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969B1 -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 Google Patents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969B1
KR102053969B1 KR1020180034452A KR20180034452A KR102053969B1 KR 102053969 B1 KR102053969 B1 KR 102053969B1 KR 1020180034452 A KR1020180034452 A KR 1020180034452A KR 20180034452 A KR20180034452 A KR 20180034452A KR 102053969 B1 KR102053969 B1 KR 10205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
busbar
control panel
fixing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445A (ko
Inventor
최이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6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한 쌍의 포스트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격벽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 모듈은, 한 쌍의 포스트와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한 쌍의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수직 모선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PARTITION WALL FOR FIXING BUSBAR OF 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 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이란,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제어설비들이 내장된 판낼이다.
이와 같은 전동기 제어반에는, 전력의 전달을 위한 주회로로서, 동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도체 재질로 성형되는 모선(Bus bar)이 구비된다. 상기 모선은, 수평 모선과 수직 모선으로 구분되고, 에폭시와 같은 절연 재질로 성형되는 애자(Insulator)나 폴리에스테르나 유리섬유와 같은 절연 재질로 성형되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전동기 제어반의 프레임에 지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내부가 도시된 측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기 제어반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선 조립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선 조립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제어반(1)은 외함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다수의 MCC유닛(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MCC 유닛(2)의 프론트 커버(3)에는 손잡이 및 잠금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렌치 등의 록킹 기구를 상기 잠금 조작부에 삽입하여 MCC 유닛(2)을 잠금/잠금해제 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를 당겨 잠금해제된 MCC 유닛(2)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각 MCC 유닛(2)은 후방으로 돌출된 접속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속 단자는 수평 모선(10)에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으며, 수평 모선(10)은 연결 도체(9)를 통해 수직 모선(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모선(7)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 모선(7)에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일례로, 수직 모선(7)은 4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 수직 모선(7)은 r, s, t, n 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모선(7) 사이에서는 각 상의 전자 반발력이 작용하고 상기 전자 반발력으로 인한 수직 모선(7)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수직 모선(7)은 클램프(6)에 의해 프레임(4)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6)는 수직 모선(7)을 기설정된 높이에서 각각 지지하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클램프(6)는 수직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클램프(6)가 수직 모선(7)을 장착하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례로 선행문헌 KR 20-0480163 Y1에 개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클램프(6)에 수직 모선(7)이 안착되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수직 모선(7)은 클램프(6)의 전방에서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포스트(5)를 포함하고, 각 클램프(6)의 양 단부는 포스트(5)에 체결될 수 있다. 포스트(5)에는 클램프 체결공(5A)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는 클램프 체결공(5A)과 클램프(6)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에는 복수개의 베리어(8)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베리어(8)는 일 클램프(6)와 그와 인접한 타 클램프(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8)는 대략 수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각 수직 모선(7)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8)는 프레임(4)의 후방에서부터 일 클램프(6)와 타 클램프(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모선(7)은 후방에 대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각 베리어(8)에는 단일의 연결도체(9)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베리어(8)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수직 모선(7)의 후방에 위치하는 취약부(8A)가 형성될 수 있다. 각 베리어(8)에 형성된 취약부(8A)는 수직 모선(7)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개의 취약부(8A) 중 수평 모선(10)과 연결할 수직 모선(7)의 후방에 위치한 취약부(8A)를 부숴 개방부(8B)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개방부(8B)에 연결도체(9)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일부 베리어(6)에는 연결도체(9)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베리어(8)의 취약부(8A)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도체(9)는 베리어(8)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수직 모선(7)과 수평 모선(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수평 모선(10)은 베리어(8)의 후방에서 연결 도체(9)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는 연결 도체(9)의 체결공(9A)과 수평 모선(10)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각 수평 모선(1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수직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수평 모선(10)은 전후 방향으로 일 클램프(6)와 그와 인접한 타 클램프(6)의 사이 공간과 오버랩될 수 있다.
수평 모선(10)은 각 상에 맞게 수직 모선(7)과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 모선(10)의 단락 용량에 알맞은 지지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평 모선(10)은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11) 및 제2수평모선 고정부재(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11) 및 제2수평모선 고정부재(12)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11)는 수평 모선(10)의 후방에서 수평 모선(1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제2수평모선 고정부재(12)는 수평 모선(10)의 전방에서 수평 모선(10)을 고정할 수 있다.
