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00B1 -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표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표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00B1
KR102050900B1 KR1020187006815A KR20187006815A KR102050900B1 KR 102050900 B1 KR102050900 B1 KR 102050900B1 KR 1020187006815 A KR1020187006815 A KR 1020187006815A KR 20187006815 A KR20187006815 A KR 20187006815A KR 102050900 B1 KR102050900 B1 KR 10205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isplay
time
termi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141A (ko
Inventor
세르잔 다하 아히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3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for track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04L51/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6Handling conversation history, e.g. grouping of messages in session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복수 사용자 사이에 메시지를 교환하는 화면에 있어서, 각각의 메시지가 송신된 시간 간격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UI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방법은 단말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단말과는 다른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표시 프로그램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메시지를 대화방 너머로 복수의 통신 기기 사이에서 교환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복수의 통신 기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어떤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가 어느 정도 다른 메시지가 교환되고 나서 이루어진 경우에 회신 메시지의 기초가 되는 메시지로부터 떨어져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메시지와 그 회신 메시지의 사이에 교환된 메시지군이 표시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때문에, 회신 메시지가 어느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인지 대화방에 참가하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특정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가 이루어진 경우에, 특정 메시지의 송수신 시각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회신 메시지를 특정 메시지 아래에 표시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160467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메시지 UI에서는, 각 메시지는 그 메시지가 송신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그 때문에, 메시지 UI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어느 메시지가 어떠한 순서로 송신되었는지는 이해할 수 있지만, 이들 메시지가 교환된 시간 간격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메시지가 교환된 시간 간격을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 UI를 제공할 수 있는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메시지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표시 방법은 단말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단말과는 다른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단말 사이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고, 각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시 정보를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은, 다른 단말과 통신을 실행하고,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단말로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가 수신한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표시 프로그램은, 단말의 컴퓨터에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프로그램으로서, 단말의 컴퓨터에,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과,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기능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 기능을 실현시킨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서버, 단말, 표시 프로그램에 의하면, 단말에서 교환한 메시지를 각각의 메시지의 수신 시각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각각의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 간격을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단말(2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메시지 정보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서버(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메시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단말(200)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단말(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참고예에 관한 메시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0은 참고예에 관한 메시지의 표시예의 천이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1은 참고예에 관한 메시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2는 참고예에 관한 메시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3은 참고예에 관한 메시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14는 참고예에 관한 서버(100)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버 및 단말의 일 실시태양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서버(100)를 포함하고, 서버(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a)이나 사용자 단말(200b)과 통신을 실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a) 및 사용자 단말(200b)은,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동일한 메시징 서비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를 중계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 도 1에서는 2개의 사용자 단말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는 무수히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는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을 총칭하여 사용자 단말(200)이라고 기재한다.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단말 사이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고, 각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서, 단말(200a, 200b)로부터 메시지(메시지의 문장 내용, 본문)를 수신하는 수신부(111)와,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131)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시 정보를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112)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처리하고, 각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한 표시 정보를 각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 장치의 일종이다.
도 2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통신부(110)와 저장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수신부(111)와 송신부(112)를 포함하고, 네트워크(500)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통신은 유선, 무선 어느 것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또한 서로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된다.
수신부(111)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수신부(111)는, 토크룸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사용자의 발언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메시지의 송신 시각, 메시지의 송신자를 나타내는 송신자 정보, 메시지가 대응하는 토크룸을 나타내는 토크룸 식별 정보 및 메시지의 본문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부(112)는, 제어부(13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장부(120)는, 서버(100)가 동작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장부(120)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사이에서 교환한 메시지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정보(400)를 저장하고 있다. 저장부(120)는, 전형적으로는 HDD(Hard Disc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등 각종 기록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메시지 정보(400)는,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제어부(130)에 의해 갱신된다. 여기서, 메시지 정보(400)는, 메시지를 교환하고 있는 사용자 사이로 구성된 토크룸마다 생성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메시지 정보(400)는, 메시지의 송신 시각 정보, 메시지의 송신자 정보, 메시지의 본문 정보를 포함한 정보이다. 메시지 정보(40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토크룸이란, 복수의 사용자가 참가하여 메시지의 교환을 행하는 이른바 대화방에 상당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서버(1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이다. 제어부(130)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그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제어부(130)는, 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정보(400)를 갱신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어야 할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생성부(131)를 포함한다. 생성부(131)는, 각 사용자 단말(200)에서 표시할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생성부(131)는, 생성한 표시 정보를 송신부(112)에 전달한다.
