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287B1 -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 Google Patents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287B1
KR102050287B1 KR1020180084974A KR20180084974A KR102050287B1 KR 102050287 B1 KR102050287 B1 KR 102050287B1 KR 1020180084974 A KR1020180084974 A KR 1020180084974A KR 20180084974 A KR20180084974 A KR 20180084974A KR 102050287 B1 KR102050287 B1 KR 102050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hopper
extract
powder
composition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제
정은선
김희정
박주용
장한수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08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로스팅한 후 분쇄하여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Composition for relieving skin itching using grasshopper powd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smetics and feed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에 관한 것으로, 메뚜기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화장품 또는 사료에 이용되어 사람 또는 가축의 피부가려움증 경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Allergy)란 그리스어인 allo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변형된 것을 의미하며, 1906년 프랑스 학자 폰피케르가 처음으로 알레르기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보통 대부분의 사람에게서는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비염, 천식 등 이상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알레르기도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의 한 종류지만 몸에 유해한 반응을 말하며 요즘 들어서는 과민성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알레르기 질환은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계절형과 1년 내내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형 알레르기질환으로 나뉘며 계절형이 해마다 계속되면 만성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봄철에 유행한다고 생각나 우리나라에서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이 사시사철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알레르기 질환은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나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질환이며 다른 만성질환과 달리 소아부터 이환되어 평생을 고생하는 질환이다.
알레르기 행진으로 알려진 알레르기 질환의 특징은 아토피피부염, 기관지천식, 알레르기 비염 등이 순차적으로 나타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유형의 알레르기 질환으로 나타나 고통받을 수 있다.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피부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어린이·청소년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 조사'에 대한 ISAAC 조사에 따르면 최근 15년간 천식은 어린이에서 1.3배, 청소년에서 3.1배로, 알레르기 비염은 어린이에서 2.8배, 청소년에서 5.5배로, 아토피피부염은 어린이에서 2.1배, 청소년에서 3.3배로 증가되었다고 나타났다.
이에 국내 주요언론, 국회 및 지방자치에서 알레르기 문제가 논의되고 있으며, 선거 공약으로 제시될 만큼 국민에게 광범위한 심각한 수준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보건상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성 피부 트러블 방지 효과를 가지는 해초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3168호가 공개된 바 있다.
한편, 메뚜기의 다양한 종에 대한 항산화 활성 효능은 알려져 있고, 메뚜기, 벼메뚜기, 끝검은 메뚜기 용매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고 보고된 바 있다(박자영 외, 2006. 메뚜기류 추출물의 염증조절작용 및 세포사멸보호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2, 482-488).
따라서, 메뚜기를 이용하여 피부가려움증 경감 효능이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메뚜기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화장품 또는 사료에 이용되어 사람 또는 가축의 피부가려움증 경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를 제안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로스팅한 후 분쇄하여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메뚜기를 95 내지 105℃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및 로스팅된 메뚜기를 100 내지 200㎛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주정은 30 내지 100%농도의 발효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메뚜기 분말에 5 내지 20배의 발효주정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30 내지 80℃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후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메뚜기 추출물과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블랙커먼시드를 로스팅하는 단계; 로스팅된 블랙커먼시드를 압착하여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메뚜기 추출물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는 자몽종자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은 로스팅한 후 분쇄된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된 메뚜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은 메뚜기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면역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가려움증 경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또는 사료에 사용되어 사람 또는 가축의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Fe2 +-chelating 활성 측정 결과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농도별 생포 생졸율 24시간 측정 결과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농도별 생포 생졸율 48시간 측정 결과 그래프.
도 7은 전처리한 실시예 3에 따른 LPS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그래프.
도 8은 후처리한 실시예 3에 따른 LPS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그래프.
도 9는 전처리한 실시예 3에 따른 NO 생성량 24시간 측정 결과 그래프.
도 10은 전처리한 실시예 3에 따른 NO 생성량 48시간 측정 결과 그래프.
도 11은 후처리한 실시예 3에 따른 NO 생성량 24시간 측정 결과 그래프.
도 12는 후처리한 실시예 3에 따른 NO 생성량 48시간 측정 결과 그래프.