수직 모선(7) 및 프레임(4)은 전동기 제어반(1)의 양 측면중 일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11)는 상기 일 측면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11)는 수직모선(7) 및 클램프(6)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제2수평모선 고정부재(12)는 상기 일 측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수평모선 고정부재(12)는 수직모선(7) 및 클램프(6)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프레임(4)에 클램프(6) 및 수직 모선(7)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베리어(8)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상대적으로 복잡하였다. 따라서 조립 시간이 길어지고 조립 난이도가 상승하며,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도체(9)를 조립하기 위해 작업자가 취약부(8A)를 직접 부숴 개방부(8B)를 형성해야 해서 개방부(8B)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취약부(8A)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까지 파손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베리어(8)가 한 쌍의 수평한 클램프(6)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베리어(8)와 클램프(6) 사이에 수평방향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었고 상기 간극을 통해 아크가 확산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즉, 확실한 아크 프루프 존이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평 모선을 고정하기 위해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11)이 필요하였고, 제1수평 모선 고정부재(11)가 수직 모선(7) 및 클램프(6)의 후방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조립하기 어려웠으며, 제1수평 모선 고정부재(11)가 일 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일 측면부터 전동기 제어반(1)의 내부로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80163 Y1 (2016.04.12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포스트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격벽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모듈은, 상기 한 쌍의 포스트와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수직 모선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요철부와 치합되는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제2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철부 및 제2요철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 중 일 안착홈과 상기 일 안착홈과 이웃한 타 장착공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은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격벽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 중 일 안착홈과 오버랩되며 상기 일 안착홈에 안착되는 수직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 상기 연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평 모선을 고정시키는 수평모선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모선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 중 일 날개부와 상기 일 날개부에 가장 인접한 안착홈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복수개의 체결공; 및 상기 체결공과 이격되고 상기 체결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도체가 장착되는 연결도체 장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격벽 모듈이 적층되어 조립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구성이 간단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격벽 모듈은 수직 모선의 고정뿐만 아니라 베리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별도의 베리어 없이도 수직 모선과 수평 모선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 격벽 모듈에 형성된 제1요철부와 타 격벽 모듈에 형성된 제2요철부가 치합되어 아크가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격벽 모듈에 연결도체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별도로 후가공 및 조립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격벽 모듈에 수평 모선 고정부가 형성되므로 종래의 제1수평모선 고정부재가 불필요하여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조립 난이도가 낮아지며 전동기 제어반 내부로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내부가 도시된 측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기 제어반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의 모선 조립 구조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선 조립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선 조립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격벽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 모듈간의 결합을 도시한 확대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이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동기 제어반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표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격벽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 모듈간의 결합을 도시한 확대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이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동기 제어반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후방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표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전동기 제어반(15)은 외함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다수의 MCC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MCC 유닛(16)의 프론트 커버(17)에는 손잡이 및 잠금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렌치 등의 록킹 기구를 상기 잠금 조작부에 삽입하여 MCC 유닛(16)을 잠금/잠금해제 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를 당겨 잠금해제된 MCC 유닛(16)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각 MCC 유닛(16)은 후방으로 돌출된 접속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속 단자는 수평 모선(18)에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다.
수평 모선(18)은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20)(이하 모선 고정용 격벽으로 명명)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선 고정용 격벽(20)의 전방에서 고정된 수직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모선 고정용 격벽(20)의 상세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선 고정용 격벽(20)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포스트(22)를 포함하는 프레임(21); 및 상기 한 쌍의 포스트(21)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격벽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포스트(2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 격벽 모듈(30)은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포스트(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일 격벽 모듈의 상면은 상기 일 격벽 모듈(30)의 상측에 위치한 타 격벽 모듈의 저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격벽 모듈(30)이 서로 이격된 경우와 비교하면 상기 일 격벽 모듈과 상기 타 격벽 모듈의 사이에 별도의 베리어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격벽 모듈(30)은 프레임(21), 좀 더 상세히는 한 쌍의 포스트(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 모듈(3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격벽 모듈(30)의 전방에서 조립되는 수직 모선(미도시)과 격벽 모듈의 후방에서 조립되는 수평 모선(18)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상을 갖는 복수개의 수직 모선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각 격벽 모듈(30)은, 한 쌍의 포스트(22)와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31); 및 한 쌍의 날개부(31)의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수직 모선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3)이 형성된 바디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1)는 격벽 모듈(3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며, 바디부(3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은 포스트(22)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날개부(31)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체결공(35)이 형성될 수 있고, 포스트(22)에는 포스트 체결공(35)에 대응되는 날개부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포스트 체결공(35)과 상기 날개부 체결공을 함께 관통하여 날개부(31)를 포스트(22)와 체결시킬 수 있다.
