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618B1 -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618B1
KR102051618B1 KR1020180062985A KR20180062985A KR102051618B1 KR 102051618 B1 KR102051618 B1 KR 102051618B1 KR 1020180062985 A KR1020180062985 A KR 1020180062985A KR 20180062985 A KR20180062985 A KR 20180062985A KR 102051618 B1 KR102051618 B1 KR 10205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ayment
boarding
completion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박용득
염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카드
Priority to KR102018006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버스 요금이 결제되도록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BUS FARE AUTOMATIC PAY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버스 요금이 결제되도록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확산은 가전, 교통, 금융 등 산업 전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생활과 금융이 밀접하게 연결된 핀테크 분야의 간편 결제, 송금 등에 적용되어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핀테크가 적용되어 생활을 변화시킨 대표적인 예는 교통카드이다. 종래에는 회수권 또는 동전으로 결제하였으나 현재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교통카드 또는 모바일 기기로 결제한다.
그러나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 학생들은 버스 요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매번 교통카드 또는 모바일 기기를 버스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에 접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버스에 승차하기 전에 미리 결제 수단을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승차 및 결제를 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6917호 "교통 요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승차 및 하차 정보를 수신하여 교통 요금 정보 및 환승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환승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요금이 과다하게 지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결제 방법의 불편함은 여전히 남아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6917호 "교통 요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버스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여 버스 요금을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버스 요금이 부당하게 다중 결제되지 않도록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은 비콘 센서부, 사용자 단말, 결제 서버, 중앙 제어 장치 및 요금 결제 단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은 센서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센서부, 상기 비콘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결제 서버,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버스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 결제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상기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키 별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키를 수신하는 통신부, 승차 여부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하는 승하차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승차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차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 및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이용하여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내부인 경우 제1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외부의 기 설정한 영역인 경우 제2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하차 판단부는 승차 대기를 판단하는 승차 대기 판단 모듈 및 승차 완료를 판단하는 승차 완료 판단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승차 대기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승차 대기로 판단하고 상기 승차 완료 판단 모듈은 승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1영역이고, 기 설정한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면 승차 완료로 판단하고, 승차 완료로 판단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는 상기 승차 완료 판단 모듈이 생성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하차 판단부는 하차 대기를 판단하는 하차 대기 판단 모듈 및 하차 완료를 판단하는 하차 완료 판단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차 대기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하차 대기로 판단하고 상기 하차 완료 판단 모듈은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기 설정한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하차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는 상기 하차 완료 판단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제 키를 이용하여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 결제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버스 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방법은 비콘 센서부가 센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비콘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결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단계,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승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상기 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내부인 경우 제1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외부의 기 설정한 영역인 경우 제2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승차 대기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승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1영역이고, 기 설정한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면 승차 완료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승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으면 하차 대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기 설정한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하차 완료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버스 이용자가 결제 수단을 직접 요금 결제 단말기에 접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결제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버스에 승차한 사용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함으로써, 승차한 사용자가 다시 이중 결제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요금 결제 단말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결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버스 내부의 제1영역과 버스 외부의 제2영역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승하차 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폰 북 어플리케이션, 방송 어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어플리케이션, 결제 어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요금 결제 단말(20)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은 비콘 센서부(10), 사용자 단말(100), 결제 서버(200), 중앙 제어 장치(300), 요금 결제 단말(20)을 포함한다.
비콘 센서부(10)는 센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비콘 센서부(10)는 비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 개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콘 센서는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그리고 비콘 센서는 버스 내부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비콘 센서는 버스 내부의 입구 근처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비콘 센서는 버스 내부의 출구 근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3 비콘 센서는 버스 내부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비콘 센서부(10)가 송신하는 센서 신호는 버스 식별번호 또는 노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센서부(10)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한 센서 신호의 RSSI를 측정하고,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는 신호를 수신하는 측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통계적인 방법에 근거하여 확률분포와 대조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삼각 측량법이란 3개의 센서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원의 교차점으로부터 2차원에서 위치 좌표를 찾아 내는 방법이다.