생성부(131)는, 각 사용자의 메시지를 메시지 정보(400)를 참조하여 각각의 수신 시각에 따른 시간 간격으로 각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부(131)는, 수신부(110)가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부(130)가 메시지 정보(400)를 갱신한 경우에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부(131)는, 연속되는 메시지에 대해 메시지 정보(400)의 수신 시각을 참조하여 수신 시각 사이의 차분을 산출한다. 이에 의해, 연속되는 메시지의 수신 시각의 시간 간격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한 시간 간격에, 이러한 시간 간격을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간격으로 변환하는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곱한다. 생성부(131)는, 산출한 표시 간격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다. 이러한 문턱값은,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 화면 내에 소정 수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문턱값이다. 산출한 표시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정 수의 메시지가 한 화면 내에 표시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소정값만큼 줄여 새로운 계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표시 간격을 새로운 계수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이를 산출한 표시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결정한 표시 간격으로 각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부(131)는, 생성한 표시 정보를 송신부(112)에 전달한다. 또, 여기서는 서버(100)가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각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메시지를 단말이 송신한 시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메시지에는, 메시지를 단말이 송신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메타데이터로서 부여되어 있으면 된다.
또, 표시 간격 계수는 하나의 토크룸에 대해 똑같고, 어떤 메시지 사이의 표시 간격을 산출함에 있어서도 동일한 표시 간격 계수를 이용한다. 따라서, 표시 간격 계수를 변경한 경우는, 그 토크룸에서 표시해야 할 메시지 각각을 표시하는 표시 간격 모두에 대해 적용된다. 이에 의해,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간격이 짧은, 즉 수신 시각의 차분이 작으면, 그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하여 표시하고,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간격이 긴, 즉 수신 시각의 차분이 크면, 그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 사이의 간격을 길게 하여 표시하는 표시 태양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화면의 크기가 다른 경우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문자 폰트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등에도 시간 간격에 따른 표시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이 서버(100)의 구성이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른바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으로 호칭되는 적어도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입력 접수부(240), 표시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수신부(211)와 송신부(212)를 포함하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100)나 다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통신은 유선, 무선 어느 것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또한 서로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된다.
수신부(211)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10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송신부(212)는, 제어부(13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서버(10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송신부(212)는, 제어부(2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 접수부(240)를 통해 접수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메시지의 송신 시각, 메시지의 송신자를 나타내는 송신자 정보, 메시지가 대응하는 토크룸을 나타내는 토크룸 식별 정보 및 메시지의 본문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이 동작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저장부(22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저장부(120)는, 전형적으로는 HDD(Hard Disc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등 각종 기록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이다. 제어부(230)가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과 같이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표시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표시부(250)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입력 접수부(24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터치 패널 등의 소프트 키 혹은 하드 키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부(250)는, 제어부(230)에 의해 프레임 버퍼에 기입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모니터이다. 표시부(25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nic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실현된다.
이상이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이다.
<데이터>
도 4는, 메시지 정보(400)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정보(400)는, 메시지 ID(401)와 수신 시각(402)과 송신자 ID(403)와 메시지 본문(404)이 대응된 정보이다.
메시지 ID(401)는,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고유의 식별 정보이다.
수신 시각(402)은,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송신자 ID(403)는, 메시지를 송신한 송신자를 특정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상의 고유의 식별 정보이다.
