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806B1 - 케이블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806B1
KR102050806B1 KR1020170144639A KR20170144639A KR102050806B1 KR 102050806 B1 KR102050806 B1 KR 102050806B1 KR 1020170144639 A KR1020170144639 A KR 1020170144639A KR 20170144639 A KR20170144639 A KR 20170144639A KR 102050806 B1 KR102050806 B1 KR 10205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utting
piston rod
insulat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24A (ko
Inventor
이민호
노애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8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케이블 작업장치가 개시된다.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바디부에 장착 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면서 케이블의 심부를 감싸는 절연체의 제거 작업, 상기 심부와 상기 절연체의 절단 작업 및 상기 케이블의 압착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작업장치{Cable work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공사 혹은 전기공사 과정에서 각종 케이블(통신 또는 전력용)은 포설 작업이 완료된 이후 단계에서 케이블의 단부 절연체(피복)를 제거한 다음에 각종 기기(예컨대, 컨트롤 박스 등)에 접속시킨다. 이 외에도 케이블과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에서도 케이블 절연체의 제거가 요구된다.
케이블의 절연체를 제거하고 결선하는 작업은 상당한 작업 시간을 소요한다. 또한, 케이블 심부를 보호하는 절연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절연체가 질기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끝이 뾰족한 커터날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작업자의 손 베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진동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 문제는 양호하지만, 진동의 회전 중심에서 각 톱날까지의 거리에 따라 진동 폭이 상이하여 절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의 마무리 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절연체의 제거 작업 뿐 아니라, 케이블의 심부와 절연체를 함께 잘라내는 작업이나 하나의 케이블의 단부와 다른 하나의 케이블의 단부를 접하게 한 후 압착시켜 두 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압착 작업도 있다. 이러한 모든 작업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케이블의 절연체를 제거하는 장치뿐 아니라 케이블을 커팅하는 장치나 케이블을 압착하는 장치가 모두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들은 무게가 무겁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넓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고, 사용상에 여러 가지 간섭을 일으켜 오히려 작업이 불편하거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바디에 착탈 가능한 작업 모듈로 이루어져, 케이블의 마무리 작업 종류에 따라 작업 모듈을 교체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바디부에 장착 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면서 케이블의 심부를 감싸는 절연체의 제거 작업, 상기 심부와 상기 절연체의 절단 작업 및 상기 케이블의 압착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블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작업 모듈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절연체를 제거하는 케이블 탈피유닛;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심부와 절연체를 절단하는 케이블 절단유닛; 및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는 케이블 압착유닛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탈피유닛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부가 빈 제1 수용부를 가지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제1 커팅 바디와 제2 커팅 바디를 포함하는 절연체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는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제1 마운트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커팅 바디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 절단유닛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되, 내부에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가 구비된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고정 결합된 제1 커터; 및 일측은 상기 제1 커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과 연결되는 제2 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터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기 왕복 직선운동이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제1 커터를 향해 회전된다.
상기 케이블 압착유닛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부가 빈 제2 수용부를 가지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제1 압착 바디와 제2 압착 바디를 포함하는 케이블 압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착 바디는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제2 마운트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압착 바디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작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바디부와, 바디부에 착탈 가능한 제어모듈로 구성되어 케이블 작업장치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바디부와, 바디부에 착탈 가능한 작업모듈로 이루어져 있어 절연체 제거, 케이블 절단 또는 케이블 압착 중 케이블의 마무리 작업에 필요한 작업모듈을 교체하며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케이블 작업장치 중 케이블 탈피유닛이 장착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절연체 제거부를 용한 케이블 절연체 제거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직선 커터의 사시도.
도 6은 한 쌍의 직선 커터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원형 커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절연체 제거부가 헤드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절연체 제거부가 장착된 헤드부에 장착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및 조립도.