도 13의 (a) 내지 (d)는 실시예 3을 전처리 24시간, 전처리 48시간, 후처리 24시간 및 후처리 48시간에 따른 TNF-α 생성량 측정 결과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메뚜기를 로스팅한 후 분쇄하여 메뚜기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메뚜기를 95 내지 105℃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및 로스팅된 메뚜기를 100 내지 200㎛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스팅하는 단계는 메뚜기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메뚜기를 95 내지 105℃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로스팅할 수 있고, 100℃에서 60분동안 로스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후 로스팅된 메뚜기를 실온에서 18 내지 22분동안 방냉시킬 수 있다.
이때, 로스팅 온도가 95℃ 미만일 경우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메뚜기의 비릿한 향이 남게될 수 있고, 105℃를 초과할 경우 메뚜기가 타 탄 향이 잔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로스팅 시간이 40분 미만일 경우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메뚜기의 비린 맛과 향이 남게 되고, 담백한 맛이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며, 60분을 초과할 경우 메뚜기가 탈 수 있다.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와 같이 로스팅된 메뚜기를 100 내지 200㎛의 입자크기로 분쇄할 수 있으며, 160.94㎛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추출 효율과 기호성이 우수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분쇄된 메뚜기 분말을 메시를 통해 걸러내는 것으로 입도 표준화를 통해 일정 크기의 메뚜기 분말로 제조한다.
이때, 입자크기가 100㎛ 미만일 경우 메뚜기의 특유한 향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고, 200㎛를 초과할 경우 발효주정에 의해 추출될 경우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제조된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발효주정은 30 내지 100%농도일 수 있고, 100%농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벗어나 발효주정이 30%농도 미만일 경우 항산화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발효주정을 메뚜기 분말 중량에 대해 5 내지 20배로 첨가하고, 30 내지 80℃에서 12 내지 24 시간동안 가열하여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발효주정의 중량이 메뚜기 분말의 5배 미만일 경우 메뚜기 분말의 유효성분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유효성분의 추출수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배를 초과할 경우는 용량 대비 추출수율이 떨어지고 효과가 미미해져 화장품 또는 사료에 첨가될 때 비효율적이고 첨가량이 제한 등의 이유로 효과를 저감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열온도가 30℃ 미만일 경우 추출 효율이 저하되어 추출물에 유효성분이 낮아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80℃를 초과할 경우 살균 면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일부 열에 약한 유효성분이 변형, 파괴되거나 단백질 등이 너무 빨리 응고되어 완전히 추출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시간은 12 내지 24시간이 바람직하며, 이 시간 범위 안에서 추출물을 추출할 경우 시간 대비 경제적 및 효능적으로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후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메뚜기 추출물과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메뚜기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는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더 포함시켜 항산화, 항암 및 면역강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블랙커먼시드는 항산화, 항염증 기능을 가지며, 티모퀴논 성분이 함유되어 항암작용이 우수하고,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혈당상승을 막아주고 당뇨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단백질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더 구체적으로,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블랙커먼시드를 로스팅하는 단계,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커먼시드를 로스팅하는 단계는 블랙커먼시드를 세척한 후 180 내지 190℃에서 10 내지 15분간 로스팅할 수 있고, 185℃에서 10분간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로스팅 온도가 180℃ 미만일 경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추출 시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190℃를 초과할 경우 블랙커먼시드가 탈 수 있고 탄향이 잔존할 수 있다.
또한, 로스팅 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 추출 시 추출시간이 너무 길어질 수 있고, 15분을 초과할 경우 블랙커먼시드가 탈 수 있고 탄향이 잔존할 수 있다.
또한, 로스팅하는 단계에서 로스팅 후 한번 더 90 내지 100℃에서 25 내지 30분동안 추가 로스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로스팅을 하는 것은 블랙커먼시드를 태우지 않고 로스팅을 좀더 많이 할 수 있도록 하여 추출 시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얻는 단계는 로스팅된 블랙커먼시드를 압착하여 유효성분을 갖는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압착은 40℃ 내지 65℃의 온도에서 500kgf/cm2 내지 600kgf/cm2의 압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압착하는 압력이 500kgf/cm2 보다 낮으면 추출수율이 떨어져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600kgf/cm2보다 높으면 맛과 향 그리고 유효성분의 변성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너무 긴 시간 동안 압착하게 되어도 맛과 향 그리고 유효성분의 변성이 초래될 수 있다.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는 메뚜기 추출물 100중량부에 20 내지 3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될 경우 효능이 가장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는 메뚜기 추출물과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의 용이한 혼합과 산패를 방지하여 맛과 향을 보존하기 위해 자몽종자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교반할 수 있다.
