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261B1 -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261B1
KR102053261B1 KR1020160163731A KR20160163731A KR102053261B1 KR 102053261 B1 KR102053261 B1 KR 102053261B1 KR 1020160163731 A KR1020160163731 A KR 1020160163731A KR 20160163731 A KR20160163731 A KR 20160163731A KR 102053261 B1 KR102053261 B1 KR 10205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rbal medicine
scalp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678A (ko
Inventor
신애자
Original Assignee
신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애자 filed Critical 신애자
Priority to KR102016016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2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6Aristolochiaceae (Birthwort family), e.g. heartlea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백두옹 20 내지 500중량부;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은 인공 합성된 화학성분에 따른 두피나 모발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두피질환, 모발손상 및 탈모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친환경 가공기술인 발효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화학성분의 사용을 줄여 친환경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AND SCALP COMPRISING FERMENTED MEDICAL PLANT EXTRAC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의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질환이나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잦은 샴푸, 염색 또는 펌에 의하여 현대인의 모발이나 두피는 화학성분에 의하여 자극받기 쉬우며, 탈모, 모발의 손상, 두피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헤어 제품은 두피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일반적인 샴푸 등에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염색이나 펌과 같은 화학적 시술 후에 사용하는 모발용 트리트먼트의 성분을 살펴보면, 화학적으로 손상된 모발을 컨디셔닝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제품을 사용한 경우 두피가 따갑고 부어오르며 가려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두피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을 포함하고, 표피는 신체의 조직을 손상 받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외부의 유해물질, 화학물질의 잦은 접촉,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스트레스, 영향 결핍 등으로 인해 두피의 보습 기능 등을 상실하여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탈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두피와 모발에 화학적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두피 질환이나 탈모 등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두피 및 모발 개선을 위한 외용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발효는 오래 전 인간이 자연에서 찾아낸 매우 유용한 친환경 가공기술로서, 장류, 요구르트, 술 등 식품뿐 아니라 한의학에서 한약의 효능을 변화시키거나 상승시키는 포제법 중 하나인 발효법을 이용해 환자를 치료하였다. 발효법이란 약물을 일정한 처리를 거친 후 일정 온도와 습도 하에서 곰팡이와 효소의 촉매 분해 작용에 약물을 발효시키는 것으로, 한약재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방법으로 발효를 진행한다. 발효를 하면 효과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발효를 할 때 어떤 균이 관여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고, 오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효과의 재현성이나 유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광범위한 화학제품에 의해 손상된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극이 적으면서 탈모개선, 두피 상태 개선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특정의 한약재 성분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여기에 친환경 가공기술인 발효 기술을 더하여 모발 및 두피 개선 제품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8411호 공개특허공보 제10-12671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 합성된 화학성분에 따른 두피나 모발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두피질환, 모발손상 및 탈모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약재를 친환경적 가공기술인 발효에 의해 두피 및 모발 개선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화학성분의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백두옹 20 내지 500중량부;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녹차 10 내지 100중량부; 로즈마리잎 10 내지 100중량부; 병풀 10 내지 100중량부; 캐모마일 10 내지 100중량부; 황금 10 내지 100중량부; 호장근 10 내지 100중량부; 및 팔각회향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및 로도수도모나스(Rhodopseudomonas)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한약재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로 이루어진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백두옹 20 내지 500중량부;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한약재 분말에 물를 가하여 한약재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한약재 추출액에 배지를 주입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발효시켜 한약재 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a)에서,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녹차 10 내지 100중량부; 로즈마리잎 10 내지 100중량부; 병풀 10 내지 100중량부; 캐모마일 10 내지 100중량부; 황금 10 내지 100중량부; 호장근 10 내지 100중량부; 및 팔각회향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물은 상기 한약재 분말에 대하여 3 내지 7배의 중량으로 가할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추출은 30 내지 80℃의 온도인 물에서 2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c) 이후,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가압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살균 처리 단계 이후,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및 로도수도모나스(Rhodopseudomonas)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일 수 있다.
