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64B1 -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64B1
KR102052864B1 KR1020130118483A KR20130118483A KR102052864B1 KR 102052864 B1 KR102052864 B1 KR 102052864B1 KR 1020130118483 A KR1020130118483 A KR 1020130118483A KR 20130118483 A KR20130118483 A KR 20130118483A KR 102052864 B1 KR102052864 B1 KR 102052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dentification device
passenger identification
passeng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001A (ko
Inventor
박병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와 상기 시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승객의 착석시 변형량을 검출하도록 복수의 중량센서가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승객식별장치{Occupant Classify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들을 담고,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의 중량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승객의 착석과 동시에 설정된 세팅(SETTING)값으로 프로세서(PROCESSOR)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시트의 높낮이 및 앞, 뒤 간격이 조절되는 승객식별장치(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가 적용된다.
그 중에 WCS(Weight Classification System)는 2~4개의 중량센서(스트레인 게이지 타입)와 WCU(Weight Classification Unit)로 구성된다.
WCS는 조수석 승객의 하중을 측정하여, 조수석 시트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WCS ECU에 전달하고 WCS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중량센서의 출력값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공석, 어린이, 성인 등으로 승객을 식별하여, WCS ECU는 승객식별 정보를 에어백 제어 유닛(Air-bag Control Unot)에 전달하여, 조수석 에어백 전개유무 및 전개강도를 제어한다.
WCS는 수직형 중량센서를 시트를 장착하기 위해 중량센터의 상, 하측에 시트와 장착할 수 있도록 볼트, 너트의 결합구조로서 이용, 중량 센서가 상, 하측으로 힘을 받음에 따라 변형력을 측정하게 된다. 센서의 높이, 상하 각각에 설치된 결합 구조의 높이 등에 의해 중량 센서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높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또, 중량센서는 하중 노이즈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센서가 장착되는 부위에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는 장착부 공차흡수 구조가 적용된다.
이러한 장착부 구조는 WCS성능과 관련된 중요한 설계요소이며 공차흡수를 잘할 수 있도록 유연하면서도 내구적으로 강건한 중량센서를 적용하게 되면, 중량센서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설치될 공간이 좁은 승용차에는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에 설치되는 중량센서의 부피를 줄여 좁은 공간에 설치하여 승객식별을 가능하도록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승객의 착석시 변형량을 검출하도록 중량센서가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승객식별장치의 중앙에 상기 결합홀의 방향으로 갈수록 전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내주연이 상기 결합부재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볼트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너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결합부재의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승객식별장치의 너트가 형성된 부분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의 체결시 상기 상기 너트부와 수평이 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센서부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승용차 패키지 시트 트랙 하단부에 장착이 가능하여 기존의 설치되지 못했던 설치장소에도 가능하게 되어 승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설치시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원가절감 및 경량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가 포함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의 승객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단면도의 다른 각도로 장착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가 포함되는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의 승객식별장치의 정면도와 도 4는 도 1에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5는 도 4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인 경우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트(1)와 시트(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10)과 제1 프레임(10)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20) 및 승객의 착석시 변형량을 검출하도록 복수의 중량센서(50)가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고,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식별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식별장치(30)는 제2 프레임(20)에 형성된 결합홀(22)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32)가 형성된다.
제1 프레임(10)은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1)의 내부에 구비된다.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프레임(10)의 양측면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홀(12)이 형성된다. 본발명에 따르면 볼트홀(12)은 승객식별장치(30)에 형성된 너트부(34)에 볼트(60)가 삽입되도록 볼트홀(12)을 관통하여 볼트(60)가 승객식별장치(30)의 너트부(34)에 체결된다.
제2프레임(20)은 제1 프레임(10)의 양측면과 대응되도록 제1 프레임(10) 하측에 배치된다. 제2 프레임(20)에 제1 프레임(10)의 볼트홀(12)과 대응되도록 프레임홀(22)이 형성된다. 프레임홀(22)은 볼트홀(12)보다 크고 프레임홀(22)의 직경은 너트부(34)의 외경과 동일하다.
제2프레임(20)은 프레임홀(22)의 사이에 결합부재(32)가 삽입되도록 관통부(42)가 형성된다. 제2 프레임(20)은 승객식별장치(30)가 배치되는 타측으로 관통부를 통해 삽입된 결합부재(32)가 끼워지도록 끼움부재(40)가 배치된다. 끼움부재(40)는 결합부재(32)가 끼워지는 내주연이 결합부재(32)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승객식별장치(30)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승객의 착석시 변형량을 검출하도록 중량센서(50)가 구비되어 배치된다. 승객식별장치(30)의 양측에는 제1 프레임(10)의 볼트홀(12)를 통해 삽입된 볼트(60)로 체결되도록 너트부(34)가 형성된다. 승객식별장치(30)의 너트부(34) 사이에 결합부재(32)가 형성된다.
승객식별장치(30)의 중심에 끼움부재(40)에 끼워지도록 결합부재(32)가 형성되고, 결합부재(32)와 너트부(34) 사이에 홈부(36)가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중량센서(50)가 배치된다. 승객식별장치(30)는 제1 프레임(10)을 관통한 볼트(60)와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너트부(34)가 형성된다. 승객식별장치(30)의 중앙에 끼움부재(40)의 방향으로 갈수록 전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승객식별장치(30)는 상측에 제1 프레임(10)과 체결되도록 결합부재(32)의 양측에 즉, 승객식별장치(30)의 양측에 너트부(34)가 형성되어 제1 프레임(10)의 볼트홀(12)로 삽입된 볼트(60)와 체결되고, 하측에 제2 프레임(20)에 구비된 끼움부재(40)에 결합부재(3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중량센서(50)는 승객식별장치(30)에 형성된 홈부(36)에 각각 배치된다. 홈부(36)는 제2 프레임(20) 방향으로 형성되고, 홈부(36)에 중량센서(50)를 배치시 중량센서(50)가 제2 프레임(20)에 닿지 않는 깊이로 형성된다.
볼트부(60)는 제1 프레임(10)의 볼트홀(12)을 통하여 삽입되어 너트부(34)와 체결된다. 이때, 너트부(34)에 체결시 삽입된 볼트부(60)의 선단은 너트부와 수평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에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차량의 구비되는 시트의 내부에는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10)과 상기 제2 프레임(20)의 사이에 승객식별장치(30)가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승객식별장치(30)에 결합부재(32)는 상기 제2 프레임(20)의 끼움부재(40)에 억지로 삽입시켜 끼운다.
다음, 상기 제1 프레임(10)에 형성된 볼트홀(12)를 통하여 볼트(60)의 선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볼트(60)의 선단은 상기 승객식별장치(30)의 너트부(34)에 각각 체결된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과 같이 승객식별장치(30)의 결합부재(32)가 제2 프레임(20)의 끼움부재(40)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와 같이 승객식별장치(30)의 결합부재(32)가 상측을 향하여 결합된다.
즉,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승객식별장치(30)가 배치된다. 이때, 승객식별장치(30)는 결합부재(32)가 상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20)에 형성된 볼트홀(12)을 통하여 볼트(60)의 선단이 삽입되고, 볼트(60)의 선단은 승객식별장치(30)의 너트부(34)와 체결된다. 제1 프레임(10)에 끼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재(40)에 상기 결합부재(32)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승객식별장치(3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2)의 방향을 제1 프레임(10)측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고, 제2 프레임(20)측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객식별장치(30)는 상기 제1 프레임(1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의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측정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제1 프레임 20: 제2 프레임
30: 승객식별장치 40: 끼움부재
50: 중량센서