결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 좌표 및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각각 구별하고, 사용자 키와 회원 키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회원 키는 이용자의 나이, 이름,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200)는 회원 키에 포함된 나이 정보를 이용하여 성인 요금 또는 청소년 요금을 구별하여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버(200)는 회원 키에 대응하는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100) 별 잔액 및 결제 정보를 알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결제 서버(200)로부터 위치 좌표 및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좌표 및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중앙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면 결제 서버(200)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결제 키란 버스 내부에 설치된 요금 결제 단말(20)에서 버스 요금 결제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이다. 결제 키는 회원 정보 및 잔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금 결제 단말(20)은 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요금 결제 단말(20)은 버스 내부의 입구 또는 출구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버스 승차 또는 하차시에 요금 결제 단말(20)에 버스카드 또는 모바일 기기를 접촉하여 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중앙 제어 장치(300)로부터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중앙 제어 장치(300)로 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의 결제 처리부(330)는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요청 정보를 요금 결제 단말(20)로 송신하고, 요금 결제 단말(20)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수신한 결제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및 결제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버스 요금에 비하여 결제 키에 포함된 잔액 정보가 부족한 경우, 중앙 제어 장치(300)의 결제 처리부(330)가 송신한 결제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요금 결제 단말(20)은 결제 실패 정보를 결제 처리부(330)에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결제 실패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결제 실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결제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결제 서버(200)의 저장부(210)는 사용자 키 별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의 저장부(210)는 사용자 키 와 회원 키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회원 키에 해당하는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의 정보 갱신부(220)는 중앙 제어 장치(300)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210)에 저장된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앙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를 버스 내부의 제1영역과 버스 외부의 제2영역으로 판단하는 기준을 도시한 그림이다.
중앙 제어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결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 및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결제 서버(200)로부터 결제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의 승하차 판단부(320)는 승차 여부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의 승차 기록 저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승차 완료 기록이란 승차 완료 처리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저장한 정보이다. 이 승차 완료 기록은 사용자 단말(100)이 승차 완료된 경우 승차 기록 저장부(340)에 저장되고 하차 완료된 경우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가 승차 기록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으면, 중앙 제어 장치(300)는 버스 내부인 제1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이 다시 결제 처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중 결제를 방지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의 승하차 판단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 및 승차 기록 저장부(34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이용하여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버스 내부인 경우 제1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버스 외부의 기 설정한 영역인 경우 제2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영역은 버스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있는 영역이다. 또한, 제2영역은 버스 외부의 영역이고, 버스의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기 설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있는 영역이다.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자세한 방법은 후술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승하차 판단부(3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승하차 판단부(320)는 승차 대기를 판단하는 승차 대기 판단 모듈(321) 및 승차 완료를 판단하는 승차 완료 판단 모듈(322)을 포함한다.
승차 대기 판단 모듈(321)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340)가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을 승차 대기로 판단할 수 있다.
승차 대기 상태는 버스에 승차하기 위하여 버스 외부의 입구 또는 출구 근처에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를 말한다.
승차 대기 상태의 사용자 단말(100)은 승차 완료 상태가 될 확률이 높으므로, 승차 대기 상태의 사용자 단말(100)을 판단하여 승차 완료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승차 대기 판단 모듈(321)은 승차 완료 판단의 정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제2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확률을 각각 계산하거나, 제2영역을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제3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제3영역은 버스 외부의 버스 출구 또는 입구에서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제2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 외부의 영역이다.
이때, 버스 출구 또는 입구 가까이에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할수록 승차 완료 확률이 높게 판단될 것이다.
승차 완료 판단 모듈(322)은 승차 대기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1영역이고, 기 설정한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제1영역에 위치하면 승차 완료로 판단하고, 승차 완료로 판단한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승차 대기로 판단된 후, 버스 내부로 진입하여 제1역역에 위치하게 되고,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제1영역에 머무르는 경우, 승차 완료 판단 모듈(322)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승차 완료로 판단한다.
승차 완료 기준 시간은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의 착오에 의하여 제1영역에 위치한 후, 곧바로 버스에서 내리는 경우, 승차 결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승차 완료 기준 시간을 5초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버스에 탑승 후 5초 미만동안 머무르고 하차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100)은 승차 결제 처리되지 않는다.
승차 기록 저장부(340)는 승차 완료 판단 모듈(322)이 생성한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승차 완료 기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결제를 막기 위함이다.
