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722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722B1
KR102051722B1 KR1020177022128A KR20177022128A KR102051722B1 KR 102051722 B1 KR102051722 B1 KR 102051722B1 KR 1020177022128 A KR1020177022128 A KR 1020177022128A KR 20177022128 A KR20177022128 A KR 20177022128A KR 102051722 B1 KR102051722 B1 KR 10205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tip
wire lumen
slit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415A (ko
Inventor
히로후미 미조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Publication of KR2017012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7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external means for receiving guide wires, wires or stiffening members, e.g. loops, clamps or later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Catheters having a lateral opening for guiding elongated means lateral to the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8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slitted or breakaway lum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08Guide wires having a 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체내 관강으로부터 잡아 뽑을 때의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10)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인열 용이부(36)를 설치하고, 카테터(10)의 잡아 뽑기 시에 가이드 와이어가 걸렸을 때, 주벽부가 인열 용이부(36)에서 갈라져서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으로부터 외부로 이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카테터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료 분야에서는 각종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카테터를 혈관이나 복강 등의 체내에 삽입하여 약액 등을 주입하거나 혈액이나 체액을 채취하는 것 이외에, 카테터를 통하여 체내에 삽입한 디바이스로 치료나 검사 등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혈관의 협착 부위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카테터 선단 부분에 설치된 벌룬으로 협착 부위를 확장함으로써 혈류를 회복시키는 시술 등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체외부터 경피적으로 혈관 등의 체내 관강에 삽입되어, 미리 관강에 도입한 가이드 와이어로 유도됨으로써, 처치해야 할 위치에까지 도달시켜진다. 그 때문에, 카테터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카테터로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샤프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오버 더 와이어형의 카테터 이외에, 샤프트의 선단 부분에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래피드 익스체인지형 등의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8533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선단측 포트가 카테터 선단면에 위치하고 있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가 카테터 외주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전체 길이가 카테터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아진다. 그 때문에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를 용이하게 삽입 잡아 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카테터의 삽입 잡아 뽑기에 필요해지는 가이드 와이어의 길이도 짧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 있어서는, 가이드 와이어로 안내되어서 체내 관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잡아 뽑을 때, 체내 관강에 유치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보다도 전방측에서 휘면, 기단측 포트에 원활하게 들어가지 않고 기단측 포트 주연에 걸려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이 발생하면, 카테터를 잡아뽑는 작업에 큰 지장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히 휜 가이드 와이어가 루프상으로 되거나 하여 강하게 걸린 상태에서는, 카테터를 잡아 뽑지 못하게 될 우려도 있다. 카테터를 무리하게 잡아뽑으면, 가이드 와이어에 걸려 있는 기단측 포트 부근을 기점으로 카테터가 파단되어 선단측이 분리 탈락되어 버리는 경우도 생각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85339호 공보
여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 과제로 하는 바는, 체내 관강으로부터 잡아 뽑을 때의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상기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둘레 방향에 비하여 작은 부분인 인열 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체내 관강으로부터 잡아 뽑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에 가이드 와이어가 걸리면, 기단측 포트 주연에 작용하는 걸림력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대하여 절입력이나 확대 개방력으로서 작용한다. 그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는, 인열될 것을 예정하여 인열 강도가 작게 된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절입력이나 확대 개방력의 작용으로 인열 용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개방된다. 그 결과, 걸려 있었던 가이드 와이어는, 개방된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이며, 가이드 와이어가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그 때문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과대한 외력이 미치는 것이 방지되어서, 카테터가 파단되어 선단측만이 분리되어버리는 문제도 방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가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벗겨짐으로써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이 해소된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로부터 독립하여 체내 관강으로부터 용이하게 잡아뽑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전체 길이가 짧게 되는 것에 의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의 이점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에 의한 카테터 잡아 뽑기 조작 시의 문제가 방지되어, 양호한 조작성이 안정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중심축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걸림 시에 미치는 외력으로 더한층 원활하게 인열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나 만곡, 굴곡되거나 하는 형태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그에 따라서, 예를 들어 인열 강도의 조절 등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주벽부의 인열 강도가 부분적으로 작게 되어서 인열 용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절입부가 미관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벽부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미관통으로 남겨진 부분으로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절입부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 관련되는 미관통된 절입부는, 예를 들어 소정 두께로 형성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대하여 