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194U -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 Google Patents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194U
KR20110004194U KR2020090013728U KR20090013728U KR20110004194U KR 20110004194 U KR20110004194 U KR 20110004194U KR 2020090013728 U KR2020090013728 U KR 2020090013728U KR 20090013728 U KR20090013728 U KR 20090013728U KR 20110004194 U KR20110004194 U KR 20110004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bracket
damping
guid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선
백경호
Original Assignee
김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선 filed Critical 김춘선
Priority to KR2020090013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194U/ko
Publication of KR20110004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1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슬라이딩 레일;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인입될 때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 모듈은,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 내에 마련되는 완충 및 탄성부재; 일측은 상기 완충 및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듈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슬롯으로 노출되어 상기 브래킷의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는 댐핑가이드; 및 상기 댐핑가이드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 간의 맞물림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해 상기 모듈 몸체에 형성된 직선 경로 구간 또는 곡선 경로 구간을 따라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효율적이면서 유기적으로 동작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 시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다.
수납가구용 인출망, 슬라이딩, 댐핑

Description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Structure for inserting and drawing furniture mesh}
본 고안은,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이면서 유기적으로 동작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 시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도록 한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를 비롯한 수납가구에는 수납을 위한 수단으로서 선반이나 인출망 등(이하, 수납가구용 인출망이라 함)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납가구용 인출망은 주로 싱크대 등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주 사용하는 도마나 양념통, 그릇 등을 보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가구용 인출망은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결합되어 프레임이 슬라이딩 인입/인출됨으로써 인출망이 원활하게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가구용 인출망은 단순히 슬라이딩 레일과 프레임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인출망의 인입 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완전히 인입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공개특허 2009-0095379호의 서랍용 충격완화장치나 등록특허 제6078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도어 개폐용 댐핑장치 등이 개발되어 서랍과 같은 수납가구에 적용되고는 있으나, 상기 문헌의 장치들은 수납가구용 인출망에는 곧바로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자동 인입 및 댐핑 작용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는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 시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효율적이면서 유기적으로 동작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 시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도록 한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슬라이딩 레일;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인입될 때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 모듈은,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 내에 마련되는 완충 및 탄성부재; 일측은 상기 완충 및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듈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슬롯으로 노출되어 상기 브래킷의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는 댐핑가이드; 및 상기 댐핑가이드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 간의 맞물림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해 상기 모듈 몸체에 형성된 직선 경로 구간 또는 곡선 경로 구간을 따라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핑가이드의 맞물림부는 상기 브래킷의 돌출부를 수용하며, 내면 일측에는 밀착패드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 및 탄성부재는, 로드의 단부가 상기 댐핑가이드와 연결되는 쇽업소바; 및 일단부는 상기 모듈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댐핑가이드와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핀은 제1 및 제2 가이드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핀 모두가 상기 직선 경로 구간에 배치될 때는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이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곡선 경로 구간에 배치될 때는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의 맞물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브래킷 몸체; 상기 브래킷 몸체의 양측면에서 상호간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 몸체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두께만큼 상기 제1 지지부와는 이격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내벽면에 접촉 지지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브래킷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가 제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홈부에 끼워져 로킹되는 로킹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효율적이면서 유기적으로 동작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 시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에 인출망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이 수납가구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슬라이딩 레일, 브래킷 및 댐핑 모듈 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브래킷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댐핑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는,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의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해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결합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일측에 결합되어 프레임(2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슬라이딩 레일(30), 일측이 슬라이딩 레일(30)에 착탈 가능하 게 결합되는 브래킷(40)과, 브래킷(40)을 통해 슬라이딩 레일(30)과 연결되어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인입될 때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핑 모듈(50)을 포함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은 프레임(20)에 결합되고, 프레임(20)에는 슬라이딩 레일(30)과 댐핑 모듈(50)이 결합되고 있으며, 슬라이딩 레일(30)의 일측은 수납가구(1)의 벽면에 고정되며, 프레임(20)의 측방은 수납가구(1)의 도어 패널(미도시)에 도어 패널용 브라켓(2)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슬라이딩 레일(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결합된 프레임(20)을 인출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딩 레일(30)은 3단 슬라이딩 레일(30)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2단 레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브래킷(40)은 슬라이딩 레일(30)과 댐핑 모듈(50)을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브래킷(4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브래킷(40)은 브래킷 몸체(41), 제1 및 제2 지지부(42,43), 그리고 로킹부(44)를 포함한다.
브래킷 몸체(41)는 브래킷(4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브래킷(40)에는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와 맞물림 결합 또는 해제되는 돌출부(41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41a)는 대략 사각 막대 형상을 가지지만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1 지지부(42)는 브래킷 몸체(41)의 양측면에서 상호간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 레일(3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42)의 내면은 슬라이딩 레일(30)의 하단부 형상과 동일한 파 형상을 갖는 다.
