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462B1 -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462B1
KR102051462B1 KR1020190061082A KR20190061082A KR102051462B1 KR 102051462 B1 KR102051462 B1 KR 102051462B1 KR 1020190061082 A KR1020190061082 A KR 1020190061082A KR 20190061082 A KR20190061082 A KR 20190061082A KR 102051462 B1 KR102051462 B1 KR 10205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alve
binding
frame
manufactur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호
Original Assignee
손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호 filed Critical 손성호
Priority to KR102019006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밸브는 내구 유로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노멀라이징(normalizing)을 수행하는 노멀라이징 단계; 상기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몸체부에는 재질 및 이력을 식별하기 위한 음각부가 형성되는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게이트 밸브 제조 과정에 있어서 수행되는 가공 과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통해 양질의 게이트 밸브 제작을 가능케 하는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GATE VALVE}
본 발명은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트 밸브 제조 과정에 있어서 수행되는 가공 과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통해 양질의 게이트 밸브 제작을 가능케 하는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로의 차단을 목적으로 배관 도중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는 그 제작 과정에서 열처리, 표면처리 등의 공정이 수행되야 한다. 여기서 표면처리 공정은 쇼트 블라스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를 통해 표면을 깨끗하게 마무리 하는 것이다. 그런데, 쇼트 블라스트를 수행하는 기존의 방식들은 쇼트 블라스트 운용 과정에 있어 쇼트 블라스트 수단의 일률적인 고정방식으로 인하여 가공 대상물의 가공 대상부위에 대한 가공 작업성이 떨어지며 가공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게이트 밸브 자체의 품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6618호
본 발명은 게이트 밸브 제조 과정에 있어서 수행되는 가공 과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통해 양질의 게이트 밸브 제작을 가능케 하는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밸브는 내구 유로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노멀라이징(normalizing)을 수행하는 노멀라이징 단계; 상기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몸체부에는 재질 및 이력을 식별하기 위한 음각부가 형성되는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밸브 제조 과정에 있어서 수행되는 가공 과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통해 양질의 게이트 밸브 제작을 가능케 하는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게이트 밸브를 예시적으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임펠라 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투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수단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 가"의 C-C선 단면도이며, "다"는 스위블 힌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과 쇼트볼 투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임펠라 블라스트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임펠라 블라스트 장치가 관 내부에서 작업중인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도 27의 좌측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게이트 밸브를 예시적으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은, S110에서 내구 유로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제작한다. S120에서 S110을 거친 몸체부와 연장부에 적어도 일부에 대해 노멀라이징(normalizing)을 수행한다. S130에서 상기 거치 몸체부와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S140에서 상기 중공형 몸체부중공형 몸체부에는 재질 및 이력을 식별하기 위한 음각부가 형성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표면처리는 후술하는 하기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 등의 표면 처리 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다.