메시지 본문(404)은, 송신된 메시지 내용의 본문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4에서는, 예를 들어 메시지 ID가 「M20151000021」로 나타나는 메시지는 「2015년 10월 1일 11시 21분 11초」에 송신되고, 이러한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을 갖는 송신자 ID는 「U2300983」이며, 그 메시지 본문의 내용은 「오늘 즐거웠어! 또 보자!」라고 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가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대응하는 토크룸의 메시지 정보(400)의 최하단에 추가되어 갱신됨으로써, 서버(100)는 이 토크룸에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도 5는,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서버(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서버(100)의 수신부(11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501).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부(111)는, 그 수신 메시지를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전달받은 메시지가 어느 토크룸에 대응하는지 메시지에 대응되어 있는 토크룸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한다(단계 S502). 제어부(130)는, 특정한 토크룸에 대응하는 메시지 정보(400)에 새로 수신한 메시지의 정보를 추가하여 갱신한다(단계 S503).
제어부(130)는, 수신한 메시지와 그 메시지 전에 수신한 메시지 사이의 표시 간격을 결정한다(단계 S504). 구체적으로는, 제어부는, 수신한 메시지의 수신 시각과 그 메시지 전에 수신한 메시지의 수신 시각의 차분을 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한 차분에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곱하여 표시 간격을 결정한다.
제어부(130)는, 표시 간격을 결정한 후 그 표시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505).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단계 S505의 YES), 소정 수의 메시지를 한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제어부(130)는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변경한다(단계 S506). 즉, 표시 간격 계수를 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단계 S5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505에서, 제어부(130)가 결정한 표시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즉 소정의 문턱값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505의 NO), 결정한 표시 간격에 기초하여 각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507).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한 표시 정보를 송신부(112)에 전달하고, 송신부(112)는 토크룸에 포함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된 표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상이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서버(100)의 동작이다.
<표시예>
상술한 서버(100)의 처리에 의해, 서버(100)로부터의 표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제어부(230)의 지시에 의해 표시부(250)에 상기 표시 정보를 표시한다. 또, 이 때, 입력 접수부(2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후에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표시 정보의 표시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발언인 메시지(601~604)는, 각각 전후 메시지의 수신 시각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601)와 메시지(602) 사이의 표시 간격(ΔL1)과, 메시지(602)와 메시지(603) 사이의 표시 간격(ΔL2)과, 메시지(603)와 메시지(604) 사이의 표시 간격(ΔL3)은 각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시각의 차분에 따른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메시지는 각 메시지의 수신 시각 사이의 차분의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표시되게 된다. 또, 그 밖의 메시지는, 사용자가 표시 화면을 윗방향 또는 아랫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과거의 혹은 앞의 메시지를 스크롤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한눈에 각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 간격을 인식할 수 있고, 직감적으로 메시지 사이의 거리로 경과한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서버(100)가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 단말(200)에 송신하여 도 6에 도시된 표시를 실현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사용자 단말(700)이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사용자 단말(700)은, 다른 단말과 통신을 실행하고,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단말로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711)와, 수신부가 수신한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720)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5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으로서는 도 1과 변함없고, 도 1에서의 사용자 단말(200a, 200b)에 사용자 단말(700)이 위치하는 것뿐이다.
도 7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입력 접수부(240), 표시부(250)를 포함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1에 나타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동일하게 동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애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통신부(710)는 수신부(711)와 송신부(212)를 가지고, 수신부(711)는 서버(10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부(711)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730)에 전달한다.
저장부(720)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나타낸 저장부(220)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 외에,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서버(100)가 보유하고 있던 메시지 정보(400)를 저장하고 있다. 이 경우의 메시지 정보(400)는, 수신 시각(402) 대신에 자기 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한 시각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나타내는 송수신 시각이 대응된다.
제어부(730)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나타낸 제어부(230)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 외에, 수신부(711)로부터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720)에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 정보(400)에 추가하여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730)는 생성부(731)를 포함하고, 생성부(731)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표시 정보는, 메시지와 메시지 사이의 표시 간격이 각 메시지의 수신 시각 또는 송신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되어 있다. 즉, 생성부(731)는, 상기 실시형태 1의 서버(100)가 보유하는 생성부(13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표시부(250)는, 사용자 단말(700)의 생성부(731)가 생성한 표시 정보를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동작>
도 8은, 사용자 단말(7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700)은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단계 S801). 즉,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송신부(712)가 송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메시지를 수신부(711)가 수신한다.
