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138B1 -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138B1
KR102051138B1 KR1020190047645A KR20190047645A KR102051138B1 KR 102051138 B1 KR102051138 B1 KR 102051138B1 KR 1020190047645 A KR1020190047645 A KR 1020190047645A KR 20190047645 A KR20190047645 A KR 20190047645A KR 102051138 B1 KR102051138 B1 KR 10205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tms
manager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인
Original Assignee
윤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인 filed Critical 윤정인
Priority to KR102019004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가 수질TMS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질TMS의 소모품 상태를 측정하거나 소모품의 교환일정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수질TMS의 관리가 가능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한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작업내용저장부를 활용하여 기존에 수기로 관리되던 작업내용을 전산화함으로써 수질TM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할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일정관리부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일정관리부의 작업내용을 단말기를 통해 현장 관리자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송신하여 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토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소모품의 상태정보, 장애발생 이력, 작업내용, 소모품 사용정보 등을 분석하여 수질TMS의 고장부위 및 고장시기를 예측함으로써 해당 기기의 고장에 대비하여 미리 부품을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water quality-TMS}
본 발명은 수질TMS(Tele-Monitoring System;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는 약 17,652개의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배출사업장이 운영되고 있다. 상기한 시설들 중 일부에는 수질TMS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질TMS는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배출사업장 등에서 방류되거나 방류대기중인 물의 상태(이하 수질)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수질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주체인 지자체로 송부하며, 지자체의 관리자는 수질TMS로부터 전송된 수질 정보를 통해 통합적인 수질 관리가 가능하다.
장치의 특성상 수질TMS는 지속적으로 소모품 및 약품의 교환이 필요하며, 작업내용을 기록관리 보관하여야 한다. 그러나 소모품 및 약품의 교환을 이유로 해당 관리자가 수질TMS를 조작해 수질 정보를 임의로 변경해 실제 방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질을 방류 기준에 충족하도록 하는 불법조작 사례가 적발되어, 수질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3396호(“수질 측정 센서 장치”, 공고일 2018.07.3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관리자가 수질TMS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질TMS 및 부대시설의 소모품 상태를 측정하거나 소모품의 교환일정을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수질TMS의 관리가 가능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TMS의 장애발생 이력,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을 저장하는 장애관리부를 활용하여 장애발생 시 즉각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한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작업내용 저장부를 활용하여 기존에 수기로 관리되던 작업내용을 전산화함으로써 수질TM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할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일정관리부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일정관리부의 작업내용을 단말기를 통해 현장 관리자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송신하여 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토록 할 수 있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품의 상태정보, 장애발생 이력, 작업내용, 소모품 사용정보 등을 분석하여 수질TMS의 고장부위 및 고장시기를 예측함으로써 해당 기기의 고장에 대비하여 미리 부품을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수질정보를 분석하여 향후 예상되는 수질상태를 예측하는 수질예측부를 활용함으로써, 수질상태가 기준치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조치할 수 있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시설에서 방류되는 물 또는 방류예정인 물의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관리서버(400)로 송신하는 수질TMS(100),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관리하며, 인증된 현장 관리자만 상기 공간으로 출입시키는 출입문 관리부(200),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와 연계되어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인증된 현장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입자 관리부(300) 및 상기 수질TMS(100) 및 상기 출입자 관리부(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질TMS(1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수질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는 인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현장 관리자가 상기 인증수단을 통해 인증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은 QR코드, 바코드, NFC태그 및 생체인증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자 관리부(300)에서 생성 및 송신하는 신호에는 상기 현장 관리자가 상기 출입문을 통과하여, 상기 공간을 출입한 시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시간대별로 출입할 수 있는 현장 관리자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해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로 송신하고,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는 상기 현장 관리자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해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출입하고자 하는 현장 관리자가 상기 현장 관리자 리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질TMS(100)는 상기 수질TMS(100)의 소모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질TMS(100)의 소모품 교환 시기를 예측하여 상기 통합서버, 통합 관리자 또는 현장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질TMS(100)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현장 관리자가 들어온 경우 촬영을 시작하고,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현장 관리자가 없을 경우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들어온 현장 관리자가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하는 것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영상 촬영부(5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질TMS(100)는 상기 현장 관리자가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주기적으로 촬영한 영상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영상 