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468B1 -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468B1
KR102050468B1 KR1020180071712A KR20180071712A KR102050468B1 KR 102050468 B1 KR102050468 B1 KR 102050468B1 KR 1020180071712 A KR1020180071712 A KR 1020180071712A KR 20180071712 A KR20180071712 A KR 20180071712A KR 102050468 B1 KR102050468 B1 KR 10205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piston
hollow
discharge
pow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래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조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래 filed Critical 조병래
Priority to KR102018007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고 상면에 가루 양념이 담긴 양념통을 거꾸로 수용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공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중공 타 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피스톤의 전진으로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접촉하는 압착판과, 상기 양념통의 입구와 내통되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의해 개폐되는 양념 주입구 및, 상기 양념 주입구의 대향 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양념 주입구에서 낙하된 가루 양념을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외부로 낙하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한 토출부; 상기 토출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가루 양념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Discharging Device For Powder Type Seasoning}
본 발명은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념통에 담겨진 가루양념을 따로 덜어내어 사용할 필요 없이 양념통을 토출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 상태로 보관하면서 양념을 정밀하고 간편하게 정량 토출시킬 수 있는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중 용기 안에 담긴 내용물을 정해진 용량만큼만 덜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예를 들면, 요리를 할 때 각종 양념을 계량해야 하는 경우 등, 적정 양에 맞춰 덜어 써야 하는 경우, 용기 안에 담긴 액상이나 가루의 내용물을 정량만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계량이 필요한 경우 종래기술을 보면, 대부분 눈금이 인쇄되거나 각인되어 있는 계량컵이나 용기 뚜껑에 대고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덜어서 사용하여 왔다.
특히 요리에 사용되는 계량은 일반적으로 눈대중을 많이 활용하는데, 이러한 눈대중을 통해 발생된 차이는 결론적으로 음식의 맛이 차이가 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정량 사용이 필요함에도 계량하는 일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또는 계량이 부정확한 이유로 잘 지켜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여 이에 대한 몇몇 개선방안이 소개되고 있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2013-0030600호(발명의 명칭 : 음식물 양념 자동 토출기 및 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는 요리정보 및 취식인원에 따라 정확한 양의 양념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양으로 공급 및 조리시간을 타이머 형태로 알려주고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음식 맛을 유지할 수 있고, 휴대용단말기기, 저장매체 또는 전송매체 등을 통해 레시피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게시되었다.
다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08-0113848호(발명의 명칭 : 파우더 정량 토출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 일측면에 구비된 누름 버튼을 누름으로써 용기 본체에 저장되어 있던 조미료나 기호식품, 또는 가루제품을 손쉽게 리필하며 정량 토출 시킬 수 있도록 게시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기술에서 양념을 배출하는 과정 즉, 내부의 잔여 양념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으며, 가루형태의 양념들은 압력이나 외부 습기 등 여러 외부 환경으로 부터 뭉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력을 최소한으로 주게 되어 뭉치는 현상이 감소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볍고 슬림한 외형과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 가능한 양념 토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루 양념을 토출하기 위해 피스톤과 압착판을 통해 양쪽에서 압력을 가하게 되면, 뭉치거나 들러붙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루 양념이 중공 내부에 고착되어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중공 내주면을 털어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고 상면에 가루 양념이 담긴 양념통을 거꾸로 수용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공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중공 타 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피스톤의 전진으로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접촉하는 압착판과, 상기 양념통의 입구와 내통되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의해 개폐되는 양념 주입구 및, 상기 양념 주입구의 대향 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양념 주입구에서 낙하된 가루 양념을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외부로 낙하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한 토출부; 상기 토출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가루 양념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하게 테이퍼(taper)처리된 테이퍼 압착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토출구 측 중공의 내주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압착판은, 상기 스프링 측이 넓고 상기 피스톤 측이 좁도록 관통된 기공이 적어도 하나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에 의하면,
1) 가루 양념이 담김 양념통과 양념을 토출할 수 있는 토출부로 구성되어 누구나 쉬운 조작을 통해 가루 양념을 토출할 수 있고,
2) 피스톤의 구조를 기존의 대칭 구조가 아닌 대각선으로 테이퍼(taper) 처리된 구조로 형성하여 피스톤이 전진하여 압착판에 맞닿을 경우 가루제품 등이 뭉개지거나 뭉치는 현상이 감소하게 되며,
3) 가루 양념이 중공 내부에 고착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피스톤의 구조와 별도의 테이퍼(taper)편을 두어 피스톤의 좌우 이동 시 중공의 내주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돌기에 의해 피스톤과 테이퍼 편이 부딪쳐 흔들리게 되면서 중공 내부의 잔여 가루양념을 털어주게 되어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에서 토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출부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잔량 측정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피스톤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는 가루 상태의 양념을 보관하였다가 사용자가 자유롭게 양념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내부에 중공(110)을 구비한 상태로 종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되, 상면에 가루 양념이 담긴 양념통(10)을 거꾸로 수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본적으로는 종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되, 연장된 상부이자 상면에 양념통(10)을 거꾸로 수용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양념을 토출하게 되면 위에서 아래로 양념이 떨어져 내려오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라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에서 토출부(1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토출부(100)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나아가, 양념통(10)에서 가루 양념을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공(110) 일 측에 구비되는 토출부(100)가 더 포함된다.
