기 위해 주변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결합구멍(610)이 형성된 다수의 벽판넬(600); 상기 단열재(300)와 상기 단열재(300)의 양면에 설치된 벽판넬(600)을 상기 결합구멍(610)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700)와 너트(710); 및 상기 벽판넬(6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구멍(610)을 막기 위한 다수의 마감구(8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구조의 외부에 있는 주선(220), 벽선 또는 문선에는 상기 벽판넬(600)과 결합하기 위한 턱(230)이 형성되며, 상기 턱(230)에 결합되는 벽판넬(600)의 모서리에는 결합부(6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단열재(300)와 실내측 벽판넬(600) 사이에 열반사단열재(400)가 더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열반사단열재(400)와 인접하는 벽판넬(600) 사이에는 상·하에 있는 인방에 결합되어 세로로 설치되는 "ㅡ"형, "ㅗ"형 또는 "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중깃(50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조립식 벽체는 한옥의 고질적인 결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실내외의 열을 차단하여 웃풍과 결로현상을 없고, 실내외의 소음과 습기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한옥벽의 시공시 초벌, 재벌, 정벌을 위해 최소 10일 이상이 걸리던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경량의 소재로 조립과 재설치가 간단하여 창문 위치를 옮긴다거나 벽의 형태를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으며, 하인방의 부식시 하인방의 교체가 용이하고, 벽체의 구조물이 규격화되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설비용을 낮출 수 있으므로 한옥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분리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분리 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벽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 구조의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초석(100)의 상부에 두 개의 기둥(150)이 설치되며, 이들 두 개의 기둥(150) 사이에 가로로 인방이 설치되는데 위쪽에 설치된 인방을 상인방(200)이라 하고 아래에 설치된 인방을 하인방(210)이라고 하며, 상인방(200)과 하인방(210) 사이에 인방을 하나 더 설치할 경우에는 중인방이 된다.
한편, 기둥(150)은 굵고 둥근 형태이므로, 벽을 설치하기 편리하도록 보통 기둥(150) 옆 상·하인방(200, 210) 사이에 세로로 주선(220)을 별도로 설치하며, 이러한 주선(220)이 벽을 설치하기 위한 것일 때는 벽선, 벽과 문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때는 문선이라고도 한다.
본원 발명은 좌우측에 세로로 서있는 주선(220)과 상인방(200)과 하인방(210) 사이에 있는 사각형 공간에 설치되는 조립식 벽체구조이며, 벽체의 공간의 가운데에 한 장으로 형성된 단열재(300)가 놓이고, 그 외측으로 열반사단열재(400), 상·하인방에 고정되어 세로로 세워진 몇 개의 중깃(500), 벽체의 내실 쪽과 외부 쪽에 설치되는 다수의 벽판넬(600), 상기 내외부에 부착된 벽판넬(600)을 결합구멍(610)을 관통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700)와 너트(710) 및 결합구멍(610)을 메우기 위한 마감구(800)로 구성된다.
벽체를 설치하기 전에 양측 주선(220)과 상인방(200)과 하인방(210)의 내측 모서리에 벽판넬(600)의 측면을 결합하기 위한 턱(230)을 외측과 내측에 미리 형성한다. 턱(230)의 깊이는 나중에 부착할 벽판넬(600)의 1/3의 깊이로 하여 벽판넬(600)을 부착하였을 때 벽판넬(600)과 단차가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조립식 벽체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한 장으로 구성된 단열재(300)는 스티로폼과 같은 다공성 판을 사용한다.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300)는 내부에 있는 수많은 공기가 채워진 공간이 열전달 경로를 길게 하여 실내외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아울러 소리의 전달을 막는 작용을 한다. 단열재(300)를 한 장으로 사용하여 벽체의 내외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열재(300)의 실외측에 열반사단열재(400)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열반사단열재(400)는 보통 스펀지와 은박지가 결합된 것으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막고, 단열과 방음 기능을 높이는 기능을 하며, 가벼운 다공성 스펀지가 붙어 있어 빈공간을 채우기 용이하다. 열반사단열재(400)는 한장으로 형성된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하는 중깃(500)을 세우기 위해 공간이 여의치 못하다면 중깃(500) 사이에 절단된 것을 설치할 수도 있다.