커터 등을 사용하여 소정 깊이로 미관통의 절입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하의 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주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 구조로 하고, 특정한 층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해 둠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제2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내벽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통형 부재이며, 상기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통형 부재인 제1 통형부와, 상기 제1 통형부에 대하여 상기 벽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통형부를 덮는 제2 통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입부는, 상기 제1 슬릿이, 상기 제2 통형부로 덮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적층 구조로 된 특정한 층 부분에만 관통하는 제1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치수로 된 슬릿을 용이하게 또한 안정된 두께 방향의 치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슬릿이 형성된 층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슬릿을 갖지 않는 통형부를 설치하여 슬릿을 덮음으로써, 슬릿의 개구를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3 중 어느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주벽부의 인열 용이부를 보다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슬릿은,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탄성이나 강성에 의해 당해 슬릿이 정상 시에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으로 정상적이지 않은 외력이 미쳤을 때 인열 용이부로서의 슬릿이 개방되도록 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슬릿은, 이하의 형태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상기 제4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벽부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제2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 관한 벽부를 관통하는 제2 슬릿은, 예를 들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스티치형으로 형성되는 외에, 주벽부의 축방향 한쪽 단부로부터 타단부에까지는 이르지 않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나, 주벽부의 축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 양단부까지는 이르지 않는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 등, 임의의 길이나 수, 형상 등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형태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를 미관통의 절입부와, 제4 형태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를 관통하는 제2 슬릿을, 주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장소 등에 형성하여 병용하여 인열 용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3 중 어느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부분인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가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부분인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의해, 걸린 가이드 와이어가 기단측 포트 내에서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유도되게 된다. 그 결과, 인열 용이부에 대하여, 걸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한 인열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인열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이탈 작용이 더한층 안정적으로 달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3 중 어느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위단측에 벌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벌룬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초음파 화상 진단 카테터(IVUS)나 흡인 카테터, 마이크로 카테터(관통용 카테터) 등, 모노레일 타입의 각종 카테터에 적용 가능한데, 특히 본 형태와 같은, 벌룬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한 카테터 선단 부분에만 짧은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벌룬 카테터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벌룬 카테터에서는, 체내 관강의 만곡부에의 추종성 등을 고려하여 고도의 유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에 기인하는 선단부의 파단 분리의 문제가 발생되기 쉬운 카테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카테터 선단부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걸린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카테터 제거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로 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서는, 체내 관강으로부터의 잡아 뽑기 시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걸린 경우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설치된 인열 용이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가 루멘 밖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카테터 선단부에의 과대한 외력 작용이 방지되고, 카테터 선단부의 파단 분리도 방지되어, 카테터를 용이하게 잡아 뽑기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벌룬 카테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선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선단 튜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모델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c)는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의 적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 설명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3에 대응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카테터의 일 실시 형태인 벌룬 카테터(10)의 전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는 경피성 혈관 성형술의 시술 시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술자는, 선행하여 혈관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벌룬 카테터(10)를 협착 또는 폐색한 혈관의 병변 부위에 삽입한다. 벌룬 카테터(10)는 선단측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혈관 내에 삽입된다. 시술자는, 벌룬 카테터(10)를 기단측에서 조작하여, 선단측에 설치된 벌룬으로 혈관의 병변 부위를 확장하여 혈류 회복의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 방향, 우측 방향은 각각, 벌룬 카테터(10)의 원위측, 근위측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벌룬 카테터(10)는 소정 길이의 샤프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12)의 기단에는, 허브(14)가 접속되어 있다. 기단은 시술자의 근위측이다. 샤프트(12)의 선단 가까이에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벌룬(16)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샤프트(12)와 허브(14)와 벌룬(16)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10)의 기본 구조는, 상기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의 것이다.