토출부(100)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30)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부(120)와, 중공(110)의 선단 측에 구비된 스프링(141)에 연결된 것으로 피스톤(130)의 전진 시 피스톤(130)의 선단에 접촉하는 압착판(140) 및, 양념통(10)의 입구와 내통되어 피스톤(130)의 전후진에 의해 개폐되는 양념 주입구(150)와, 양념 주입구(150)의 대향 측에 형성된 것으로 양념 주입구(150)에서 낙하된 가루 양념을 피스톤(130)의 전후진에 따라 외부로 낙하시키는 토출구(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본적으로 토출부(100)는 피스톤(130)의 구동을 통해 양념을 토출하는 구성으로서, 초기 상태에는 양념통(10)의 출입구와 연결된 양념 주입구(150)를 피스톤(130)이 막고 있어 양념이 낙하하지 않지만, 구동부(120)의 모터를 역회전하여 피스톤(130)을 후진시키게 되면 양념 주입구(150)를 통해 양념통(10)에서 양념이 중공(110)으로 토출된다. 일정한 양을 토출하면 다시 구동부(120)의 모터를 정회전하여 피스톤(130)을 전진시킴으로써 양념 주입구(150)를 가리는 동시에 토출된 양념을 토출구(160)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특히 본원의 중공(110)의 특징은 양념 주입구(150)와 중공(110)에서 양념이 배출되는 토출구(160)의 위치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양념통(10)에서 배출된 양념이 곧바로 중공(110)의 토출구(160)로 떨어지지는 않아 피스톤(130)과 같은 구성을 통해 강제로 중공(110)으로 이동된 양념을 밀어 토출구(160)로 보낼 필요가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모터의 회전을 통해 피스톤(130)을 전후진 시키는 것으로서, 피스톤(130)과 모터를 직접 연결하여 피스톤(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전후진시키거나 혹은 피스톤(130)과 모터 사이에 별도의 샤프트 등의 연결구성을 더 두어 피스톤(130)을 전후진 시키는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중공(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상태에서 피스톤(130)의 일부가 중공(1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체적을 갖도록 구성하되, 내주면과 나사산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사프트를 통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스톤(13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는 나사산을 따라 전진 혹은 후진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압착판(140)의 경우, 피스톤(130)의 전진 시 피스톤(130)의 선단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스프링(141)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피스톤(130)의 대향 측인 중공(110)의 선단에 위치하는 것이다. 즉 피스톤(130)이 전진하게 되면, 이 압착판(140)이 피스톤(130)의 대향 측에서 피스톤(130)과 접촉하게 되며, 스프링(141)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피스톤(130)의 대향측에서 피스톤(130)의 선단을 향해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압착판(140)은 기본적으로 초기 상태에 중공(110)의 토출구(160)를 밀폐하거나 혹은 일부를 닫도록 돌출되게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압착판(140)을 통해 양념이 스스로 토출구(160)에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면, 양념 토출장치는, 토출부(100)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20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 방향 제어를 통해 가루 양념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컨트롤러 역할의 조작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념통(10)이 수용된 토출부(100)는 지지부(200)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념통(10)에 수용된 양념을 다 사용하였을 때, 토출부(100) 자체를 인출한 상태에서 양념통(10)을 쉽게 갈아 끼울 수 있고, 나아가 양념통(10)이 토출부(100)에 결합되는 부위에 고무와 같은 재질의 패킹을 적용함으로써 결합부위에서 양념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조작부(300)의 경우 버튼이나 터치식 스크린, 다이얼 등 다양한 공지의 입력수단을 매개로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선 설명에서 피스톤(130)의 선단은 압착판(140)과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위치하는데, 이는 중간에 끼어서 이동하게 되는 양념에 강한 압력을 고르게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압력은 양념 입자들 사이의 공간을 눌러주게 되어 양념이 하나의 덩어리처럼 떡지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떡짐은 양념이 토출구(160)를 통해 제대로 토출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