제어부(730)는, 송신한 메시지 또는 수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는 토크룸을 특정한다(단계 S802). 그리고, 제어부(730)는, 특정한 토크룸의 메시지 정보(400)에 송신한 메시지 또는 수신한 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추가하여 갱신한다(단계 S803).
메시지 정보(400)가 갱신되면, 생성부(731)는, 송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와 그 전에 송수신한 메시지 사이의 표시 간격을 각각의 수신 시각 및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한다(단계 S804).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정보(400)를 참조하여 송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의 수신 시각과 그 전 메시지의 수신 시각을 참조한다. 그리고, 두 수신 시각의 차분을 취한다. 그리고, 그 차분에 대해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곱하여 표시 간격을 산출한다.
생성부(731)는, 산출한 표시 간격을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한다(단계 S805). 산출한 표시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는(단계 S805의 YES), 소정 수의 메시지가 한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생성부(731)는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변경한다(단계 S806). 구체적으로는, 생성부(731)는 소정의 표시 간격 계수를 작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단계 S8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산출한 표시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크지 않은, 즉 소정의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는(단계 S805의 NO), 생성부(731)는 결정한 표시 간격에 기초하여 각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700)는, 생성부(731)가 생성한 표시 정보를 표시부(250)에 전달한다. 그리고, 표시부(250)는 전달받은 표시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808).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 단말(700)은 서버(100)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령하지 않고 스스로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간의 표시 간격을 각각의 수신 시각 또는 송신 시각의 차분에 따른 거리로 표시할 수 있다.
<참고예>
상기 실시형태에 본 발명에 관한 발명의 일 실시태양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사상으로서 포함되는 각종 참고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표시 정보는 각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성부는, 메시지를 한 덩어리로 하여 스레드화하고, 메시지 외에 그 스레드를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9는, 스레드화한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시지 외에 그 토크룸에서 이루어진 메시지의 교환에 대해 소정의 기간 단위로 메시지군을 스레드화한 버튼(901~903)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각 버튼은, 각각 단위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이러한 단위 기간은 하루 단위로 단락지은 예를 나타내고 있고, 버튼(901)은 5일 전, 버튼(902)은 4일 전, 버튼(903)은 2일 전에 교환된 메시지군을 모은 스레드에 대응한다. 이들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그 날의 스레드가 화면 하부에 전개되어 표시된다. 도 9의 예에서는, 오늘의 버튼을 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기간 단위로 메시지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 도 9의 예에서는, 3일 전에는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응하는 버튼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버튼도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버튼으로 나타나는 기간과 다른 버튼으로 나타나는 기간 사이의 시간 간격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기간 단위로 스레드화한 경우에, 화면 하부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도 10과 같이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0의 좌측부에는, 스레드에 대응하는 버튼만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버튼 중 어느 하나에 터치함으로써, 도 10의 우측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한 기간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전개된다. 이 때, 각 메시지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시지의 표시 간격을 각각의 수신 시각의 차분에 따른 것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화면 우측부의 표시로 하고 있는 상태로 화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여 스와이프 조작을 함으로써, 화면 좌측부의 표시로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 1에 나타내는 서버(100)의 제어부(130) 혹은 상기 실시형태 2에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700)의 제어부(730)는, 이러한 표시(기간 단위를 나타내는 기간 표시 정보인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개하는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개 후의 표시 정보는 버튼이 선택된 후에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되고, 그 경우, 서버(100)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튼의 선택 정보를 접수하여 메시지를 전개 후의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그 선택이 된 사용자 단말에 생성한 메시지 전개 후의 표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단위 기간은 하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기간이어도 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주일간 단위이어도 된다. 또한, 혹은 월 단위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간 단위의 버튼이 혼재하는 구성을 취해도 된다. 생성부는, 예를 들어 현재에 가까운 것에 대해서는 하루 단위로 스레드화하고, 어느 정도 날짜가 경과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 단위로 스레드화하고, 주 단위의 버튼과 하루 단위의 버튼이 혼재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메시지의 표시 태양은 일례이며, 그 밖의 표시 형태를 취해도 된다. 그 일례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각 메시지를 입체적으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때에 각 메시지의 표시 간격을 각각의 수신 시각의 차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때에, 생성부는 메시지를 의사적(疑似的)으로 입체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입체시를 실현하기 위해 표시 정보에 기초한 시차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부(250)는 우안용 시차 화상과 좌안용 시차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3) 상기에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았지만, 상기 실시형태나 참고예에 나타낸 표시 형태는 사용자의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그 일례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의 좌측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메뉴 화면으로부터 메시지의 표시 형태에 대해 설정할 수 있어도 된다. 이러한 설정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시작할 때마다 행해도 되고, 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 설정을 변경할 때까지의 지속적인 설정이어도 된다.