촬영부(5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날짜의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상기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영상과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을 비교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촬영한 모든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영상 촬영부(5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 및 선택한 영상에 대응되는 날짜의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상기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영상과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을 비교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장 관리자 또는 상기 통합 관리자가 소유한 단말기(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장 관리자 또는 상기 통합 관리자는 상기 단말기(6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거나,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알림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인증된 현장 관리자만이 수질TMS가 설치된 공간에 출입할 수 있고, 해당 공간에 출입한 현장 관리자의 조작이력 및 영상이 관리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현장 관리자에 의한 수질TMS의 불법 조작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질TMS에서 지속적으로 소모품의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며, 관리서버는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통해 소모품 항목별 교환 예측시기를 연산하여 현장 관리자,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수질TMS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질TMS의 장애발생 이력,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을 저장하는 장애관리부를 활용하여 장애발생 시 즉각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한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작업내용 저장부를 활용하여 기존에 수기로 관리되던 작업내용을 전산화함으로써 수질TM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할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일정관리부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일정관리부의 작업내용을 단말기를 통해 현장 관리자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송신하여 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토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품의 상태정보, 장애발생 이력, 작업내용, 소모품 사용정보 등을 분석하여 수질TMS의 고장부위 및 고장시기를 예측함으로써 해당 기기의 고장에 대비하여 미리 부품을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수질정보를 분석하여 향후 예상되는 수질상태를 예측하는 수질예측부를 활용함으로써, 수질상태가 기준치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의 수질TMS가 설치된 공간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의 수질TMS가 설치된 공간의 다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 통합 관리 시스템의 통합 관리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과 조작이력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블록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질TMS는 수질상태를 측정하는 수질 자동 측정기기를 의미할 수도 있고, 수질 자동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수질 원격 모니터링 장치(시스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질TMS(100), 출입문 관리부(200), 출입자 관리부(300), 관리서버(400) 및 영상 촬영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현장 관리자(1) 또는 통합 관리자(2))가 소유 및 사용하는 단말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600)는 근거리/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또는 PC일 수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배출사업장 등은 수질TMS 및 부대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질TMS에 한정되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질TMS 뿐 아니라 부대시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현장 관리자(1)는 상술한 수질TMS(100)가 설치된 시설에서 근무하면서 수질TMS(100) 및 부대시설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작업자일 수 있다. 통합 관리자(2)는 다수개의 수질TMS(100)를 통한 수질을 관리하는 책임이 있는 환경부, 공공기관, 공기업 또는 지자체의 담당자일 수 있다.
수질TMS(100)는 시설에서 방류되는 물 또는 방류예정인 물의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관리서버(400)로 송신한다. 수질TMS(100)에서 생성 및 송신한 신호는 후술할 관리서버(400)로 전송되며, 관리서버(400)는 수질TMS(100)에서 생성 및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 후 저장한다. 수질TMS(100)가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분 간격으로 수질의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수질TMS(100) 및 부대시설은 특성상 주기적으로 소모품을 교환하고 유지, 보수 및 점검이 필요하며, 현장 관리자(1)가 소모품의 교환/유지/보수/점검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현장 관리자(1)가 수질TMS(100)의 불법적인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질TMS(100)는 일종의 보안 공간 또는 통제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수질TMS(100)는 관리실(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관리실(10)에는 수질TMS(100)가 설치된 시설에서 방류되는 물의 일부를 수질TMS(100)에서 수질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장치가 더 있을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 외에도 수질TMS(100)가 해당 시설의 물의 방류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방류되는 물의 수질을 직접 측정하는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관리부(200)는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 즉 관리실(10)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관리하며, 인증된 현장 관리자(1)를 상기 공간으로 출입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실(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실(10)에는 출입문(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문 관리부(200)는 현장 관리자(1)의 인증여부에 따라 출입문(11)을 열 수 있으며,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입문 관리부(200)는 인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수단은 현장 관리자(1)가 관리실(10)에 출입할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증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QR코드, 바코드, NFC태그를 통한 인증방법 또는 생체수단(생체정보를 통한 인증수단)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QR코드, 바코드 및 NFC태그의 경우, 현장 관리자(1)가 미리 발급받아 단말기(6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출입문 관리부(200)는 현장 관리자(1)별로 고유한 QR코드, 바코드 및 NFC태그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통한 인증수단은 현장 관리자(1)의 고유한 생체정보를 이용해 인증을 하는 방식으로, 출입문 관리부(200)는 현장 관리자(1)의 지문, 홍채 및 안면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인증방법으로 요구할 수 있다.