단계 (d)에서 상기 배지는 포도당, 설탕 및 당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d)의 발효는 34 내지 40℃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d) 이후, 상기 발효 추출액 조성물에 30 내지 80℃의 물을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발효 성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발효 성분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0 내지 400중량부; 알코올 500 내지 2000중량부; 컨디셔닝제 100 내지 200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1 내지 12중량부; 및 용제 800 내지 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 외용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은 인공 합성된 화학성분에 따른 두피나 모발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두피질환, 모발손상 및 탈모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친환경 가공기술인 발효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화학성분의 사용을 줄여 친환경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주요 한약재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시험예 1의 MTT 분석에 따른 세포 생존률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시험예 2의 RT-PCR 분석에 따른 모유두 세포 성장인자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시험예 3의 웨스턴 블롯법에 따른 5-알파-리덕타제의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DPPH법에 따른 항산화 효능 분석 Ⅰ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DPPH법에 따른 항산화 효능 분석 Ⅱ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주요 한약재의 이미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은 한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백두옹 20 내지 500중량부;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삼은 콩과 식물로서 맛이 쓰고, 효능은 인삼과 유사하다. 그 효능으로는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혈당강하 기능이 있으며 청열, 조습, 살충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세신은 쥐방울 덩굴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민족두리풀과 족두리풀의 뿌리를 말린 약재이다. 주요 효능으로는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두통, 오한, 발연, 천식, 거담, 진정, 진통, 항경련, 소염, 항균, 항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백두옹은 미나리 아재비과의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를 말하고, 다른 말로는 노고초, 내하초, 백두공, 백두초, 분유초 등으로도 불린다. 효능은 소염, 수렴 작용,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수오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Pleuropterus multflorus)로서,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와 기는 줄기를 껍질이 있거나 제거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 효능은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염증발생 억제, 항균,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바이러스 등으로 알려져 있다.
숙지황은 지황의 일종으로, 현삼과의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뿌리를 약재로 스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리기를 되풀이하여 만든 것을 숙지황이라 하며 지황 중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효과는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혈당강하, 간기능 보호, 항균, 당뇨병 개선, 변비 억제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녹차 10 내지 100중량부; 로즈마리잎 10 내지 100중량부; 병풀 10 내지 100중량부; 캐모마일 10 내지 100중량부; 황금 10 내지 100중량부; 호장근 10 내지 100중량부; 및 팔각회향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로도수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등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균주들 중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하여 한약재의 효과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로 이루어진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시키는 것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체나 환경에 치명적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의 균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 백두옹 20 내지 500중 량부 ;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 및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준비한다(단계 a).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녹차 10 내지 100중량부; 로즈마리잎 10 내지 100중량부; 병풀 10 내지 100중량부; 캐모마일 10 내지 100중량부; 황금 10 내지 100중량부; 호장근 10 내지 100중량부; 및 팔각회향 10 내지 10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 분말을 제조한다(단계 b).
한약재의 분쇄는 이후 추출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분쇄할 수 있으며, 추출하는 물의 온도나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약재 분말에 물 가하여 한약재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한다(단계 c).
상기 물은 상기 한약재 분말에 대하여 3 내지 7배 중량으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의 중량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30 내지 80℃의 온도인 물에 침지시켜 2 내지 30시간 동안 저온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가압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살균 처리 이후,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여 한약재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한약재 추출액에 배지를 주입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발효시켜 한약재 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제조한다(단계 d).