승하차 판단부(320)는 하차 대기를 판단하는 하차 대기 판단 모듈(323) 및 하차 완료를 판단하는 하차 완료 판단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차 대기 판단 모듈(323)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340)가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으면, 사용자 단말(100)을 하차 대기로 판단할 수 있다.
하차 대기 판단 모듈(323)은 하차를 하기 위하여 버스 내부인 제1영역에서 버스 외부인 제2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00)을 하차 대기 상태로 판단한다.
제2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은 승차 대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되는데, 승차 완료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승차 대기로 판단되고, 승차 완료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 하차 대기로 판단되므로, 승차 완료 기록의 유무로 승차 대기와 하차 대기가 구별되어 판단된다.
하차 대기 판단 모듈(323)은 하차 완료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2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의 하차 완료 확률을 각각 계산하거나, 제2영역을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제3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제3영역은 버스 외부의 버스 출구 또는 입구에서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제2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 외부의 영역이다.
이때, 버스 출구 또는 입구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이 멀게 위치할수록 하차 완료 확률이 높게 판단될 것이다.
하차 완료 판단 모듈(324)은 하차 대기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2영역이고, 기 설정한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하차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하차 완료 기준 시간이란, 출퇴근 시간 등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많은 경우, 하차 의사가 없는 사용자가 버스 외부로 나간 후 다시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사용자 단말(100)을 하차 완료로 처리하지 않기 위하여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버스 외부인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하차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 완료 기준 시간을 10초로 설정하면, 버스 내부인 제1영역에 위치하였다가, 버스 외부의 출구 근처인 제2영역에 10초 미만 동안 머무른 후, 다시 제1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그 사용자 단말(100)은 하차 완료로 판단되지 않는다.
또한, 버스가 출발하여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버스의 비콘 센서부(10)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 하차 완료 판단 모듈(324)은 사용자 단말(100)을 하차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승차 기록 저장부(340)는 하차 완료 판단 모듈(324)이 사용자 단말(100)을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차 완료 처리된 사용자 단말(100)이 일정 시간 후에 다시 같은 버스에 승차하는 경우, 승차 완료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콘 센서부(10)는 센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S530)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센서부(10)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한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S531)
결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 좌표 및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할 수 있다. (S532)
중앙 제어 장치(300)는 결제 서버(200)로부터 위치 좌표 및 사용자 키를 수신할 수 있다. (S533)
중앙 제어 장치(300)는 수신한 위치 좌표 및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34)
중앙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버스 내부인 경우 제1영역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버스 외부의 기 설정한 영역인 경우 제2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340)가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승차 대기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승차 대기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1영역이고, 기 설정한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제1영역에 위치하면 승차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을 승차 완료로 판단하면 승차 기록 저장부(340)에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340)가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으면 하차 대기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제2영역이고, 기 설정한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하차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승차 기록 저장부(34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S530 단계를 수행하고,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는 경우 S536단계를 수행한다. (S535)
중앙 제어 장치(300)는 결제 서버(200)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중앙 제어 장치(300)로 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할 수 있다. (S536)
중앙 제어 장치(300)는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요청 정보를 요금 결제 단말(20)로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300)가 요금 결제 단말(20)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537)
결제 서버(200)는 중앙 제어 장치(300)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S538)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콘 센서부 20: 요금 결제 단말
100: 사용자 단말 200: 결제 서버
210: 저장부 220: 정보 갱신부
300: 중앙 제어 장치 310: 통신부
320: 승하차 판단부 321: 승차 대기 판단 모듈
322: 승차 완료 판단 모듈 323: 하차 대기 판단 모듈
324: 하차 완료 판단 모듈 330: 결제 처리부
340: 승차 기록 저장부

Claims (11)

  1. 센서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센서부;
    상기 비콘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결제 서버;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버스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 결제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키를 수신하는 통신부;
    승차 여부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하는 승하차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승차 기록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차 판단부는
    하차 대기를 판단하는 하차 대기 판단 모듈; 및
    하차 완료를 판단하는 하차 완료 판단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상기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승하차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 및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이용하여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내부인 경우 제1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외부의 기 설정한 영역인 경우 제2영역으로 판단하며,
    상기 하차 대기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하차 대기로 판단하고
    상기 하차 완료 판단 모듈은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기 설정한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하차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는 상기 하차 완료 판단 모듈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키 별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갱신부; 를 포함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차 판단부는
    승차 대기를 판단하는 승차 대기 판단 모듈; 및
    승차 완료를 판단하는 승차 완료 판단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승차 대기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승차 대기로 판단하고
    상기 승차 완료 판단 모듈은
    승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1영역이고, 기 설정한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면 승차 완료로 판단하고, 승차 완료로 판단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는
    상기 승차 완료 판단 모듈이 생성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제 키를 이용하여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 결제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버스 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7. 비콘 센서부가 센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비콘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결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단계;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승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상기 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 정보를 요금 결제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내부인 경우 제1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버스 외부의 기 설정한 영역인 경우 제2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으면 하차 대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기 설정한 하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하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하차 완료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하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2영역이고, 승차 기록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승차 대기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승차 대기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가 상기 제1영역이고, 기 설정한 승차 완료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면 승차 완료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승차 완료로 판단하면 상기 승차 기록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방법.