<표면 처리 수단 - 쇼트 블라스트 장치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는 크게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되는 차체(110')와, 상기 차체(110')의 상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수단(120')과, 상기 회전수단(1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쇼트볼(210') 유입구(133')와 분사구(13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쇼트볼(210')을 상기 분사구(134')로 분사하는 임펠라(135')가 구비된 몸체(132')와, 상기 임펠라(135')의 회전축(13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7')로 이루어지는 쇼트볼 투사장치(130') 및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에 결합되어 쇼트볼(210')을 공급하되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와 같이 회전되면서도 상기 쇼트볼(210')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쇼트볼 공급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쇼트볼(210') 대신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연마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크리트나 카트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고, 하기에서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토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체(110')는 양측 하면에 전륜바퀴(113')가 각각 구비된 전륜프레임(112')과, 상기 전륜프레임(112')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 이격된 채 구비되며, 후륜바퀴(115')가 구비된 후륜프레임(114')과 상기 전/후륜 프레임(112,114')의 상면에서 각각 직립 설치된 지지대(116')와, 상기 지지대(116')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 형상의 지지축(117') 및 상기 후륜프레임(114') 상면에 구비되어 후륜바퀴(115')의 회전축(115a')과 체인(C') 혹은 미도시된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후륜바퀴(115')를 회동시키는 모터(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후륜 프레임(112,114')은 지지대(116')와 지지축(117')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져 일체화되어 있으며, 모터(118')의 작동에 의해 후륜바퀴(115')가 회동되면 전체가 이동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전륜바퀴(113')는 하단부가 외향 경사지게 즉, 전륜프레임(112')과 사다리꼴 구도를 가지도록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원통형 모양의 관(管: 200') 내부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체는 관(20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전술하였듯이 전륜바퀴(113')는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차체(110')를 지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위치된 차체(110')는 후륜바퀴(115')와 연결된 모터(118')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게 된다. 물론,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모터(118')의 작동은 작업자가 소지하는 제어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수단(120')은 상기 차체(110')의 지지축(117') 외주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관(122')과, 상기 슬리브관(122')의 일측 외주연에 부착된 제1 체인스프라켓(123')과, 상기 슬리브관(122')의 외주연에 가운데 부분이 부착되며, 상하면에는 제1,2 장착공(125,126')이 각각 형성되는 회전판(124') 및 상기 차체(110')의 후륜프레임(114')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인스프라켓(123')과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동시키는 회동모터(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관(122')은 내부가 비어있는 빈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는 보다 원활한 회동을 위해 볼(B')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회전수단(120')은 회동모터(127')가 회동되면 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체인스프라켓(123')과 이에 부착된 슬리브관(122') 및 슬리브관(122')에 부착된 회전판(124')이 지지축(117')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물론, 이 회동모터(127')의 작동 또한 작업자가 소지하게 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작동된다.
한편, 상기 회동모터(127')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도면에는 체인(C')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체인스프라켓(123')을 구비하였으나 미도시된 풀리를 대신 구비하여 벨트로 연결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회동 방식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도 22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투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쇼트볼 투사장치(130')는 종래기술에서도 상술하였듯이 쇼트볼 유입구(133')와 분사구(13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쇼트볼(210')을 상기 분사구(134')로 분사하는 임펠라(135')가 구비된 몸체(132')와, 상기 임펠라(135')의 