상기 발효 균주는 앞서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에서 성명한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스트렙토코쿠스(Stretococc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로도수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균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와 사카로마이세스로 이루어진 복합 균주에 의해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배지는 포도당, 설탕, 당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균주를 친환경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34 내지 40℃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8℃의 온도에서 6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발효 추출액 조성물에 30 내지 80℃의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추출된 발효 성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발효 성분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여 추출 후 남은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 개선 외용제는 상술한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한약재 중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0 내지 400중량부; 알코올 500 내지 2000중량부; 컨디셔닝제 100 내지 200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1 내지 12중량부; 및 용제 800 내지 200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디셔닝제는 외용제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적용되는 모발이나 두피에 부드러움을 주는 성분이고, 용제는 외용제의 성분들을 고르게 용해시켜 섞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 1, 2-헥산디올, 부틸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용제의 성분들을 고르게 용해시켜 섞일 수 있도록 하고, 인체에 유해에 하지 않는 것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물 속의 금속 이온이 다른 시약에 의해 침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액상 인체 세정제의 기포가 잘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EDTA)염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고삼 100g, 세신 75g, 백두옹 75g, 감초 75g, 및 하수오 100g을 분쇄하여 한약재 분말을 제조한 후, 한약재 분말 중량의 5배의 50℃의 물을 준비하고 여기에 한약재 분말을 넣어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은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120℃에서 15분간 가압 살균처리한 후, 찌꺼기를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였다. 찌꺼기가 제거된 한약재 추출액에 3%의 포도당 용액을 넣고,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1:1로 혼합한 복합 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발효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필터링하여 남은 부산물을 제거하여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상기 한약재 분말에 숙지황 100g을 추가로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외용제 제조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가마에 넣고 실온에서 아지 믹서(agi mixer)로 10분간 교반하여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아래의 성분 중 한약재 조성물의 추출물은 발효된 추출물을 의미하고, 발효추출물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성분 함량(wt%)
87.27
부틸렌글라이콜 5.00
에탄올 4.50
인삼캘러스배양추출물 1.00
고삼추출물 0.30
세신추출물 0.20
백두옹추출물 0.20
감초추출물 0.20
하수오추출물 0.10
숙지황추출물 0.10
녹차추출물 0.10
로즈마리잎추출물 0.05
병풀추출물 0.05
캐모마일꽃추출물 0.05
황금추출물 0.05
호장근추출물 0.10
카프릴릴글라이콜 0.10
팔각회향추출물 0.10
1,2-헥산디올 0.40
위치하젤추출물 0.10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총합 100
비교예 1: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고삼, 세신, 백두옹, 감초, 및 하수오 대신에 고삼만을 한약재 분말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고삼, 세신, 백두옹, 감초, 및 하수오 대신에 고삼 및 하수오만을 한약재 분말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조성물 제조
고삼, 세신, 백두옹, 감초, 및 하수오 대신에 고삼, 세신 및 하수오만을 한약재 분말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세포 독성 시험
MTT 분석법에 따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률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MTT 분석법은 생존 세포에만 활성이 있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해 색소로 변한다. 살아있는 세포수가 증가하면 시료 중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 효소 전체의 활성이 증가하며, 이 효소 활성의 증가가 포르마잔(formazan) 색소의 생성 증가를 유도한다. 이를 이용하여 세포의 증식 및 독성에 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먼저, 사람 유래의 섬유 아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각각 1x105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계면활성제 SLS(Sodium lauryl sulphate)를 처리하고,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샘플별로 0.05%, 0.10%, 0.50%, 및 1.00%의 부피 함량으로 처리한 것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이후 MTT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 SLS에 의한 세포 사멸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생존률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샴푸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인 SLS에 따른 두피나 모발의 손상을 본원발명의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모유두 세포 성장인자( KGF , VEGF )의 발현 분석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T-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유두세포는 모낭주기의 조절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여러 성장인자들에 의해 매개된다. 남성호르몬은 모유두세포를 자극하여 bFGF, HGF, IGF-1, KGF, VEGF, TGF-β1, 2와 같은 성장인자를 생산하게 하며, 이는 모유두세포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모낭상피 세포들에도 작용할 수 있다. 시험예 2에서는 상기 성장인자 중 KGF와 VEGF의 발현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모유두세포를 175T 플라스트에 24시간 부착 후, 50㎍/㎖ 농도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포함된 배지에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회수한 후, RNA-스핀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1㎍의 total RNA를 유전자 진단 키트(Accupower RT premix)를 사용하여 cDNA로 전환하였으며 이를 RT-PCR 분석에 사용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와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18634868-pat00001
표 2 및 도 4에 따르면, VEGF 및 KGF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탈모 방지와 모발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5-알파- 리덕타제 (5-α- reductase ) 발현 분석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5-알파-리덕타제의 발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모유두세포는 5-알파-리덕타제를 발현하며 모발의 성장주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직배양접시에 인간 모유두세포를 80% 정도 배양하여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희석하여 옮겨주었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를 회수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여 SDS-PAGE(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을 실시하였다. SDS-PAGE 완료 후 니트로섬유소막(nitrocellulose membrane)에 단백질을 이동시켜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에 사용하였다.