샤프트(12)의 내부에는, 허브(14)부터 벌룬(16)에까지 이르는 급배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브(14)에 접속되는 외부 관로로부터 급배 루멘을 통해서, 압력 유체가 벌룬(16)에 대하여 급배 가능하다. 벌룬(16)은 압력 유체의 작용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은 벌룬(16)의 선단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선단측을 향하여 더 돌출되어 있다. 선단 부분(18)은 혈관에의 삽입시 등에 혈관벽에 닿기 쉽기 때문에 특히 유연하고 변형 용이함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선단 팁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의 선단에 고착되어도 된다. 즉, 선단 부분(18)은 선단 팁이 일체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16)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된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좌측 방향, 우측 방향은 각각, 벌룬 카테터(10)의 원위측, 근위측이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은 선단 부분(18)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은 선단측 포트(22)와 기단측 포트(24)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다. 선단측 포트(22)는 샤프트(12)의 선단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기단측 포트(24)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의 외주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기단측 포트(24)는 벌룬(16)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은 샤프트(12)에 있어서 벌룬(16)으로부터 돌출된 선단 부분(18)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벌룬 카테터(10)는 가이드 와이어가 샤프트(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 관통되지 않는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의 외주면에서 개구되는 개구부이다(도 2 참조). 기단측 포트(24)의 형상은, 소정의 위치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개구 폭이 양측으로부터 좁아져서 점차 작아지는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단측 포트(24)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를 포함한다.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는 선단을 향하여 개구 모서리의 폭이 좁아지는 모서리가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약간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의 높이 중,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의 높이가 가장 높다. 높이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축선으로부터의 최단 거리에 상당한다. 즉,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 중,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축선으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선단 튜브(30)가 배치되어 있다. 선단 튜브(30)는 대략 일정한 원형의 단면에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한 통형 부재(제1 통형부)이다. 선단 튜브(30)는 샤프트(12)의 선단면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선단 튜브(30)의 내부 구멍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통형부로서의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은 벽 두께 방향으로 제1 통형부로서의 선단 튜브(30)를 덮는다. 즉, 선단 튜브(30)의 외주면은,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대략 전체면이 덮여 있다. 그 때문에, 선단 부분(18)이 선단 튜브(3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선단 튜브(30)가 내주벽부이며,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이 외주벽부인 2층의 주벽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는, 내주벽부인 선단 튜브(30)와, 외주벽부인 선단 부분(18)으로 구성되는 2층의 주벽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층 구조의 주벽부는, 예를 들어 미리 준비한 선단 튜브(30)를 세트한 성형 캐비티에 소정의 수지 재료를 충전하고, 선단 튜브(30)의 외주면에 수지층을 성형함으로써, 수지 성형과 동시에 선단 튜브(30)가 일체화된 선단 부분(18)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을 형성하는 재질과 선단 튜브(30)를 형성하는 재질은 각각,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도에 따른 내약품성 등 외에, 전체적으로 샤프트 선단에 요구되는 유연성이나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인열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폴리우레탄 수지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등이,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과 선단 튜브(30)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부터 도 5를 참조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설치된 인열 용이부(3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매설 상태로 배치된 선단 튜브(30)의 통벽부에는, 절입형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튜브(30)에 형성된 슬릿(32)은 선단 튜브(30)의 통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제1 슬릿이다(도 4 참조). 또한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으로는, 슬릿(32)은 선단 튜브(30)보다도 짧은 길이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미형성 부분(34)도 남겨져 있다. 슬릿 미형성 부분(34)은 슬릿(32)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있어서, 슬릿(3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입형 슬릿(32)과, 기단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입형 슬릿(32)이 선단 튜브(30)에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슬릿(32)의 사이가 슬릿 미형성 부분(34)이다. 또한, 선단 튜브(30)의 기단측 개구부는, 슬릿(32)의 형성 부분에 있어서 확대 개방되어 있다. 이 확대 개방된 부분에 들어가도록, 샤프트(12)의 기단측 포트(24)의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이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그 1층을 이루는 선단 튜브(30)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튜브(30)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인열 강도가, 슬릿(32)이 위치하는 둘레 상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 부분(18)은 슬릿(32)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인열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선단 튜브(30)의 슬릿(32, 32)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인열 용이부(36)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32)은 선단 부분(18)의 둘레 상에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32)의 연장선 상에는 기단측 포트(24)가 위치하고 있다. 기단측 포트(24)의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는 슬릿(32)을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벌룬 카테터(10)를 사용하여 혈류 회복 처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시술자는 가이드 와이어를 경피적으로 혈관 내에 삽입하여 선단을 병변 부위까지 유도한다. 