회전축(13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의 쇼트볼 투사장치(130')는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는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120')의 회전판(124') 하측에 장착되며, 구동모터(137')는 상기 회전판(124')의 상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몸체(132')에서 돌설되는 임펠라(135')의 회전축(136')은 제2 장착공(126')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져 돌설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모터(137')의 회전축(미부호')은 제1 장착공(125')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돌설되며, 이 두 회전축은 체인(C')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져 구동모터(137')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37')와 임펠라(135')의 회전축(136')을 연결하는 체인은 회전판(124')이 고정된 슬리브관(122')이나 지지축(117')에 간섭받지 않도록 구비하게 됨은 너무나 당연할 것이다. 도 13의 "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수단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 가"의 C-C선 단면도이며, "다"는 스위블 힌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쇼트볼 공급수단(140')은 크게 스위블 힌지(142')와, 제2 체인스프라켓(146')과, 호퍼(147') 및 제3 체인스프라켓(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들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스위블 힌지(142')는 전술한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형성된 유입구(133')에 부착되는 속이빈 원통형 모양의 외륜(143')과, 상기 외륜(143')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선단부는 상기 외륜(143')의 외측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상기 몸체(132')의 유입구(133')로 쇼트볼(210')을 이송하는 이송공(145')이 형성된 내륜(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륜(143')과 내륜(144') 사이에는 내륜(144')이 보다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볼(B')이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나" 참조') 그리고, 상기 제2 체인스프라켓(146')은 상기 내륜(144')의 선단부 즉, 외륜(143')의 외측으로 돌설된 부분의 외주연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호퍼(147')는 상기 내륜(144')의 선단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측에는 내륜(144')의 이송공(145')과 연통되어 쇼트볼(210')을 이송공(145')으로 배출하는 배출구(149')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쇼트볼(210')을 투입하는 투입구(1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체인스프라켓(150')은 상기 차체(110')의 지지축(117') 외주연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제2 체인스프라켓(146')과 체인(C')을 통해 연결되며, 후술하겠지만 회전시 방향을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스위블 힌지(142')의 외륜(143')은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외륜(14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내륜(144')과 이 내륜(144')의 선단부 외주연에 부착된 제2 체인스프라켓(146') 및 상기 내륜(144')의 선단면에 부착된 호퍼(147')는 한 덩어리로 구성되어져 이들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면 이들은 같이 회동되는 것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리고, 상기 내륜(144')에 형성된 이송공(145')은 그 중심에서 전후방 즉, 수평이 동일하도록 관통 형성될 수도 있으나 쇼트볼(210')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송공(145')을 형성할 때 내륜(144')의 선단부 중심에서 후단부의 중심으로 천공하지 않고 선단부의 상측에서 후단부의 중심으로 형성하면 쉽게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결국, "나"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144')의 선단면에 부착되는 호퍼(147')의 배출구(149')로부터 배출되는 쇼트볼(210')은 이송공(145')의 경사를 따라 쉽게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륜(144')에 형성된 이송공(145')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여야 된다. 즉, 내륜(144')이 회동되어도 이송공(145')은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형성된 유입구(133')와 어긋나지 않고 상시 연통되어야 된다는 것인데, 이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143')의 중심과 이송공(145')의 후단부 중심이 동일하기만 하면 된다. 즉, 이송공(145') 전체를 볼 때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될지라도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형성된 유입구(133')와 밀접되는 그 후단부만이 내륜(144')의 중심에 형성되면 된다. 따라서 내륜(144')을 회동시키게 되면 이송공(145')의 선단부는 중심에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위치가 가변되어도 후단부는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 것이다. 결국, 이송공(145')의 후단부는 내륜(144')의 중심에 형성되므로 내륜(144')의 회동시에도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형성된 유입구(133')와 상시 연동 가능하고 이로 인해 쇼트볼(210')을 이송함에 아무런 제약이 없다. 