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80B1 -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80B1
KR102052680B1 KR1020190004857A KR20190004857A KR102052680B1 KR 102052680 B1 KR102052680 B1 KR 102052680B1 KR 1020190004857 A KR1020190004857 A KR 1020190004857A KR 20190004857 A KR20190004857 A KR 20190004857A KR 102052680 B1 KR102052680 B1 KR 10205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s
tower
building
segment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은
서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00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7Devices and methods for erecting scaffolds, e.g. automatic scaffold er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은 타워별 제1,2,3,4 분절을 건축물 공사현장 외부에 위치한 제작소에서 미리 제작하는 단계; 건축물의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한 후,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 상에 모듈용 베이스를 설치하는 단계; 타워별 제1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타워별 제2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건축물의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 타워별 제3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타워별 제4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3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및 건축물의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standing modul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에 입상 모듈을 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건축물 외벽을 전반적으로 보수하는 경우, 작업자를 위한 통로나 작업대가 마련되어 있는 비계(scaffold)를 건축물 외벽에 가설하여,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각종 자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비계는 건축물 외벽의 둘레에 목재나 파이프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체결부재로 결합하고, 목재나 파이프 사이에 작업대나 안전펜스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사용된 비계를 모두 철거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건축물에 비례하여 불필요하게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비계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상당히 까다로우며, 일부 재사용이 불가능한 자재를 폐기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물류비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27534호(2018. 02. 08.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건축물에 유틸리티 등을 시설하기 위해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 입상 모듈을 시공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폐기 처리에 따른 물류비 및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은 제1,2,3,4 분절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조립되어 타워를 이루며, 이 타워가 좌우로 다수 배열된 상태로 조립되는 구성을 갖는 건축물용 입상 모듈을 건축물의 시공 구역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타워별 제1,2,3,4 분절을 건축물 공사현장 외부에 위치한 제작소에서 미리 제작하는 단계; 건축물의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한 후,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 상에 모듈용 베이스를 설치하는 단계; 타워별 제1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타워별 제2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건축물의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 타워별 제3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타워별 제4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3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및 건축물의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에 유틸리티 등을 시설하기 위해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 입상 모듈을 시공하므로, 비계를 사용하는 것보다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 모듈을 시공한 후 철거 없이 그대로 사용하므로, 폐기 처리에 따른 물류비 및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에 의해 입상 모듈이 건축물에 시공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상 모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상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타워별 제1,2,3,4 분절을 시공 구역으로 반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에 의해 입상 모듈이 건축물에 시공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상 모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상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은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조립되어 타워(110, 120, 130, 140)를 이루며, 이 타워(110, 120, 130, 140)가 좌우로 다수 배열된 상태로 조립되는 구성을 갖는 건축물용 입상 모듈(100)을 건축물의 시공 구역에 시공하는 방법이다.
입상 모듈(100)은 반도체 제조공장의 전력, 가스, 공기 등 제반 공정에 필요한 유틸리티를 관리하는 유틸리티동(utility building) 등과 같은 건축물에 시공 구역마다 시공되어 유틸리티를 시설할 수 있게 한다.
타워(110, 120, 130, 140)는 4개가 1조를 이루어 동일 평면 상에 일렬로 배열되어 조립될 수 있다. 타워(110, 120, 130, 140)의 개수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타워(110, 120, 130, 140)는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 추가적인 분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타워(110, 120, 130, 140)는 시공될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설정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은 타워(110, 120, 130, 140)마다 1m 내외의 차이로 나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제1 분절(111, 121, 131, 141)은 랙과, 케이블 트레이, 및 캣워크(cat walk)를 포함할 수 있다. 랙은 종방향 프레임들과 횡방향 프레임들이 연결되어 입방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건축물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에 해당하며, 종방향은 건축물 바닥면과 수직인 방향에 해당한다. 종방향 프레임들과 횡방향 프레임들은 연결 브래킷들을 매개로 볼팅 등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장착되거나, 용접 등에 의한 방식에 의해 접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들이 배선 처리되도록 케이블들을 탑재해서 지지한다. 캣워크는 입상 모듈(100)에서 작업자의 통행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캣워크는 상호 인접한 타워들(110, 120, 130, 14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와 캣워크는 볼팅 등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랙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은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어 타워를 이루게 된다.
