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22B1 -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22B1
KR102050922B1 KR1020180003215A KR20180003215A KR102050922B1 KR 102050922 B1 KR102050922 B1 KR 102050922B1 KR 1020180003215 A KR1020180003215 A KR 1020180003215A KR 20180003215 A KR20180003215 A KR 20180003215A KR 102050922 B1 KR102050922 B1 KR 10205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ealant
nozzle part
adjustment screw
remov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282A (ko
Inventor
최련하
김철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는, 내부에 실란트(sealant)가 수용되는 몸체,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실란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노즐부, 몸체의 일단부에 제1노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노즐부, 및 일단부가 제2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입출되며 나머지는 몸체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탐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Welding defects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용접부에 형성된 구멍이나 가스홀(blowhole) 등의 결함을 메워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거할 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구조물은 용접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용접은 열로 결합부를 직접 용융시키거나 추가적으로 재료를 용융시켜 부착하는 등의 결합방식으로 용접을 이용하여 결합 후 분리가 어려운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용접 결합은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철골 구조물이나 전체가 금속 골재로 이루어진 선체 등을 제작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선박 제조분야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다양한 제조분야에서 용접 결합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으로 결합된 결합부위에는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인 결함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온으로 용융된 금속이 응고할 때 내부에서 기화된 가스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여 기공을 형성하거나 균열 등을 만들 수 있고 내부 화학반응으로 미세한 구멍 등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용접부의 결함은 결합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고, 부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후속하는 도장작업 시에도 매끄러운 도장면을 형성하기 어렵게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방법은 마땅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004호에 용접부위에 열을 가하여 기공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실제 야드 등의 일반 작업장에 적용하기 곤란하며 용접대상의 크기나 두께 등이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금속구조물에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현재 실제 작업 현장에서는 퍼티 등의 실란트를 수작업으로 결함부위에 주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공이나 균열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외부에서는 그 깊이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전적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해야 하는 등, 결함이 있는 부위를 만족스럽게 처리하기는 매우 곤란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004호, (2014. 07. 2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접부에 형성된 구멍이나 가스홀(blowhole) 등 결함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는, 내부에 실란트(sealant)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실란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노즐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제1노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노즐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입출되며 나머지는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탐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탐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탐침부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일 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수용하며 상기 조절나사와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제1관통부, 상기 제2노즐부로부터 상기 몸체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탐침부를 수용하는 제2관통부, 및 상기 몸체 내측의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 사이에 곡선을 이루며 연결되어 상기 탐침부를 굴절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탐침이동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침부의 타단부와 상기 조절나사의 사이에 상기 탐침부와 상기 조절나사의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의 헤드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눈금부, 및 상기 헤드의 일 측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조절나사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눈금부의 눈금을 지시하는 이동가늠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실란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가열로, 상기 가열로를 우회하여 상기 제1노즐부와 연결된 가압유체공급관, 및 상기 가압유체공급관과 상기 수용공간의 사이에 연결된 실란트도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로와 상기 몸체의 외부를 연통시켜 실란트 캡슐을 상기 가열로로 통과시키는 투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부에 발생한 기공 등 결함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기공이나 가스홀(blowhole), 각종 균열 등 형상이 다양하고 그 깊이나 크기도 명확히 파악되지 않은 결함부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여, 대응하는 양의 알맞은 실란트를 주입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하고자 하는 결함부위의 측정과 제거를 하나의 장치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야드 등 현장에서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가능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를 제2노즐부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탐침부, 조절나사, 이동가늠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는 몸체(10) 일단부에 나란히 형성된 제1노즐부(11)와 제2노즐부(12)를 포함한다. 