한편, 상기 이송공(145')의 선단부가 내륜(144')의 회동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도 호퍼(147')는 내륜(144')의 선단면에 부착되어져 같이 회동되므로 호퍼(147')로부터 쇼트볼(210')을 공급받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로 인해 호퍼(147')로부터 배출되는 쇼트볼(210')은 이송공(145')을 통해 쇼트볼 투사장치(130')로 이송됨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제, 하기에서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도록 하겠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단과 쇼트볼 투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전술하듯이 차체(110')의 지지축(11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수단(120')의 회전판(124')에는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와 구동모터(137')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때 회전수단(120')의 회동모터(127')를 작동시키면 이에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된 제1 체인스프라켓(123')과 지지축(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제1 체인스프라켓(123')에 부착된 슬리브관(122') 및 상기 슬리브관(122')에 부착된 회전판(124')이 360도 회동을 시작하게 되며, 이 회전판(124')에 부착된 쇼트볼 투사장치(130') 또한 같이 360도 회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구동모터(137')를 작동시키면 몸체(132') 내부의 임펠라(135')를 회동시키게 될 것이고, 유입구(133')로 쇼트볼(210')이 투입되면 이를 분사구(134')를 통해 360도 회전 투사하게 될 것이다. 도 1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장착된 쇼트볼 공급수단(14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는 호퍼(147')가 스위블 힌지(142')를 매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차체(110')의 지지축(117')을 중심으로 쇼트볼 투사장치(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스위블 힌지(142')의 외륜(143')만이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고정 부착되고, 이 외륜(143')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내륜(144')과 이 내륜(144')에 부착된 호퍼(147') 및 제2 체인스프라켓(146')은 상기 제2 체인스프라켓(146')에 체결되는 체인(C')을 매개로 상기 지지축(117')에 고정 설치된 제3 체인스프라켓(15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쇼트볼 투사장치(130')와 같이 지지축(117')을 중심으로 회동만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자전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A')구역의 상태 즉,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형성된 분사구(134')는 우측 방향을 지시하고 있으며, 호퍼(147')의 투입구(148')는 내부에 투입된 쇼트볼(210')이 쏟아지지 않도록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수단(120')에 의해 (B')구역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번에는, (A')구역에서 회동된 (B')구역의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몸체(132')에 형성된 분사구(134')는 회동 작동에 의해 당연히 방향 전환되므로 상측을 지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쇼트볼 공급수단(140')의 호퍼(147')는 몸체(132')의 방향전환에도 불구하고 투입구(148')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최초 (A')구역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지지축(117')에 고정 부착된 제3 체인스프라켓(150')과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된 제2 체인스프라켓(146')이 부착된 내륜(144')과 상기 내륜(144')에 부착된 호퍼(147')는 몸체(132')에 부착된 외륜(143')과 별개로 제3 체인스프라켓(150')의 당김 작동에 의해 몸체(132')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되어져 몸체(132')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됨에도 불구하고 최초 셋팅된 상태 즉, 호퍼(147')의 투입구(148')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가"의 우측 사시도 참조') 결국, 상기한 이유로 "나"와 같이 몸체(132')가 360도 회동될 때 같이 회동되면서도 상기 호퍼(147')의 투입구(148')는 상측을 지지하면서 같이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호퍼(147')의 내부로 투입된 쇼트볼(210')은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호퍼(147')를 이탈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에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관(200') 내부에는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차체(100')는 경사지게 구비된 전륜바퀴(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관(200') 내부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쇼트볼 공급수단(140')의 호퍼(147')에는 쇼트볼(210')이 투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회전수단(120')의 회동모터(127')와 쇼트볼 투사장치(130')의 구동모터(137')를 작동시키게 되면 쇼트볼 투사장치(130')는 회전수단(120')을 