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520B1 -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 Google Patents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520B1
KR102053520B1 KR1020180029040A KR20180029040A KR102053520B1 KR 102053520 B1 KR102053520 B1 KR 102053520B1 KR 1020180029040 A KR1020180029040 A KR 1020180029040A KR 20180029040 A KR20180029040 A KR 20180029040A KR 102053520 B1 KR102053520 B1 KR 10205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ne
cleaning
unit
lin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831A (ko
Inventor
이광일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5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비행체(10)의 비행을 위한 비행동력부(101)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2)와, 상기 비행동력부(101)와 카메라부(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3)와, 조종기(2)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04)를 구비한 드론에 있어서,
가공선로의 고압선 상에 안착되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압선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고압선청소부(20);를 상기 비행체(10) 일측에 구비함으로써, 고압선 표면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면서,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Cleaning and maintenance of high voltage lines in machining lines}
본 발명은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선 표면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면서,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고압선 표면에 유지보수제를 도포하여 고압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에 관한 것이다.
고압선(high tension line)이란, 송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전압으로 전력을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송배전선을 말하며, 고압선로라고도 한다.
도 1과 같이 고압선(A)은 높은 전주나 철탑(B)을 세우고 전선을 절연 애자(C)와 같은 구조물로 지지하여 전력(電力)을 보내거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공중에 설치한 가공선로(Overhead Electric Line)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가공선로에 사용되는 고압선은 고전압 전력 송전을 위해 선의 굵기가 매우 굵기 때문에 무게와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하여 피복이 없는 나전선(bar conductor)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표면이 먼지나 새의 분변 등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면 송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해안가나 오염도가 높은 지역의 가공선로의 고압선은 부식 방지를 위하여 피복이 있는 피복전선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피복전선의 경우 피복이 태양광선, 염분, 먼지 등 각종 오염물, 노화 등에 의해 경화되거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고압선이 부식, 손상됨으로써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나전선의 경우에는 송전 효율의 유지를 위해서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의 제거가 필수적이며, 피복전선의 경우에는 피복의 경화나 균열에 따른 손상 방지를 위해서 경화방지제, 연화제 등 보수제의 도포가 필요하다.
그러나 높은 전주나 철탑 등에 의해 공중에 설치되는 고압선의 특성 상, 상기와 같이 나전선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피복전선 표면에 보수제를 도포하는 등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공중에 설치되는 고압선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크레인이나 사다리차 등을 동원하기도 하지만, 고압선의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압선에 의한 감전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단점도 있으며, 그에 따라 매우 신중한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은 높은 위험도와 오랜 작업 시간으로 인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드론을 이용해 고압선을 점검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종래 기술은 드론을 이용하여 고압선의 상태를 점검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고압선의 청소나 유지보수를 가능케 하는 드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47281호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고압선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드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선로의 고압선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드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선의 피복 표면에 유지보수제를 도포하여 피복의 노화를 방지함으로서 고압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송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은,
비행체(10)의 비행을 위한 비행동력부(101)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2)와, 상기 비행동력부(101)와 카메라부(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3)와, 조종기(2)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04)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조정이 이루어지는 드론(1)에 있어서,
가공선로의 고압선 상에 안착되어 상기 비행동력부(101)에 의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압선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고압선청소부(20);를 상기 비행체(10) 일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행체(10)에는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3)에 비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고압선 상에 안착되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비행체(10)와 고압선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수단(10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선청소부(20)는,
고압선이 소정 깊이로 투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고압선투입부(201);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내측에 설치되어,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롤러(202);
고압선투입부(201)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블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상기 비행체(10)의 전면 중앙에서 내측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비행체(10)가 수직으로 케이블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상기 비행체(10)의 저면 중앙에서 내측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비행체(10)가 수평으로 케이블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부재(203)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2개구부(2031a)가 형성되어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착탈홈(201b)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케 수직으로 설치되는 심재(2031);
상기 심재(2031) 내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심재(2031) 중심부로 투입된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는 청소모(20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부재(203')는,
봉체로 되고,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2033)에 각각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심재(2031');
상기 심재(2031')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는 청소모(20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심재(2031')의 일단부에 종동풀리(2034)를 설치하고,
상기 비행체(10)에는 상기 종동풀리(2034)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구동풀리(203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035)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2035)에 의해 각 심재(2031')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고압선청소부(20)에 의해 청소가 완료된 케이블 표면에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제도포부(30);를 상기 비행체(10) 일측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수제도포부(30)는,
