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37Y1 -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37Y1
KR200469537Y1 KR2020110011436U KR20110011436U KR200469537Y1 KR 200469537 Y1 KR200469537 Y1 KR 200469537Y1 KR 2020110011436 U KR2020110011436 U KR 2020110011436U KR 20110011436 U KR20110011436 U KR 20110011436U KR 200469537 Y1 KR200469537 Y1 KR 200469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locking member
lumbar support
bracke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973U (ko
Inventor
김선규
Original Assignee
김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규 filed Critical 김선규
Priority to KR2020110011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3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 형성된 브래킷의 걸림부재와 조립되는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를 형성하되,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에는 브래킷의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요입홈과, 상기 걸림부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한 후,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는 브래킷의 걸림부재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의자에 앉아서 작업시 요추부분을 일정 힘으로 압박하도록 하여 요추의 부담을 줄이도록 구성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BACK OF CHAIR HAVING LUMBAR SUPPORT}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 형성된 브래킷의 걸림부재와 조립되는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를 형성하되,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에는 브래킷의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요입홈과, 상기 걸림부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한 후,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는 브래킷의 걸림부재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의자에 앉아서 작업시 요추부분을 일정 힘으로 압박하도록 하여 요추의 부담을 줄이도록 구성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나 사무관련 직장인들이 하루에 의자에 앉아서 보내는 시간은 하루중 거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이며 다른 사람들도 적게는 수시간을 의자에서 생활할 정도로 현대인들에게 의자에서의 생활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올바른 자세로 앉도록 하는 습관은 장시간 의자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특히 척추나 요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각종 의자를 제작하는 곳에서는 인체 공학적으로 척추 및 요추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디자인의 개선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체 공학적인 설계로 이루어진 의자의 대부분은 허리 부분이 돌출 굴절되어 단순히 요추 또는 요추상부를 받치도록 하는 디자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허리를 꼿꼿이 편 올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도록 유도하는 디자인으로 학생 등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많은 호응을 얻고 있으나 각 직장으로는 이러한 의자의 보급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자는 휴식을 위하여 의자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에 기대고 뒤로 젖히게 되면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면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휴식을 취하게 하는 작동은 이미 널리 채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의자의 구조에서는 등받이를 뒤로 젖히게 되면 의자의 좌판의 후방과 등받이의 하단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빈 공간이 발생되고, 일반적으로 의자 사용자의 허리 하단부인 요추 부분이 이렇게 발생 된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의자 사용자는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없으므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빈 공간을 방석과 같은 쿠션을 대고 휴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쿠션을 대고 휴식을 취한 후에는 정상위치에서 사무나 공부를 할 경우에는 쿠션이 걸리적 거리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쿠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그다지 바람직하지않는 실정이다.
즉,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앉아 있을 경우 척추가 매우 불안정하게 휘어진 상태로 작업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나쁜 습관이 장기화되었을 경우에는 척추가 휘거나 요추 부분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 개발되어 사용되는 의자 중에는 요추부분에 돌출된 쿠션이 형성된 의자가 있으나 이는 단순 돌출된 쿠션의 기능을 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자세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그 효과는 크지 않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과 함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자주 고장이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요추를 효과적으로 받치도록 하여 허리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여러 방향으로의 압력에도 요추받침이 양호한 탄성을 유지하여 일정압력으로 요추를 받치도록구성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 형성된 브래킷의 걸림부재와 조립되는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를 형성하되,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에는 브래킷의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요입홈과, 상기 걸림부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한 후,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는 브래킷의 걸림부재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의자에 앉아서 작업시 요추부분을 일정 힘으로 압박하도록 하여 요추의 부담을 줄이도록 구성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의자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힌 상태로 움직이게 되면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는 브래킷의 걸림부재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요추부분을 일정 힘으로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의자에 앉아 등받이에 기댈 때에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게 되므로 안락함과 편안함을 줌은 물론, 의자에 앉아 움직일 때에 상기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주는 요추지지부재가 움직이는 동작과 함께 원활하게 같이 움직여 사용자의 요추를 지속적으로 받쳐줄 줌으로 피로도를 줄이고 척추의 휨 및 허리 디스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의자 등받이 프레임(10)에 형성된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와 조립되는 요추지지부재(20)의 받침부(2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21)에는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가 끼워지는 요입홈(22)과, 상기 걸림부재(1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3)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받침부(21)는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받침부(21)의 요입홈(22)에 삽입되는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는 도 3과 같이 움직여 상기 받침부(21)의 걸림턱(23)과 고정턱(24) 사이의 공간부(25)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11)에 형성되는 걸림부재(12)는 받침부(21) 내측에 형성된 보강리브(26)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요입홈(22)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21)에 형성되는 걸림턱(23)과 고정턱(24) 또한 상기 보강리브(26)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게 구성하였다.
즉, 도 3과 같이 요입홈(22)을 통과한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는 상기 걸림턱(23)을 타고 이동한 후, 공간부(25)에 끼워지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25)에 끼워진 걸림부재(12)에 의해 받침부(21)는 고정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4의 (a)(b)와 같이 걸림부재(12)에 걸린 받침부(2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요추지지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a)와 같이 요추지지부재(20)의 하측에 힘을 받는 경우에는 공간부(25)에 형성된 고정턱(24) 부분에 걸림부재(12)가 걸리게 되면서 받침부(21)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요부지지부재(20)의 상측에 힘을 받는 경우에는 공간부(25)에 형성된 걸림턱(23) 부분에 걸림부재(12)가 걸리게 되면서 받침부(21)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에 끼워진 받침부(21)는 외부로 빠지지 않으면서 요추지지부재(20)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b)와 같이 걸림부재(12)에 걸린 받침부(2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요추지지부재(20)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a)와 같이 요추지지부재(20)의 좌측에 힘을 받는 경우에는 받침부(21)의 일 측이 걸림부재(12)에 걸려 고정되는 수단에 의해 요추지지부재(20)를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요추지지부재(20)의 우측에 힘을 받는 경우에는 받침부(21)의 일 측이 걸림부재(12)에 걸랴 고정되는 수단에 의해 요추지지부재(20)를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결과적으로 브래킷(11)과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재(12)는 받침부(21)에 형성된 걸림턱(23)과 고정턱(24) 사이의 공간부(25)에 끼워져 상기 받침부(21)가 외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2)에 걸리는 받침부(21)는 요추지지부재(20)를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의자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힌 상태로 움직이게 되면 요추지지부재의 받침부는 브래킷의 걸림부재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요추 부분을 일정 힘으로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의자에 앉아 등받이에 기댈 때에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게 되므로 안락함과 편안함을 줌은 물론, 의자에 앉아 움직일 때에 상기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주는 요추지지부재가 움직이는 동작과 함께 원활하게 같이 움직여 사용자의 요추를 지속적으로 받쳐줄 줌으로 피로도를 줄이고 척추의 휨 및 허리 디스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의자 등받이 프레임 11. 브래킷
12. 걸림부재 20. 요추지지부재
21. 받침부 22. 요입홈
23. 걸림턱 24. 고정턱
25. 공간부 26. 보강리브