매개로 차체(110')의 지지축(117')을 중심으로 360도 회동하면서 쇼트볼 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쇼트볼(210')을 투사하여 관(200') 내부에 발생된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120')과 쇼트볼 투사장치(130') 및 쇼트볼 공급수단(140')의 작동관계는 이미 전술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의 작동과 함께 상기 차체(110')의 모터(118')를 작동시켜 차체(110')를 전진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회전식 쇼트블라스트 장치(100')는 관(200') 내부를 따라 서서히 전진하면서 녹 등을 자동으로 제거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쇼트볼 공급수단(140')의 호퍼(147')에는 적정 시간 경과 후 작동을 멈추고 작업자가 쇼트볼(210')을 재투입하여 상기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본 발명의 회전식 임펠라 블라스트 장치(100')에는 쇼트볼 회수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투사된 쇼트볼(210')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호퍼(147')를 재투입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의 쇼트볼 투사장치(130')는 쇼트볼 공급수단(140')으로부터 쇼트볼(210')을 공급받아 회전수단(120')을 매개로 차체(110')의 지지축(117')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에 의해 쇼트볼(210')을 발사하여 원통형 형상인 관(200') 내면에 발생된 녹이나 이물질 등을 이동하면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새로운 개념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현장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7과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27은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가 관 내부에서 작업중인 상태를 부분적으로 보이고 있는 정단면도이고, 도 28은 상기 도 8O의 좌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27과 도 28을 참조하면, 쇼트볼통(4')은 쇼트볼 투입 스크류(9')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쇼트볼 투입 스크류(9')의 2차 통공부(7')와 연결되어 상기 쇼트볼통(4')에 있는 쇼트볼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어 스크류(9')로 공급되며, 쇼트볼 분리장치(1000')도 스크류 상단에 위치하여 블라스트한 후 회수장치(300')의 배출구(309')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쇼트볼이 쇼트볼 분리장치(1000')의 2차 선별 스크린망(5')에 의해 분리되어 재사용되는 쇼트볼이 복합 로타리 조인트(200')의 축 부분(201')에 구성된 쇼트볼 투입 스크류의 1차 통공부(8')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쇼트볼 분리장치(1000')에는 매쉬 크기가 다른 가는 1차 스크린망(2')과 2차 선별 스크린망(3')이 쇼트볼 분리장치의 하단부에 차례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쇼트볼을 제외한 미세 입자는 1차 가는 스크린망(2')을 거쳐 통로 1(1')을 통과하도록 하고, 쇼트볼을 제외한 굵은 이물질은 선별되지 않고 통로 2(10')를 거치도록 하여 찌꺼기 모집통(600')에 모이며, 재사용 가능한 쇼트볼은 2차 선별 스크린망(3')에 의해 선별되어 쇼트볼 투입 스크류의 1차 통공부(8')로 투입되어 재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복합 로타리 조인트 축 부분에 구성된 1차 통공부(8')와 2차 통공부(7')를 가진 쇼트볼 투입 스크류(9')는 스크류 모터(12')에 의해 구동되며, 그 구조상 1차 통공부(8')를 통과한 쇼트볼을 먼저 소모하고 1차 통공부(8')의쇼트볼이 유입되지 않을 때 2차 통공부(7')를 통과한 예비 쇼트볼 통(4')의 쇼트볼이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쇼트볼 투입 스크류(9')에 의해 공급된 쇼트볼은 전선과 진공 흡입 회로가 구비된 통상의 복합 로타리 조인트(200')의 바디부(202')에 고정된 통상의 임펠라 블라스트(100')의 유입구(103')에 공급되고, 쇼트볼은 임펠라(102')의 회전에 의해 투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후한 상수도관(900')의 내면과 상기 회수장치(300')의 경계면에는 통상의 브러시(301')를 이용하여 접촉되게 하여 투사된 쇼트볼이 비산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장치의 말단부는 유동바퀴(306')를 구비하여 회전시 상기 노후한 상수도관(900')의 내면과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수장치(300')의 내부는 2중 구조로 내부 투사경로(104')와 외부 회수경로(105')로 구분되게 구성하며, 투사된 쇼트볼이 상기 노후한 상수도관(900')의 내부를 블라스트한 후 반발될 때 집중되어 모이는 위치에 쇼트볼 포획공간(310')을 만들고 이 공간에 모인 쇼트볼은 상기 회수경로(105')에 구비된 유도로(302')를 통해 배출구(309')로 연결되도록 하여 쇼트 블라스트(100')가 회전하여 상기 쇼트볼 포획공간(310')이 상부로 오고 상기 배출구(309')가 분리장치의 캠(400') 위치에 올 때 통상의 캠 원리에 의해 회수장치(300')의 유도로(302')의 배출구(309') 말단부에 구성된 크랭크(304')를 밀어 올려 배출구(309')가 개방되어 쇼트볼이 분리장치(1000')로 이송되며, 분리과정을 거쳐 쇼트볼 투입 스크류(9')를 통해 재투입되는 것이다. 또한, 집진기(700')를 구비하여 상기 복합 로타리 조인트(200')에 구성된 내부 투사경로(104')와 연결된 진공 흡입관(203')을 통해 블라스트 후에 발생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복합 로타리 조인트(200')를 통과한 전선은 임팔레 블라스트의 모터(101')에 전원을 공급하고, 복합 로타리 조인트(200')의 바디부(202')에 구성된 풀리(204')를 통하여 블라스트 회전용 모터(14')와 연결하여 회전시키므로 상기 임펠라 블라스트(100')와 회수장치(300')의 전체를 회전시키고, 대차(500')는 대차용 모터(501')에 의해 구동되므로 이동하면서 블라스트(100')를 회전하여 노후한 상수도관(900')의 내부를 블라스트할 수 있는 것이다.