Claims (7)

  1. 시트;
    상기 시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승객의 착석시 변형량을 검출하도록 복수의 중량센서가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식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에 배치되는 끼움부재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승객식별장치의 중앙에 상기 끼움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전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내주연이 상기 결합부재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결합홀이 형성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와 체결되도록 너트부가 형성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식별장치는,
    상기 결합부재의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센서가 형성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상기 제1 프레임의 볼트홀과 대응되도록 프레임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체결시 상기 너트부와 수평이 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KR1020130118483A 2013-10-04 2013-10-04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KR10205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83A KR102052864B1 (ko) 2013-10-04 2013-10-04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83A KR102052864B1 (ko) 2013-10-04 2013-10-04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01A KR20150040001A (ko) 2015-04-14
KR102052864B1 true KR102052864B1 (ko) 2019-12-05

Family

ID=5303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483A KR102052864B1 (ko) 2013-10-04 2013-10-04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401A (ja) * 2002-12-05 2004-07-02 Dr Ing H C F Porsche Ag 車両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コンソ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598A (ko) * 2004-10-15 2006-04-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하중센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401A (ja) * 2002-12-05 2004-07-02 Dr Ing H C F Porsche Ag 車両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コンソ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01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741B2 (en) Seat weight measuring apparatus
US79915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vehicle occupant
US8746084B2 (en) Vehicle impact sensing system
EP1946960A1 (en) Occupant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vehicle seat
US20070209451A1 (en) Seat load measuring apparatus
US7854453B2 (en) System for detecting objects colliding with automotive vehicle
WO2017122598A1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WO2006011597A1 (ja) 車両用シートの乗員重量測定装置
CN202368417U (zh) 用于车辆及车辆座椅的感应式头枕系统及与车辆座椅的座椅框架连接的感应式头枕机构
KR101430195B1 (ko) 승객식별장치
US20150048666A1 (en) Seat
US10351021B2 (en) Vehicle seat fastening structure and vehicle seat fastener
KR102052864B1 (ko)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US6759603B2 (en) Weight sensor assembly with overload spring
JP2011218881A (ja) 車両用シート
JP421040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3270030A (ja) 車両用スライドシートの荷重検出構造
JP5862065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150054577A (ko)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CN107310481B (zh) 一种汽车侧踏板固定结构
KR20150043884A (ko)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KR101181083B1 (ko) 승원 분류 시스템의 무게 감지 장치
JP2003194621A (ja) 車両用シートの荷重検出構造
CN100537305C (zh) 用于汽车的座椅组件
KR20080008105A (ko) 차량용 하중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