도 11은 케이블 스토퍼 및 장착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케이블 압착유닛의 구성 및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15는 케이블 절단유닛의 구성 및 구조가 도시된 단면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작업장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디부(20)와, 상기 바디부(20)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바디부(20)에 장착되면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직선운동을 하면서 케이블(91)의 심부(92)를 감싸는 절연체(93)의 제거작업, 상기 심부(92) 및 상기 절연체(93)의 절단작업 및 상기 케이블(91)의 압착작업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모듈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20)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절연체(93)를 제거하는 케이블 탈피유닛(1), 일측이 상기 바디부(20)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심부(92) 및 상기 절연체(93)를 절단하는 케이블 절단유닛(3) 및 일측이 상기 바디부(20)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91)을 압착하는 케이블 압착유닛(2) 중 적어도 두 개의 유닛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유닛(1)을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 탈피유닛(1)은 크게 제1 헤드부(10) 및 절연체 제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헤드부(10)는 상기 제1 수용부(12)를 갖고 있어, 상기 제1 수용부(12)에는 상기 절연체 제거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체 제거부(30)는 상기 바디부(20)에서 공급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수용부(12) 내에서 제한적으로 왕복 직선운동(도면에서는 상하방향)을 하면서 압착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단부의 상기 절연체(93)를 분할 제거한다.
상기 바디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바디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절연체 제거부(30)를 동작시키는 상기 구동력을 공급하는 힘 제공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힘 제공부(미도시)는 예시적으로 실린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전원 방식 또는 유압을 이용한 유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 방식의 경우에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배터리 방식 또는 안정적 전원 공급을 위한 유선 전원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유압 방식의 경우에는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 라인이 별도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힘 제공부(미도시)에 의해 승강하는 제1 피스톤 로드(52) 및 상기 제1 피스톤 로드(52)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마운트(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디부(2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헤드부(1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헤드부(10)에는 상기 절연체 제거부(30)가 장착되는 상기 제1 수용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수용부(12)는 상기 절연체 제거부(30)가 릴리즈 상태에서 상기 절연체(93)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케이블(91)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게, 상기 바디부(2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된 내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절연체 제거부(30)는 크게 제1 커팅 바디(110a)와 제2 커팅 바디(11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는 상기 제1 수용부(12)의 하부에서 왕복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는 상기 제1 수용부(!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와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는 날 부분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는 상기 바디부(20)로부터 상기 구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1 수용부(12)의 하부에서 상하로 왕복 직선운동되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5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52)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제1 마운트(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운트(50)는 그 상면에 오목한 마운팅 홈(미표기)이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 홈(미표기)은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외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피스톤 로드(52)가 왕복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제1 마운트(50)에 장착된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가 최고로 상승한 경우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와 맞물려 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케이블(91)의 단부 절연체(93)를 4분할로 절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피스톤 로드(52)가 하강하여 상기 제1 마운트(50)에 장착된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가 최저로 하강한 경우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와 충분히 이격되어 상기 절연체(93) 제거를 위한 상기 케이블(91) 단부가 진입하거나 상기 절연체(93)가 제거된 상기 케이블(91)의 심부(92) 및 절단부가 진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절연체 제거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절연체 제거부(30)는 상호 대향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와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와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는 그 사이에 상기 케이블(91)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상하 방향에서 압력을 가해 상기 케이블 절연체(93)를 상기 케이블(91)의 길이 방향으로 4분할하고 상기 케이블(9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심부(92)와 분리시켜 그 절단부(94)가 상기 케이블(91)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와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후방, -Y축 방향을 전방, +X축 방향을 좌우 방향,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는 제1 직선 커터(120a)와 제1 원형 커터(13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는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와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91)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상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상기 절연체(93)와 상기 심부(92)가 맞닿는 경계지점을 상기 케이블(91)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시킨다.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는 제거하고자 하는 상기 절연체(9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후술할 날 스토퍼(40)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압착 과정에서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와 만나는 제1 직선 커터(120a)의 내측면(경계면)에는 한 쌍의 직선 날(121a, 122a)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3개의 홈(123a, 124a, 125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 역시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내측면(경계면)에는 한 쌍의 직선 날에 의해 구분되는 3개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에 의해 형성된 3개의 홈(123a, 124a, 125a)과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에 형성된 3개의 홈은 압착 과정에서 서로 만나 좌우 절연체가 절개된 상기 심부(92), 절개된 좌측 절연체, 절개된 우측 절연체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한 쌍의 상기 직선 날(121a, 122a)은 내측면에 수직면을 이루고 있고, 외측면이 소정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상기 직선 날(121a, 122a)의 끝날은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와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가 만나는 경계면 상에 놓여져 있어 압착 과정에서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에 구비된 한 쌍의 직선날의 끝날과 만나게 된다.