<표면 처리 수단 - 쇼트 블라스트 장치 2>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9 내지 도 20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 처리수단를 쇼트 블라스트 장치는 전 후진 유동하는 차체(110); 상기 차체(110)에 구비되어 쇼트볼이 투사되는 쇼트볼 투사장치(130);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에 쇼트볼을 공급하는 쇼트볼 공급수단(140); 상기 차체(110)가 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2)의 하부에는 거치모듈(11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모듈(110)은 상부에 상기 프레임(112)이 안착되며 상기 차체(110)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안착몸체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몸체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속구동체(112)와, 상기 결속구동체(112)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하방으로 상기 거치모듈(1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112)을 가압 접촉하기 위한 결속가압체(113)을 포함하는 결속모듈(114)이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결속구동체(112)는 제1 결속구동체(112a), 상기 제1 결속구동체(112a)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결속가압체(113)가 구비되는 제2 결속구동체(112b)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완충재질로서 내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쿠션영역(CL)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구동체(112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112)에 각각 결속되며, 상기 제2 결속구동체(112b)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결속가압체(113)는 상기 프레임(112)를 상기 안착몸체로 가압하며, 상기 프레임(112)의 가압에 기반하여 상기 쿠션영역(CL)은 수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쿠션영역(CL)은 상기 프레임(112)의 가압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탄성복원되며, 상기 안착몸체는, 하방의 제1 안착몸체(111a)와 상기 쿠션영역(CL)을 매개로 제2 안착몸체(111b)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2)에는 상부에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구동체(112a)는, 상기 제2 결속구동체(112b)와 직접 연동되는 제1-1 결속구동체(112a1)와, 상기 제1-1 결속구동체(112a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결속구동체(112a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2 결속구동체(112a2)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결속구동체(112b)는 상기 제1-1 결속구동체(112a1)에서 상기 결속가압체(113)가 상기 홈부에 가압 유동한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제1-1 결속구동체(112a1)는, 상기 결속가압체(113)가 상기 홈부에 장착되어 가압 유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2 결속구동체(112a2) 상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일정 범위 회전되어, 상기 결속가압체(113)를 통해 상기 홈부로 비틀림 힘을 가한다. 상기 제1-1 결속구동체(112a1)는 상기 제1-2 결속구동체(112a2)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안착몸체와의 물리적 충동을 회피하기 위하여, 횡단면 기준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1 결속구동체(112a1)는, 상기 결속가압체(113)가 상기 홈부에 장착되어 가압 유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2 결속구동체(112a2)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 동작되어 당김힘을 발생시킨뒤 뒤 상기 홈부로 비틀림 힘을 가한다. 상기 결속모듈(114)은, 상기 프레임(11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결속모듈(114a)과, 상기 프레임(112)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결속모듈(114b)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모듈(114a)이 상기 제1 결속모듈(114a)의 결속가압체(113)를 통해 정회전 방식으로 비틀림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제2 결속모듈(114b)는 상기 제2 결속모듈(114b)의 결속가압체(113)를 통해 역회전 방식으로 비틀림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차체
112 ' : 프레임
130 : 쇼트볼 투사장치
140 : 쇼트볼 공급수단

Claims (5)

  1.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밸브는 내구 유로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노멀라이징(normalizing)을 수행하는 노멀라이징 단계;
    상기 게이트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표면 처리수단을 통해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몸체부에는 재질 및 이력을 식별하기 위한 음각부가 형성되되,
    상기 표면 처리수단은 쇼트 블라스트 장치이며,
    상기 쇼트 블라스트 장치는,
    차체(110');
    상기 차체(110')에 구비되어 쇼트볼이 투사되는 쇼트볼 투사장치(130);
    상기 쇼트볼 투사장치(130)에 쇼트볼을 공급하는 쇼트볼 공급수단(140);
