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825B1 -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825B1
KR102053825B1 KR1020120145926A KR20120145926A KR102053825B1 KR 102053825 B1 KR102053825 B1 KR 102053825B1 KR 1020120145926 A KR1020120145926 A KR 1020120145926A KR 20120145926 A KR20120145926 A KR 20120145926A KR 102053825 B1 KR102053825 B1 KR 10205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inted circuit
disposed
circuit boar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306A (ko
Inventor
유충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8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06In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e.g. ceramic, g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적층 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기판을 마주보지 않는 면에 배치되며, 구리와 같은 통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전층;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기판을 마주보는 면에 적층되는 제 1 덮개;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덮개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적층되는 제 2 덮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상보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정렬 표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toy)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가 연구되면서, 최근에는 초박형 카메라 모듈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초박형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진행되면서, 렌즈 모듈, 홀더부재 등과 같은 각 구성요소들 또한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 되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평판 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체(Cooper)를 인쇄하여 회로적인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Flex PCB와 같은 다른 부품과 이방전도성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등을 이용하여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12596호(1999.02.25.)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기판들이 적층 형성될 때, 정확한 위치에서 적층 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적층 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기판을 마주보지 않는 면에 배치되며, 구리와 같은 통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전층;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기판을 마주보는 면에 적층되는 제 1 덮개;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덮개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적층되는 제 2 덮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상보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정렬 표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도전층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ACF 본딩 장치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은 고온 동시소성 세라믹 기판(HTCC)이고, 상기 제 2 기판은 플랙스 인쇄회로기판(Flex PC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각각에 1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각 기판의 단자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는 제 1 마커; 및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는 제 2 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의 간격은 100 내지 150㎛의 값을 가지도록 관리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적층 할 때, 정확한 위치에서 적층 되었는지의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정렬 표시 유닛을 구비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판들이 정확하게 적층 되었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ACF 본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렬 표시 유닛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ACF 본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렬 표시 유닛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이 적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ACF 본딩 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기판(10)은 상기 제 2 기판(20)을 마주보는 면에 제 1 연결단자(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단자(11)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판(10)은 복수 개의 레이어(layer) 별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고온동시소성 세라믹(HTCC, 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기판(20)은 상기 제 1 기판(10)에 ACF 본딩 장치(1)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연결단자(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연결단자(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면에는 도전층(22)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22)을 중심으로 앞면 및 뒷면에는 제 1 및 제 2 덮개(coverlay)(23)(24)가 적층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의 재질 및 종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랙스 인쇄회로기판(Flex PC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기판(10)(20)을 ACF 본딩 장치(1)를 이용하여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공정이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렬 표시 유닛을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20)이 상보적인 위치에 가질 수 있다.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판(10) 및 제 2 기판(20)의 일측 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2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다른 단자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23)(24)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이 ACF 본딩 공정 중에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 마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판(20)의 동박 부분인 통전층(22)의 타측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마커(200)는 상기 제 1 기판(10)의 상기 제 1 마커(100)를 바라보는 면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100)(200)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덮개(23)(24)가 마련된 부분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2 기판 측에 형성되는 제 1 마커(100)와 제 1 기판(10) 측에 형성되는 제 2 마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100)(20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마커(100)의 내주면과 제 2 마커(200)의 외주면은 일정한 간격(g) 이격 될 수 있는데, 이 간격의 크기가 일정한 지의 여부를 통해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간격(g)은 100 내지 150㎛의 값을 가지도록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100)(200)의 중심을 동심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100)(200)를 1개만 형성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100)(200)의 중심은 동심으로 맞으나, 제 1 및 제 2 기판(10)(20)이 비틀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중심만을 비교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100)(200)를 복수 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형상으로 제 1 및 제 2 마커(100)(200)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마커(100)(200) 사이의 간격(g)이 모두 동일함을 확인한다면, 정렬 표시 유닛은 제 1 및 제 2 기판(10)(20)에 1개씩만 형성되어도 정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기판이 적층 형성되는 공정에서 각각의 기판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 후에 적층 되었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ACF 본딩은 물론 다른 적층 공정에서도 정확한 위치에 기판들이 적층 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 및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ACF 본딩 장치 10; 제 1 기판
11; 제 1 연결단자 20; 제 2 기판
21; 제 2 연결단자 22; 도전층
23; 제 1 덮개 24; 제 2 덮개
100; 제 1 마커 200; 제 2 마커

Claims (10)

  1. 상면에 홈 및 상기 홈의 외측에 제1연결단자가 배치되는 제 1 기판;
    하면에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 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연결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적층 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통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전층;
    상기 제 2 기판의 하면에 적층되는 제 1 덮개;
    상기 도전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덮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상보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정렬 표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덮개는 상기 홈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도전층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ACF 본딩 장치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고온 동시소성 세라믹 기판(HTCC)이고,
    상기 제 2 기판은 플랙스 인쇄회로기판(Flex PCB)인 인쇄회로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각각에 1개소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각 기판의 단자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표시 유닛은,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는 제 1 마커; 및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는 제 2 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마커의 간격은 100 내지 150㎛의 값을 가지도록 관리되는 인쇄회로기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커는 상기 제2마커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마커의 외주면은 상기 제2마커의 내주면과 갭을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120145926A 2012-12-14 2012-12-14 인쇄회로기판 KR10205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26A KR102053825B1 (ko) 2012-12-14 2012-12-14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26A KR102053825B1 (ko) 2012-12-14 2012-12-14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306A KR20140077306A (ko) 2014-06-24
KR102053825B1 true KR102053825B1 (ko) 2019-12-09

Family

ID=5112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26A KR102053825B1 (ko) 2012-12-14 2012-12-14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43A1 (ko) * 2021-07-01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0287B (zh) * 2019-12-19 2020-11-11 頎邦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待移除的穿孔預定區的電路板及其被移除的板體
TWI754194B (zh) * 2019-12-16 2022-02-01 頎邦科技股份有限公司 電路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206A (ja) * 2001-04-10 2002-10-25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基板接続構造、液晶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69668B1 (ko) * 1999-10-0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동회로의 전극 라인과 기판의 전극 라인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KR100810284B1 (ko) * 2006-09-2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과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596A (ko) 1997-07-30 1999-02-25 윤종용 연성인쇄회로 본딩을 위한 정렬 마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668B1 (ko) * 1999-10-0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동회로의 전극 라인과 기판의 전극 라인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JP2002314206A (ja) * 2001-04-10 2002-10-25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基板接続構造、液晶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10284B1 (ko) * 2006-09-2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과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43A1 (ko) * 2021-07-01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306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203B2 (en) 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594452B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40212127A1 (en) Device allowing independent testing of dual camera module
CN103249260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883168B2 (en) Camera module having an array sensor
CN109068478B (zh) 柔性电路板和显示装置
KR102053825B1 (ko) 인쇄회로기판
KR20140109236A (ko) 카메라 모듈
US8836830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stiffener and camera module
CN105100569A (zh) 摄像头模组及其第一线路板与第二线路板
KR20210009519A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60095281A (ko) 카메라 모듈
TWI510983B (zh) 觸控顯示裝置
US20070173084A1 (en) Board-to-board connecting structure
TW201929527A (zh) 基板積層體、及攝像裝置
US8169043B2 (en) Optical seneor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eing method thereof
KR2012002987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2308B1 (ko) 다층 회로기판
KR101659562B1 (ko) 카메라 모듈
US20150062424A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KR102053828B1 (ko) 인쇄회로기판
KR101056109B1 (ko) 카메라 모듈
JP2013105810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KR10103272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1511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