제1노즐부(11)와 제2노즐부(1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10)는 실란트(sealant)를 내부에 수용하였다가 제1노즐부(11)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 상의 실란트는 금속 용접부의 기공, 가스홀(blowhole) 또는 그 밖의 균열 등을 포함하는 결함부위의 내부로 주입되어 이들을 메울 수 있는 것으로, 그러한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인 한 제한되지 않는다. 실란트는 예를 들면 용접부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퍼티 등일 수 있다.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는 제2노즐부(12)를 통해서는 탐침부(20)를 돌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몸체(10) 일단부에 탐침부(20)와 실란트를 돌출시키거나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나란히 형성하여 탐침부(20)로 결함부위의 깊이 등을 측정한 후 실란트를 주입하고 용접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탐침부(20)는 탄성체로 되어 있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결함부위의 불규칙한 내부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또한 탐침부(20)로 결함부위를 탐색할 때 내부의 깊이 등을 측정하여 그에 따라 실란트의 주입량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육안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결함부위라도 보다 정확하게 내부를 메워 용접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는 내부에 실란트가 수용되는 몸체(10),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실란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노즐부(11), 몸체(10)의 일단부에 제1노즐부(11)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노즐부(12),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노즐부(12)를 통해 외부로 입출되며 나머지는 몸체(10)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탐침부(20)를 포함한다. 탐침부(20)의 타단부에는 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탐침부(20)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30)가 연결되어 조절나사(30)를 조절하여 탐침부(20)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몸체(10) 내부에는 실란트를 수용하고 액상으로 유지하며 이를 제1노즐부(11)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들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의 구조 및 작용효과 등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길게 연장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고 사용이 용이한 여러 가지 형상으로 몸체(1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몸체(10)의 일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즐부(11)와 제2노즐부(12)가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몸체(10)는 적절한 두께를 가져 내부에 가열로(40), 가압유체공급관(110), 실란트도입관(111), 탐침이동관(120) 등의 구조를 수용할 수 있다. 몸체(10)의 일 측으로는 손잡이(13)가 돌출되며, 손잡이(13) 측에 레버(14)를 설치하여 제1노즐부(11)로 토출되는 실란트의 토출량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레버(14)는 링크부재(141)를 통해 가압유체공급관(110)을 개폐하는 밸브체(142)와 연결되어 레버(14)의 압력으로 밸브체(142)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몸체(10)의 외면에는 커버(15)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되어 몸체(1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커버(15)가 개방되면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가열로(40)와 몸체(10) 외부를 연통시키는 투입구(15a)가 노출되고, 투입구(15a)를 통해 도 3과 같이 실란트(A) 캡슐을 통과시켜 가열로(40)에 삽입할 수 있다. 즉, 결함부위를 메우는 실란트(A)는 단위 캡슐 형태로 투입구(15a)를 통해 가열로(40)에 투입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필요한 양만큼을 결합부위에 주입할 수 있다.
제1노즐부(11)와 제2노즐부(12)는 몸체(10)의 일단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노즐부(11) 및 제2노즐부(12)는 몸체(10) 일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1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로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부(11)는 실란트를 토출하는 역할을 하며, 제2노즐부(12)는 탐침부(20)를 입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노즐부(11)와 제2노즐부(12)를 몸체(10)에 나란히 배치하여 탐침부(20)를 이용한 결함부위의 탐색과 실란트를 이용한 결함부위의 제거작업을 연속하여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노즐부(1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내부의 가압유체공급관(110)과 연결된다. 몸체(10)의 내부에는 실란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0a)을 포함하는 가열로(40)와, 가열로(40)를 우회하여 제1노즐부(11)와 연결된 가압유체공급관(110), 가압유체공급관(110)과 수용공간(40a)의 사이에 연결된 실란트도입관(111)이 형성된다. 가압유체공급관(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연장되어 가압공기 등의 가압유체를 공급받고 제1노즐부(11)로 공급할 수 있다. 가열로(40)는 열선 등으로 이루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수용공간(40a)에 삽입된 캡슐형태의 실란트(A)를 용융시켜 액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의 실란트는 가압유체가 유동하며 형성하는 유로 내 압력차에 의해 실란트도입관(111)으로부터 가압유체공급관(110)으로 도입되어 제1노즐부(11)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실란트를 제1노즐부(11)로 토출할 수 있다.