보수제를 저장하는 저장부(301);
상기 저장부(301)에 저장된 보수제를 소정 압력으로 도포부재(303)에 공급하는 펌프(302);
상기 펌프(302)와 호스(304)로 연결되어, 펌프(302)에서 공급되는 소정 압력의 보수제를 고압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부재(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부재(303)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3개구부(3031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펌프(302)에서 공급되는 보수제가 충진되는 포켓부(3031c)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3031c)에서 충진된 보수제가 배출되는 배출공(3031d)이 내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도포스커트(3031);
상기 도포스커트(3031)의 내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도포스커트(3031) 중심부로 투입된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배출공(3031d)에서 배출되는 보수제를 고압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브러시(30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은, 가공선로의 고압선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에 대한 수작업을 배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선로의 고압선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드론으로 수행함에 따라 작업시간 단축 및 인건비가 절감되어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선의 표면에 유지보수제를 도포하여 고압선의 부식이나, 피복의 노화,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써, 고압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송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공중에 설치된 가공선로의 고압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통상의 드론과 조종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 상부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 청소와 보수제 도포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론(1)은 비행체(10), 고압선청소부(20), 보수제도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비행체(10)는, 드론(1)의 비행을 위하여 비행동력부(101), 카메라부(102), 제어부(103), 무선통신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비행동력부(101)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4개 내지 12개의 로터(회전날개)를 구비함으로써, 로터의 회전에 의해 비행체(10)의 비행을 위한 양력을 생성한다.
즉, 비행체(10)에 구비된 다수의 로터의 회전 속도 제어를 통해 비행체(10)의 자유로운 비행뿐만 아니라, 수직 이착륙, 정지 비행, 정축 비행 등 다양한 방식의 비행이 가능케 된다.
또한, 상기 비행체(10)의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체(10)의 비행 고도나, 비행 방향, 비행 속도 측정을 위한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등을 구비함과 동시에, 비행체(10)의 위치 제어를 위한 GPS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행체(10)의 비행 원리와, 비행체(10)의 비행을 위해 구비된 상기 각 센서의 작동 원리는 주지된 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부(102)는 드론을 제어하는 조종기의 명령에 의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따라서 카메라부(102)에는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및 저장을 위한 영상 데이터 처리부와,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메모리부는 장탈착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102)는 원격으로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촬영 시야 확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02)는 상기 비행체(10), 상기 고압선청소부(20), 상기 보수제도포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 설치함으로써, 고압선의 오염상태,노후상태 및 청소 후 청소상태, 보수제 도포 후 도포상태를 조종자가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03)는, 드론을 제어하는 조종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비행체(10)와, 카메라부(102)와, 상기 고압선청소부(20)와, 상기 보수제도포부(3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신호의 출력은, 조종기의 조작에 의한 수동제어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필요한 제어신호를 자동 출력하는 자동제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무선통신부(104)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조종기(2)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04)는 상기 비행체(10)(11)의 비행 및 자세 제어를 위해 비행체(10)(11)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센싱된 각종 센싱값(가속도, 각속도, GPS) 및,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등을 조종기(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조종기(2)에서 전송되는 비행동력부(101), 카메라부(102)에 대한 조종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3)에 제공함으로써 비행체(10)(101), 카메라부(102)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비행체(10)에는 충돌방지수단(10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충돌방지수단(105)을 비행체(10) 일측에 구비함으로써, 비행체(10)가 고압선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할 때, 고압선을 지지하는 구조물(애자 등)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103)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충돌방지수단(105)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비행동력부(10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비행체(10)가 비행동력부(101)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압선을 지지하는 구조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돌방지수단(105)은 고압선을 지지하는 구조물과 비행체(1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이든 가능하나,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센싱광을 이용해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선청소부(20)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상에 안착되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압선 표면을 청소하기 위하여 고압선투입부(201), 안착롤러(202), 청소부재(203)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고압선이 소정 깊이로 투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고압선투입부(201)는 고압선이 투입되게 비행체(10) 일측면에 제1개구부(201a)를 형성하되, 제1개구부(201a)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고압선투입부(201) 내부로 투입된 고압선이 계속 투입되면, 고압선투입부(201) 내측 단부 가운데로 고압선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상기 비행체(10)의 평면 형상이“∩∩””자형이 되게 비행체(10)의 전면 중앙에서 내측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비행체(10)가 수직으로 고압선 상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행체(10)가 수직으로 고압선 상에 안착되는 경우에, 정면에서 볼 때 비행체(10)는 고압선투입부(201)가 하부에 위치하는 “∩∩””자 형으로 고압선 상에 안착됨으로써, 비행체(10)의 무게 중심이 고압선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고압선을 따라 비행체(10)가 이동할 때, 비행체(10)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행체(10)의 전면에 고압선투입부(201)가 형성된 경우에, 비행체(10)는 비행제어에 의한 자세 제어를 통해 비행체(1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 상부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 청소와 보수제 도포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안착롤러(202)는,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의 내측 단부에서 일부분이 노출되게 비행체(10) 내부에 설치되어,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안착롤러(202)는 공회전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비행체(10)가 비행동력부에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고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압선과의 마찰 저항을 줄여 비행체(1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케 된다.
