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327B1 - 도어 하부 차음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하부 차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327B1
KR102050327B1 KR1020190051326A KR20190051326A KR102050327B1 KR 102050327 B1 KR102050327 B1 KR 102050327B1 KR 1020190051326 A KR1020190051326 A KR 1020190051326A KR 20190051326 A KR20190051326 A KR 20190051326A KR 102050327 B1 KR102050327 B1 KR 10205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sound insulation
sound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화
Original Assignee
서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화 filed Critical 서진화
Priority to KR102019005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방식 도어에 채용되는 도어 하부 차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다. 작동 스틱은 하우징의 한쪽 측단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의 횡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한다. 스프링은 도어의 개방 위치시 작동 스틱을 인출시킨 상태로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도어의 폐쇄 위치시 작동 스틱이 문틀에 의해 눌러져 인입됨에 따라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차음부재는 하우징의 하단 개구를 통해 하우징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의 종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한다. 와이어 로프들은 작동 스틱의 인출시 차음부재를 인입시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작동 스틱의 인입시 차음부재를 인출시켜 바닥면에 밀착시키도록 각각 휨 탄성을 갖고 작동 스틱과 차음부재를 연결한다.

Description

도어 하부 차음장치{Sound insulation apparatus of door lower part}
본 발명은 도어 하부 차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 방식 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닥면과의 사이를 차음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와 실외 사이, 또는 방과 방 사이에 설치된 도어는 미닫이 방식과, 여닫이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닫이 방식 도어는 한쪽 측단이 문틀에 힌지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여닫이 방식 도어는 회전함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구조이므로, 개폐 동작시 하단이 바닥면과 닿을 경우, 개폐 동작이 잘 되지 않을 뿐 아니라, 하단 또는 바닥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여닫이 방식 도어는 하단이 바닥면과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문틀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여닫이 방식 도어는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하단과 바닥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므로, 그 틈새로 인해 차음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 안팎으로 소리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도어 하부 차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는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한쪽 측단이 문틀에 힌지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채용되는 것으로, 하우징과, 작동 스틱과, 스프링과, 차음부재, 및 와이어 로프들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다. 작동 스틱은 하우징의 한쪽 측단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의 횡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한다. 스프링은 도어의 개방 위치시 작동 스틱을 인출시킨 상태로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도어의 폐쇄 위치시 작동 스틱이 문틀에 의해 눌러져 인입됨에 따라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차음부재는 하우징의 하단 개구를 통해 하우징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의 종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한다. 와이어 로프들은 작동 스틱의 인출시 차음부재를 인입시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작동 스틱의 인입시 차음부재를 인출시켜 바닥면에 밀착시키도록 각각 휨 탄성을 갖고 작동 스틱과 차음부재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 방식 도어의 개방 위치에서 도어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에 틈새를 확보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없애어 도어 안팎으로 소음 등의 소리가 전달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없애어 냉난방 효율을 높이고, 외부 먼지 유입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에 채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하부 차음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의 개방 위치시 작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의 폐쇄 위치시 작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에 채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100)는 도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0)는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한쪽 측단이 문틀(20)에 힌지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출입구(2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어(10)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100)는 도어(10)가 문틀(20)의 출입구(21)를 폐쇄할 때 도어(10)의 하부에 대한 차음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도어(10)가 문틀(20)의 출입구(21)를 개방할 때 도어(10)의 하부에 대한 차음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즉, 도어 하부 차음장치(100)는 도어(10)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10)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없애어 도어(10) 안팎으로 소음 등의 소리가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며, 도어(10)의 개방 위치에서 도어(10)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에 틈새를 확보하여 도어(10)의 개폐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하부 차음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의 개방 위치시 작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어 하부 차음장치가 도어의 폐쇄 위치시 작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하부 차음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작동 스틱(120)과, 스프링(130)과, 차음부재(140), 및 와이어 로프(150)들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어(10)의 하부에 장착된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와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는 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는 도어(10)의 좌우 폭보다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의 두께만큼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와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10)의 좌우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단과 양쪽 측단이 각각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는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는 내부 공간이 수평 격벽(114)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의 상측 공간에는 작동 스틱(120)이 인출입되며, 하우징 본체(111)의 하측 공간에는 차음부재(140)가 인출입된다. 