제2 지지부(43) 역시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지지부(43)는 제1 지지부(42)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브래킷 몸체(41)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제2 지지부(43)는 슬라이딩 레일(30)의 두께만큼 제1 지지부(42)와는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부(42,43) 사이에는 역시 파 형상의 홈부(45)가 형성되는데, 이 홈부(45)로 슬라이딩 레일(30)의 하단부가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제2 지지부(43)의 선단부(43a)는 수직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30)의 내벽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어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43)는 제1 지지부(42)의 내측에 배치된다. 물론, 반대로 제2 지지부(43)가 제1 지지부(42)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로킹부(44)는 제1 및 제2 지지부(42,43)가 제 위치에 배치된 때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지지부(42,43) 사이에 형성된 파 형상의 홈부(45)로 슬라이딩 레일(30)의 하단부가 끼워지면서 결합된 때 슬라이딩 레일(30)의 홈부(30a)에 끼워져 로킹되는 부분이다. 브래킷 몸체(4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로킹부(44)로 인해 브래킷(40)은 슬라이딩 레일(30)과 결합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한편, 댐핑 모듈(50)은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의 인입 시 프레임(20)에 결합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댐핑 모듈(50)은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닫힐 때 닫히는 방향의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프레임(20)에 결합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댐핑 모듈(5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몸체(51), 완충 및 탄성부재(52a, 52b), 댐핑가이드(53), 그리고 댐핑가이드(53)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을 포함한다.
모듈 몸체(51)는 댐핑 모듈(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몸체(51)는 긴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모듈 몸체(51)의 상면에는 장공의 슬롯(51a)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직선 경로 구간(51b)과 곡선 경로 구간(51c)이 형성된다. 슬롯(51a)은 댐핑가이드(53)가 이동되는 공간(경로)을 형성하며, 직선 경로 구간(51b)과 곡선 경로 구간(51c)은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이 이동되는 공간(경로)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 경로 구간(51b)과 곡선 경로 구간(51c)은 연속되는 하나의 궤적을 형성하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 이들은 분리된 궤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52a)는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닫힐 때 닫히는 방향이 충격을 완충시키는 부분이다. 쇽업소바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작되는 로드(rod)의 단부가 댐핑가이드(53)와 연결된다.
탄성부재(52b)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일단부는 모듈 몸체(51)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댐핑가이드(53)와 연결되어 탄성에 의하여 댐핑가이드(53)의 구간(51b, 51c) 이동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52b)은 인장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댐핑가이드(53)는 그 일측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쇽업소바(52a) 및 코일스프 링(52b)에 연결되고 타측은 모듈 몸체(51)의 슬롯(51a)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노출된 부분의 댐핑가이드(53)는 브래킷(40)의 돌출부(41a)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부(54)를 형성한다. 맞물림부(54)는 브래킷(40)의 돌출부(41a)가 수용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맞물림부(54)의 일측 내면에는 밀착패드(5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밀착패드(56)는 선택 사항이므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밀착패드(56)가 마련되면 밀착패드(56) 영역에서 브래킷(40)의 돌출부(41a)와 넓은 접촉면적으로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동작이 실패로 돌아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은 댐핑가이드(53)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다.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지만, 원활한 동작을 위해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은 두 개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은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와 브래킷(40)의 돌출부(41a) 간의 맞물림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해 모듈 몸체(51)의 직선 경로 구간(51b)과 곡선 경로 구간(51c)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도 1 및 도 10과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 모두가 직선 경로 구간(51b)에 배치될 때는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와 브래킷(40)의 돌출부(41a) 간의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는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인입된 상태에 해당한다.
하지만, 도 11과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 중 제1 가이드핀(55a) 이 곡선 경로 구간(51c), 특히 곡선 경로 구간(51c)의 단부에 배치될 때는 직선 경로 구간(51b)에 배치된 제2 가이드핀(55b)이 회전축을 이루면서 댐핑가이드(53)가 회전되기 때문에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와 브래킷(40)의 돌출부(41a) 간의 맞물림 결합은 해제된다. 이 경우는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인출된 상태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10과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결합된 프레임(20)과 결착된 수납가구(1)의 도어 패널(미도시)에 있는 손잡이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3단 구조로 된 슬라이딩 레일(30)의 동작에 의해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결합된 프레임(20)이 인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핀(55a,55b) 모두가 직선 경로 구간(51b)에 배치되어 동작될 때는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와 브래킷(40)의 돌출부(41a) 간의 맞물림 결합이 계속 유지된 채 인출이 이루어진다.
그러다가 도 11과 같이, 제1 가이드핀(55a)이 곡선 경로 구간(51c), 특히 곡선 경로 구간(51c)의 단부에 배치될 때는 직선 경로 구간(51b)에 배치된 제2 가이드핀(55b)이 회전축을 이루면서 댐핑가이드(53)가 회전되기 때문에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와 브래킷(40)의 돌출부(41a) 간의 맞물림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쇽업소바(52a)는 그 로드가 연장된 상태이고, 코일스프링(52b)은 인장된 상태가 된다.
다음, 인출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을 인입시킬 때는 위의 동작과는 반대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을 원위치로 민다. 그러면 인출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인입되기 시작하는데,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인입되는 과정에서 프레임(20)의 인입 작용과 함께 프레임(20)에 결합되는 댐핑 모듈(50)이 인입되면서 댐핑가이드(53)의 맞물림부(54)가 브래킷(40)의 돌출부(41a)를 밀게 되면, 이러한 힘에 의해 댐핑가이드(53)는 다시 제2 가이드핀(55b)을 회전축으로 하여 원위치로 회전 복귀된다. 그러면 제1 가이드핀(55a)이 곡선 경로 구간(51c)를 빠져나와 제2 가이드핀(55b)과 함께 직선 경로 구간(51b) 상에 위치되는데, 이때에 늘어난 코일스프링(52b)이 줄어들고 쇽업소바(52a)의 내부 압력에 의한 완충력에 의해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자동으로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인입되면서, 초기의 도 1 및 도 10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이면서 유기적으로 동작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의 인입 시 수납가구용 인출망(10)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자동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슬라이딩 레일, 브래킷 및 댐핑 모듈 간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브래킷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댐핑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 출 구조의 동작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가구용 인출망 20 : 프레임
30 : 슬라이딩 레일 40 : 브래킷
41 : 브래킷 몸체 42,43 : 제1 및 제2 지지부
44 : 로킹부 50 : 댐핑 모듈
51 : 모듈 몸체 52a : 쇽업소바
52b : 코일스프링 53 : 댐핑가이드
55a,55b : 제1 및 제2 가이드핀