타워(110, 120, 130, 140)들 중 어느 하나의 타워(120)는 작업자의 통행을 위한 사다리(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사다리(120a)는 해당 타워(120)의 랙에 볼팅 등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타워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의 타워(110)는 버스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덕트는 금속성 덕트 내에 절연성이 우수한 지지물로 동선, 동피 등을 절연한 상태로 고정하여 수용한 구성을 갖는다. 버스 덕트는 해당 타워(110)의 랙에 볼팅 등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들이 저압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버스 덕트는 고압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타워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의 타워(140)는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은 가스, 공기 등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배관은 해당 타워(140)의 랙에 볼팅 등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워(110, 120, 130, 140)별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을 건축물 공사현장 외부에 위치한 제작소에서 미리 제작한다. 이때, 제작된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에는 보양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보양재는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의 하역시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을 보호한다. 타워(110, 120, 130, 140)는 4개를 1조씩 제작될 수 있다. 4개의 타워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의 타워(120)에 사다리(120a)를 장착해서 마련해둘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10)를 타설한다.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10)의 타설 전에 건축물의 기둥을 시공해서 마련해둘 수 있다. 그 다음, 타설된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10) 상에 모듈용 베이스(11)를 설치한다. 모듈용 베이스(11)는 상부에 입상 모듈(100)을 장착해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모듈용 베이스(11)에 입상 모듈(100)과의 볼팅 체결을 위한 홀을 타공할 수 있다.
그 다음, 타워(110, 120, 130, 140)별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11)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한다.
이때, 사다리(120a)를 장착한 타워(120)의 제1 분절(121)을 다른 타워들(110, 130, 140)의 제1 분절들(111, 131, 141)보다 먼저 시공 구역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11) 상에 조립할 수 있다. 이후, 나머지 제1 분절들(111, 131, 141)을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1) 상에 조립할 수 있다.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을 모듈용 베이스(11)에 볼팅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의 상호 인접한 캣워크들을 볼팅 체결 등에 의해 연결해서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작업자는 사다리(120a)와 캣워크를 이용해서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의 인양에 사용된 샤클(shackle)을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110, 120, 130, 140)별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한다.
이때, 사다리(120a)를 장착한 타워(120)의 제2 분절(122)을 다른 타워들(110, 130, 140)의 제2 분절들(112, 132, 142)보다 먼저 시공 구역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121) 상에 조립할 수 있다. 이후, 나머지 제2 분절들(112, 132, 142)을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들(111, 131, 141) 상에 각각 조립할 수 있다.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을 제1 분절들(111, 121, 131, 141)에 볼팅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의 상호 인접한 캣워크들을 볼팅 체결 등에 의해 연결해서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작업자는 사다리(120a)와 캣워크를 이용해서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의 인양에 사용된 샤클을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그 다음, 건축물의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20)를 타설한다. 이때,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이 시공된 구역을 제외한 구역에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20)를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타설된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20) 상에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을 둘러싸도록 보강 빔(21)을 설치한 후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에 조립해서 보강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110, 120, 130, 140)별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한다. 이때, 사다리(120a)를 장착한 타워(120)의 제3 분절(123)을 다른 타워들(110, 130, 140)의 제3 분절들(113, 133, 143)보다 먼저 시공 구역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122) 상에 조립할 수 있다. 