수평 격벽(114)은 와이어 로프(150)들을 통과시키는 관통공(114a)들을 가질 수 있다. 수평 격벽(114)은 하우징 본체(111)에 본딩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하우징 본체(111)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112)는 하우징 본체(111)의 한쪽 측단에 배치된다. 제1 하우징 커버(112)는 작동 스틱(120)을 통과시키는 커버 홀(112a)을 갖는다. 작동 스틱(120)이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커버 홀(112a)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홀(112a)은 작동 스틱(120)의 인출입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동 스틱(120)을 헐거운 끼워맞춤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112)는 커버 홀(112a) 이외의 부위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 본체(111)의 한쪽 측단을 덮을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112)는 하우징 본체(111)를 향한 면의 커버 홀(112a) 주변에 고정 편 등에 의해 스프링(130)의 한쪽 단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커버(113)는 하우징 본체(111)의 다른쪽 측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111)와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어(10)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홈(11)에 도어(10)의 횡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되어 지지된 상태로 볼팅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문틀(20)에 대한 도어(10)의 분리 없이도, 도어(10)에 대한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교체를 위한 분리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 본체(111)의 외관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장착홈(11)은 도어(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홈(11)은 도어(10)의 양쪽 측단으로부터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홈(11)은 하우징 본체(111)와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우징 본체(111)를 중간 끼워맞춤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는 슬라이드 끼움 기구(116)에 의해 장착홈(11)에 도어(10)의 횡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되어 지지된다. 일 예로, 슬라이드 끼움 기구(116)는 슬라이더(117)와, 레일(118)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17)는 하우징 본체(111)의 상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더(117)는 하우징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117)는 하우징 본체(11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더 기부(117a)와, 슬라이더 기부(117a)의 상단으로부터 양쪽 옆으로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수평 돌출된 한 쌍의 슬라이더 돌출부(117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17)는 하우징 본체(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하우징 본체(1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레일(118)은 장착홈(11) 내의 상면에 고정된다. 레일(118)은 장착홈(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일(118)은 장착홈(11) 내의 상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레일 기부(118a)와, 레일 기부(118a)의 양쪽 옆 가장자리로부터 슬라이더 돌출부(117b)들을 각각 감싸도록 2단 절곡된 한 쌍의 레일 절곡부(118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기부(118a)는 피스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장착홈(11) 내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슬라이드 끼움 기구(116)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레일(118)이 장착홈(11) 내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홈(11)의 한쪽 측단 개구를 통해 슬라이더(117)를 레일(118)에 끼워 장착홈(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하우징 본체(111)는 장착홈(11)에 도어(10)의 횡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본체(111)는 제1 하우징 커버(113)와 작동 스틱(120)과 스프링(130)과 차음부재(140) 및 와이어 로프(150)과 조립된 상태로 장착홈(11)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하부 차음장치(100)는 문틀(20)에 대한 도어(10)의 분리 없이도, 도어(10)에 대한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교체를 위한 분리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는 레일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 본체(111)의 상면에 형성되고, 레일은 슬라이더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장착홈(11) 내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는 각 몸체가 하우징 본체(111)의 양쪽 측단과 동일한 외곽 크기로 이루어지고, 각 주변에 결합편들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의 결합편들은 장착홈(11) 주변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0) 양쪽 측단의 장착홈(11) 주변은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의 결합편들을 단차 없이 안착시키도록 일부 함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커버(113)는 하우징 본체(111)의 다른쪽 측단과 동일한 외곽 크기로 이루어져 우징 본체(111)의 다른쪽 측단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11)는 양쪽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의 플랜지가 도어(10) 하단의 장착홈(11) 주변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0) 하단의 장착홈(11) 주변은 하우징 본체(111)의 플랜지를 단차 없이 안착시키도록 함몰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도어(10)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작동 스틱(120)은 하우징(110)의 한쪽 측단 개구를 통해 하우징(110) 내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10)의 횡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한다. 작동 스틱(120)은 제1 하우징 커버(112)의 커버 홀(112a)을 통해 하우징 본체(111) 내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10)의 횡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할 수 있다.