현장 관리자(1)가 인증되면, 출입문 관리부(200)는 출입문(11)을 열기 전에, 현장 관리자(1)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방문했는지를 묻는 음성 또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위해 출입문 관리부(200)는 상기한 질문을 할 수 있는 음성 또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관리자(1)가 음성 또는 화면의 조작을 통해 상기한 질문에 답하면 출입문 관리부(200)는 해당 답변을 저장할 수 있다.
출입자 관리부(300)는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와 연계되어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인증된 현장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관리서버로 송신한다. 상기 출입자 관리부(300)에서 생성 및 송신하는 신호에는 현장 관리자(1)의 이름, 현장 관리자(1)가 출입문(11)을 통과하여 관리실(10)을 들어오고 나간 시각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출입문 관리부(200)에서 인증된 현장 관리자(1)에게 질문한 출입 목적에 대한 답변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상기 답변 정보 및 실제 작업한 작업내용을 비교하여 답변 정보와 작업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현장 관리자,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 및 상기 출입자 관리부(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질TMS(1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수질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합서버는 수질을 관리하는 책임이 있는 환경부, 공공기관, 공기업 또는 지자체의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질TMS(1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소정기간 동안의 수질 값의 평균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현장 관리자,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린다. 이때, 수질의 평균을 구하는 소정기간은 상술한 수질TMS(100)가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약 3시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소정기간을 3시간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인 관리실(10)에 시간대별로 출입할 수 있는 현장 관리자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해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로 송신하고,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는 상기 현장 관리자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해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출입하고자 하는 현장 관리자가 상기 현장 관리자 리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시설에 다수의 현장 관리자(1)가 있을 수 있으나, 정해진 시간에 특정한 한 사람 또는 정해진 숫자의 현장 관리자(1)만이 관리실(10)에 출입하여야, 수질TMS(100)의 조작에 신뢰성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질TMS(100) 및 부대시설은 그 특성상 부품, 약품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소모품이 필요하며, 주기적으로 소모품의 교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소모품의 교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수질TMS(100)는 소모품의 상태를 측정한 후,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수질TMS(100)에서 송신한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저장하고, 저장된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통해 해당 소모품의 사용 가능시간을 산출한 후, 소모품 항목별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현장 관리자, 통합 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예측된 교체시기 전에 미리 해당 소모품을 교체함으로써 수질TMS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는 소모품의 항목별 현재 재고를 파악하고 소정 기간 동안의 소모품의 항목별 감소량을 산출한 후, 소모품의 항목별 소진 예상 시간을 예측하여 현장 관리자(1),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2)에게 알릴 수 있다. 현장 관리자(1) 또는 통합 관리자(2)에게 소모품의 항목별 소진 예상 시간을 알리는 방법은, 각 관리자별로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600)에 소모품의 항목별 소진 예상 시간(또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을 송신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알림 방식을 상술한 방식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예측된 소진시기 전에 미리 해당 소모품을 확보함으로써 수질TM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모품 구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모품 구매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서 예측된 소모품의 소진시기 전에 필요한 소모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TMS의 장애발생 이력,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을 저장하는 장애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장애관리부의 정보를 활용하여 장애발생 시 즉각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한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작업내용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내용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현장 관리자의 이름, 작업일시, 작업내용, 소모품의 상태정보, 소모품 사용정보, 장애발생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내용저장부의 정보를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기존에 수기로 관리되던 작업내용을 전산화함으로써 수질TM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작업할 작업내용을 저장하는 일정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관리부는 현장 관리자의 일간, 주간 및 월간 작업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일정관리부의 작업내용을 단말기를 통해 현장 관리자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송신하여 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소모품의 상태정보, 장애발생이력, 작업내용, 소모품 사용정보 등을 분석하여 수질TMS의 고장부위 및 고장시기를 예측함으로써 해당 기기의 고장에 대비하여 미리 부품을 교체하거나 관리함으로써 해당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수질정보를 분석하여 향후 예상되는 수질상태를 예측하는 수질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질예측부의 정보를 활용하여 수질상태가 기준치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조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500)는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수질TMS(100) 및 해당 공간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부(500)는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을 촬영하는 제1영상 촬영부와 수질TMS(100)를 조작하는 것을 촬영하는 제2영상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500)는 제1영상 촬영부(510)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영상 촬영부(510)는 관리실(11)의 일측에 설치되어, 관리실(11)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단, 효율성을 고려했을 때, 도 2에 도시된 영상 촬영부(510)는 24시간 동작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실(11)에 현장 관리자(1)가 들어왔을 때에만 동작하고, 관리실(11) 내부에 현장 관리자(1)가 없을 때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와 다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실(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는 제1영상 촬영부(510) 및 제2영상 촬영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 촬영부(510)는 관리실(10)을 전반적으로 촬영했다면, 제2영상 촬영부(520)는 수질TMS(100)의 조작화면만을 촬영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 통합서버 및 통합 관리자(2)는 제2영상 촬영부(520)를 통해 현장 관리자(1)가 수질TMS(100)를 제대로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영상 촬영부(520) 또한 제1영상 촬영부(510)와 마찬가지로 현장 관리자(1)가 관리실(10)에 들어왔을 때만 동작할 수 있다.