Claims (4)

  1. 의자 등받이 프레임(10)에 형성된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와 조립되는 요추지지부재(20)의 받침부(21)를 형성하되,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후면에 형성된 받침부(21)에는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가 끼워지는 요입홈(22)과, 상기 걸림부재(1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받침부(21)는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에 걸려 고정되어진 상태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1)의 요입홈(22)에 삽입되는 브래킷(11)의 걸림부재(12)는 상기 받침부(21)의 걸림턱(23)과 고정턱(24) 사이의 공간부(25)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1)에 형성되는 걸림부재(12)는 받침부(21) 내측에 형성된 보강리브(26)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요입홈(22)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1)에 형성되는 걸림턱(23)과 고정턱(24)은 보강리브(26)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KR2020110011436U 2011-12-23 2011-12-23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KR200469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36U KR200469537Y1 (ko) 2011-12-23 2011-12-23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36U KR200469537Y1 (ko) 2011-12-23 2011-12-23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73U KR20130003973U (ko) 2013-07-03
KR200469537Y1 true KR200469537Y1 (ko) 2013-10-17

Family

ID=5073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36U KR200469537Y1 (ko) 2011-12-23 2011-12-23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682B1 (ko)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24U (ko) 2015-06-16 2016-12-26 박경준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KR20200110966A (ko) 2019-03-18 2020-09-28 (주)광일체어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KR102472402B1 (ko) * 2022-08-31 2022-12-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751A (ja) 2004-11-30 2006-06-15 Itoki Corp 身体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751A (ja) 2004-11-30 2006-06-15 Itoki Corp 身体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682B1 (ko)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73U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89B2 (ja) シ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の同調背もたれ
JP6353443B2 (ja) 椅子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KR101598473B1 (ko)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200469537Y1 (ko)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CA2985077A1 (en)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KR20200032575A (ko) 등쿠션
US20120119552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EP3691497B1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KR101300678B1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140004925A (ko)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JP6140419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及び椅子
KR100966112B1 (ko) 틸팅 의자
EP3257403A1 (en) Adjustable back support for a seating surface
KR101052551B1 (ko) 의자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2022076314A (ja) 椅子の張地の取付構造
KR101384102B1 (ko) 의자
JP6777281B2 (ja) 椅子
KR200428384Y1 (ko) 프레임 의자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KR20120061581A (ko) 요추부 지지 의자
JP2014079521A (ja) 面材取付構造、身体支持部材及び椅子
KR102273459B1 (ko)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