작동 스틱(120)은 도어(10)의 개방 위치에서 문틀(20)로부터 벗어나 스프링(130)에 의해 인출되어 있다가, 도어(10)의 폐쇄 동작시 문틀(20)에 의해 눌러져 인입된다. 작동 스틱(120)은 도어(10)의 폐쇄 위치에서 문틀(20)에 의해 눌러져 인입되어 있다가, 도어(10)의 개방 동작시 문틀(20)로부터 벗어나 스프링(130)에 의해 인출된다. 작동 스틱(120)은 하우징(110)의 상측 공간에 대해 인출입 동작할 수 있다.
작동 스틱(120)의 중간 부위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스틱(120)의 내,외측 단은 각각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 예컨대 반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스틱(120)은 외측 단이 하우징(110)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10)의 폐쇄 동작시 문틀(20)과 원활히 접촉되어 하우징(110) 안으로 인입 동작할 수 있다.
작동 스틱(120)은 도어(10)의 힌지 결합 측단에서 인출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작동 스틱(120)은 도어(10)의 양쪽 측단 중 힌지 결합 측단의 반대쪽 측단에 인출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스프링(130)은 도어(10)의 개방 위치시 작동 스틱(120)을 인출시킨 상태로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도어(10)의 폐쇄 위치시 작동 스틱(120)이 문틀(20)에 의해 눌러져 인입됨에 따라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도어(1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하면, 문틀(20)에 의해 작동 스틱(12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며, 그에 따라 작동 스틱(120)은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130)은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130)은 하우징(110) 내에서 작동 스틱(120)을 끼운다. 스프링(130)은 외측 단이 하우징(110)의 제1 하우징 커버(112)에 고정되고 내측 단이 작동 스틱(120)의 내측 단에 지지된다.
스프링(130)의 내측 부위는 작동 스틱(120)의 내측 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태, 즉 원추 형태로 감겨서 작동 스틱(120)의 내측 단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30)은 작동 스틱(120)의 인입 동작에 따라 인장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스프링(130)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음부재(140)는 하우징(110)의 하단 개구를 통해 하우징(110)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10)의 종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한다. 차음부재(140)는 도어(10)의 개방 위치에서 와이어 로프(150)들에 의해 당겨져 인입되어 있다가, 도어(10)의 폐쇄 동작시 와이어 로프(150)들에 의해 밀려 인출된다. 이때, 차음부재(140)는 도어(10)의 폐쇄 위치에서 바닥면(1)과 맞닿아 도어(10) 안팎으로 소음 등의 소리가 전달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차음부재(140)는 도어(10)의 폐쇄 위치에서 와이어 로프(150)들에 밀려 인출되어 있다가, 도어(10)의 개방 동작시 와이어 로프(150)들에 의해 당겨져 인입된다. 이때, 차음부재(140)는 도어(10)의 개방 위치에서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되어 도어(1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차음부재(140)는 하우징(110), 즉 하우징 본체(111)의 하측 공간에 대해 인출입 동작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1)의 하측 공간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차음부재(140)의 외관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음부재(140)는 하우징 본체(111)의 하측 공간에 대해 원활하게 인출입되도록 하우징 본체(111)의 하측 공간과 헐거운 끼워맞춤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차음부재(140)는 제1,2 하우징 커버(112, 113)와 마주하는 양쪽 측단 중앙이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 본체(111)의 하측 공간에 대해 더욱 원활하게 인출입될 수 있다. 차음부재(140)는 흡음성을 갖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목재 외에도 차음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음부재(140)는 상단에 고정된 흡음부재(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를 통해 전파되는 소리를 흡수함으로써, 차음부재(140)의 인출시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의 인입시 차음부재(140)와 수평 격벽(114) 사이의 공간에 압축된 상태로 채워져 있다가, 차음부재(140)의 인출시 차음부재(140)와 수평 격벽(114) 사이의 공간에 복원된 상태로 채워질 수 있다.