제1영상 촬영부(510) 및 제2영상 촬영부(520)에서 촬영 및 저장된 모든 영상데이터는 상기 관리서버(400)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모든 영상데이터 중 일부만 무작위로 선택되어 관리서버(4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수질TMS(100)는 현장 관리자(1)가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400)는 수질TMS(100)에서 송신된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저장하여, 시간별로 어떠한 현장 관리자(1)가 수질TMS(100)를 어떻게 조작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순한 데이터만으로는 현장 관리자(1)가 수질TMS(100)를 어떻게 조작했는지를 확인하기 다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400)는 영상 촬영부(500)에서 관리서버(400)로 송신한 영상 데이터, 해당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각의 조작정보(수질TMS로부터 수신된) 및 수질TMS(100)를 조작한 현장 관리자(1)의 정보를 함께 통합서버 및 통합 관리자(2)에게 제공하여, 영상 데이터와 조작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도 4는 통합 관리자(2)의 단말기(600)상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수질TMS(100)의 조작 정보 및 현장 관리자(1)의 인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400)에서 제공된 상기 정보들은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를 이분할 하여 상측의 영상 출력영역(610)에는 영상 데이터가, 하측의 조작이력 출력영역(620)에는 현장 관리자(1)의 수질TMS(100)의 조작이력 및 현장 관리자(1)의 인적사항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 데이터와 수질TMS(100)의 조작이력은 동기화되어, 단말기(600)상에서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의 시각에 따라 수질TMS(100)의 조작이력이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600)의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고 있는 시각이 절대시간을 기준으로 2019.04.17. 오전 10:00일 경우, 조작이력 중, 해당 시각에서 이루어진 조작내역이 강조되어 표시됨으로써, 통합 관리자(2)가 영상 데이터와 조작이력의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영상데이터는 그 특성상 데이터의 용량이 클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자(2)가 보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촬영부(500)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 일부만을 무작위로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거나, 모든 영상 데이터를 관리서버(400)로 송신한 후, 관리서버(400)가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일부만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통합서버 및 통합 관리자(2)에게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배출사업장 등은 수질TMS 및 부대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수질TMS의 관리방법에 대해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질TMS 뿐 아니라 부대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질TMS 및 부대시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예시된 수질TMS의 관리방법이 부대시설의 관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질TMS 및 부대시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현장 관리자
2 : 통합 관리자
10 : 관리실
11 : 출입문
100 : 수질TMS
200 : 출입문 관리부
300 : 출입자 관리부
400 : 관리서버
500 : 영상 촬영부
510 : 제1영상 촬영기기
520 : 제2영상 촬영기기
600 : 단말기
610 : 영상 출력영역
620 : 조작이력 출력영역

Claims (8)

  1. 시설에서 방류되는 물 또는 방류예정인 물의 수질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관리서버(400)로 송신하는 수질TMS(100);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관리하며, 인증된 현장 관리자만 상기 공간으로 출입시키는 출입문 관리부(200);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와 연계되어 상기 출입문을 통과한 인증된 현장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입자 관리부(300);
    상기 수질TMS(100) 및 상기 출입자 관리부(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질TMS(1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수질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400); 및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질TMS(100)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는 인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현장 관리자가 상기 인증수단을 통해 인증된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시간대별로 출입할 수 있는 현장 관리자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해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로 송신하고, 상기 출입문 관리부(200)는 상기 현장 관리자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해 상기 수질TMS(100)가 설치된 공간에 출입하고자 하는 현장 관리자가 상기 현장 관리자 리스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결정하며,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영상 촬영부(5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수질TMS(100)는 상기 현장 관리자가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400)는 영상 촬영부(500)에서 관리서버(400)로 송신한 영상, 해당 영상이 촬영된 시각의 조작정보 및 수질TMS(100)를 조작한 현장 관리자(1)의 정보를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2)에게 제공하여, 상기 영상과 조작정보를 