즉, 단순히 피스톤(130)만으로도 전진할 때에 양념통(10)으로부터 양념 주입구(150)를 통해 배출된 양념을 중공(110)의 토출구(160)로 밀어낼 수 있겠지만, 피스톤(130)과 중공(110)의 벽 사이에 양념이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양념이 토출되지 않고 오히려 압력에 의해 뭉쳐져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바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압착판(140)과 피스톤(130)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퍼 압착편(170)이다. 이 테이퍼 압착편(170)은 피스톤(130)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을 부위별로 다르게 퍼트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힘이 고르게 작용하여 양념 전체가 뭉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압착편(170)은 그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평판형상이 아닌 쐐기와 같이 선단을 테이퍼 처리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양념의 토출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쐐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 특히 피스톤(130)의 선단에 상광하협(上廣下狹)하게 테이퍼(taper)처리된 테이퍼 압착편(170)을 구비토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중공(110)의 벽과 피스톤(130)이 만나는 면을 동일한 수평 평면으로 하지 않고, 경사를 두어 양념이 과도하게 눌려 굳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또한 아래쪽의 체적이 작게 형성되어 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양념이 토출구(160)가 위치한 아래를 향해 배출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토출구(160)가 위치하지 않은 위쪽에 남겨진 양념을 아래로 보내는 데 용이한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테이퍼 압착편(170)이 피스톤(130)의 반대 측에 위치한 수평 벽과 마주보게 된다면, 상부에 위치한 양념이 테이퍼 압착편(170)의 상부에서 돌출된 부위를 통해 눌려 토출구(160)를 향하게 될 것이며,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압력 및 중력의 영향으로 토출구(16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토출 보조의 목적 외에도 피스톤(130) 및 테이퍼 압착편(170)은 중공(110)의 내주면에 남은 양념을 털어내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피스톤(130) 및 테이퍼 압착편(170)이 중공(110)을 따라 전후진 하기 위해서는 중공(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출 수 없고, 중공(1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된다. 다만, 과도하게 작은 직경을 갖게 되면, 오히려 양념을 제대로 밀어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중공(110)의 내경과 피스톤(130) 및 테이퍼 압착편(170)의 직경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여기서 이 피스톤(130) 및 테이퍼 압착편(170)이 전후진 할 때에 중력의 영향이나 그 외 구동부(120)의 진동 등의 영향으로 수평 이동하지 않고, 내벽 일부를 치거나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중공(110) 내벽에 남아있는 잔여 양념 등을 털어낼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중공(110)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자연적인 진동만으로는 양념을 털어내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토출구(160) 측 중공(11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돌출된 돌기(111)를 형성함으로써, 피스톤(130) 및 테이퍼 압착편(170)이 돌기(111)를 지날 때에 강제로 내벽을 한 번씩 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공(110) 내벽에 묻은 양념을 털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중공(110)에서 피스톤(130)을 움직일 때의 문제점은, 바로 공기의 압력이다. 특히 피스톤(130)의 진행방향에 양념이 토출되어 있는 경우라면 피스톤(130)의 후방으로 공기의 유입이 어려울 확률이 높아 피스톤(130)이 잘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공기 주입이 가능한 홈이나 구멍을 둠으로써, 공기의 추가적인 공급을 통해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피스톤(130)이 자유롭게 전후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조 구성 중 하나가 바로 압착판(140)에 구비되는 기공(142)이다.