즉,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의 인출입시 부피 변화되어 차음부재(140)와 수평 격벽(114) 사이의 공간을 항시 채울 수 있다. 따라서,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의 인출시에도 차음부재(140)와 수평 격벽(114) 사이의 공간을 채운 상태로 전후좌우면이 하우징(110)의 내벽에 밀착되고 상면이 수평 격벽(114)에 밀착됨으로써, 차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의 인출시 전후좌우면이 하우징(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되, 상면이 수평 격벽(114)으로부터 이격되어 빈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의 인출입시 적어도 전후좌우면이 하우징(1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항시 유지함으로써, 차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흡음부재(141)는 원래 상태에서 차음부재(140)보다 전후좌우로 각각 일정량씩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음부재(141)는 흡음발포재 또는 흡음천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음부재(141)는 차음부재(140)의 상단에 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차음부재(140)는 하단에 고정된 개스킷(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142)은 차음부재(140)의 인출시 바닥면(1)에 밀착됨으로써,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개스킷(142)은 차음부재(140)의 하단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차음부재(140)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42)은 차음부재(140)와 일체화될 수 있다. 개스킷(142)은 탄성을 갖고 바닥면(1)에 밀착되도록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로프(150)들은 작동 스틱(120)의 인출시 차음부재(140)를 인입시켜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작동 스틱(120)의 인입시 차음부재(140)를 인출시켜 바닥면(1)에 밀착시키도록 각각 휨 탄성을 갖고 작동 스틱(120)과 차음부재(140)를 연결한다.
와이어 로프(150)는 탄소강선이 여러 줄 꼬아져 스트랜드(strand)를 이루고 그 스트랜드가 심강(心鋼) 주위에 여러 줄 꼬아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스트랜드가 심강 없이 여러 줄 꼬아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로프(150)는 외력에 의해 휘어진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갖는다.
와이어 로프(150)들은 각각 구부러진 상태로 한쪽 단이 작동 스틱(120)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이 차음부재(140)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로프(150)들은 각각 차음부재(140)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 격벽(114)의 관통공(114a)을 통과해서 작동 스틱(12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차음부재(140)와 작동 스틱(120)을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150)의 양쪽 단은 체결편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체결편들은 와이어 로프(150)의 양쪽 단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작동 스틱(120)과 차음부재(140)에 볼팅 결합됨으로써, 와이어 로프(150)의 양쪽 단을 작동 스틱(120)과 차음부재(140)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편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로프(150)는 차음부재(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 스틱(120)에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작동 스틱(120)의 인출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150)들은 작동 스틱(120)이 설정 길이로 인출된 상태에서 차음부재(140)를 하우징(110)에 완전히 인입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와이어 로프(150)들은 차음부재(140)를 안정적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각각 갖고 작동 스틱(120)과 차음부재(140)를 연결한다. 와이어 로프(150)는 2개로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으로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작동 스틱(120)이 인출 상태로부터 인입되면, 와이어 로프(150)들은 작동 스틱(120)에 의해 밀려나면서 휨 변형되어 차음부재(140)를 인출시킨다. 이때, 와이어 로프(150)들은 휨 탄성에 의해 차음부재(140)를 인출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작동 스틱(120)이 인입 상태로부터 인출되면, 와이어 로프(150)들은 작동 스틱(120)에 의해 당겨지면서 휨 변형되어 차음부재(140)를 인입시킨다. 이때, 와이어 로프(150)들은 휨 탄성에 의해 차음부재(140)를 인입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 즉 상측 공간에 로프 가이드(115)를 장착할 수 있다. 