즉, 자몽종자추출물은 유화제 및 천연항산화제 역할로 혼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산화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몽종자추출물은 메뚜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0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자몽종자추출물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산화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0.0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자몽종자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거부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메두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은 메뚜기 추출물을 포함하고,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은 메뚜기 추출물 100중량부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 20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은 자몽종자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화장품 또는 사료에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은 125㎍/㎖ 내지 250㎍/㎖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이 125㎍/㎖ 미만일 경우 항산화 활성이 저하되어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미흡할 수 있고, 250㎍/㎖를 초과할 경우 자체 독성으로 오히려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은 메뚜기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면역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가려움증 경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또는 사료에 사용되어 사람 또는 가축의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로스팅 온도 및 시간에 따른 메뚜기 분말의 관능평가
메뚜기 분말을 건조된 메뚜기(A) 및 로스팅된 메뚜기(B, C)를 각각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로스팅된 분말은 메뚜기를 100℃에서 30분(B), 60분(C)으로 각각 로스팅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메뚜기 분말에 대하여 향, 짠맛, 감칠맛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로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 평가는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짠맛, 감칠맛 및 기호도에 대하여 5점 채점법(5-매우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짠맛 감칠맛 기호도
A(건조) 3.2 2.2 2.6 2.4
B(로스팅 30분) 2.5 3.0 3.0 3.0
C(로스팅 60분) 4.2 4.4 4.5 4.8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을 이용한 메뚜기 분말 C가 메뚜기 분말 A 및 B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보다 구체적으로, 메뚜기를 로스팅하지 않고 건조시켜 분쇄한 메뚜기 분말은 메뚜기의 맛이 너무 싱거울 뿐만 아니라 감칠맛이 미미하고 고소한 향이 미흡하여 기호도가 낮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30분간 로스팅한 메뚜기 분말 B는 메뚜기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메뚜기의 비린 맛과 향이 나타나 기호도가 낮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2] 입자크기에 따른 메뚜기 추출물의 추출 및 관능평가
메뚜기 추출물 A 내지 C를 메뚜기를 100℃에서 60분동안 로스팅한 후 각각 분쇄하고 100%농도의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60℃에서 18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로스팅한 메뚜기를 479.71㎛(A), 160.94㎛(B), 40.72㎛(C)의 입자크기로 각각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메뚜기 추출물을 농축하여 추출수율을 측정하고, 기호도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로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 평가는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기호도에 대하여 5점 채점법(5-매우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나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추출 수율(%) 기호도
A(479.71㎛) 14 2
B(160.94㎛) 30 3.25
C(40.72㎛) 36 2.4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뚜기 추출물 A보다 메뚜기 추출물 B가 추출 수율도 높으며 기호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또한, 메뚜기 추출물 B는 메뚜기 추출물 C보다 추출 수율이 조금 낮으나, C는 메뚜기 특유의 향과 맛이 강하게 느껴져 낮은 기호도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60.94㎛의 입자크기로 분쇄된 메뚜기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된 메뚜기 추출물 B가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메뚜기를 100℃에서 60분동안 로스팅한 후 160.94㎛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40%농도의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60℃에서 18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메뚜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뚜기를 100℃에서 60분동안 로스팅한 후 160.94㎛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70%농도의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60℃에서 18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메뚜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뚜기를 100℃에서 60분동안 로스팅한 후 160.94㎛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100%농도의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60℃에서 18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메뚜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모든 실험예에서 실시예 1 내지 3는 50%농도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0.45㎛ syringe filter로 2회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3] 메뚜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평가