기공(142)은 압착판(140)의 전후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피스톤(1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기공(142)을 통해 양념이 피스톤(130)의 후방으로 이동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공(142)의 형상을 스프링(141) 측이 넓고 피스톤(130) 측이 좁도록 형성함으로써 양념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혹시 양념이 역류하더라도 그 양은 매우 미비할뿐더러 역류한 양념이 압착판(140)이 움직일 때 마찰에 의해 밀려나와 쌓이지 않고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토출부(100)의 저면에는 토출구(160) 주변에서 지지부(200)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푸싱 스위치(1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푸싱 스위치(101)는 기계적인 구조 혹은 전자적인 구조로 토출부(100)의 모터와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는 것이며, 푸싱 스위치(101)를 눌렀을 때 모터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양념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잔량 측정 모듈(7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나아가, 양념통(10)의 내부에는 가루 양념의 남은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잔량 측정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잔량 측정 모듈(700)의 일 예시를 살펴보면, 먼저 양념통(10)의 내부에 기립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710)와, 이 가이드 샤프트(710)에 별도의 연장바(미도시) 혹은 가이드 샤프트(710)에 직접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루 양념의 표면에 부유하면서 가루 양념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 샤프트(710)를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720) 및, 플로트(720)의 승강에 따라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인식부(730)를 포함하는 잔량 측정 모듈(700)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토출장치에는 양념통(10)의 높이와 용량을 저장한 상태에서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가루 양념의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판단부(7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트(720)는 가루 양념의 표면에 부유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공기를 함유한 풍선과 같은 구조를 갖거나(풍선 구조라면 양념통(10)에 플로트(720)를 넣은 상태에서 양념통(10)을 뒤집어 흔들어주면 플로트(720)가 떠오르게 된다.) 혹은 면적이 넓은 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위치 인식부(730)의 경우에는 플로트(72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나 길이 측정 센서 등의 센서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가이드 샤프트(710)와 플로트(720)간에 위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 nfc, bluetooth, rfid, 바코드 리딩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연결 혹은 인식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생성된 위치 신호는 별도의 잔량 판단부(740)에서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가루 양념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미리 양념통(10)의 높이와 총 용량을 측정하여 잔량 판단부(740)에 저장해 두었다가, 측정된 위치 신호를 저장된 높이와 비교하여 남은 양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 때 양념통(10)의 형상에 따라 높이와 용량이 비례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리 용량을 측정할 때에 높이 별 남은 용량을 저장해 두는 것도 잔량 판단부(740)를 형성하는 하나의 좋은 예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사용자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위치 신호 혹은 측정된 가루 양념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연결 혹은 인식 구성을 갖춘 스마트폰이나 PC, 혹은 기타 음성이나 시각적 안내가 가능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양념 토출장치와 일체 혹은 별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통신 방법을 통해 통신하여 가루 양념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이 외에도 단순히 가루 양념의 표면에 부유한 상태로 음파 등을 통해 잔량을 탐지하는 부유식 탐지기나 양념통(10)의 일 측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레벨을 표시하는 레벨 표시방법, 양념통(10) 일 측에 부착하는 ‘ㄷ’형상의 투명 관으로서 양념통(10)의 양념 일부를 이 투명 관으로 통과시켜 레벨을 표시하는 레벨 게이지, 센서가 내장된 관을 양념통(10) 내부로 주입하여 센서를 통해 잔량을 측정하는 탐촉자 등이 잔량 측정 모듈(700)로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스톤(1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선 설명에서 피스톤(130) 및 테이퍼 압착편(170)은 중공(110)의 내주면에 남은 양념을 털어내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였는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피스톤(130)에 특수한 형상을 적용하여 중공(110) 내부에 남겨진 양념을 털어내는 구성이 더욱 고려될 수 있다.