상기 안착롤러(202)는 상기 비행체(10)의 보다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소정 간격으로 다수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청소부재(203)는 고압선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심재(2031), 청소모(2032)를 구비한다.
상기 심재(2031)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2개구부(2031a)가 형성되어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착탈홈(201b)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제2개구부(2031a)는,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에 형성된 제1개구부(201a)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이 자연스럽게 제2개구부(2031a)를 통해 심재(2031) 내부로 투입되고, 심재(2031) 내부로 투입된 고압선에 상기 안착롤러(202)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고압선의 중심이 심재(2031)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착탈홈(201b)에 결합되는 심재(2031)의 일단부 외주면은 다각형 단면으로 된 다각결합부(2031b)를 형성하고, 상기 착탈홈(201b)의 내주면은 상기 심재(2031)의 다각결합부(2031b)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착탈홈(201b)에 결합된 심재(2031)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다각결합부(2031b)의 외주면에는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착탈홈(201b) 내주면에는 걸림홈부를 형성하여 심재(2031)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청소부재(203)의 노후화 또는 손상에 따른 교체 시 교체가 간편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소모(2032)는 상기 심재(2031)의 내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심재(2031) 내부로 투입된 고압선이 심재(2031)의 중심부에 위치하면, 상기 고압선의 외표면이 청소모(203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심재(2031) 내부로 고압선이 투입된 상태에서 비행체(10)가 고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압선의 외표면과, 고압선 외표면을 둘러싼 청소모(2032) 간의 마찰에 의해 고압선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각종 이물질에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심재(2031)의 제2개구부(2031a)를 통해 낙하함으로써, 고압선 표면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상기 비행체(10)의 저면 중앙에서 내측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비행체(10)가 수평으로 고압선 상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행체(10)가 수평으로 고압선 상에 안착되는 경우에, 비행체(10)를 고압선 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자세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비행체(10)의 저면에 고압선투입부(201)가 형성된 경우에, 비행체(10)는 동체의 비행 자세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도 고압선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비행체(10)에 설치되는 비행동력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행체(10)가 수직으로 비행할 때에는 비행동력부에 의한 양력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게 하고, 비행체(10)가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비행할 때에는 동체는 수평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비행동력부를 소정 각도로 기울여 줌으로써, 양력이 하방 경사 방향으로 작용하여 비행체(10)의 수평 비행이 가능케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청소부재의 또 다른 예로서, 청소부재(203')는 봉체로 된 심재(2031')와, 상기 심재(2031')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청소모(2032')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2033)에 상기 심재(2031')를 회동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고압선 양측에서 고압선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심재(2031')가 설치되면서, 심재(20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청소모(2032')가 상기 고압선 양측에서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게 된다,
이때,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양측에 설치되는 청소부재(203')는 비행체(10)에 설치되는 구동부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게 한다.