이러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시간 간격 뷰」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은 도 13의 좌측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 1에 기재한 표시를 행한다. 사용자가 「스레드 뷰」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은 도 13의 우측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참고예(1)에 기재한 표시를 행한다. 사용자가 「입체 뷰」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참고예(2)에 기재한 표시를 행한다. 또, 도 13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 뷰」는 메시지 사이의 간격을 채워 표시하는 종래와 같은 표시 형태이다.
(4)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메시지 정보(400)를 토크룸마다 보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수법을 이용해도 각 메시지와 토크룸의 대응은 가능하다. 즉, 메시지 정보(400)는 하나만 보유하는 것으로 하고, 그 메시지 정보(400)에서는 토크룸을 특정하는 토크룸 식별 정보를 각 메시지에 대응시킴으로써도 실현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산출한 표시 간격을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는 처리를 하고 있지만, 이 처리는 생략해도 된다.
또한, 이 처리 대신에, 실제로 산출한 표시 간격으로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그 표시 정보에서 소정 수의 메시지가 한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여, 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표시 간격 계수를 작게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6)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700)의 각 기능부는,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메모리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각 기능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호칭되기도 한다. 도 14의 (a)에는 서버(100)의 각 기능부를 회로로 나타낸 예를, 도 14의 (b)에는 사용자 단말(700)의 각 기능부를 회로로 나타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서 「회로」는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처리, 즉 소프트웨어에 의한 기능적 처리로서의 의미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이 회로는 재구축 가능한 회로(예를 들어,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way)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700)의 각 기능부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 700)은,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표시 정보 생성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상기 검색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컴퓨터(또는 CPU)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또는 저장 장치(이들을 「기록 매체」라고 부름), 상기 검색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또는 CPU)가 상기 검색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 매체」, 예를 들어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한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프로그램은, 이 검색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검색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또, 상기 검색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상표) 등의 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HTML5 등의 마크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실장할 수 있다.
(7)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도면이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이들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혹은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상기 실시형태 및 각종 변형예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보충>
여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과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a)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메시지 표시 방법은, 단말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단말과는 다른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단말 사이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고, 각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시 정보를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은, 다른 단말과 통신을 실행하고,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단말로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가 수신한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관한 표시 프로그램은, 단말의 컴퓨터에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프로그램으로서, 단말의 컴퓨터에,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과, 메시지와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기능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 기능을 실현시킨다.
이에 의해, 메시지와 메시지를 각각의 수신 시각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메시지 각각을 수신한 시간 간격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b) 상기 (a)에 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저장 단계는, 송신한 메시지와 그 메시지를 송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더 저장하며, 제1 메시지는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또는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이고, 제2 메시지는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또는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수신 메시지 사이, 송신 메시지 사이, 수신 메시지와 송신 메시지 사이 중 어떤 경우에서도, 그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 또는 송신한 시각의 차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눈에 메시지와 메시지의 사이에 빈 시간 간격을 인식할 수 있다.