한 쌍의 상기 직선 날(121a, 122a)의 이격거리는 상기 도체(9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한 쌍의 상기 직선 날(121a, 122a)은 상하 방향으로 압착됨에 따라, 상기 절연체(93)와 상기 도체(92)가 만나는 좌우측의 경계지점을 상하 방향으로 절개시킨다.
상기 직선 날(121a, 122a) 사이에 놓여지는 심부 적재홈(123a)에는 상기 직선 날(121a, 122a)에 의해 좌우 절연체 일부가 제거된 상기 심부(92)가 일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심부 적재홈(123a)은 상기 직선 날(121a, 122a)의 내측면이 옆면을 구성하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기본적으로 사각 기둥이되, 모서리 부분이 면치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직선 날(121a, 122a)의 외측 각각에는 절단 절재홈(124a, 125a)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 적재홈(124a, 125a)에는 상기 케이블(91) 중에서 좌우 절개된 상기 절연체 절단부가 일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절단 적재홈(124a, 125a)은 상기 직선 날(121a, 122a)의 외측면이 옆면을 구성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단 적재홈(124a, 125a)의 크기는 좌우 절개된 절연체 절단부의 1/2 이상이 수용되기에 충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기 절단 적재홈(125a, 125a)의 크기가 작을 경우 절단 후 좌우 절개된 절연체 절단부가 적재홈 내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공간 부족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완전 압착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절단 품질이 저하되고 상기 제1 헤드부(1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의 외면 중앙에는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를 상기 제1 헤드부(10)의 상기 제1 수용부(12), 특히 제1 마운트(50) 상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착홈(12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와 상기 제2 직선커터(120b)가 압착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사각 기둥와 같은 다각 기둥 형상을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은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의 후단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와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는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블(91)의 단부 측을 전방으로 가정하여,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를 중심으로 볼 때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의 전면이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의 후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와 상기 제2 원형 커터(130b)는 그 사이에 상기 케이블(91)의 단부 중에서 상기 절연체 제거의 시작점에 놓여진 후 상하 방향에서 압력을 가해 상기 심부(92)를 둘러싼 상기 절연체(93)를 상기 케이블(91) 중심축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절단시킨다.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에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오목홈을 따라 반원 날(131a)이 구비된다. 상기 반원 날(131a)의 직경은 상기 심부(9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압착 과정에서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와 상기 제2 원형 커터(130b)가 서로 맞물리면 2개의 상기 반원 날(131a, 131b)은 하나의 원형 날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심부(92)에 상응하는 원형홀(132)이 형성되어, 상기 절연체(92)만을 절단하고 상기 심부(92)에 대해서는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원 날(131a)은 그 후면이 수직면(135a)으로 구성되고, 전면이 소정 경사각을 가지는 원뿔 경사면(136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뿔 경사면(136a)의 소정 경사각을 가지고 있고,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절연체(93)를 절단할 때 진입이 용이하게 된다.
이 경우 압착 과정에서 2개의 상기 반원 날(131a, 131b)이 서로 만나는 부분, 즉 상기 반원 날(131a, 131b)의 양 끝단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절연체(93)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반원 날(131a, 131b)에 대해 높은 절단부하를 가하게 되는 바, 끝날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원 날(131a)의 전면 양측 끝단에는 후면과는 소정의 경사각, 예시적으로 25°의 경사각을 갖는 절단 경사면(13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 경사면(137a)은 원뿔 경사면(136a)과도 소정 경사를 갖는다.
상기 절단 경사면(137a)의 존재로 인해 상하 방향으로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연체(93)의 절단 작업 시 상기 반원 날(131a)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어 적은 압착력으로도 높은 절단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와 상기 제2 원형 커터(130b)가 만난 경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절단 경사면(137a, 137b) 사이의 각도는 예시적으로 13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절연체(93)의 재질, 두께의 특성에 따른 상기 절연체의 절단 작업 시에 최고의 진입 각도로서 최소의 압착력으로 최고의 절단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는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의 후단에 형성된 제1 끼움홈(127a)에 끼움 설치되고, 상기 제2 원형 커터(130b)는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의 후단에 형성된 제2 끼움홈(127a)에 끼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원형 커터(130a)와 상기 제1 직선 커터(120a), 상기 제2 원형 커터(130b)와 상기 제2 직선 커터(120b) 사이에는 갭(gap)이 존재하게 된다. 이 갭을 통해 절단면이 고르지 못한 이바리(burr)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직선 커터의 내부에서 상기 절연체(93)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절연체(93)의 일부가 미절단된 상태로 제거됨으로써, 절연체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깔끔한 절단면이 확보되어 절단면 품질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절단부하에 따른 날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날의 끝날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는데, 절단 경사면(137a, 137b)을 통해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어 상기 반원 날(131a, 131b)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 경사면(137a, 137b) 사이의 각도를 통해 절단되어 밀려나는 상기 절연체(93)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날의 내구성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 제거부(30)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와 상기 제2 커팅 바디(110b)가 상기 제1 헤드부(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의 왕복 직선 운동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놓여진 상기 케이블(91)의 단부에서 상기 심부(92)를 둘러싼 상기 절연체(93)를 4개의 절개부로 분할하여 제거한다.