Claims (5)

  1.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슬라이딩 레일;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수납가구용 인출망이 인입될 때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 모듈은,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 내에 마련되는 완충 및 탄성부재;
    일측은 상기 완충 및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듈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슬롯으로 노출되어 상기 브래킷의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는 댐핑가이드; 및
    상기 댐핑가이드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 간의 맞물림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해 상기 모듈 몸체에 형성된 직선 경로 구간 또는 곡선 경로 구간을 따라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가이드의 맞물림부는 상기 브래킷의 돌출부를 수용하며, 내면 일측에는 밀착패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및 탄성부재는,
    로드의 단부가 상기 댐핑가이드와 연결되는 쇽업소바; 및
    일단부는 상기 모듈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댐핑가이드와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제1 및 제2 가이드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핀 모두가 상기 직선 경로 구간에 배치될 때는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이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곡선 경로 구간에 배치될 때는 상기 댐핑가이드와 상기 브래킷의 맞물림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브래킷 몸체;
    상기 브래킷 몸체의 양측면에서 상호간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 몸체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두께만큼 상기 제1 지지부와는 이격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내벽면에 접촉 지지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브래킷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가 제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홈부에 끼워져 로킹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KR2020090013728U 2009-10-21 2009-10-21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KR201100041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728U KR20110004194U (ko) 2009-10-21 2009-10-21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728U KR20110004194U (ko) 2009-10-21 2009-10-21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94U true KR20110004194U (ko) 2011-04-27

Family

ID=4420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728U KR20110004194U (ko) 2009-10-21 2009-10-21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1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995A (ko) 2015-07-31 2017-02-08 추용호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20210123854A (ko) 2020-04-06 2021-10-14 유연순 가구 서랍용 괘해정판의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킨 소음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995A (ko) 2015-07-31 2017-02-08 추용호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20210123854A (ko) 2020-04-06 2021-10-14 유연순 가구 서랍용 괘해정판의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킨 소음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771B2 (en) Synchronic drawer slide rail system with mute springback function
US9961998B2 (en) Driving mechanism and guide fitting for slide rail assembly
US9593880B2 (en) Refrigerator
US8079653B2 (en) Sliding track assembly
KR101695808B1 (ko) 냉장고
WO2006038748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and slide having this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20050062502A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JP5671733B2 (ja) 引出しガイドの開閉装置および引出しガイド
JP2014230787A (ja) 移動・移動制限装置およびその移動制限ユニット
US11428458B2 (en) Refrigerator
KR20070100281A (ko) 가구 서랍용 신축식 가이드 레일
KR20110004194U (ko) 수납가구용 인출망의 인입/인출 구조
JP2012036625A (ja) 引戸の閉止装置
KR200390556Y1 (ko) 슬라이딩 레일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KR101744336B1 (ko) 수납장용 슬라이딩 장치, 슬라이딩 장치용 걸림 브라켓 및 수납장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JP4808200B2 (ja) 戸の緩衝装置および戸構造
JP2008229281A (ja) 引出の摺動機構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JP2006102294A (ja) 飛び出し・引き込み装置
JP6147994B2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