바디부(32)는 한 쌍의 날개부(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부(32)의 전후방향 두께(t2)는 날개부(31)의 전후방향 두께(t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바디부(32)에는 복수개의 안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33)은 바디부(3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안착홈(33)은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안착홈(33)에는 복수개의 수직 모선(미도시)이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안착홈(33)의 전후방향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는 수직 모선의 전후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안착홈(33)의 좌우방향 폭은 수직 모선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각 수직 모선은 안착홈(33)에 끼워져 안착되며 복수개의 수직 모선간의 절연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32)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안착홈(33)과 연통된 복수개의 체결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등의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공(34)과 안착홈(33)에 안착된 수직 모선을 관통하여 수직 모선과 바디부(32)를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격벽 모듈(3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요철부(4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복수개의 제2요철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디부(3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요철부(4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복수개의 제2요철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요철부(41)와 제2요철부(42)는 서로 치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요철부(41)와 제2요철부(42)는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즉, 제1요철부(41)와 제2요철부(4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격벽 모듈(30)의 제1요철부(41)와 상기 일 격벽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격벽 모듈(30)의 제2요철부(42)는 서로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격벽 모듈(30)의 제2요철부(42)와 상기 일 격벽 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격벽 모듈(30)의 제1요철부(41)는 서로 치합될 수 있다.
제1요철부(41)와 제2요철부(42)의 치합에 의해 복수개의 격벽 모듈(30)의 조립 시 얼라인먼트의 틀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일 격벽 모듈(30)과 타 격벽 모듈(30)이 적층될 경우, 공차 등의 이유로 인해 상기 일 격벽 모듈(30)과 상기 타 격벽 모듈(30)의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1요철부(41) 및 제2요철부(42)가 없다면 상기 간극은 수평하게 형성되므로 일 수직 모선에서 아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아크가 상기 간극을 통해 타 수직 모선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제1요철부(41) 및 제2요철부(4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33) 중 일 안착홈과 상기 일 안착홈과 이웃한 타 안착홈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간극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평하지 않고 다소 복잡한 경로를 형성하며, 제1요철부(41) 및 제2요철부(42)가 아크의 확산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요철부(41)와 제2요철부(42)는 함께 일종의 아크 프루프 존(Ark-proof zone)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요철부(41)와 제2요철부(42)에 의해 일 수직 모선과 타 수직모선 사이의 연면거리가 보다 증가되므로 절연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격벽 모듈(30) 중 적어도 일부는 연결 도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선 고정용 격벽(20)에 포함되는 격벽 모듈(30) 중 일부만이 연결 도체(5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선 고정용 격벽(20)에 포함되는 모든 격벽 모듈(30)이 연결 도체(5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격벽 모듈(30) 중 연결 도체(50)를 포함하지 않는 격벽 모듈을 제1격벽모듈(30A)로 명명할 수 있고, 연결 도체(50)를 포함하는 격벽 모듈을 제2격벽 모듈(30B)로 명명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격벽 모듈(30A)과 제2격벽 모듈(30B)을 필요에 따라 적층시켜 모선 고정용 격벽(20)을 조립할 수 있다. 제1격벽 모듈(30A)과 제2격벽 모듈(30B)의 구성은 연결도체(50) 및 연결도체 장착공(37)을 제외하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2격벽 모듈(30B)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체(5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도체(50)는 바디부(32)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33) 중 일 안착홈(33)과 오버랩되며, 상기 일 안착홈(33)에 안착되는 수직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도체(50)는 수직 모선과 수평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결 도체(50)는 안착홈(33)에 안착된 수직 모선과 격벽 모듈(30)의 후방에 위치한 수평 모선(18)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격벽모듈(30), 좀 더 상세히는 제2격벽 모듈(30B)의 바디부(32)에는 연결도체(50)가 장착되는 연결도체 장착공(37)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도체 장착공(37)은 제2격벽 모듈(30B)의 사출 금형시 코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도체 장착공(37)은 제2격벽 모듈(30B)의 제조 단계에서 형성되는 것이며 작업자가 모선 고정용 격벽의 조립과정에서 가공하는 구성이 아닐 수 있다.
연결도체 장착공(37)의 직경은 바디부(32)에 형성된 체결공(3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연결도체 장착공(37)은 체결공(34)과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안착홈(33)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수직 모선에는 서로 다른 상(예를 들어, r, s, t, n)의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각 수평 모선(18)은 상기 복수개의 수직 모선 중 필요한 상의 전류가 흐르는 수직 모선에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개의 격벽 모듈(3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특정 높이에 위치한 수평 모선에 연결되어야 하는 상의 전류가 흐르는 수직 모선과 연결되는 연결 도체(50)가 구비된 제2격벽 모듈(30B)을 해당 높이에 적층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필요한 위치에 직접 연결도체 장착공(37)을 가공하고 연결도체(50)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한 위치에 연결 도체(50)가 기 구비된 제2격벽 모듈(30B)을 해당 높이에 적층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격벽 모듈(30)에는 연결 도체(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평 모선(13)을 고정시키는 수평모선 고정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평 모선 고정부(36)는 바디부(32)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모선 고정부(36)는 제2격벽 모듈(30B) 뿐 아니라 제1격벽 모듈(30A)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평 모선 고정부(36)의 구성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수평 모선 고정부(36)는 인서트(insert)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모선 고정부(36)는 전후 방향으로 안착홈(33)과 논 오버랩될 수 있다.