이 경우 직선 커터와 원형 커터의 동시 압착 및 절단으로 인해 절연체의 제거 품질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커터가 착탈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반원 날이 파손된 경우 교체를 통해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수용부(1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52) 및 상기 제1 마운트(5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12)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수직 승강을 위한 가이드 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6)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가 장착되는 상기 마운트(6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가 상승 혹은 하강 할 때 비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압착 과정에서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밀림에 의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홈(16)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를 통해 직진성을 확보함으로써 이러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수용부(12)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압착 이후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복귀(하강) 시에 손 협착 방지를 위한 안전 커버(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안전 커버(70)는 벨로우(72)와 벨로우 커버(74)를 포함한다. 상기 벨로우(72)는 다수 회 접철된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상기 벨로우(72)는 2단 혹은 3단 이상의 접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벨로우(72)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의 표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헤드부(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상기 벨로우 커버(74)에 고정된다.
압착을 위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가 상승할 경우 상기 벨로우(72)의 상단도 함께 상승하면서 펼쳐져 상기 제1 수용부(12)의 하부 공간이 개방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이 상기 제1 수용부(12)의 하부 공간에 진입해 있다가 압착 이후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하강 시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가 하강할 경우에는 상기 벨로우(72)의 상단도 함께 하강하면서 접히게 되어 상기 벨로우 커버(74)의 외부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제1 헤드부(10)의 측면에는 상태확인홈(14a, 1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부(10) 측면 중 전방에 형성되는 제1 상태확인홈(14a)을 통해 직선 커터에 의한 케이블 절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부(10)의 측면 중 후방에 형성되는 제2 상태확인홈(14b)을 통해 원형 커터에 의한 케이블 절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부(10)의 측면에는 절단방향을 안내하는 표지(미도시)가 부착 혹은 인쇄될 수 있다. 표지를 통해 절단방향을 안내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91) 단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전후를 혼동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0)에는 고정핀(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80)은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를 상기 제1 마운트(50)에 고정하기 위한 핀으로, 볼 가이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날 스토퍼(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날 스토퍼(40)는 삽입 몸체(42)와 걸림 몸체(4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 몸체(42)는 상기 십부(92)에 상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길이(L1)보다 작은 소정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42)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 몸체(44)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 몸체(42)와 걸림 몸체(44)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몸체(44)는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전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삽입 몸체(42)가 일정 깊이 이상 상기 제1 커팅 바디(110a)의 심부 적재홈(123a)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날 스토퍼(40)에 의해 상기 절연체(93)를 제거하고자 하는 상기 케이브(91)의 단부는 제거 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날 스토퍼(40)로 인해 작업자는 제거 길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날 스토퍼(40)의 경우 상기 삽입 몸체(42)의 길이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91) 단부의 제거 길이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케이블 압착유닛(2)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압착유닛(2)은 제2 헤드부(210) 및 케이블 압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헤드부(210)는 상기 제1 헤드부(1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제2 수용부(210a)를 가진다. 상기 제2 헤드부(210)의 단부(210b)가 상기 바디부(2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2 헤드부(210)는 제1 헤드바디(211) 및 제2 헤드바디(213)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헤드바디(211)가 상기 바디부(2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압착유닛(2)은 상기 바디부(20)에 착탈 가능하므로 상기 제1 헤드바디(211)도 상기 바디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바디(211) 상기 바디부(20)에 삽입되면, 상기 바디부(20) 내부에 구비된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 헤드바디(211)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미도시)은 특정한 구성이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 헤드바디(211)는 작업자가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수단(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된 분리버튼(미도시)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헤드바디(213)의 일측은 상기 제1 헤드바디(211)의 일측에 힌지축(215)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상기 제2 헤드바디(213)가 상기 제1 헤드바디(211)에 대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1 헤드바디(211)의 타측과 상기 제2 헤드바디(213)의 타측이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압착부(230)는 상기 제2 수용부(210a) 내에 장착된다. 