    상기 차체(110')가 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12')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12')의 하부에는 거치모듈(11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모듈(110)은 상부에 상기 프레임(112')이 안착되며 상기 차체(110')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안착몸체(111)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몸체(11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속구동체(112)와, 한 쌍의 상기 결속구동체(112)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하방으로 상기 거치모듈(1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112')을 가압 접촉하기 위한 결속가압체(113)를 포함하는 결속모듈(114)이 다수로 구비되는 게이트 밸브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동체(112)는 제1 결속구동체(112a)와, 상기 제1 결속구동체(112a)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결속가압체(113)가 구비되는 제2 결속구동체(112b)가 구비되는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몸체(111)는 적어도 일부가 완충재질로서 내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쿠션영역(CL)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구동체(112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112')에 각각 결속되며,
    상기 제2 결속구동체(112b)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결속가압체(113)는 상기 프레임(112')을 상기 안착몸체(111)로 가압하며,
    상기 프레임(112')의 가압에 기반하여 상기 쿠션영역(CL)은 수축된 상태가 되는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90061082A 2019-05-24 2019-05-24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KR10205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82A KR102051462B1 (ko) 2019-05-24 2019-05-24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82A KR102051462B1 (ko) 2019-05-24 2019-05-24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62B1 true KR102051462B1 (ko) 2019-12-17

Family

ID=6905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82A KR102051462B1 (ko) 2019-05-24 2019-05-24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047A (en) 1993-02-19 1995-10-10 Dorka; Uwe Friction device for protection of structural systems against dynamic actions
KR200230135Y1 (ko) 2000-12-15 2001-07-19 주식회사 한도 장착 표시부를 갖는 연결밸브
KR100927298B1 (ko) 2008-01-31 2009-11-18 주식회사 실트론 웨이퍼 에지 연마장치
KR101047605B1 (ko) 2008-10-06 2011-07-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블라스팅 장치
KR101515989B1 (ko) 2013-07-11 2015-05-06 (주)종합기계 파이프 내주면 연마 장치
CN105349897A (zh) 2015-11-10 2016-02-24 宁波市鸿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制滑阀
CN104315175B (zh) 2014-10-16 2019-02-15 余金海 闸阀及其制作工艺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047A (en) 1993-02-19 1995-10-10 Dorka; Uwe Friction device for protection of structural systems against dynamic actions
KR200230135Y1 (ko) 2000-12-15 2001-07-19 주식회사 한도 장착 표시부를 갖는 연결밸브
KR100927298B1 (ko) 2008-01-31 2009-11-18 주식회사 실트론 웨이퍼 에지 연마장치
KR101047605B1 (ko) 2008-10-06 2011-07-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블라스팅 장치
KR101515989B1 (ko) 2013-07-11 2015-05-06 (주)종합기계 파이프 내주면 연마 장치
CN104315175B (zh) 2014-10-16 2019-02-15 余金海 闸阀及其制作工艺
CN105349897A (zh) 2015-11-10 2016-02-24 宁波市鸿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制滑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alve Manufacturing Process at PT.SPVMB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AU688232B2 (en) Cereal separation apparatus
US92784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abrasive blasting material and screening device for separating abrasive blasting material
CN208758077U (zh) 建筑垃圾干式分选系统
TW201206639A (en) Blasting apparatus
CN101259598B (zh) 漩流全自动流水线光饰机
KR101818490B1 (ko) 건식 자갈세척시스템
US4771579A (en) Abrasive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for reuse
CN103140327A (zh) 喷丸处理装置
KR102051462B1 (ko) 게이트 밸브 제조방법
GB2521827A (en) Separating waste materials
CN205762349U (zh) 一种用于活性炭生产的去石机
KR100689796B1 (ko) 블러스터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CN107570410A (zh) 一种自动上料的多级筛选机
CN218945285U (zh) 宝珠砂加工用输送机构
KR101824365B1 (ko) 다단 연속식 순환골재 박리 생산장치
US20180333728A1 (en) Apparatus for homogenization and separation of substance mixtures composed of particles
KR20190029152A (ko) 건식 자갈세척장치
KR100652452B1 (ko) 진동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경이물질 선별기
CN208323119U (zh) 一种喷砂机
KR200334483Y1 (ko) 플라스틱 재생장치
KR100893153B1 (ko) 블라스트장치
KR101096891B1 (ko) 회전식 임펠라 블라스트 장치
JP2010253417A (ja) 廃棄物再生機能を有する自走車輌
CN218137384U (zh) 一种喷丸清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