수평 모선 고정부(36)는 한 쌍의 날개부(31) 중 일 날개부(31)와 상기 일 날개부(31)에 가장 인접한 안착홈(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수평 모선 고정부(36)는 우측 날개부와, 우측 날개부에 가장 가까운 안착홈(3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모선 고정부(36)에는 수평 모선(1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수평 모선(10)의 반대편은 수평모선 고정부재(1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평모선 고정부재(19)는 모선 고정용 격벽(20)과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평모선 고정부재(19)는 모선 고정용 격벽(20)의 유지 보수에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수평 모선 고정부(36)에 의해, 격벽 모듈(30)의 후방에서 수평 모선(18)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이로써 모선 고정용 격벽(20)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조립 난이도가 낮아지며 전동기 제어반(15) 내부로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모선 고정용 격벽 21: 프레임
22: 포스트 30: 격벽 모듈
31: 날개부 32: 바디부
33: 안착홈 34: 체결공
35: 포스트 체결공 36: 수평모선 고정부
37: 연결도체 장착공 41: 제1요철부
42: 제2요철부 50: 연결 도체

Claims (9)

  1.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포스트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격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모듈은,
    상기 한 쌍의 포스트와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수직 모선이 각각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요철부와 치합되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격벽 모듈 중 일 격벽 모듈에 형성된 상기 제1요철부는, 상기 일 격벽 모듈의 상측에 적층된 타 격벽 모듈에 형성된 상기 제2요철부에 치합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철부 및 제2요철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 중 일 안착홈과 상기 일 안착홈과 이웃한 타 안착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은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격벽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안착홈 중 일 안착홈과 오버랩되며, 상기 일 안착홈에 안착되는 수직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도체를 더 포함하는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상기 연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평 모선을 고정시키는 수평모선 고정부가 형성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모선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 중 일 날개부와 상기 일 날개부에 가장 인접한 안착홈의 사이에 위치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복수개의 체결공; 및
    상기 체결공과 이격되고 상기 체결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 도체가 장착되는 연결도체 장착공이 형성된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KR1020180034452A 2018-03-26 2018-03-26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KR10205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52A KR102053969B1 (ko) 2018-03-26 2018-03-26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52A KR102053969B1 (ko) 2018-03-26 2018-03-26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45A KR20190112445A (ko) 2019-10-07
KR102053969B1 true KR102053969B1 (ko) 2019-12-09

Family

ID=6842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52A KR102053969B1 (ko) 2018-03-26 2018-03-26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9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8562A (ja) 2005-02-23 2006-09-07 Nitto Electric Works Ltd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0917668B1 (ko) *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722474B1 (ko) * 2016-07-29 2017-04-03 주식회사 피닉스 단락강도가 강화되고 구성이 자유로운 수직모선의 부스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322A (ja) * 1996-06-03 1997-12-12 Yaskawa Electric Corp 垂直母線の取付け方法
KR200480163Y1 (ko) 2011-12-30 2016-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저압 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8562A (ja) 2005-02-23 2006-09-07 Nitto Electric Works Ltd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0917668B1 (ko) *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722474B1 (ko) * 2016-07-29 2017-04-03 주식회사 피닉스 단락강도가 강화되고 구성이 자유로운 수직모선의 부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45A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813B2 (en) Modular insulation system
US4079439A (en) Loadcenter having a dual purpose neutral rail
US2766405A (en) Panel board bus arrangement and circuit breaker mounting base
EP2903015B1 (en) Circuit breaker
KR100964068B1 (ko)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JP7149773B2 (ja) 低電圧配電盤用キャビネット内の、コンパートメントを仕切ってバスバーを支持する装置
US9608414B2 (en) Rack positioning assembly for an electric panel, electric panel comprising one such assembly and method for fitting this assembly
US3786313A (en) Panelboard assembly with improved support means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2053969B1 (ko) 전동기 제어반 모선 고정용 격벽
KR101257240B1 (ko)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EP3382832A1 (en) Power bus connection system with fusible conductive material
KR20090062631A (ko)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US20060121796A1 (en) Electric phase bus bar
CN210325662U (zh) 一种电源连接机构及塑壳断路器
US7224577B2 (en) Mounting plate system
KR200480163Y1 (ko) 저압 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구조
JP2008295124A (ja) 配電盤
CN218498630U (zh) 一种低压配电盒
JP6628590B2 (ja) スイッチギヤ
US20060118320A1 (en) Alignment arrangement for a circuit breaker cradle
WO2021006108A1 (ja) 電気接続箱
JPH0516804Y2 (ko)
JP4598376B2 (ja) 幹線分岐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