그 후, 시술자는 벌룬 카테터(10)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에 대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벌룬 카테터를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혈관 내의 병변 부위까지 도입한다. 그 후, 허브(14)로부터 급배 루멘을 통해서, 벌룬(16)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여 확장시킨다. 이에 의해 혈관의 병변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 처치 후에는, 급배 루멘(18)을 통하여 벌룬(16)으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시켜서 수축시키고 나서, 벌룬 카테터(10)를 혈관으로부터 발거하게 된다.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에서는, 혈관으로부터 발거할 때에 도 3에 가상선(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38)가 루프상 등으로 만곡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에 걸린 상태에서, 벌룬 카테터(10)를 가이딩 카테터(미도시)로부터 발거할 수 없게 되거나, 기단측 포트(24)로부터 횡단 방향으로 파단되어 선단 부분(18)만이 혈관 내에 유치되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즉, 가이드 와이어(38)가 만곡되어 기단측 포트(24)에 걸리면, 벌룬 카테터(10)에 외부로부터 가해진 잡아 뽑기력에 의해, 기단측 포트(24)의 개구 주연에 대하여 가이드 와이어(38)가 강하게 눌러진다. 이 누르는 힘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대하여 기단측 포트(24)의 개구 주연을 선단측을 향하여 밀어서 개방하여 인열하는 외력으로서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는, 둘레 상에서 인열 강도가 국소적으로 작게 된 인열 용이부(36)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인열된다. 그것과 동시에, 가이드 와이어(38)가 인열 부분을 통과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20)부터 외부로 벗겨지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기단측 포트(24)로부터 서서히 인열 부분이 연장되어, 인열 부분이 선단측 포트(22)에까지 달하여 전체 길이에 걸치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38)가 벗겨진다. 이에 의해 벌룬 카테터(10)에 대한 가이드 와이어(38)의 걸림이 완전히 해소된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의 혈관으로부터의 잡아 뽑기를, 가이드 와이어(38)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측 포트(24)에 있어서의 선단측 주연부는, 인열 용이부(36)를 향하여 점차 개구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기단측 포트(24)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38)의 눌림 위치는, 선단 개구 모서리(26)를 따라서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을 향하여 유도된다.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인열 용이부(36)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38)와 기단측 포트(24)의 접촉 부분이 인열 용이부(36)에 근접하는 위치에 유도되도록, 기단측 포트(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에 대한 가이드 와이어(38)의 눌리는 힘이, 인열 용이부(36)에의 인열력으로서, 더한층 효율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38)의 걸림의 해제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부분(18)을 구성하는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슬릿 미형성 부분(34)이 남겨져 있다. 슬릿 미형성 부분(34)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내인열 강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슬릿 미형성 부분(34)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그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 슬릿(32, 32)의 단부 간이, 인열 방향으로 접근하여 대향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기단측의 슬릿(32)의 형성 부분을 따라서 선단 부분(18)에 생성시킨 인열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대략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슬릿(32)의 형성 부분에 이르러 성장을 계속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32)이 선단 튜브(30)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 튜브(30)의 선단 개구부의 변형 강성 나아가서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선단 개구부의 변형 강성이, 슬릿(32)에 의해 한층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히 혈관 등의 관강 내면에 닿기 쉬운 샤프트(12)의 최첨단부를 기단측과 비교하여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12)의 최첨단부를 더한층 유연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선단 튜브(30)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입을, 상술한 인열 용이부(36)를 구성하는 슬릿(32)과는 별도로, 둘레 상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36)의 일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 부분(18)의 인열 강도를 둘레 상의 특정 부위에서 저하시킨 각종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몇 가지의 다른 형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채용되고 있었던 선단 튜브에 있어서, 슬릿의 형성 부분과 미형성 부분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된 선단 튜브(40)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42)이 축방향으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형태의 선단 튜브(40)에서는, 슬릿(42)은 축방향에 있어서 기단으로부터 중앙을 넘어서 선단 가까이까지 연장되고, 슬릿 미형성 부분(44)은 슬릿(42)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튜브(40)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선단 튜브(40)도,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선단 튜브(30)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형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형태의 선단 튜브(40)에서는, 축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의 슬릿(42)(제1 슬릿)을 형성하면 되므로,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슬릿을 구비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선단 튜브(30)에 비하여 제작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7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던 선단 튜브 대신에 채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선단 튜브(46)가 도시되어 있다. 본 형태의 선단 튜브(46)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원통 형상이다. 선단 튜브(46)에는, 각각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48)(제1 슬릿)이 대략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48)은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48)은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복수의 슬릿(48) 중 인접하는 슬릿(48)의 사이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슬릿 미형성 부분(49)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형태에서는, 슬릿(48)과 슬릿 미형성 부분(49)이 교대로 형성되고, 인열 용이부는 스티치(또는 절취선) 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선단 튜브(46)도,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선단 튜브(30)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릿(48)이 단속적으로 형성된 부위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열 용이부(36)를 형성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슬릿(48)과 슬릿 미형성 부분(49)이 교대로 위치하므로,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 인열 강도가 약한 부분과 강한 부분이 교대로 위치한다. 