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835B1 -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835B1
KR102053835B1 KR1020180021617A KR20180021617A KR102053835B1 KR 102053835 B1 KR102053835 B1 KR 102053835B1 KR 1020180021617 A KR1020180021617 A KR 1020180021617A KR 20180021617 A KR20180021617 A KR 20180021617A KR 102053835 B1 KR102053835 B1 KR 10205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locking
protrusion
sliding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536A (ko
Inventor
이준구
심정식
Original Assignee
이준구
심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구, 심정식 filed Critical 이준구
Priority to KR102018002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8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쿠션부를 등받이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승하강시켜 기존 헤드레스트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금속봉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삽입부가 슬라이딩요입부에 삽입된 후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이동시키며, 삽입걸림부의 내측에 요입홈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가 무분별하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요입홈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돌기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 Sliding headrest for office chair }
본 발명은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헤드레스트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금속봉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헤드쿠션부를 등받이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승하강시키고, 헤드레스트가 무분별하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삽입걸림부의 내측에 요입홈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요입홈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몸을 뒤로 기댈 수 있도록 하거나,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착석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책상에서 각종 작업을 할 경우 신체를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신체 거치수단이다.
이러한 의자는 통상적으로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뒷편에 세워져 장착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는 착석자 둔부의 형상에 따라 중앙이 오목한 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등받이부재는 착석자의 등부위를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착석자가 착석 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부에 머리를 기대어 쉴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장착하여 착석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구조에 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99207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문헌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에 고정되는 U자형 지지봉(2)과, 등받이부재(3)의 배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과, 상기 지지봉(2)에 밀착되는 고정편(5)과, 상기 고정편(5)을 고정하는 조절노브(6)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2)의 외부면을 상기 고정편(5)으로 밀착하여 상기 등받이부재(3)에 결합하되, 상기 조절노브(6)를 작용시켜 상기 지지봉(2)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수직으로 승하강되기 위하여 등받이부재(3)의 후면에 구비된 조절노브(6)를 작용시켜야 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시 부가적인 조작 즉, 상기 조절노브(6)의 조작이 동반되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키가 커서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킬 경우 키가 작은 또 다른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뒤머리부분이 상기 지지봉(2)에 위치하는 것으로 머리를 받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어 휴식 중에 목부분의 피로감이 발생하고 목이 결리는 등의 통증을 유발하여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쿠션부를 등받이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승하강시켜 기존 헤드레스트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금속봉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삽입부가 슬라이딩요입부에 삽입된 후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이동시키며, 삽입걸림부의 내측에 요입홈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헤드레스트가 무분별하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요입홈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돌기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는 사무의자용 등받이부재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헤드레스트로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는 사각쿠션형상의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의 배면에 상기 등받이부재의 정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로 이루어진 헤드쿠션부와; 상기 등받이부재의 정면에 매립된 사각형상의 삽입본체와, 상기 삽입본체의 정면에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삽입돌부와, 상기 삽입돌부의 양측면에 정해진 폭으로 연장된 삽입걸림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부착된 사각형상의 요입본체와, 상기 요입본체의 배면에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요입돌부와, 상기 요입돌부의 하면에 상기 삽입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요입홈과, 상기 요입돌부의 중심면에 상기 삽입돌부가 이동되도록 절개된 이동절개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요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헤드쿠션부가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쿠션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돌부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본체가 상기 등받이부재에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천공부인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는 상기 등받이부재로 체결된 다수개의 결합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걸림부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걸림부가 상기 요입홈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요입홈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두께로 연장된 판스프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부는 상기 걸림돌기의 탄성력이 증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홈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요입본체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홈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삽입걸림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삽입유도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걸림홈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차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홈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삽입걸림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삽입유도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드쿠션부가 등받이부재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됨으로써, 기존 헤드레스트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헤드레스트의 하부에 금속봉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형퀄리티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전방은 밀폐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요입된 요입홈과 그 요입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삽입부가 슬라이딩요입부에 삽입된 후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이동시킬 수 있어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생산단가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셋째, 