즉, 피스톤(130)의 형상을 선단 측 직경이 후단 측 직경보다 큰 원뿔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인데,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공(110)을 지나면서 중공(110) 내벽에 남은 양념을 털어내는 데 적합한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원뿔대 형상은 그 경사 때문에 피스톤(130)의 이동 시 내벽과 접촉하는 부위가 계속해서 달라질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남겨진 양념을 제거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130)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양념 주입구(150) 측에 위치한 변의 경우, 피스톤(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할수록 중공(110)의 내주면과 벌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 때, 상술한 변의 기울기를 제 1 기울기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반대 측에 위치한 변인 토출구(160) 측에 위치한 변은 피스톤(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할수록 제 1 기울기보다 큰 제 2 기울기로 중공(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양념 주입구(150) 측을 상부, 토출구(160) 측을 하부라고 할 수 있으며, 하부가 상부보다 큰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어 중공(110)의 내주면과 더 큰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원통 형상의 중공(110)을 다양한 기울기를 갖는 피스톤(130)이 이동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피스톤(130)의 표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13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할 때에 계속해서 중공(110)의 내주면과 다른 기울기를 갖는 면이 위치하게 되므로, 피스톤(130)의 인출 시 중공(110)과 접촉할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그만큼 중공(110) 내면에 남겨진 양념을 털어낼 확률을 높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물론 피스톤(130)이 중공(1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적을수록 이러한 접촉 확률을 높일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양념을 밀어내는 본연의 역할을 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피스톤(130)에서 선단 측의 변 일부는 벌어지는 형상을 갖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피스톤(130)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양념 주입구(150) 측에 위치한 변과 토출구(160) 측에 위치한 변에는 각각의 변마다 피스톤(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복수 개의 접촉 돌기(131)가 형성된다.
또, 중공(110)의 내주면에서 피스톤(13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오목부(132)가 반복 형성되어 피스톤(130)이 중공(110)의 내벽과 접촉할 확률을 더욱 높인다. 특히 접촉 돌기(131) 중 가장 큰 접촉 돌기(131)의 직경보다 오목부(132)의 직경이 크도록 형성하여 접촉 돌기(131)가 오목부(132)를 지나면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특히 접촉 돌기(131)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탄성 재질은 오목부(132)에 접촉할 때에 튕김을 더욱 크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오목부(132)의 직경이 접촉 돌기(131)의 직경보다 기본적으로 큰 상태에서 이 오목부(132)에 접촉 돌기(131)의 적어도 일 측이 걸려 튕겨저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받침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나아가 지지부(200)는, 힌지(210)를 매개로 피스톤(130)의 선단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 홈(221)을 구비한 상태로 선단이 개방된 회동 편(220)과, 수납 홈(221)에서 회동 편(220)의 선단을 향해 연장된 슬라이드 레일(222) 및, 슬라이드 레일(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 홈(221)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드(230)를 포함하는 연장 받침(2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받침(240)은 지지부(200)에서 힌지(210)를 매개로 선단 측으로 인출되는 것이며, 따라서 토출구(160)의 하부에 양념을 받칠 수 있는 그릇 등을 댈 때에 이 그릇을 받칠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회동 편(220)의 경우 힌지(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초기 상태에는 지지부(200)에 접촉해 있다가 활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당기거나 혹은 별도의 조작 버튼을 통해 피스톤(130)의 선단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위치에 회동 편(2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이 외에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동부(120)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회동 편(220)의 내부에는 수납 홈(221)이 형성되는데, 이 수납 홈(221)은 회동 편(220)의 선단 측이 개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때, 개방된 선단은 보드(230)가 인출될 방향으로서, 여기서 보드(230)는 회동 편(220)을 도와 그릇을 받치는 데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드(23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수납 홈(221)의 내부에는 개방된 선단을 향해 연장된 슬라이드 레일(222)을 구비하며, 보드(230)의 경우 이 슬라이드 레일(222)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 및 인입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별도의 스토퍼 구성을 통해 보드(230)가 수납 홈(221)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져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보드(230)의 자동 인출 및 인입을 위해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부(120)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양념통 100: 토출부
101: 푸싱 스위치 110: 중공
111: 돌기 120: 구동부
130: 피스톤 131: 접촉 돌기
132: 오목부 140: 압착판
141: 스프링 142: 기공
150: 양념 주입구 160: 토출구
170: 테이퍼 압착편 200: 지지부
210: 힌지 220: 회동 편
221: 수납 홈 222: 슬라이드 레일
230: 보드 240: 연장 받침
300: 조작부 700: 잔량 측정 모듈
710: 가이드 샤프트 720: 플로트
730: 위치 인식부 740: 잔량 판단부

Claims (9)