열반사단열재(400)의 외측에 상인방(200)과 하인방(210)에 고정된 중깃(500)을 세로로 설치할 수 있다. 중깃(500)을 설치하는 위치는 벽판넬(600)이 결합되는 위치가 외압에 약할 수 있으므로 결합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며, 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 벽판넬(600)은 가로 4장, 세로 3장이 연결되므로, 벽판넬(600)이 만나는 3곳에 중깃(500)이 설치되어 있다. 중깃(500)은 목재, 플라스틱재나 스테인레스 철재로 상인방(200)과 하인방(210)에 홈을 파서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하기 쉬운 "-"형이나 "ㅗ"형 또는 "ㄴ"형을 설치할 수 있으며, "ㅗ"형 또는 "ㄴ"형은 "-"형에 비해 외부의 압력을 더 단단히 지탱할 수 있다. "ㅗ"형 또는 "ㄴ"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틈을 없애기 위해 벽판넬(600)의 요철부(630)분을 깎아내어 적절한 공간을 만들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깃(500)은 결합되는 벽판넬(600)의 숫자가 적을 때에는 생략해도 무방하나 벽의 넓이가 넓어지고 벽판넬(600)의 숫자가 많아질 때에는 반드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판넬(600)은 사각형상으로 목제, 친환경 합성목제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판넬(600)은 벽체의 외측과 실내측 양측에 설치되며, 인접한 벽판넬(600)과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되기 위해 주변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단열재(300)와 열반사단열재(400)를 관통하여 외측과 실내측 벽판넬(60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610)이 형성된다. 벽판넬(600) 중 주선(220) 또는 상·하인방(200, 210)과 결합되는 벽판넬(600)의 모서리에는 턱(230)과 결합하기 위해 돌출된 결합부(62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20)는 바깥쪽에 1/3만 남기고 나머지부분은 절개하여 주선(220)과 상·하인방(210)에 형성된 홈(230)과 단차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모서리에는 적절하게 요철(凹凸)을 형성하여 인접한 벽판넬(600)과 결합되도록 한다. 벽판넬(600)의 결합부(620)와 요철부(630)의 외측 모서리는 장식을 위해 라운드하게 깎아내거나 경사지게 모를 접어 전체적으로 미려한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벽판넬(600)에 형성된 결합구멍(610)은 중앙 혹은 중앙에 가깝게 형성하고, 외부 쪽은 구멍의 직경이 크게, 안쪽은 볼트(700)의 크기에 맞게 직경을 적게 형성하고, 결합구멍(610)의 깊이는 볼트(700)와 너트(710)가 결합된 후에 벽판넬(600)을 지지하면서도 볼트(700)나 너트(7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마감구(800)를 결합하였을 때 마감구(800)의 뒷면이 벽판넬(600)의 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벽판넬(600)의 결합구멍(610)에 결합되는 볼트(700), 너트(710)와 마감구(8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쓸 수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이 녹이 슬지 않고 색이 변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며, 결합구멍(610)에 삽입되는 마감구(800)는 목재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벽판넬(600)의 재질 및 색상과 잘 어울리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선(220)과 상·하인방(210)에 벽판넬(600)이 결합될 턱(230)을 형성하고, 주선(220)과 상·하인방(200, 2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재(300)를 끼워 넣고, 다음에 열반사단열재(400)를 실외 쪽에 설치한다. 열반사단열재(400)도 한장으로 형성된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어서 설치할 중깃(50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중깃(500) 사이에 맞는 것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벽체구조가 넓은 경우에는 중깃(500)을 설치하는데, 중깃(500)을 설치할 경우에는 미리 상인방(200)과 하인방(210)에 중깃(500)을 설치할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중깃(5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판넬(600)이 결합되는 선을 따라 세로로 설치된다.
이어서, 미리 모서리에 요철(凹凸)과 주선(220)과 상인방(200)과 하인방(210)에 형성된 턱(230)에 결합될 결합부(620)가 형성된 벽판넬(600)을 실외측과 실내측 아래쪽 모서리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결합한다.