이후, 나머지 제3 분절들(113, 133, 143)을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들(112, 132, 142) 상에 각각 조립할 수 있다.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을 제2 분절들(112, 122, 132, 142)에 볼팅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의 상호 인접한 캣워크들을 볼팅 체결 등에 의해 연결해서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작업자는 사다리(120a)와 캣워크를 이용해서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의 인양에 사용된 샤클을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별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한다. 이때,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을 제3 분절들(113, 123, 133, 143)에 볼팅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의 상호 인접한 캣워크들을 볼팅 체결 등에 의해 연결해서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작업자는 사다리(120a)와 캣워크를 이용해서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의 인양에 사용된 샤클을 제4 분절(114, 124, 134, 144)들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그 다음, 건축물의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30)를 타설한다. 이때,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이 시공된 구역을 제외한 구역에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30)를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타설된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30) 상에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을 둘러싸도록 보강 빔(31)을 설치한 후 제4 분절들(114, 124, 134, 144)에 조립해서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게 되면, 입상 모듈(100)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시공된 입상 모듈(100)은 유틸리티 등의 시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에 의하면, 건축물에 유틸리티 등을 시설하기 위해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 입상 모듈(100)을 시공하므로, 비계를 사용하는 것보다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에 의하면, 입상 모듈(100)을 시공한 후 철거 없이 그대로 사용하므로, 폐기 처리에 따른 물류비 및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타워(110, 120, 130, 140)별 제1 분절(111, 121, 131, 141)과,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을 시공 구역으로 반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양재가 장착된 제1 분절(111, 121, 131, 141)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하역 구역에 하역해서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한쪽 단에 크레인(1)의 와이어(1a)들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1 분절(111, 121, 131, 141)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보양재에 의해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크레인(1)의 와이어(1a)들은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기립시 상측을 향하는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단에 4점 연결될 수 있다.
그 다음, 한쪽 단에 크레인(1)의 와이어(1a)들이 연결된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반대쪽 단을 바닥에 일부 지지한 상태로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한쪽 단을 크레인(1)에 의해 일정 각도(θ) 간격으로 끌어올린 후, 제1 분절(111, 121, 131, 141)을 수직으로 세워서 무게를 맞춘다. 예컨대,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한쪽 단을 크레인(1)에 의해 5도 간격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그 다음, 수직으로 세워져 무게가 맞춰진 제1 분절(111, 121, 131, 141)을 크레인(1)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임시 높이로 리프팅시킨 후 보양재를 제거해서 크레인(1)에 의해 목표 높이로 리프팅시킨다. 여기서, 임시 높이는 대략 30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게 되면, 제1 분절(111, 121, 131, 141)은 시공 구역으로 인양되어 반입될 수 있다. 제2 분절(112, 122, 132, 142)과, 제3 분절(113, 123, 133, 143)과, 제4 분절(114, 124, 134, 144)도 제1 분절(111, 121, 131, 141)의 반입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양되어 반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입상 모듈
110, 120, 130, 140..타워
120a..사다리
111, 121, 131, 141..제1 분절
112, 122, 132, 142..제2 분절
113, 123, 133, 143..제3 분절
114, 124, 134, 144..제4 분절

Claims (3)

  1. 제1,2,3,4 분절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조립되어 타워를 이루며, 이 타워가 좌우로 다수 배열된 상태로 조립되는 구성을 갖는 건축물용 입상 모듈을 건축물의 시공 구역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타워별 제1,2,3,4 분절을 건축물 공사현장 외부에 위치한 제작소에서 미리 제작하는 단계;