가열로(40)에는 조절실린더(50)가 삽입되어 수용공간(40a)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조절실린더(50)는 몸체(10)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수용공간(40a)에 수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실린더(50)를 슬라이딩시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열로(40) 내 삽입된 크기를 변경하고 수용공간(40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몸체(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로(40)와 몸체(10) 외부를 연통시켜 실란트 캡슐을 가열로(40)로 통과시키는 투입구(15a)가 형성된다. 수용공간(40a)의 크기를 바꾸어 가열로(40)에 인입 가능한 실란트(A) 캡슐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내부에 인입된 실란트(A) 캡슐은 조절실린더(50)로 밀어 실란트도입관(111) 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액상의 실란트가 수용공간(40a)으로부터 실란트도입관(111)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예를 들어 조절실린더(50) 일 측에 수용공간(40a)과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를 흡입하는 홈부(51)를 형성해 줄 수 있다.
한편, 제2노즐부(12)는 몸체(10) 내부의 탐침이동관(120)에 연결된다. 탐침이동관(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굴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탐침부(20)는 이러한 탐침이동관(120)에 수용되어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상태를 유지하며 탄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탐침이동관(120)을 이용하여 제2노즐부(12)와 조절나사(30)의 상호 위치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즉, 몸체(10) 일단부에는 제2노즐부(12)를 제1노즐부(11)와 나란히 배치하고, 조절나사(30)는 탐침이동관(120)을 통해 탐침부(20)와 연결 가능한 어느 위치라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탐침부(20)와 탐침이동관(120), 조절나사(30) 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를 제2노즐부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탐침부, 조절나사, 이동가늠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30)는 탐침부(20)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탐침부(20)의 반대편 일단부는 제2노즐부(12)를 통해 몸체(10) 외부로 자유롭게 입출된다. 조절나사(30)는 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움직이며 탐침부(20)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탐침부(20)와 조절나사(30)는 탐침이동관(12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조절나사(30)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여 탐침부(20)의 돌출된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조절나사(30)는 나사산(121a)을 통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바 조절나사(30)의 회전량으로부터 탐침부(20)의 돌출된 길이를 비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나사(30)의 헤드(31) 둘레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부(31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헤드(31)의 일 측에는 위치가 고정되어 조절나사(3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가늠쇠(32)가 형성되어 눈금부(31a)의 눈금을 지시할 수 있다. 즉, 도 4의 (a) 또는 (b)와 같이 탐침부(20)의 돌출된 길이가 변경되면 이를 조절나사(30)의 눈금부(31a)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눈금부(31a)의 눈금을 읽으며 조절나사(30)를 회전시켜 원하는 길이만큼 탐침부(20)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함부위 내부의 깊이를 정확히 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만큼의 실란트를 보다 정확히 주입하여 용접부 결합을 제거할 수 있다.