벽판넬(600)의 결합이 완성되면 드릴이나 송곳을 사용하여 벽판넬(600)의 가운데에 있는 결합구멍(610)을 통하여 단열재(300)와 열반사단열재(400)을 관통하는 구멍을 뚫고 볼트(700)와 너트(710)를 결합구멍(610)에 넣고 조여 벽판넬(600)을 차례로 결합한 다음 결합구멍(610)을 마감구(800)를 끼워넣으면 조립식 벽체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원발명의 조립식 벽체는 한옥의 고질적인 결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실내외의 열을 차단하여 웃풍과 결로현상을 없애고, 실내외의 소음과 습기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옥벽의 시공시 초벌, 재벌, 정벌을 위해 최소 10일 이상이 걸리던 시공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경량의 소재로, 조립과 재설치가 간단하여 창문 위치를 옮긴다거나 벽의 형태를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으며, 하인방의 부식시 하인방의 교체가 용이하고, 벽체의 구조물이 규격화되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한옥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옥의 벽체 구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조립식 벽체구조 100 : 초석
150 : 기둥 200 : 상인방
210 : 하인방 220 : 주선(벽선)
230 : 턱 300 : 단열재
400 : 열반사단열재 500 : 중깃
600 : 벽판넬 610 : 결합구멍
620 : 결합부 630 : 요철부
700 : 볼트 710 : 너트
800 : 마감구

Claims (4)

  1. 한옥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진 목재 기둥(150)의 사이에 가로로 설치된 상·하인방(200, 210)과 세로로 설치된 주선(220), 벽선 또는 문선 사이에 설치되는 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구조의 가운데에 한 장으로 설치되는 단열재(300);
    상기 단열재(300)의 양측에 설치되고,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하기 위해 주변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결합구멍(610)이 형성된 다수의 벽판넬(600);
    상기 단열재(300)와 상기 단열재(300)의 양면에 설치된 벽판넬(600)을 상기 결합구멍(610)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700)와 너트(710); 및
    상기 벽판넬(6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구멍(610)을 막기 위한 다수의 마감구(8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구조의 외부에 있는 주선(220), 벽선 또는 문선에는 상기 벽판넬(600)과 결합하기 위한 턱(230)이 형성되며, 턱(230)에 결합되는 벽판넬(600)의 모서리에는 결합부(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300)와 실외측 벽판넬(600) 사이에 열반사단열재(4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단열재(400)와 인접하는 벽판넬(600) 사이에는 상·하에 있는 인방에 결합되어 세로로 설치되는 다수의 중깃(50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깃(500)은 그 단면도가 "ㅗ"형 또는 "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KR1020140011307A 2014-01-29 2014-01-29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KR10155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07A KR101553139B1 (ko) 2014-01-29 2014-01-29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07A KR101553139B1 (ko) 2014-01-29 2014-01-29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549A true KR20150091549A (ko) 2015-08-12
KR101553139B1 KR101553139B1 (ko) 2015-09-14

Family

ID=5405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07A KR101553139B1 (ko) 2014-01-29 2014-01-29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26A (ko) 2018-02-26 2019-09-04 이종은 조립식 아치보 한옥
KR102104929B1 (ko) 2018-11-27 2020-04-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이프형 내압시험용 챔버장치
KR102291782B1 (ko) 2020-11-27 2021-08-19 문병준 차량용 연마제 리사이클 장치 및 차량용 연마제 리사이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308B1 (ko) * 2017-11-28 2020-03-20 (주) 에스와이씨 복합단열패널의 횡력보강 시공방법
KR102037090B1 (ko) * 2017-11-28 2019-10-28 (주)에스와이씨 조립형 연결유닛을 이용한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58B1 (ko) 2009-08-03 2009-12-30 임정택 철골구조가 적용된 한식 건축물과 그 건축방법
KR101160203B1 (ko) * 2010-08-09 2012-06-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한옥 축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26A (ko) 2018-02-26 2019-09-04 이종은 조립식 아치보 한옥
KR102104929B1 (ko) 2018-11-27 2020-04-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이프형 내압시험용 챔버장치
KR102291782B1 (ko) 2020-11-27 2021-08-19 문병준 차량용 연마제 리사이클 장치 및 차량용 연마제 리사이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139B1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139B1 (ko) 한옥의 조립식 벽체구조
US9322181B2 (en) Simulated log siding
US20160258152A1 (en) Geodesic Dome using pre-casted panels of Magnesium-Phosphate ceramic cement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hubs.
ES2744234T3 (es) Elemento modular y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para la construcción de edificaciones a partir de una pluralidad de elementos modulares
CN203977765U (zh) 预制装配式装饰一体保温外墙板
CN205444569U (zh) 钢结构装配式eps模块夹心保温复合墙体
CN107143153A (zh) 一种装配式抗震节能藏式民居体系及其建造方法
CN201228458Y (zh) 安全抗震活动房
Kozlovská et al. Methodology of cost parameter estimation for modern methods of construction based on wood
CN207063582U (zh) 一种装配式抗震节能藏式民居体系
KR101053198B1 (ko) 통나무 목재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
CN110512900B (zh) 一种装配式绿色藏族碉房及其建造方法
ES2336528B2 (es) Pared arquitectonica para casas prefabricadas.
CN208870204U (zh) 带门洞口的ncclt保温板
JPH02104841A (ja) 断熱ボードとこれを使用した空気貫流方式木造住宅並びに入隅,出隅部コーナーピース
CN211691624U (zh) 一种装配式绿色藏族碉房
KR101692583B1 (ko) 전통 목조건축물의 황토벽체 시공방법
CN110158775A (zh) 一种变电站装配式一体化警卫室及其制作方法
CN208309855U (zh) 保温板与基础连接节点
CN108204057A (zh) Ncclt保温板及其墙板与屋面板的连接方法
KR102618834B1 (ko) 모듈형 당골막이 및 서까래 조립체
CN213539385U (zh) 一种轻钢房屋的墙体
RU105652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варианты)
CN206245579U (zh) 一种建筑夹心复合墙板
CN207296613U (zh) 一种建筑蜂巢复合围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