즉,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양측에 설치되는 각 심재(2031')의 일단부에는 종동풀리(2034)를 설치하고, 상기 비행체(10)에는 상기 종동풀리(2034)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구동풀리(203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035)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2035)에 의해 각 심재(2031')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게 한다.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심재(2031') 사이로 고압선이 투입된 상태에서 비행체(10)가 고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청소부재(203')가 회전하면, 청소부재(203')의 청소모(2032')가 고압선과 마찰하면서 고압선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고압선 표면에서 털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드론(1)에는, 상기 고압선청소부(20)에 의해 청소가 완료된 고압선 표면에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제도포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수제도포부(3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301), 펌프(302), 도포부재(30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301)는 보수제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된 보수제의 소진에 따른 보충이 용이하도록 저장부(301)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주입부(30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에 저장된 보수제의 잔량 확인이 용이하도록 저장부(301)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펌프(302)는 상기 저장부(301)에 저장된 보수제를 소정 압력으로 도포부재(303)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펌프(302)는 상기 저장부(301) 일측에 설치하고, 펌프(302)와 상기 도포부재(303) 간에는 보수제의 유동을 위한 호스(304)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부재(303)는 상기 펌프(302)와 호스(304)로 연결되어, 펌프(302)에서 공급되는 소정 압력의 보수제를 고압선 표면에 도포하기 위해 상기 청소부재(203)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포부재(303)는 도포스커트(3031), 도포브러시(3032)를 구비한다.
상기 도포스커트(3031)는 상기 청소부재(203)의 심재(2031)와 같이 호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3개구부(3031a)가 형성되어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착탈홈(201b)에 일단부를 착탈 가능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착탈홈(201b)에 결합되는 도포스커트(3031)의 일단부 외주면은 다각형 단면으로 된 다각결합부(3031b)를 형성함으로써, 착탈홈(201b)에 결합된 도포스커트(3031)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3개구부(3031a)는,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에 형성된 제1개구부(201a)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이 자연스럽게 제3개구부(3031a)를 통해 도포스커트(3031) 내부로 투입되고, 도포스커트(3031) 내부로 투입된 고압선에 상기 안착롤러(202)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고압선의 중심이 도포스커트(3031)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포스커트(3031) 내부에는 보수제가 충진되는 포켓부(3031c)가 형성되고, 도포스커트(3031) 내면에는 상기 포켓부(3031c)에서 충진된 보수제가 배출되는 배출공(3031d)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포브러시(3032)는 상기 도포스커트(3031)의 내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포스커트(3031) 내부로 투입된 고압선이 도포스커트(3031)의 중심부에 위치하면, 상기 고압선의 외표면이 도포브러시(303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하여 도포스커트(3031) 내부로 고압선이 투입된 상태에서 비행체(10)가 고압선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포스커트(3031)의 배출공(3031d)을 통해 보수제가 배출되면, 배출되는 보수제는 도포브러시(3032)를 타고 흘러 내려 고압선 외표면에 도포된다.
한편, 보수제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도포를 위해 도포브러시(3032)는 스펀지 소재로 대신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보수제는, 고압선이 나전선인 경우에는 고압선의 부식 또는 오염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방청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압선이 피복 전선인 경우에는 피복의 노화나 균열을 억제하는 경화방지제나 연화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보수제를 고압선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고압선의 부식이나 오염물에 의한 오염, 일광이나 잦은 온도 변화로 인한 노화나 균열을 방지하여 고압선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고압선을 이용한 송전 시 송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케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선로의 고압선 표면을 청소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압선, 전선, 케이블 등 공중에 가설되는 각종 선재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가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 고압선 1: 드론
2: 조종기 10: 비행체
101: 비행동력부 102: 카메라부
103: 제어부 104: 무선통신부
105: 충돌방지수단 20: 고압선청소부
201: 고압선투입부 202: 안착롤러
203, 203': 청소부재 30: 보수제도포부
301: 저장부 302: 펌프
303: 도포부재 304: 호스

Claims (11)

  1. 비행체(10)의 비행을 위한 비행동력부(101)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2)와, 상기 비행동력부(101)와 카메라부(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3)와, 조종기(2)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04)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조정이 이루어지는 드론(1)에 있어서,
    가공선로의 고압선 상에 안착되어 상기 비행동력부(101)에 의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압선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고압선청소부(20);를 상기 비행체(10) 일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압선청소부(20)는,
    고압선이 소정 깊이로 투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고압선투입부(201);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내측에 설치되어,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롤러(202);
    고압선투입부(201)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블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10)에는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3)에 비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고압선 상에 안착되어 고압선을 따라 이동하는 비행체(10)와 고압선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수단(10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상기 비행체(10)의 전면 중앙에서 내측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비행체(10)가 수직으로 케이블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는,