탐침부(20)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10)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탐침부(20)는 길이가 긴 탄성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와이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 다시 복원될 수 있다. 탐침부(20)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30)에 연결되며 탐침부(20)의 타단부와 조절나사(30)의 사이에는 탐침부(20)와 조절나사(30)의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부재(21)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조절나사(30)의 움직임이 없더라도 조절나사(30)에 대해 탐침부(20)가 베어링부재(2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고, 탐침부(20)의 회전이 없더라도 조절나사(3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탐침부(20)의 돌출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탐침부(20)가 조절나사(30)의 회전력에 의해 뒤틀리는 등의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탐침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침이동관(120)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탐침이동관(120)은 몸체(10) 일 측으로 개구되어 조절나사(30)를 수용하며 조절나사(30)와 치합되는 나사산(121a)이 내측에 형성된 제1관통부(121), 제2노즐부(12)로부터 몸체(10) 내측으로 연장되어 탐침부(20)를 수용하는 제2관통부(122), 및 몸체(10) 내측의 제1관통부(121)와 제2관통부(122) 사이에 곡선을 이루며 연결되어 탐침부(20)를 굴절시키는 굴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부(121)와 제2관통부(122)는 모두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고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들을 곡선으로 형성된 굴절부(123)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탐침부(20)는 탐침이동관(120)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며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조절나사(30)와 탐침부(20)를 일직선 상으로 배열할 필요가 없으며 몸체(10)의 여러 부위를 활용하여 조절나사(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10) 어느 지점에서도 조절나사(30)를 조절하여 탐침부(20)를 제2노즐부(12)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탐침부(20)는 탐침이동관(120)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어 변형이 생긴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체적으로 탄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탐침부(20) 전체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하고 결함부위 내를 적절한 탄성을 유지하며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가늠쇠(32)는 몸체(10)에 형성된 가이드관(1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상의 바로 이루어진 삽입부(32a)와 삽입부(32a)로부터 굴절되어 헤드(31)에 걸리는 걸림부(32b)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동가늠쇠(3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이동가늠쇠(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2a)가 가이드관(1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절나사(3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헤드(31)의 눈금부(31a)를 읽을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조절나사(30)와 함께 이동하며 눈금부(31a)의 눈금을 지시하는 다른 형태의 구조도 얼마든지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와 같은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와 같이 결함부위(B)[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부에 형성된 기공, 가스홀(blowhole), 또는 그 밖의 균열 등을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내부로 탐침부(20)를 진입시켜 결함부위(B)의 깊이와 전체적인 형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조절나사(30)를 회전시켜 눈금을 읽으며 제2노즐부(12)로부터 돌출된 탐침부(20)의 길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함부위(B) 내 주입할 실란트의 적정량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고 결정할 수 있다. 탐침부(20)는 탄성을 가져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변형되므로 결함부위(B) 내 구조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형태가 변경되며 결함부위(B)의 말단까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히 결함부위(B)를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함부위(B)를 측정하여 실란트(A)의 주입량을 결정하고, 도 6의 (b)와 같이 알맞은 양의 실란트(A)를 주입하여 결함부위(B)를 메울 수 있다. 즉, 전술한 레버(도 1 내지 도 3의 14참조)를 조작하여 밸브체(도 1 및도 3의 142참조)를 개폐하고 가압유체공급관(110)으로 가압유체를 주입하여, 실란트도입관(111)을 통해 액상의 실란트(A)를 가압유체공급관(110)과 연결된 제1노즐부(11)로 배출시킬 수 있다. 실란트(A)를 주입할 때 조절나사(30)는 후퇴시켜 탐침부는 몸체(10)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란트는 캡슐 형태로 몸체(10) 내부에 삽입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량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탐침부의 측정을 통해 설정된 양을 보다 정확하게 결함부위(B)에 주입하여 용접부 결함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로 결함부위(B)를 보다 정확히 탐색하고 측정하여 용접부 결함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1)로 제거부위의 측정과 결함제거를 한꺼번에 진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10: 몸체
11: 제1노즐부 12: 제2노즐부
13: 손잡이 14: 레버
15: 커버 15a: 투입구
20: 탐침부 21: 베어링부재
30: 조절나사 31: 헤드
31a: 눈금부 32: 이동가늠쇠
32a: 삽입부 32b: 걸림부
40: 가열로 40a: 수용공간
50: 조절실린더 51: 홈부
110: 가압유체공급관 111: 실란트도입관
120: 탐침이동관 121: 제1관통부
121a: 나사산 122: 제2관통부
123: 굴절부 130: 가이드관