  1.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로서,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고 상면에 가루 양념이 담긴 양념통을 거꾸로 수용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중공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중공 타 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피스톤의 전진으로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접촉하는 압착판과, 상기 양념통의 입구와 내통되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의해 개폐되는 양념 주입구 및, 상기 양념 주입구의 대향 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양념 주입구에서 낙하된 가루 양념을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외부로 낙하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한 토출부;
    상기 토출부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가루 양념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되,
    상기 피스톤의 종단면은,
    상기 양념 주입구 측에 위치한 변이 상기 피스톤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제 1 기울기로 상기 중공의 내주면과 벌어지고,
    상기 토출구 측에 위치한 변이 상기 피스톤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상기 제 1 기울기보다 큰 제 2 기울기로 상기 중공의 내주면과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하게 테이퍼(taper)처리된 테이퍼 압착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측 중공의 내주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은,
    상기 스프링 측이 넓고 상기 피스톤 측이 좁도록 관통된 기공이 적어도 하나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상기 지지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푸싱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푸싱 스위치를 눌렀을 때 상기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통에는,
    상기 양념통의 내부에 기립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루 양념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 및,
    상기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잔량 측정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장치는,
    상기 양념통의 높이 및 용량을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신호를 통해 상기 가루 양념의 잔량을 측정하는 잔량 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종단면은,
    각 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접촉 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양념 주입구 측에 위치한 변에 형성된 접촉 돌기의 높이가 상기 토출구 측에 위치한 변에 형성된 접촉 돌기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서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상기 접촉 돌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힌지를 매개로 상기 피스톤의 선단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 홈을 구비한 상태로 선단이 개방된 회동 편과,
    상기 수납 홈에서 상기 회동 편의 선단을 향해 연장된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 홈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드를 포함하는 연장 받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형 양념 토출장치.
KR1020180071712A 2018-06-21 2018-06-21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KR10205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12A KR102050468B1 (ko) 2018-06-21 2018-06-21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12A KR102050468B1 (ko) 2018-06-21 2018-06-21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468B1 true KR102050468B1 (ko) 2019-11-29

Family

ID=6872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712A KR102050468B1 (ko) 2018-06-21 2018-06-21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4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358U (ko) * 1993-06-26 1995-01-03 오형택 분립상 재료의 간이 정량분급기
KR200145000Y1 (ko) * 1996-12-02 1999-06-15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KR20030093167A (ko) * 2003-11-18 2003-12-06 성경완 죽 및 소스류 자동보온 정량토출기
JP2009154919A (ja) * 2007-12-26 2009-07-16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機
KR20130002177U (ko) * 2011-09-29 2013-04-08 최영일 정량 배출장치
KR101552084B1 (ko) * 2015-03-25 2015-09-09 방주희 양념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358U (ko) * 1993-06-26 1995-01-03 오형택 분립상 재료의 간이 정량분급기
KR200145000Y1 (ko) * 1996-12-02 1999-06-15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KR20030093167A (ko) * 2003-11-18 2003-12-06 성경완 죽 및 소스류 자동보온 정량토출기
JP2009154919A (ja) * 2007-12-26 2009-07-16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機
KR20130002177U (ko) * 2011-09-29 2013-04-08 최영일 정량 배출장치
KR101552084B1 (ko) * 2015-03-25 2015-09-09 방주희 양념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353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level sensing
JPH02501474A (ja) 液体供給装置
US20070181614A1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KR20120076227A (ko)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KR102050468B1 (ko)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CN103767591B (zh) 一种微颗粒调料定量投放器
KR102140987B1 (ko) 복수 개의 양념 토출 장치가 연동된 양념 공급 어셈블리
KR20190143763A (ko) 2개의 디스펜서를 구비한 양념 토출 장치
US2603386A (en) r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KR102128280B1 (ko) 액상형 양념 토출장치
RU2629099C2 (ru) Емкость
JP2019189259A (ja) 吐出器、及び吐出装置
CA2522791C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KR20210035404A (ko) 펜슬형 정량토출 용기
JP2003112757A (ja) 計量容器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KR20140115554A (ko) 정량토출 용기
CN213882957U (zh) 一种标准化调料投放装置
CN219289291U (zh) 一种调料控量瓶
JP6579855B2 (ja) 計量装置付き粒状調味料容器
JP2002255259A (ja) 粉体定量取り出し容器
KR200433076Y1 (ko) 정량 인출장치
KR200183824Y1 (ko) 분말 대상물의 계량배출장치
KR200182852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200182850Y1 (ko)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