(c) 상기 (a) 또는 (b)에 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제1 시각과 제2 시각의 차분이 작으면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하여 표시하고, 제1 시각과 제2 시각의 차분이 크면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사이의 간격을 길게 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메시지와 메시지를 각각에 대응된 시각의 차분이 작으면 표시 간격을 짧게, 차분이 크면 표시 간격을 길게 하여 각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메시지 각각을 수신 또는 송신한 시간 간격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d) 상기 (a)~(c)에 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소정 기간 내에 송수신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기간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제1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1 기간 표시 정보와, 제1 소정 기간과는 다른 제2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2 기간 표시 정보를, 제1 소정 기간과 제2 소정 기간 사이의 시간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다수의 메시지를 교환하다가 과거 메시지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소정 기간마다 정리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과거 메시지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e) 상기 (d)에 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기간 표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기간 표시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 기간 표시 정보에서 나타나는 소정 기간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전개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한 덩어리로 한 기간에서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도 전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f) 상기 (a)~(e)에 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메시지 각각을 시간 간격으로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흥미를 끄는 태양으로 각 메시지를 각각의 수신 시각 또는 송신 시각에 따른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100 서버(정보 처리 장치)
110 통신부
111 수신부
112 송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31 생성부
200, 200a, 200b, 700 사용자 단말
210, 710 통신부
211, 711 수신부
212 송신부
220, 720 저장부
230, 730 제어부
240 입력 접수부
250 표시부
731 생성부
500 네트워크

Claims (9)

  1. 단말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는 다른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상기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단말이 소정 기간 내에 송수신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기간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제1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1 기간 표시 정보와, 상기 제1 소정 기간과는 다른 제2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2 기간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소정 기간과 상기 제2 소정 기간 사이의 차분 시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간격은 상기 차분 또는 상기 차분 시간에 표시 간격 계수를 곱하여 결정되며,
    상기 표시 간격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표시 간격 계수를 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표시 간격을 다시 결정하는, 표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은,
    상기 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송신한 메시지와 그 메시지를 송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상기 저장부에 더 저장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또는 상기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또는 상기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시각과 상기 제2 시각의 차분이 작으면 상기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 사이의 표시 간격을 짧게 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시각과 상기 제2 시각의 차분이 크면 상기 제1 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 사이의 표시 간격을 길게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기간 표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간 표시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기간 표시 정보에서 나타나는 소정 기간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전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메시지 각각을 시간의 차분과 대응되는 표시 간격으로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7. 복수의 단말 사이에 의한 통신을 중계하고, 각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시각과 제2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표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간격은 상기 차분에 표시 간격 계수를 곱하여 결정되며,
    상기 표시 간격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생성부는 상기 표시 간격 계수를 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표시 간격을 다시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다른 단말과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단말로서,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와는 다른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된 제1 시각과 상기 제2 메시지에 대응된 제2 시각의 차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소정 기간 내에 송수신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기간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제1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1 기간 표시 정보와, 상기 제1 소정 기간과는 다른 제2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제2 기간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소정 기간과 상기 제2 소정 기간 사이의 차분 시간에 따른 표시 간격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간격은 상기 차분에 표시 간격 계수를 곱하여 결정되며,
    상기 표시 간격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간격 계수를 보다 작은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표시 간격을 다시 결정하는, 정보 처리 단말.