  11. 삭제
KR1020180062985A 2018-05-31 2018-05-31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1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85A KR102051618B1 (ko) 2018-05-31 2018-05-31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85A KR102051618B1 (ko) 2018-05-31 2018-05-31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618B1 true KR102051618B1 (ko) 2019-12-17

Family

ID=6905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985A KR102051618B1 (ko) 2018-05-31 2018-05-31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920A (ko) * 2020-10-13 2022-04-20 로카모빌리티(주) 태그리스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505785B1 (ko) * 2022-11-21 2023-03-06 주식회사 서비스월드 Uwb 기반의 버스요금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요금 결제 처리방법
KR20230158996A (ko) 2022-05-13 2023-11-21 (주)에이텍모빌리티 비콘을 활용한 버스 자동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1547A (ko) 2022-05-13 2023-11-28 (주)에이텍모빌리티 비콘을 활용한 비접촉 버스 자동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6295A (ko) 2022-10-21 2024-04-30 (주)에이텍모빌리티 주변환경에 따른 비콘 거리측정 오차 보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19B1 (ko) * 2005-06-02 2006-10-04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19B1 (ko) * 2005-06-02 2006-10-04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920A (ko) * 2020-10-13 2022-04-20 로카모빌리티(주) 태그리스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621931B1 (ko) * 2020-10-13 2024-01-09 주식회사 이동의즐거움 태그리스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8996A (ko) 2022-05-13 2023-11-21 (주)에이텍모빌리티 비콘을 활용한 버스 자동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1547A (ko) 2022-05-13 2023-11-28 (주)에이텍모빌리티 비콘을 활용한 비접촉 버스 자동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6295A (ko) 2022-10-21 2024-04-30 (주)에이텍모빌리티 주변환경에 따른 비콘 거리측정 오차 보정방법
KR102505785B1 (ko) * 2022-11-21 2023-03-06 주식회사 서비스월드 Uwb 기반의 버스요금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요금 결제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618B1 (ko)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0719996B2 (en) Determining vehicle occupancy using sensors
US11182700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racking, and validating transit journeys
CA2876465C (en) Vehicle transaction data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device
US10332162B1 (en) Using wireless beacons for transit systems
US868101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traffic infraction
KR20170104153A (ko) 멀티 레이어 인증을 이용한 오퍼 기반 거래 및 비콘 기반 디지털 거래에 대한 비콘 기반 내비게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609648B2 (ja) 取引を促進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及びリーダ
CN111915926A (zh) 停车位智能指引系统及方法
KR20200059769A (ko)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US11622227B2 (en) Location tracking with loitering logic
KR102621931B1 (ko) 태그리스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4807A (ko) 운송 시스템 사용자 검사
JP2013008294A (ja) 携帯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54182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1619B1 (ko) 버스 요금 결제 확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JP7083859B2 (ja) 公共交通システム
CN105608921B (zh) 在电子装置中提示公共交通线路的方法和设备
JP5522875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464590A (zh) 购物车的送货控制方法、购物车、服务器及存储介质
US20090262007A1 (en)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capability and methods of use
CN108205888B (zh) 一种判断乘客进出站的方法及装置
CN115545696B (zh) 支付方法、服务器及移动终端
US20210407218A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926476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