(1)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 (1,1-diphenyl-2-picryldrazyl) 라디칼 제거 활성은 Hsu 등 (2006)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은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여 농도별로 희석하였으며,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3 40㎕와 300 mM DPPH 760㎕을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후 5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40% 추출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mL에서 2.64±1.41%, 5㎍/mL에서 8.62±0.78%, 10㎍/mL에서 12.68±2.32%, 25㎍/mL에서 22.17±1.56%, 50㎍/mL에서 28.91±0.51%, 100㎍/mL에서 36.78±1.61%, 125㎍/mL에서 46.45±1.01%, 250㎍/mL에서 50.66±1.09%, 500㎍/mL에서 58.02±0.86%, 1,000㎍/mL에서 69.58±0.33%, 2,500㎍/mL에서 78.39±1.32%으로 나타나 농도의존적인 radical 제거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 실시예 2(70% 추출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mL에서 1.68±0.55%, 5㎍/mL에서 3.30±0.79%, 10㎍/mL에서 1.92±0.60%, 25㎍/mL에서 5.32±2.17%, 50㎍/mL에서 15.59±2.25%, 100㎍/mL에서 28.75±1.06%, 125㎍/mL에서 31.81±1.36%, 250㎍/mL에서 59.20±0.51%, 500㎍/mL에서 85.22±1.69%, 1,000 ㎍/mL에서 88.84±0.14%, 2,500 ㎍/mL에서 84.82±0.34%으로 나타나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radical 제거 효과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3(100% 추출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mL에서 6.00±1.48%, 5㎍/mL에서 24.12±0.86%, 10㎍/mL에서 32.79±1.15%, 25㎍/mL에서 46.03±0.51%%, 50㎍/mL에서 54.40±1.37%, 100㎍/mL에서 66.42±0.85%%, 125㎍/mL에서 77.22±0.14%%, 250㎍/mL에서 89.61±0.06%, 500㎍/mL에서 92.18±0.10%, 1,000㎍/mL에서 96.50±0.10%, 2,500㎍/mL에서 99.27±0.17%으로 나타나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radical 제거효과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중 100%농도의 발효주정을 이용한 실시예 3이 양성대조군인 BHT와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 실시예 1 내지 3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2)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Smirnoff와 Cumbes (1989)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50㎕의 FeSO4, 175㎕의 H2O2를 75㎕의 농도별 실시예 1 내지 3을 각각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실시예 1의 경우, 1㎍/mL에서 13.29±0.42%, 5㎍/mL에서 11.25±0.78%, 10㎍/mL에서 9.07±0.39%, 25㎍/mL에서 8.96±0.80%, 50㎍/mL에서 14.51±0.76%, 100㎍/mL에서 15.48±0.48%, 125㎍/mL에서 12.85±0.42%, 250㎍/mL에서 16.01±0.37%, 500㎍/mL에서 24.68±0.30%, 1,000㎍/mL에서 41.33±0.39%, 2,500㎍/mL에서 76.81±0.45%로 나타나, 처리농도가 높아질 수록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1 내지 100㎍/mL의 농도에서는 약 19 내지 23%로 유사한 활성을 보이다가 125㎍/mL의 이상의 농도에서는 각기 다른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실시예 2는 125㎍/mL에서 22.80±0.94%, 250㎍/mL에서 27.04±0.32%, 500㎍/mL에서 29.14±0.01%, 1,000㎍/mL에서 33.59±0.65%, 2,500㎍/mL에서 38.27±1.22% 로 나타났고, 실시예 3은 125㎍/mL에서 27.04±0.80%, 250㎍/mL에서 28.41±0.87%, 500㎍/mL에서 26.52±1.21%, 1,000㎍/mL에서 18.72±1.25%, 2,500㎍/mL에서 6.74±1.99%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시예 3의 경우 500㎍/mL이상의 농도에서는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Fe2 +-chelating assay
철은 호흡, 산소의 운송 및 다양한 효소의 활성에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Fe2+는 체내의 과산화수소에 의한 Fenton 반응으로 hydroxyl 라디칼과 같은 활성산소의 생성을 촉진하여 체내 산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추출물이 철 이온의 chelating 효과를 분석하면 산화물질의 생성에 대한 세포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Fe2 +-chelating 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1 내지 100㎍/mL의 농도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의 활성이 1 내지 5%로 매우 낮게 조사되었으나, 125㎍/mL 이상의 농도부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40% 추출물), 실시예 2(70% 추출물) 및 실시예 3(100% 추출물)의 Fe2+-chelating 활성은 125㎍/mL에서 각각 8.37±1.38%, 1.46±0.81% 및 14.50±1.30%, 250㎍/mL에서 10.15±0.43%, 2.47±0.69% 및 11.77±0.75%, 500㎍/mL에서 20.03±0.59%, 2.95±0.02% 및 20.48±0.40%, 1,000㎍/mL에서 39.45±0.48%, 10.08±0.52% 및 40.35±0.07%, 2,500㎍/mL에서 58.23±1.12%, 12.61±2.30% 및 71.94±0.88%로 나타나 실시예 1 내지 3 중 100%농도의 발효주정을 사용한 실시예 3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내지 3의 세포독성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3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96-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동일하게 분주한 후 농도별 실시예 1 내지 3을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배양액 100㎕에 WST-1 용액을 10㎕씩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여 Multi Detection Reader(Infinite 200, TECAN Group Ltd, Switzerland)로 405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용매(50% 에탄올)만을 고농도 실험군과 동일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시험에서 농도에 따른 추출물의 세포증식능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세포 증식율 (%)=(시험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100
측정된 세포 생존율의 결과는 도 5 내지 도 9와 같다.