  9.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7006815A 2015-10-30 2016-07-25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표시 프로그램 KR102050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4823 2015-10-30
JP2015214823A JP6064019B1 (ja) 2015-10-30 2015-10-30 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表示プログラム
PCT/JP2016/071723 WO2017073123A1 (ja) 2015-10-30 2016-07-25 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表示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141A KR20180039141A (ko) 2018-04-17
KR102050900B1 true KR102050900B1 (ko) 2019-12-02

Family

ID=5780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815A KR102050900B1 (ko) 2015-10-30 2016-07-25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표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1411B2 (ko)
JP (1) JP6064019B1 (ko)
KR (1) KR102050900B1 (ko)
CN (1) CN108351844B (ko)
WO (1) WO2017073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193B2 (ja) * 2018-03-20 2022-09-08 学校法人 中央大学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6919079B1 (ja) * 2018-06-28 2021-08-11 キム、ビョン ジンKIM, Byung Jin 表示装置
CN111373703B (zh) 2018-07-18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的显示方法及终端
US20220070234A1 (en) * 2020-08-31 2022-03-03 Avay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solidating correlated messages in group convers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6172A1 (en) * 2006-02-06 2007-08-09 Sego Michael D Time line display of chat conversations
US20100125791A1 (en) * 2008-11-14 2010-05-20 Rebelvox, Llc User interface for a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406A (ja) * 1997-10-30 1999-05-21 Fujitsu Ltd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5175715A (ja) * 2003-12-09 2005-06-30 Canon Inc テレビ受信装置、ネットワーク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US7353466B2 (en) * 2004-05-28 2008-04-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notification objects on dynamically scaled timeline
US20100128031A1 (en) 2006-09-07 2010-05-27 Osaka Electro-Communication University Chat terminal device and chat system
JP5095163B2 (ja) * 2006-09-08 2012-12-12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手持ち道具
JP5013548B2 (ja) * 2009-07-16 2012-08-29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情報端末、情報端末の情報提示方法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US20110078566A1 (en) * 2009-09-30 2011-03-31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Systems, methods, tools, and user interface for previewing simulated print output
US20110137727A1 (en) * 2009-12-07 2011-06-09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media objects in a 3d media environment
CN102447778B (zh) 2010-10-13 2013-10-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展示消息的方法及消息展示装置
JP2012175221A (ja) * 2011-02-18 2012-09-10 Yamaha Corp 通信システム、動画再生装置、およびコメント入出力端末
US8332477B1 (en) * 2011-08-25 2012-12-11 Google Inc. Presenting related communications
KR101789626B1 (ko) * 2011-10-10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0074B1 (ko) 2012-11-12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메시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002134B (zh) * 2012-11-20 2015-10-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照时间特征处理手机即时消息的方法和装置
KR102036633B1 (ko) * 2013-02-20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신저 제어장치 및 방법
CN104090714B (zh) * 2014-07-17 2018-05-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查看聊天记录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6172A1 (en) * 2006-02-06 2007-08-09 Sego Michael D Time line display of chat conversations
US20100125791A1 (en) * 2008-11-14 2010-05-20 Rebelvox, Llc User interface for a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84280A (ja) 2017-05-18
KR20180039141A (ko) 2018-04-17
JP6064019B1 (ja) 2017-01-18
CN108351844A (zh) 2018-07-31
US10771411B2 (en) 2020-09-08
CN108351844B (zh) 2021-06-11
US20170126596A1 (en) 2017-05-04
WO2017073123A1 (ja)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900B1 (ko)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단말, 표시 프로그램
US9600152B2 (en) Providing feedback for screen sharing
JP7412490B2 (ja) メッセージと対応するタスクを生成、処理、管理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CN107908447B (zh) 应用切换方法、设备及虚拟现实设备
KR102121035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N104866262A (zh) 可穿戴设备
JP6689184B2 (ja) 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表示プログラム
CN112035202A (zh) 好友活跃信息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868446A (zh) 一种页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885591B (zh) 终端装置的控制方法、终端装置以及存储介质
KR102114201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메시지처리 방법
WO2024021353A1 (zh) 直播间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166943A1 (zh) 消息发送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0445706B (zh) 消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92461A1 (en) Multiple calendar display
CN114793285A (zh) 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515299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086015A (ja) 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4109786A1 (zh) 即时通信会话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12397B1 (ko)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 디바이스의 상이한 동작 상태들의 제어
US20210192462A1 (en) Multiple calendar display
JP69067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827736A (zh) 一种视频回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7049776A (ja)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5629682A (zh) 设置页面的显示方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