쿠션본체의 상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쿠션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본체가 한계지점으로 하강된 경우 쿠션걸림부가 등받이부재의 상면에 걸려 계속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쿠션본체의 하부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삽입걸림부의 내측에 요입홈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헤드레스트가 등받이부재에서 승하강될 경우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헤드레스트의 하중에 의하여 무분별하게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걸림돌기의 상하부에 정해진 두께로 연장된 판스프링부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돌기의 마찰력이 무분별하게 강하게 발생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어, 헤드레스트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여섯째, 요입홈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요입부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일곱째, 요입홈의 내측면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삽입유도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삽입걸림부의 최초 삽입시 진입로 즉, 요입홈의 간격을 증가시켜 삽입걸림부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여덜째. 걸림홈의 상하부에 걸림홈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차단턱을 형성함으로써, 걸림홈에 안착된 걸림돌기가 또 다른 걸림홈으로 넘어갈 경우 그 한계점에 형성된 걸림돌기차단턱으로 인하여 쉽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충격에도 원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 확대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유도경사면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돌기차단턱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의자(C)용 등받이부재(3)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헤드레스트(1)로서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부에 안착되는 사각쿠션형상의 쿠션본체(11)와, 상기 쿠션본체(11)의 배면에 상기 등받이부재(3)의 정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12)로 이루어진 헤드쿠션부(10)와; 상기 등받이부재(3)의 정면에 매립된 사각형상의 삽입본체(21)와, 상기 삽입본체(21)의 정면에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삽입돌부(22)와, 상기 삽입돌부(22)의 양측면에 정해진 폭으로 연장된 삽입걸림부(23)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삽입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12)에 부착된 사각형상의 요입본체(31)와, 상기 요입본체(31)의 배면에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요입돌부(32)와, 상기 요입돌부(32)의 하면에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요입홈(33)과, 상기 요입돌부(32)의 중심면에 상기 삽입돌부(22)가 이동되도록 절개된 이동절개부(34)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요입부(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돌부(22)와 요입돌부(32)는 한 개 이상 즉, 다수개의 구성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삽입부(20)와 슬라이딩요입부(30)가 결합된 후 비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본체(11)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헤드쿠션부(10)가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쿠션걸림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부(22)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본체(21)가 상기 등받이부재(3)에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천공부인 볼트공(2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24)에는 상기 등받이부재(3)로 체결된 다수개의 결합볼트(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걸림부(23)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상기 요입홈(33)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31)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31)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두께로 연장된 판스프링부(232)가 형성된다.
한편, 삽입걸림부(23)의 내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31)와 판스프링부(232)가 연결되어 상기 걸림돌기(231)가 정면 또는 배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정해진 면적의 천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부(232)의 일단부는 상기 천공부(미도시)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부(232)는 상기 걸림돌기(231)의 탄성력이 증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판스프링(23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요입본체(31)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35)은 상기 걸림돌기(231)가 탄성적으로 밀려 빠지거나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삽입유도경사면(3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35)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31)가 상기 걸림홈(35)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걸림홈(35)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차단턱(35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차단턱(351)은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는 사무의자(C)용 등받이부재(3)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헤드레스트(1)이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사각쿠션형상의 헤드쿠션부(10)가 구비되되, 상기 헤드쿠션부(10)의 배면에 상기 등받이부재(3)의 정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쿠션부(10)가 상기 등받이부재(3)에서 슬라이딩되며 승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1)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재(3)의 정면에 매립된 사각형상의 슬라이딩삽입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12)에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삽입부(20)가 삽입체결되는 슬라이딩요입부(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1)를 상기 등받이부재(3)에서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헤드쿠션부(10)가 등받이부재(3)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됨으로써, 기존 헤드레스트(1)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헤드레스트(1)의 하부에 금속봉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퀄리티를 대폭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본체(21)에는 상기 삽입돌부(22)의 양측면에 정해진 폭으로 연장된 삽입걸림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본체(31)에는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요입홈(3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상기 요입홈(33)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본체(21)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본체(11)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헤드쿠션부(10)가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쿠션걸림부(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쿠션본체(11)의 하강시 한계지점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쿠션걸림부(13)가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면에 걸려 계속 하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걸림부(23)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상기 요입홈(33)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1)가 등받이부재(3)에서 승하강될 경우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헤드레스트(1)가 하중에 의하여 무분별하게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31)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31)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두께로 연장된 판스프링부(2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231)의 마찰력이 무분별하게 강하게 발생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3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요입부(3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삽입유도경사면(3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걸림부(23)의 최초 삽입시 진입로 즉, 요입홈(33)의 간격을 증가시켜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35)의 상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31)가 상기 걸림홈(35)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걸림홈(35)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차단턱(35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홈(35)으로 안착된 걸림돌기(231)가 또 다른 걸림홈(35)으로 넘어갈 경우 그 한계점에 형성된 걸림돌기차단턱(351)으로 인하여 쉽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C : 사무의자 1 : 헤드레스트