로프 가이드(115)는 작동 스틱(120)의 인출입 동작시 상대적으로 긴 와이어 로프(150)의 중간 부위를 수평 안내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긴 와이어 로프(150)는 작동 스틱(120)의 인출입 동작시 중간 부위의 휨 변형이 억제되고 설정 부위의 휨 변형만 유도되므로, 작동 스틱(120)의 인출입 동작에 따른 힘을 차음부재(140)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로프 가이드(115)는 수평으로 설정 길이만큼 연장된 가이드 홀(115a)을 통해 해당 와이어 로프(150)의 중간 부위를 끼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도어 하부 차음장치(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문틀(20)의 출입구(21)를 개방하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 스틱(120)은 스프링(130)에 의해 하우징(110)으로부터 최대 인출되어 문틀(20)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위치한다. 이로 인해, 차음부재(140)는 작동 스틱(12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50)들에 의해 당겨져 하우징(110)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개스킷(142)은 차음부재(140)와 함께 하우징(110) 내에 완전히 인입되어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고, 흡음부재(141)는 하우징(110) 내의 수평 격벽(114)과 차음부재(140) 사이의 공간에 압축되어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폐쇄 위치로 회전 동작해서 문틀(20)의 출입구(21)를 폐쇄한다. 도어(10)의 폐쇄 동작 동안에, 작동 스틱(120)은 문틀(20)에 맞닿아 밀려남에 따라 하우징(110) 내로 서서히 인입되기 시작한 후, 도어(10)의 폐쇄 위치에서 완전히 인입된다. 이로 인해, 차음부재(140)는 작동 스틱(12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50)들에 의해 밀려 하우징(110)으로부터 서서히 인출되기 시작한 후, 도어(10)의 폐쇄 위치에서 최대 인출된다.
이때, 스프링(130)은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흡음부재(141)는 하우징(110)의 수평 격벽(114)과 차음부재(140) 사이의 공간에 복원되어 채워진 상태로 되고, 개스킷(142)은 바닥면(1)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는 폐쇄 위치에서 차음 처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개방 위치로 회전 동작해서 문틀(20)의 출입구(21)를 개방한다. 도어(10)의 개방 동작 동안에, 작동 스틱(120)은 문틀(20)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 밖으로 서서히 인출되기 시작한 후, 도어(10)의 설정 개방 위치에서 최대 인출된다. 이로 인해, 차음부재(140)는 작동 스틱(12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50)들에 의해 당겨져 하우징(110) 내로 서서히 인입되기 시작한 후, 도어(10)의 설정 개방 위치에서 최대로 인입된다.
이때, 흡음부재(141)는 하우징(110)의 수평 격벽(114)과 차음부재(140) 사이의 공간에 압축되어 채워진 상태로 되고, 개스킷(142)은 차음부재(140)와 함께 하우징(10) 내로 완전히 인입되어 바닥면(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는 원활히 개방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도어
11..장착홈
20..문틀
110..하우징
120..작동 스틱
130..스프링
140..차음부재
150..와이어 로프

Claims (4)

  1.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한쪽 측단이 문틀에 힌지 결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채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며, 내부 공간이 수평 격벽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구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단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측 공간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도어의 횡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하는 작동 스틱;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시 상기 작동 스틱을 인출시킨 상태로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시 상기 작동 스틱이 상기 문틀에 의해 눌러져 인입됨에 따라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하측 공간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도어의 종방향으로 인출입 동작하는 차음부재;
    상기 차음부재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차음부재를 통해 전파되는 소리를 흡수하는 흡음부재;
    상기 작동 스틱의 인출시 상기 차음부재를 인입시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동 스틱의 인입시 상기 차음부재를 인출시켜 바닥면에 밀착시키도록 각각 휨 탄성을 가지며, 상기 수평 격벽의 관통공들을 각각 통과한 상태로 상기 작동 스틱과 차음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들; 및
    상기 작동 스틱의 인출입 동작시 상기 와이어 로프들 중 상대적으로 긴 와이어 로프의 중간 부위를 수평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는 로프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홈에 슬라이드 끼움 기구에 의해 도어의 횡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되어 지지된 상태로 볼팅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끼움 기구는,