그 때문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38)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가 인열될 때에, 벌룬 카테터(10)를 잡아뽑는 시술자의 조작 손에 대하여 인열 용이부를 인열하고 있는 감촉이 더한층 전해지기 쉬워, 시술자의 의식을 적극적으로 일으킴으로써 보다 신중한 수기(手技)를 의식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슬릿(48)의 각각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복수의 슬릿(48)의 길이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상기 실시 형태나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다른 형태와 같이, 선단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형성 부분과 슬릿 미형성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 축방향에 있어서, 슬릿 형성 부분의 합계 길이는 슬릿 미형성 부분의 합계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38)가 걸렸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가 인열 용이부(36)에 있어서 보다 원활하게 인열되어서 가이드 와이어(38)의 이탈이 실현된다.
또한, 도 7의 (c)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3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며,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된 부재나 부위에 대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 둔다. 또한, 도 7의 (a), (b)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5에 대응하는 모델도이며, 실제의 축척에 상관없이 특징적인 구성 부분을 알기 쉽게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형태의 선단 튜브(46)의 기단측은, 도 5의 (a), (b)에 도시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절개되어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선단 튜브(46) 대신에 채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선단 튜브가, 각각, 도 8의 (a), (b), 도 9의 (a), (b), 도 10의 (a),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 (b)에 도시한 선단 튜브(50)에는, 둘레 상의 1개소를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까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슬릿(52)(제1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형태의 선단 튜브(50)는 슬릿(52)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갈라져 있다. 그리고, 이 슬릿(52)이 선단 튜브(50)의 외층을 이루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임으로써,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된다.
도 9의 (a), (b)에 도시한 선단 튜브(56)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의 깊이로 형성된 슬릿(58)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8)은 선단 튜브(56)의 기단부터 선단까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슬릿(58)이 형성된 선단 튜브(56)의 외주면이,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여서 2층 구조로 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선단 튜브(50, 56)에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일정 단면으로 연장되는 슬릿(52, 58)에 의해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단 튜브(50, 56)에 설치된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38)가 걸렸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가, 인열 용이부(36)를 따라서 더한층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인열되어서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이 해소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선단 튜브(56)에서는,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의 내인열 강도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릿(58)의 벽 두께 방향의 깊이가, 선단 튜브(56)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도 10의 (a), (b)에 도시한 선단 튜브(60)에는, 도 8에 도시한 선단 튜브(50)와 마찬가지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62)(제1 슬릿)이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 튜브(60)의 외주에는, 대략 원환상의 마커(64)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마커(64)는 예를 들어 백금 등의 X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시술중의 X선에 의한 시인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마커(64)는 반주를 초과하는 둘레 방향 길이를 가짐으로써, 선단 튜브(60)의 외주면에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커(64)에는 둘레 상의 1개소에서 분단된 개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마커(64)가 선단 튜브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개구부(66)는 선단 튜브(60)의 슬릿(62)에 대하여 둘레 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마커(64)가 장착된 선단 튜브(60)의 외주면이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임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2층의 주벽 구조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62)과 개구부(66)는 둘레 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둘레 상에 있어서 슬릿(62)과 개구부(66)가 위치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작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가 걸렸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슬릿(62)으로부터 마커(64)의 개구부(66)를 통과하여 외주면에 이르는 인열 부분이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시술중에 X선으로 인식할 수 있는 마커(64)의 장착 구조와 아울러,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열 용이부(36)를 형성하고, 벌룬 카테터(10)의 잡아 뽑기 시에의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을 빠르게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선단 튜브(60)의 슬릿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5 내지 9에 도시한 슬릿 구조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는 재질이나 형상 치수를 사용하면, 반드시 마커(64)의 둘레 상에 개구부(66)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걸린 가이드 와이어(38)로 미치게 되는 외력으로 절단되는 링형의 마커(64)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마커(64)의 구체적 형상이나 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단 튜브(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마커가 장착되어도 된다.