도 5 및 도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을 처리한 24시간 후 실시예 1(40% 추출물), 실시예 2(70% 추출물) 및 실시예 3(100%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생존율은 1㎍/ml 내지 100㎍/ml의 농도에서 감소되지 않아 실시예 1 내지 3 모두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1(40% 추출물)은 1,000㎍/ml에서, 실시예 2(70% 추출물)와 실시예 3(100% 추출물)은 500㎍/ml에서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처리 48시간 후 추출물별 세포생존율은 1㎍/ml 내지 250㎍/ml의 농도에서 감소되지 않아 실시예 1 내지 3 모두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500㎍/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세포생존율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500㎍/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 자체의 독성으로 인해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 세포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250㎍/ml의 농도를 공시료의 최고 농도로 설정하여 차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실험예 5] 메뚜기 추출물의 면역 활성평가
(1) 세포 증식능(Cell proliferation)
실시예 3의 LPS에 의한 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96-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동일하게 분주한 후 LPS와 농도별 실시예 3을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배양액에 WST-1 용액을 첨가하여 Multi Detection Reader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7 및 도 8과 같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실시예 3을 전처리한 것은 24시간 경과 후 92 내지 111%, 48시간 경과 후 91 내지 98%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을 후처리한 것은 24시간 경과시 92 내지 106%, 48시간 경과시 102 내지 106%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전처리 및 후처리 모두 농도의존적인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2) Nitric oxide(NO)
실시예 3의 NO 생성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NO 측정은 세포를 24-well plate 에 3×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LPS와 실시예 3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시간동안 배양 후 각 well에 LPS를 1 ㎍/mL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는 배양 상층액 100 ㎕를 취하여 동량의 Griess 시약을 첨가하고 10분간 방치하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itrite의 농도는 sodium nitrite를 DMEM 배지에 용해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LPS를 처리한 대조군과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생성된 nitrite 양의 차이를 기준으로 실시예 3의 NO 생성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9 내지 12와 같다.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NO의 생성량을 확 인한 실험에서 실시예 3 전처리 시험군에서는 24시간 경과시 53.22±1.90μM, 48시간 경과시 270.00±2.08μM로 나타나, 대조군의 3.76±0.37μM와 11.11±1.84μM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을 전처리 후 LPS를 처리한 실험군은 24시간 경과시 1μg/mL에서 23.56±2.59μM, 5μg/mL에서 17.22±4.91μM, 10μg/mL에서 15.44±2.59μM, 25μg/mL에서 13.44±2.17μM, 50μg/mL에서 10.22±3.79μM, 100μg/mL에서 10.00±0.88μM, 250μg/mL에서 7.11±0.38μM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을 후처리한 실험군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도 11을 참조하면, 24 경과시 1μg/mL에서 27.22±0.19μM, 5μg/mL에서 24.67±2.33μM, 10μg/mL에서 18.00±1.53μM, 25μg/mL에서 13.78±1.84μM, 50μg/mL에서 12.56±1.07μM, 100μg/mL에서 9.78±0.51μM, 250μg/mL에서 7.11±0.51μM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 및 도 12를 보면, 48시간 경과 후 실험군별 NO의 함량은 전처리 실험군이 233 내지 256%, 후처리 실험군이 226 내지 244%로 LPS만을 처리한 시험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00%농도의 발효주정을 이용한 메뚜기 추출물(실시예 3)은 LPS에 의해 NO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데 유효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3) 염증성 시토카인(cytokine) 함량
실시예 3의 시토카인 생성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Raw 264.7 macrophage를 24-well plate 에 3×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LPS와 실시예 3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시간동안 배양한 뒤 각 well에 LPS를 1㎍/mL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상층액을 취하고 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3과 같다.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의 TNF-α 생성량은 24시간 경과시 약 680pg/mL, 48시간 경과시 약 955pg/mL로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193pg/mL와 245pg/mL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3을 처리한 실험군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TNF-α의 생성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 농도인 250㎍/mL에서 실시예 3 전처리군은 24시간 경과시 569.40±3.67pg/mL, 48시간 경과시 921.09±0.83pg/mL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후처리군은 24시간 경과시 576.11±1.57pg/mL, 48시간 경과시 871.59±9.59pg/mL으로 LPS만을 처리한 실험군과 비교하여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00%농도의 발효주정을 이용한 메뚜기 추출물(실시예 3)은 LPS에 의한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감소시켜 면역과민반응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10)

  1. 로스팅한 후 분쇄하여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뚜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메뚜기를 95 내지 105℃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및