상기 케이블 압착부(230)는 제1 압착 바디(231)와 제2 압착 바디(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착 바디(231)와 상기 제2 압착 바디(233)는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압착 바디(231)는 상기 제1 헤드바디(211)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압착바디(23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제2 피스톤 로드(23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헤드바디(211)에는 고정홀(21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31a)가 상기 고정홀(211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헤드바디(213)의 내주면에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압착바디(233) 외주면에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미도시)가 상기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되며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바디부(20) 내부의 힘 제공부(미도시)에서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면,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31a)로 전달되고,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31a)와 상기 제1 압착바디(231)가 상기 제2 압착바디(233)를 향해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 압착 바디(231)와 상기 제2 압착 바디(233) 사이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91)이 상기 제1 압착 바디(231)와 상기 제2 압착 바디(233)에 의해 압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31a)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231b)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31b)는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31a)가 상승할 때 변형되었다가 상기 힘 제공부(미도시)에 의한 구동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면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231a) 및 상기 제2 압착바디(231)를 하강시킨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절단유닛(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절단유닛(3)은 연결바디(310), 제1 커터(330) 및 제2 커터(35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디(310)는 일측(311)이 상기 바디부(2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연결바디(310)의 일측(311)이 상기 바디부(20)에 삽입되어 장착되면, 상기 바디부(2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상기 케이블 압착유닛(2)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바디(310)도 상기 바디부(20)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연결바디(310)에는 상기 바디부(20)에서 제공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상하방향)을 하는 제3 피스톤 로드(313)가 상기 연결바디(310)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다만, 상기 연결바디(310)의 타측으로는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가 일부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는 스프링(315)에 감싸져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0) 내부의 힘 제공부(미도시)에서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가 왕복 이동할 때 변형되고, 상기 구동력이 제거되면 복원된다.
상기 제1 커터(330)는 상기 연결바디(3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커터(350)는 상기 제1 커터(330)에 힌지(h1)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의 돌출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h2) 결합된다.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가 이동하면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에 의해 상기 제2 커터(350)가 상기 제1 커터(330)를 향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의 왕복 직선운동이 상기 제2 커터(350)로 전달되면서 상기 제3 커터(35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제2 커터(350)가 상기 제1 커터(33)를 향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커터(330)와 상기 제2 커터(35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91)을 절단한다.
한편, 상기 제3 피스톤 로드(313)가 상기 제2 커터(350)를 회전시키도록 이동할 때 상기 제3 피스톤로드(313)를 감싸는 상기 스프링(315)이 변형되는데, 상기 구동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315)이 복원된다. 그러면서 상기 제2 커터(350)를 상기 제1 커터(330)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켜 상기 제2 커터(35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케이블 탈피유닛
10: 제1 헤드부
20: 바디부
30: 절연체 제거부
40: 날 스토퍼
50: 마운트
60: 가이드 플레이트
70: 안전 커버
80: 고정핀
110a: 제1 커팅 바디
120a: 제1 직선 커터
130a: 제1 원형 커터
121a, 122a: 직선날
123a: 심부 적재홈
124a, 125a: 절단 적재홈
126a: 장착홈
127a: 끼움홈
131a: 반원날
2: 케이블 절단유닛
210: 제2 헤드부
211: 제1 헤드바디
213: 제2 헤드바디
230: 케이블 압착부
231: 제1 압착바디
213a: 제2 피스톤 로드
231b: 탄성부재
233: 제2 압착바디
3: 케이블 절단유닛
310: 연결바디
313: 제3 피스톤 로드
315: 스프링
330: 제1 커터
350: 제2 커터

Claims (8)

  1.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바디부에 장착 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면서 케이블의 심부를 감싸는 절연체의 제거 작업, 상기 심부와 상기 절연체의 절단 작업 및 상기 케이블의 압착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모듈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절연체를 제거하는 케이블 탈피유닛;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심부와 절연체를 절단하는 케이블 절단유닛; 및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는 케이블 압착유닛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압착유닛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부가 빈 제2 수용부를 가지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제1 압착 바디와 제2 압착 바디를 포함하는 케이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착 바디는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가 상기 제2 헤드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헤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압착 바디는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헤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변형되거나 복원되며,