모유두세포는 타입 Ⅰ 및 타입 Ⅱ 2가지 형태의 5-알파-리덕타제를 발현하며 남성형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타입 Ⅱ 5-알파-리덕타제로 알려져 있다.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24시간의 실시예 1의 조성물 처리에 의해 인간 모유두세포에서 5-알파-리덕타제의 발현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5-알파-리덕타제 발현을 저해하고, 탈모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항산화 효능 측정 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DPPH법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DPPH법은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DPPH)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피검 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Blank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517nm 파장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96 well plate에 에탄올에 녹인 200uM DPPH 용액 100㎕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각각 100㎕씩 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대적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은 알파 토코페롤(α-Tocopherol) 첨가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도 6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높은 농도로 가해질수록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높아지는 것을 측정되었으며, 0.5% 농도로 가해진 샘플에서는 알파 토코페롤의 수준으로 항산화 성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5: 항산화 효능 측정 Ⅱ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DPPH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상기 한약재 발효추출물들의 농도는 4.0%로 일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한약재 필수구성요소 중 1 내지 3종만이 혼합된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의 항산화 효능에 비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숙지황을 추가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이 가장 황산화 효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은 단순히 한약재 성분을 수와 비례하여 항산화 효능이 향상되는 정도를 넘어서 5종의 한약재의 조합에 의해 기대하지 못하였던 항산화 효능의 향상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한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한약재는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백두옹 20 내지 500중량부;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 및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약재의 발효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혼합한 복합 균주에 의해 상기 한약재의 추출액을 발효한 것이고,
    상기 한약재의 추출액은 상기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한약재 분말에 물을 가하여 한약재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 것인,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10 내지 300중량부; 백두옹 20 내지 500중량부; 감초 10 내지 300중량부; 하수오 20 내지 500중량부; 및 숙지황 1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한약재를 분쇄하여 한약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한약재 분말에 물을 가하여 한약재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한약재 추출액에 배지를 주입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발효시켜 한약재 발효 추출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혼합한 복합 균주인,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단계 (c) 이후,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가압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단계 (d)의 발효는 34 내지 40℃의 온도에서 40 내지 10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의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0 내지 400중량부; 알코올 500 내지 2000중량부; 컨디셔닝제 100 내지 200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1 내지 12중량부; 및 용제 800 내지 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 외용제.
KR1020160163731A 2016-12-02 2016-12-02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31A KR102053261B1 (ko) 2016-12-02 2016-12-02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31A KR102053261B1 (ko) 2016-12-02 2016-12-02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78A KR20180063678A (ko) 2018-06-12
KR102053261B1 true KR102053261B1 (ko) 2019-12-06

Family

ID=6262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31A KR102053261B1 (ko) 2016-12-02 2016-12-02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336B1 (ko) * 2022-11-22 2023-10-06 변영미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한약재 발효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33B1 (ko) * 2016-03-31 2016-09-20 주식회사 뮤제코스메틱 Bca 복합 발효물 및 모낭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36B1 (ko) * 2007-12-24 2010-06-29 소망화장품주식회사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8411B1 (ko) 2009-01-29 2012-04-26 김경자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KR101281060B1 (ko) * 2009-12-03 2013-07-01 지승미 모발생장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21057A (ko) * 2012-04-26 2013-11-05 더한바이오영농조합법인 두피 및 모발 관리 제품
KR101267198B1 (ko) 2012-08-15 2013-05-27 김진옥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101585922B1 (ko) * 2013-11-07 2016-01-18 유영순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80216B1 (ko) * 2014-05-12 2015-12-24 정승열 두피 보호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33B1 (ko) * 2016-03-31 2016-09-20 주식회사 뮤제코스메틱 Bca 복합 발효물 및 모낭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78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5479B (zh) 一种含有乳双歧杆菌发酵活性提取物的面膜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CN105647974B (zh) 一种酿酒酵母植物发酵物及其应用和皮肤外用剂
CN112535652A (zh) 一种光感赋活原液及其制备方法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260B1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활성, 항산화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촉진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JP4647940B2 (ja)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KR20200018879A (ko)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5521A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053261B1 (ko) 한약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080077762A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8829B1 (ko)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830B1 (ko)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6266B1 (ko) 화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102247966B1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