상술한 기재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슬릿(32, 42, 48, 52, 58, 62)이 형성된 선단 튜브(30, 40, 46, 50, 56, 60)를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인열 용이부(36)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36)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선단 튜브(30, 40, 46, 50, 56, 60)를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지만, 그러한 선단 튜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는 선단 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선단 부분(18)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 부분(18)의 외주벽으로부터 내주벽을 향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연장되는 슬릿(7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인열 용이부(36)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릿(70)은 선단 부분(18)의 내주벽으로부터 외주벽을 향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선단 부분(18)에 있어서도,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제2 슬릿)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축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스티치형으로 형성되거나,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제2 슬릿)을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선단 부분(18)에도,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커(64)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서로 다른 형태 몇 가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체적 형태예에 관한 기재에 의해 전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인열 용이부는, 3층 이상의 복수의 층 중 1개 이상의 층에 대하여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의 구체적 형태로서는, 예시한 바와 같은 슬릿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편조한 카본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통형으로 하여 주벽부에 매설할 때에, 통상의 강화 섬유에 있어서 둘레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인열 용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열 용이부는, 슬릿과 절단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수지층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킨 단섬유를 배합하거나, 수지의 분자 구조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등에 의해, 둘레 방향에 비하여 축방향의 인열 강도를 저하시켜서 인열 용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둘레 상에서 부분적으로 작게 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외주벽에 있어서 둘레 상에서 특정된 개소에만 인열 용이부가 형성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 형태나 복수의 다른 형태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외주벽의 둘레 상에서 1개소에만 인열 용이부를 설정함으로써, 인열이 예정되는 부위를 특정하여 설계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섬유 배향이나 분자 배열의 편향 등에 의해 둘레 상의 복수 개소에 인열 용이부가 설정되는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걸림에 수반하는 외력은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1개소의 인열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처음에 인열이 전체 길이에 이른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이탈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의 이탈 작용은 유효하게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둘레 상에서 복수 개소에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즉,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는, 복수의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 위치가 예정하지 않은 개소에 발생한 경우나 어떤 원인으로 하나의 인열 용이부에서의 인열이 저해된 경우에도, 다른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의 인열 작용을 페일세이프적으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에, 복수의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복수의 인열 용이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열이 발생하는 개소에 순위 부여를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벌룬 카테터를 예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카테터의 종류는 벌룬 카테터가 아니어도 된다. 카테터는, 예를 들어 초음파 화상 진단 카테터(IVUS)나 흡인 카테터, 마이크로 카테터(관통용 카테터) 등, 모노레일 타입의 각종 카테터여도 된다.
또한 선단 부분(18)은 예를 들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선단 팁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의 선단에 고착되어 일체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선단 팁의 내강에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팁의 선단에 선단측 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선단 팁의 외주벽에 기단측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선단 팁의 주벽 구조는, 1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층으로 선단 팁의 주벽 구조가 구성되는 경우, 각 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내층에만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된 2층의 통형 부재가 카테터 선단에 접합됨으로써, 선단 부분(18)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2층의 통형 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선단측 포트는, 2층의 통형 부재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2층의 통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의 형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타원 등의 원형이어도 된다. 또한 기단측 포트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기단측 포트의 개구 모서리의 폭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기타, 일일이 열거는 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변경, 수정, 개량 등을 가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러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0: 벌룬 카테터
12: 샤프트
18: 선단 부분
20: 가이드 와이어 루멘
22: 선단측 포트
24: 기단측 포트
26: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