    로스팅된 메뚜기를 100 내지 200㎛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효주정은,
    30 내지 100%농도의 발효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메뚜기 분말에 5 내지 20배의 발효주정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30 내지 80℃에서 12 내지 2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뚜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후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메뚜기 추출물과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블랙커먼시드를 로스팅하는 단계;
    로스팅된 블랙커먼시드를 압착하여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메뚜기 추출물에 블랙커먼시드 추출물을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로스팅한 후 분쇄된 메뚜기 분말에 발효주정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된 메뚜기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한 후 분쇄된 메뚜기 분말은,
    95 내지 105℃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로스팅되며,
    상기 발효주정은,
    30 내지 100%농도의 발효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9. 제8항의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0. 제8항의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KR1020180084974A 2018-07-20 2018-07-20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KR10205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74A KR102050287B1 (ko) 2018-07-20 2018-07-20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74A KR102050287B1 (ko) 2018-07-20 2018-07-20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287B1 true KR102050287B1 (ko) 2019-11-29

Family

ID=6872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74A KR102050287B1 (ko) 2018-07-20 2018-07-20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2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810B1 (ko) * 2010-10-08 2011-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용 비분해성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3014A (ko) * 2013-06-05 2014-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1880A (ko) * 2014-06-27 2016-01-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염증 활성을 갖는 벼메뚜기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810B1 (ko) * 2010-10-08 2011-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용 비분해성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3014A (ko) * 2013-06-05 2014-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1880A (ko) * 2014-06-27 2016-01-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염증 활성을 갖는 벼메뚜기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mov et al. Improvement of antioxidant potential of wheat flours and breads by addition of medicinal plants
KR20200094392A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102139951B1 (ko)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Chen et al.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tochemical profile of different teas with rela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ies
Ma et al. Effects of anaerobic fermentation on black garlic extract by lactobacillus: Changes in flavor and functional components
JP2006246752A (ja) 健康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健康食品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101547896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귀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귀리 된장
JPWO2019009437A1 (ja) 自然発がん予防剤
KR102050287B1 (ko) 메뚜기 분말을 이용한 피부가려움증 경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사료
KR101985666B1 (ko) 노니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니청 제조방법
KR102151573B1 (ko) 허브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3393B1 (ko) 발효 차가버섯 분말과 죽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1962766B1 (ko) 여주 액상 차의 고미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미 개선 여주 액상 차의 제조방법
Boateng et al. Combinative effect of pulsed-light irradiation and solid-state fermentation on ginkgolic acids, ginkgols, ginkgolides, bilobalide, flavonoids, product quality and sensory assessment of Ginkgo biloba dark tea
KR101815234B1 (ko) 장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dife et al. Development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spice-mix seasonings from functional leaves of Utazi (Gongronema latifolium), Uda (Xylopia aethiopica), Nchanwu (Ocimum gratissimum) and Uziza (Piper guineense)
KR102020931B1 (ko) 식용곤충을 함유하는 기능성 건강 스프의 제조방법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815231B1 (ko)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2070A (ko)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양파초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4782B1 (ko) 맛과 향이 보존된 마늘죽염 또는 마늘소금 복합조미소재의제조방법
JP2860494B2 (ja) 老化制御即席粉末茶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947889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
CN104431073A (zh) 一种保健绿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