비교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TMS(100)는 상기 수질TMS(100)의 소모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질TMS(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질TMS(100)의 소모품 교환 시기를 예측하여 상기 통합서버, 통합 관리자 또는 현장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주기적으로 촬영한 영상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영상 촬영부(5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및 수신한 영상에 대응되는 날짜의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상기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영상과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을 비교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촬영한 모든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영상 촬영부(5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 및 선택한 영상에 대응되는 날짜의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 정보를 상기 통합서버 또는 통합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영상과 상기 수질TMS(100)를 조작한 이력을 비교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90047645A 2019-04-24 2019-04-24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5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45A KR102051138B1 (ko) 2019-04-24 2019-04-24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45A KR102051138B1 (ko) 2019-04-24 2019-04-24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138B1 true KR102051138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645A KR102051138B1 (ko) 2019-04-24 2019-04-24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232B1 (ko) * 2021-10-19 2022-03-21 안병훈 수질계측기기 관리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455A (ko) * 2001-09-25 2003-04-03 주식회사 알파엔지니어링 종합통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71974A (ko) * 2003-02-07 2004-08-16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025878A (ja) * 2005-07-13 2007-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用保全支援システム
KR100817243B1 (ko) * 2008-01-22 2008-03-27 에스씨종합건설(주) 수질원격감시시스템
KR100901779B1 (ko) * 2008-10-21 2009-06-11 (주)시그너스시스템 인터넷 기반의 수질 계측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883396B1 (ko) 2016-09-07 2018-07-30 이수남 수질 측정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455A (ko) * 2001-09-25 2003-04-03 주식회사 알파엔지니어링 종합통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71974A (ko) * 2003-02-07 2004-08-16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025878A (ja) * 2005-07-13 2007-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用保全支援システム
KR100817243B1 (ko) * 2008-01-22 2008-03-27 에스씨종합건설(주) 수질원격감시시스템
KR100901779B1 (ko) * 2008-10-21 2009-06-11 (주)시그너스시스템 인터넷 기반의 수질 계측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883396B1 (ko) 2016-09-07 2018-07-30 이수남 수질 측정 센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232B1 (ko) * 2021-10-19 2022-03-21 안병훈 수질계측기기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479B2 (en) Web-cloud hosted unified physical security system
US9070233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onitoring
US8479258B2 (en) Garage management system
FR2845223A1 (fr) Systeme de carnet d'entretien electronique d'un equipement tel qu'un ascenseur
CN107301704A (zh) 危险化学品量化监控管理系统
JP5121122B2 (ja) 監視装置
US20190304274A1 (en) Security system with doorbell, camera and identification capability
US110043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KR20200104041A (ko) Pc방 무인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51138B1 (ko) 수질tms 통합 관리 시스템
US8502667B2 (en) Activity based management system
JP2007122480A (ja) 不在時の訪問者認証システム
KR102073032B1 (ko) 무인 하수 종말 처리장의 시설물 점검 시스템
CN114175115A (zh) 资产管理系统
JP2015153054A (ja) セキュリティエリア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エリア管理方法
CN102780872A (zh) 装置监视服务器以及装置监视系统
JP2011140843A (ja) 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341001B2 (ja) 画像監視装置
KR100664648B1 (ko) 인터넷을 통한 보안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단말장치
KR20110024370A (ko)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1761B1 (ko) 연구개발장비의 관리장치
CN110210989A (zh) 一种安全隐患报告系统及其方法
TWI723423B (zh) 一種可程式智慧門禁管控保護作業方法及其系統
KR200418791Y1 (ko) 전자키를 이용한 티씨피 아이피 기반의 지능형 출입 관리시스템
KR102286719B1 (ko) IoT 기반 융합보안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