30, 40, 46, 50, 56, 60: 선단 튜브
32, 42, 48, 52, 58, 62, 70: 슬릿
34, 44, 49: 슬릿 미형성 부분
36: 인열 용이부
38: 가이드 와이어
64: 마커
66: 개구부

Claims (7)

  1.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상기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둘레 방향에 비하여 작은 부분인 인열 용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벽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통형 부재이며, 상기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통형 부재인 제1 통형부와,
    상기 제1 통형부의 외주에 장착되며, X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된 마커와,
    상기 제1 통형부 및 상기 마커에 대하여 상기 벽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통형부 및 마커를 덮는 제2 통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둘레 상의 일부에서 분단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개구부가 둘레 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입부는, 상기 제1 슬릿이, 상기 제2 통형부로 덮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부분인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는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위단측에 벌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벌룬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6. 삭제
  7. 삭제
KR1020177022128A 2015-03-30 2016-03-18 카테터 KR102051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9706A JP6727757B2 (ja) 2015-03-30 2015-03-30 カテーテル
JPJP-P-2015-069706 2015-03-30
PCT/JP2016/058621 WO2016158475A1 (ja) 2015-03-30 2016-03-18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415A KR20170127415A (ko) 2017-11-21
KR102051722B1 true KR102051722B1 (ko) 2019-12-03

Family

ID=5700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128A KR102051722B1 (ko) 2015-03-30 2016-03-18 카테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7757B2 (ko)
KR (1) KR102051722B1 (ko)
CN (1) CN107206205B (ko)
WO (1) WO201615847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5213A (ja) * 2003-01-17 2006-05-25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破裂可能カテーテル
JP2008508059A (ja) * 2004-07-29 2008-03-21 ウィルソン−クッ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壁を割くことのできるシャフトと剥ぎ取り具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2013184020A (ja) * 2012-03-12 2013-09-19 Goodman Co Ltd 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087A (en) * 1991-09-19 1995-02-14 Baxter International Inc. Fully exchangeable over-the-wire catheter with rip seam and gated side port
US5383853A (en) * 1992-11-12 1995-01-24 Medtronic, Inc. Rapid exchange catheter
WO1996010434A1 (en) * 1994-10-04 1996-04-11 Medtronic, Inc. Rapid exchange catheter
EP0829269A1 (en) * 1996-09-11 1998-03-18 Schneider (Europe) Ag Catheter system
US6007522A (en) * 1996-09-13 1999-12-28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ingle operator exchange biliary catheter
JP2000279507A (ja) * 1999-03-30 2000-10-10 Nippon Zeon Co Ltd 低温ブロー成形バルーンを有する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040143286A1 (en) * 2003-01-17 2004-07-22 Johnson Eric G. Catheter with disruptable guidewire channel
WO2006015323A2 (en) * 2004-07-29 2006-02-09 Wilson-Cook Medical Inc. Catheter with splittable wall shaft and peel tool
EP3682932B1 (en) * 2008-01-14 2021-06-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JP5777936B2 (ja) * 2010-07-16 2015-09-09 テルモ株式会社 吸引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5213A (ja) * 2003-01-17 2006-05-25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破裂可能カテーテル
JP2008508059A (ja) * 2004-07-29 2008-03-21 ウィルソン−クッ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壁を割くことのできるシャフトと剥ぎ取り具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2013184020A (ja) * 2012-03-12 2013-09-19 Goodman Co Ltd 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6205B (zh) 2020-04-03
KR20170127415A (ko) 2017-11-21
WO2016158475A1 (ja) 2016-10-06
CN107206205A (zh) 2017-09-26
JP2016187527A (ja) 2016-11-04
JP6727757B2 (ja)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6424B2 (ja) カテーテル導入器
US7988704B2 (en) Safe septal needle and method for its use
US5536261A (en) Method and closed tip effect catheter apparatus for use in angiography
US5752937A (en) Reinforced splittable medical introducer cannula
US5514108A (en) Soft flexible catheter tip for use in angiography
JP5085644B2 (ja) 軟質の組織トンネリング機器
JP6043301B2 (ja) 血管用針システム
JPH0337953B2 (ko)
KR20200037328A (ko) 바늘 및 카테터 삽입 디바이스
US9248264B2 (en) Dilator, introducer assembly, and medical tool
US9033926B2 (en) Intravascular needle and catheter assembly
KR20200038268A (ko) 카테터 배치용 바늘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792392B2 (ja) カテーテル
JP6378669B2 (ja) 医療用チューブ
JP5886542B2 (ja) 医療用デバイス
US20090054872A1 (en) Endovascular Device Tip Assembly
WO2018018093A1 (en) Improved catheter
KR102051722B1 (ko) 카테터
CN109498968B (zh) 一种导丝锚定球囊组件
JP6978885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CN111067590A (zh) 导管
CN112618099B (zh) 原位开窗装置
CN219071718U (zh) 可撕裂鞘管
KR101618824B1 (ko) 벌룬 카테터
JPWO2018181315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医療用長尺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