    (b) 건축물의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한 후, 지상 최하층용 바닥 슬래브 상에 모듈용 베이스를 설치하는 단계;
    (c) 타워별 제1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d) 타워별 제2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e) 건축물의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고, 타설된 지상 중간층용 바닥 슬래브 상에 제2 분절들을 둘러싸도록 보강 빔을 설치한 후 제2 분절들에 조립해서 보강하는 단계;
    (f) 타워별 제3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g) 타워별 제4 분절들을 시공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3 분절 상에 각각 조립하고 상호 간에 조립하는 단계; 및
    (h) 건축물의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고, 타설된 지상 최상층용 바닥 슬래브 상에 제4 분절들을 둘러싸도록 보강 빔을 설치한 후 제4 분절들에 조립해서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타워들 중 어느 하나의 타워에 사다리를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사다리를 장착한 타워의 제1 분절을 다른 타워의 제1 분절보다 먼저 시공 구역으로 반입해서 모듈용 베이스 상에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사다리를 장착한 타워의 제2 분절을 다른 타워의 제2 분절보다 먼저 시공 구역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1 분절 상에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f) 단계는 사다리를 장착한 타워의 제3 분절을 다른 타워의 제3 분절보다 먼저 시공 구역으로 반입해서 해당 제2 분절 상에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c), (d), (f), (g) 단계는,
    보양재가 장착된 제1,2,3,4 분절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하역 구역에 하역해서 제1,2,3,4 분절의 한쪽 단에 크레인의 와이어들을 연결하는 과정과,
    한쪽 단에 크레인의 와이어들이 연결된 제1,2,3,4 분절의 반대쪽 단을 바닥에 일부 지지한 상태로 제1,2,3,4 분절의 한쪽 단을 크레인에 의해 일정 각도 간격으로 끌어올린 후, 제1,2,3,4 분절을 수직으로 세워서 무게를 맞추는 과정, 및
    수직으로 세워져 무게가 맞춰진 제1,2,3,4 분절을 크레인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임시 높이로 리프팅시킨 후 보양재를 제거해서 크레인에 의해 목표 높이로 리프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4857A 2019-01-14 2019-01-14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KR10205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57A KR102052680B1 (ko) 2019-01-14 2019-01-14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857A KR102052680B1 (ko) 2019-01-14 2019-01-14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680B1 true KR102052680B1 (ko) 2019-12-06

Family

ID=6883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857A KR102052680B1 (ko) 2019-01-14 2019-01-14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6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204A (ja) * 1994-12-28 1996-07-16 Taisei Corp 集合住宅の建築方法
KR20120003172A (ko) * 2010-07-02 2012-01-10 문근환 모듈 적층방식의 건축물 코어부 시공방법
KR101827534B1 (ko) 2017-11-21 2018-02-08 (주)신담엔지니어링 건축용 비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204A (ja) * 1994-12-28 1996-07-16 Taisei Corp 集合住宅の建築方法
KR20120003172A (ko) * 2010-07-02 2012-01-10 문근환 모듈 적층방식의 건축물 코어부 시공방법
KR101827534B1 (ko) 2017-11-21 2018-02-08 (주)신담엔지니어링 건축용 비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4571B1 (en) Zone modul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CN110512719B (zh) 一种高层住宅大跨度间隔式连廊高空支模钢平台施工工法
EP0487516B1 (en) Construction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JP5488895B2 (ja) モジュール構造物、プラント、モジュール構造物を用いたプラントの建設工法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2063433B1 (ko) 배관설비 통합모듈 수직 인양공법
CN104533097A (zh) 装配式多层建筑的递推阶梯式施工方法
KR102052680B1 (ko) 건축물용 입상 모듈 시공방법
JP5183606B2 (ja) 機器の基礎施工に用いるアンカーボルトのユニット構造物とそれを用いた機器の基礎施工方法
JP2010133084A (ja) 中空式高構造物の施工方法
JP6066164B2 (ja) 重量機器の据付工法
JP6646220B2 (ja) 吊り天井用の吊り鉄骨フレームの施工方法
US20170218649A1 (en) CMU Cooling Tow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09402313B (zh) 一种高炉下降管砌砖内衬材料运输系统及施工方法
CN114482561A (zh) 钢结构屋面安装方法
JPH11211003A (ja) ボイラとその組立方法
JP6004394B2 (ja) 重量機器の据付工法
JP6061339B2 (ja) 構造物改築方法および構造物改築システム
JP5761595B2 (ja) モジュール構造物、モジュール工法
CN108343233B (zh) 可重复使用的一次引入设备的楼板施工快速支撑结构
KR102502713B1 (ko)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CN220150379U (zh) 一种运维检修电缆钢栈道
CN115773001B (zh) 一种钢结构仿古阁楼施工方法
JP2008222416A (ja) 鉄塔及びこの鉄塔の組み立て工法
CN212224575U (zh) 一种建筑施工安全作业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