    상기 비행체(10)의 저면 중앙에서 내측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비행체(10)가 수평으로 케이블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2개구부(2031a)가 형성되어 상기 고압선투입부(20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착탈홈(201b)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케 수직으로 설치되는 심재(2031);
    상기 심재(2031) 내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심재(2031) 중심부로 투입된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는 청소모(20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봉체로 되고, 상기 고압선투입부(201)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2033)에 각각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심재(2031');
    상기 심재(2031')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압선투입부(201)로 투입되는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는 청소모(20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8. 제7항에 있어서,
    각 심재(2031')의 일단부에 종동풀리(2034)를 설치하고,
    상기 비행체(10)에는 상기 종동풀리(2034)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는 구동풀리(203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035)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2035)에 의해 각 심재(2031')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선청소부(20)에 의해 청소가 완료된 케이블 표면에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제도포부(30);를 상기 비행체(10) 일측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제도포부(30)는,
    보수제를 저장하는 저장부(301);
    상기 저장부(301)에 저장된 보수제를 소정 압력으로 도포부재(303)에 공급하는 펌프(302);
    상기 펌프(302)와 호스(304)로 연결되어, 펌프(302)에서 공급되는 소정 압력의 보수제를 고압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부재(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303)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제3개구부(3031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펌프(302)에서 공급되는 보수제가 충진되는 포켓부(3031c)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3031c)에서 충진된 보수제가 배출되는 배출공(3031d)이 내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도포스커트(3031);
    상기 도포스커트(3031)의 내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도포스커트(3031) 중심부로 투입된 고압선의 외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배출공(3031d)에서 배출되는 보수제를 고압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브러시(30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KR1020180029040A 2018-03-13 2018-03-13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KR10205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40A KR102053520B1 (ko) 2018-03-13 2018-03-13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40A KR102053520B1 (ko) 2018-03-13 2018-03-13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31A KR20190107831A (ko) 2019-09-23
KR102053520B1 true KR102053520B1 (ko) 2019-12-11

Family

ID=6806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040A KR102053520B1 (ko) 2018-03-13 2018-03-13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5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374A (ja) * 2002-01-25 2003-07-31 Tenroku Shokai:Kk がいし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12153169A (ja) * 2011-01-21 2012-08-16 New Delta Industrial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ーの薬液散布装置
JP2017115787A (ja) * 2015-12-25 2017-06-29 Ntn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無人飛行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92B1 (ko) * 2015-11-27 2017-08-11 서경식 무인비행체의 충돌방지장치
KR101647281B1 (ko) 2016-01-20 2016-08-10 (주)스마트 제어계측 케이블 점검용 드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374A (ja) * 2002-01-25 2003-07-31 Tenroku Shokai:Kk がいし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12153169A (ja) * 2011-01-21 2012-08-16 New Delta Industrial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ーの薬液散布装置
JP2017115787A (ja) * 2015-12-25 2017-06-29 Ntn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無人飛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31A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195B1 (ko) 드론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용 드론 비행체
CN108472673B (zh) 用于对建筑物的外墙壁进行喷施涂漆的系统
KR102034006B1 (ko)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
WO2019172700A1 (ko) 고층건물 유리닦이용 드론
CN108473204A (zh) 使用无人机在架空输电导体上施加涂层的系统和方法
CN106393052A (zh) 爬壁机器人
CN109171543A (zh) 一种高空作业机器人
CN105307932A (zh) 具有飞行特性的自动化的且可灵活使用的自攀升行驶机构
KR101206256B1 (ko) 선행 도장 시스템용 도장모듈
CN109412074A (zh) 一种高空线缆喷涂系统
KR102053520B1 (ko) 가공선로의 고압선 청소 및 유지보수 드론
CN205308912U (zh) 水下网衣清洗机器人
CN110733018A (zh) 用于电力作业机器人的对接式上下线机构及其应用方法
US20220274707A1 (en) Drone for painting outer wall of multi-story building
CN209119678U (zh) 一种高空线缆喷涂系统
CN1209416A (zh) 用于多层集装箱堆垛的分布机
CN107059611B (zh) 多旋翼拉索检测机器人及其用于拉索检测的方法
CN115450116A (zh) 一种缆索攀爬机器
KR101696921B1 (ko) 특고압 송배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KR101965362B1 (ko) 송전선 이착륙 기반 송전선 점검용 무인항공기
CN110894750A (zh) 一种高层楼宇外墙涂装机
CN110844051B (zh) 一种无人机起落系统
KR101230461B1 (ko)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로봇 시스템
CN214965037U (zh) 一种基于无人机的外墙清洗装置
ES2942633T3 (es) Un dispositivo para el mantenimiento de palas y torres de aerogeneradores y un sistema para subir y bajar el disposit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