3 : 등받이부재 10 : 헤드쿠션부
11 : 쿠션본체 12 : 슬라이딩부
13 : 쿠션걸림부 20 : 슬라이딩삽입부
21 : 삽입본체 22 : 삽입돌부
23 : 삽입걸림부 231 : 걸림돌기
232 : 판스프링부 233 : 경사판스프링
24 : 볼트공 25 : 결합볼트
30 : 슬라이딩요입부 31 : 요입본체
32 : 요입돌부 33 : 요입홈
331 : 삽입유도경사면 34 : 이동절개부
35 : 걸림홈 351 : 걸림돌기차단턱

Claims (8)

  1. 사무의자(C)용 등받이부재(3)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헤드레스트(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부에 안착되는 사각쿠션형상의 쿠션본체(11)와, 상기 쿠션본체(11)의 배면에 상기 등받이부재(3)의 정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12)로 이루어진 헤드쿠션부(10)와;
    상기 등받이부재(3)의 정면에 매립된 사각형상의 삽입본체(21)와, 상기 삽입본체(21)의 정면에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삽입돌부(22)와, 상기 삽입돌부(22)의 양측면에 정해진 폭으로 연장된 삽입걸림부(23)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삽입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12)에 부착된 사각형상의 요입본체(31)와, 상기 요입본체(31)의 배면에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요입돌부(32)와, 상기 요입돌부(32)의 하면에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요입홈(33)과, 상기 요입돌부(32)의 중심면에 상기 삽입돌부(22)가 이동되도록 절개된 이동절개부(34)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요입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쿠션본체(11)의 상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재(3)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헤드쿠션부(10)가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쿠션걸림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부(22)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본체(21)가 상기 등받이부재(3)에 결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볼트공(2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24)에는 상기 등받이부재(3)로 체결된 다수개의 결합볼트(25)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걸림부(23)의 내측에는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3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31)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31)가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정해진 두께로 연장된 판스프링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부(232)는 상기 걸림돌기(231)의 탄성력이 증가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판스프링(2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요입본체(31)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걸림홈(3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5)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31)가 상기 걸림홈(35)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걸림홈(35)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차단턱(351)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33)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삽입걸림부(23)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삽입유도경사면(3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21617A 2018-02-23 2018-02-23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10205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7A KR102053835B1 (ko) 2018-02-23 2018-02-23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7A KR102053835B1 (ko) 2018-02-23 2018-02-23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36A KR20190101536A (ko) 2019-09-02
KR102053835B1 true KR102053835B1 (ko) 2019-12-09

Family

ID=6795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17A KR102053835B1 (ko) 2018-02-23 2018-02-23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0564A1 (de) * 2020-09-17 2022-03-23 Sedus Stoll AG Gepolstertes sitzmö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lageelements für ein sitzmöbel sowie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r sitzkontur eines solchen sitzmöbels
WO2024014750A1 (ko) * 2022-07-12 2024-01-18 주식회사 시디즈 헤드레스트 높이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8491B4 (de) * 2020-03-27 2023-05-25 Recaro Gaming Gmbh & Co. Kg Höhenverstellbares Nackenstütz-System für einen Gaming-Stuh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812A (ja) * 2002-09-05 2004-04-02 A-Dec Inc ヘッドレスト支持及び調節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119B1 (ko) * 2011-06-01 2013-11-15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20130007300U (ko) * 2012-06-13 2013-12-23 (주) 엑토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812A (ja) * 2002-09-05 2004-04-02 A-Dec Inc ヘッドレスト支持及び調節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0564A1 (de) * 2020-09-17 2022-03-23 Sedus Stoll AG Gepolstertes sitzmö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lageelements für ein sitzmöbel sowie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r sitzkontur eines solchen sitzmöbels
WO2024014750A1 (ko) * 2022-07-12 2024-01-18 주식회사 시디즈 헤드레스트 높이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36A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835B1 (ko)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US6994400B2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depth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US6824218B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JP2014004673A (ja) 交叉リンク昇降台
US10383448B1 (en) Forward tilt assembly for chair seat
KR102047770B1 (ko) 간편 조절 팔걸이
KR102028263B1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015416B1 (ko)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1232825B1 (ko) 의자
KR20150004485U (ko)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JP2012016469A (ja) 簡易便器
KR200437376Y1 (ko) 의자용 요추받이의 높낮이 조절구조
EP1716786A1 (en) Chair or armchair with adjustable headrest.
KR102041978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KR200469537Y1 (ko)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KR101378063B1 (ko)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101235147B1 (ko) 의자 머리받침장치
KR101282481B1 (ko)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JP4759128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KR102258600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1802491B1 (ko) 의자
KR20042628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1995570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