    상기 제1 압착 바디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승 및 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압착 바디를 향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상기 제2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1헤드바디 및 상기 제1헤드바디의 일측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헤드바디에 대해 회전되는 제2헤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헤드바디는,
    상기 제1헤드바디의 타측과 상기 제2헤드바디의 타측이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작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탈피유닛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부가 빈 제1 수용부를 가지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수용부 내에 장착되어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제1 커팅 바디와 제2 커팅 바디를 포함하는 절연체 제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작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 바디는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제1 마운트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커팅 바디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케이블 작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절단유닛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되, 내부에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며 구비된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고정 결합된 제1 커터;
    일측은 상기 제1 커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2 커터; 및
    상기 피스톤 로드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왕복 운동에 연동되어 변형되거나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터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기 왕복 직선운동이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제1 커터를 향해 회전되는 케이블 작업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44639A 2017-11-01 2017-11-01 케이블 작업장치 KR102050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39A KR102050806B1 (ko) 2017-11-01 2017-11-01 케이블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39A KR102050806B1 (ko) 2017-11-01 2017-11-01 케이블 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24A KR20190049124A (ko) 2019-05-09
KR102050806B1 true KR102050806B1 (ko) 2020-01-08

Family

ID=6654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39A KR102050806B1 (ko) 2017-11-01 2017-11-01 케이블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318B1 (ko) * 2020-05-20 2020-07-16 김인호 케이블 연결용 슬리브 압착장치
KR102385425B1 (ko) * 2020-07-02 2022-05-06 가나상공(주) 간접활선 커터용 전선그립
CN112018667A (zh) * 2020-08-21 2020-12-01 亿嘉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剥线机构
KR102626508B1 (ko) * 2021-12-24 2024-01-19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커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373A (ja) * 2002-11-25 2004-06-24 Toshin Denki Kk 充電式回転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664Y2 (ja) * 1991-12-18 1997-07-09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電線皮はぎ器の電線心出し機構
JP3061538B2 (ja) * 1994-10-19 2000-07-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 ファシリティーズ ケーブル外皮切除装置
SE505162C2 (sv) * 1995-03-22 1997-07-07 Pressmaster Tool Ab Verktygshuvu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373A (ja) * 2002-11-25 2004-06-24 Toshin Denki Kk 充電式回転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24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806B1 (ko) 케이블 작업장치
EP1620233B1 (de) Elektrische handwerkzeugmaschine mit akkupack
KR101693146B1 (ko) 활선작업용 피박전선 고정개폐구를 갖는 케이싱에 착탈식 커터부 내장형 전선외피 커팅홀더를 장착한 기어회전관의 회전에 의한 반자동 특고압 절연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CN107147050B (zh) 一种剥线工具
EP2841237B1 (de) Handführbare werkzeugmaschine mit gehäuse
KR102070795B1 (ko) 케이블 절연체 제거 장치
EP3389951A1 (de) "akkubetriebene handwerkzeugmaschine i"
WO2017102673A1 (de) Akkubetriebene handwerkzeugmaschine ii
EP1787760A1 (de) Handwerkzeuggerät mit geschäumter Verkabelung
KR101973507B1 (ko) 케이블 절연체 제거 장치
DE102015204048A1 (de) Akkupack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DE102006056854A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schwenkbar angelengtem schwingungsisoliertem Handgriff
EP2777112B1 (en) Electric wir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ic wire
EP1515410B1 (de) Messerkopf einer Trenn- und Abisoliervorrichtung für Kabelbearbeitungsmaschine
CN211508436U (zh) 电缆剥皮器
EP3321039B1 (de) Akkubetriebene elektrowerkzeugmaschine
EP3389952A1 (de) Akkubetriebene handwerkzeugmaschine iii
EP3278935B1 (de) Kontakthalte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KR102194941B1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CN208743581U (zh) 一种电缆切割装置
DE202021101400U1 (de) Elektrowerkzeug
KR20180075799A (ko) 전선 피복 탈피기
KR102372052B1 (ko) 선형화약용 피복 제거장치
EP2764943B1 (de) Seilsäge
CN218678242U (zh) 电缆剥切用盘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