141: 링크부재 142: 밸브체
A: 실란트 B: 결함부위

Claims (8)

  1. 내부에 실란트(sealant)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실란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노즐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제1노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노즐부;
    일단부가 상기 제2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입출되며 나머지는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된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2노즐부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실란트가 주입되는 용접부 결함부위 내부를 측정하는 탐침부;
    상기 몸체 내부에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탐침부를 적어도 일부 굴절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탐침이동관, 및
    상기 탐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탐침부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가 회전하면 상기 탐침부도 같이 회전하여 이동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이동관은, 상기 몸체 일 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수용하며 상기 조절나사와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제1관통부,
    상기 제2노즐부로부터 상기 몸체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탐침부를 수용하는 제2관통부, 및
    상기 몸체 내측의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 사이에 곡선을 이루며 연결되어 상기 탐침부를 굴절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의 타단부와 상기 조절나사의 사이에 상기 탐침부와 상기 조절나사의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베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의 헤드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눈금부, 및
    상기 헤드의 일 측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조절나사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눈금부의 눈금을 지시하는 이동가늠쇠를 더 포함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실란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가열로,
    상기 가열로를 우회하여 상기 제1노즐부와 연결된 가압유체공급관, 및
    상기 가압유체공급관과 상기 수용공간의 사이에 연결된 실란트도입관을 더 포함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와 상기 몸체의 외부를 연통시켜 실란트 캡슐을 상기 가열로로 통과시키는 투입구를 더 포함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KR1020180003215A 2018-01-10 2018-01-10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KR10205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15A KR102050922B1 (ko) 2018-01-10 2018-01-10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15A KR102050922B1 (ko) 2018-01-10 2018-01-10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82A KR20190085282A (ko) 2019-07-18
KR102050922B1 true KR102050922B1 (ko) 2019-12-02

Family

ID=6746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215A KR102050922B1 (ko) 2018-01-10 2018-01-10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045A1 (en) * 2015-04-20 2016-10-27 Illinois Tool Works Inc. Portable to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610A (en) * 1974-02-01 1975-04-15 Ornsteen Chemicals & Textiles Hot melt cartridge adhesive gun
KR19980049122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깊이측정용 게이지
KR20140093004A (ko) 2013-01-17 2014-07-25 현대로템 주식회사 박판 금속 용접부 결함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045A1 (en) * 2015-04-20 2016-10-27 Illinois Tool Works Inc. Portabl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82A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15802B (zh) 一种焊接返修ctod实验方法
CA2920639C (en) Method for protecting a welded joint between pipes having an interior coating
Melfi New code requirements for calculating heat input
CN105689857A (zh) 一种塔筒制造焊接工艺
CN103170768A (zh) 小口径直管对接焊装置
CN102848057B (zh) 一种铝及铝合金焊缝的返修方法
CN106001912B (zh) 一种焊接设备
TW202110554A (zh) 板件狀態工具
US20150129579A1 (en) Orbital welding torch systems and methods with lead/lag angle stop
KR102050922B1 (ko) 용접부 결함 제거장치
CN104655068A (zh) 一种基于非线性方程组的相贯双管装夹位姿的两点测定方法
CN205798694U (zh) 一种焊接设备
CN112719520A (zh) 马氏体合金钢工艺管道手工氩电联合焊接及热处理工艺
Korinko et al. Laser engineered net shaping® for repair and hydrogen compatibility
CN111014898A (zh) 一种水溶性纸充氩局部保护焊接工法
KR101360628B1 (ko) 소재 접합용 지그 장치
JP6996874B2 (ja) 管端部の認識
CN114247965B (zh) 模块化生产中哈氏合金复合材料焊接及热处理工艺方法
CN116984840A (zh) 一种冷板生产方法
US7304268B2 (en) Method for rating stick electrodes for pipe welding
DE102008053556B4 (de) Ultraschallprüfvorrichtung zum Prüfen von Rohren
Goldak Finite Element Analysis of Welding on Fluid-Filled, Pressurized Pipelines
CN109489731A (zh) 一种波纹管组装后的质检方法
RU2656909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продольного шва трубы, нанесенного методом лазерной сварки
KR100897587B1 (ko) 용접부 결함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