    슬라이더 기부와 상기 슬라이더 기부로부터 양쪽 옆으로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수평 돌출된 한 쌍의 슬라이더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상기 장착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와,
    레일 기부와 상기 레일 기부의 양쪽 옆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돌출부들을 각각 감싸도록 2단 절곡된 한 쌍의 레일 절곡부들을 구비하여 상기 장착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 기부와 레일 기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장착홈 내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는 탄소강선이 여러 줄 꼬아져 이루어진 스트랜드(strand)가 심강(心鋼) 주위에 여러 줄 꼬아진 형태와 그 스트랜드가 심강 없이 여러 줄 꼬아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음부재는 원래 상태에서 상기 차음부재보다 전후좌우로 각각 일정량씩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음부재의 인입시 상기 차음부재와 수평 격벽 사이의 공간에 압축된 상태로 채워져 있다가, 상기 차음부재의 인출시 상기 차음부재와 수평 격벽 사이의 공간에 복원된 상태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하부 차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는 하단에 고정된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하부 차음장치.
  4. 삭제
KR1020190051326A 2019-05-02 2019-05-02 도어 하부 차음장치 KR10205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26A KR102050327B1 (ko) 2019-05-02 2019-05-02 도어 하부 차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26A KR102050327B1 (ko) 2019-05-02 2019-05-02 도어 하부 차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327B1 true KR102050327B1 (ko) 2019-11-29

Family

ID=6872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26A KR102050327B1 (ko) 2019-05-02 2019-05-02 도어 하부 차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3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51U (ja) * 1994-08-03 1995-02-14 ナンカイ工業株式会社 ドアの気密保持装置
JP2003193764A (ja) * 2001-12-26 2003-07-09 Shibutani:Kk ドアボトムの閉鎖装置
JP2015090013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間仕切パネル
KR20170105773A (ko) * 2016-03-10 2017-09-20 이봉구 문지방이 없는 도어의 기밀 유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51U (ja) * 1994-08-03 1995-02-14 ナンカイ工業株式会社 ドアの気密保持装置
JP2003193764A (ja) * 2001-12-26 2003-07-09 Shibutani:Kk ドアボトムの閉鎖装置
JP2015090013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間仕切パネル
KR20170105773A (ko) * 2016-03-10 2017-09-20 이봉구 문지방이 없는 도어의 기밀 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4364C2 (ru) Дверь в сборе для экранированной комнаты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US20150219360A1 (en) Sound enclosure for a compressor
KR102050327B1 (ko) 도어 하부 차음장치
US20080236095A1 (en) Door frame system
US8082856B1 (en) Lid assembly for built-in power and communication outlet unit
KR102602235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0747744B1 (ko) 간섭슬릿이 구비된 흡음형 방음판
CN110892198A (zh) 带有具有用于轴承套的特定的保持弹簧的可下沉的门的烹饪器具
CN111811178B (zh) 一种家用电器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JP52082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212431470U (zh) 家电自动双开门装置、冰箱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KR20120014372A (ko) 소음 감쇠기
KR20210021771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장식용 패널 교체를 위한 결합 구조체 및 방법
KR101017075B1 (ko) 파티션 도어 패널의 개폐장치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JP2016014258A (ja) 引戸ガイド装置
KR101219380B1 (ko)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방풍 및 방음장치
KR20110004194U (ko)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JP4912540B2 (ja) 移動式パネルにおける遮蔽構造
KR102671498B1 (ko) 사출 서랍용 저소음 볼 레일 장치
KR20230155694A (ko) 3연동 도어 반자동 개폐 장치
KR102278145B1 (ko) 미닫이 도어 및 도어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