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11B1 -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 Google Patents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11B1
KR102049511B1 KR1020170134827A KR20170134827A KR102049511B1 KR 102049511 B1 KR102049511 B1 KR 102049511B1 KR 1020170134827 A KR1020170134827 A KR 1020170134827A KR 20170134827 A KR20170134827 A KR 20170134827A KR 102049511 B1 KR102049511 B1 KR 10204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rt button
case
housing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028A (ko
Inventor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이소라
주식회사 코리아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라, 주식회사 코리아컨스텍 filed Critical 이소라
Priority to KR102017013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11B1/ko
Priority to US16/757,204 priority patent/US20210134541A1/en
Priority to PCT/KR2018/009542 priority patent/WO2019078468A1/ko
Publication of KR2019004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hap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8Axially displace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Backlit symb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5Illumination of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5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ata [RF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2Light conductor only an illuminated ring around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시동버튼으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 형성된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로고, 문자, 상표, 사진, 그림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측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로 이루어지는 시동버튼과; 상기 시동버튼의 상기 시동버튼의 주변에 위치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하고, 상기 시동버튼와의 사이에 자속 누설로를 형성하여 상기 자기력선이 상기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력선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장식부를 구비하여 외적인 수려함을 추구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를 고품격으로 격상시켜 제품에 소비자의 다양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스마트키에 내장 되어 있는 단파대(High Frequency) RFID 통신 칩이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해 구동이 안될 때 스마트키에 내장되어진 금속키(VALET KEY)를 꺼내어 수동으로 차량 문을 열고 스마트키를 차량 시동 버튼에 접촉하여 누르게 되면 차량 키 박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Low Frequency) RFID 무선통신기기(리더기)에서 자속을 발생시켜 스마트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역(125kHz, 134kHz) 칩의 정보를 읽어 보안인증을 함으로써 엔진 가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STARTING BUTTON AND ENGINE START AND STOP SWITCH HAVING STARTING BUTTON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장식부를 구비하여 외적인 수려함을 추구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를 고품격으로 격상시킬 수 있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전자태그',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또는 '무선식별' 등으로 불린다.
최근의 RFID 기술은 대중 교통 요금징수 시스템으로도 사용되며 앞으로 그 활용 범위가 유통 분야뿐만 아니라 동물 추적장치, 자동차 안전장치, 개인 출입 및 접근 허가장치, 전자요금 징수 장치, 생산관리 등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카드 안에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사물에 붙일 수 있는 태그(Tag)에 고유한 정보를 입력하고, 리더(Reader)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읽는다.
상기 RFID 카드에 의한 정보 독출은 비접촉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RFID 카드는 태그에 내장되어 있거나 외장되어 있는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코일의 인덕턴스의 공진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로 설정하여 리더가 태그안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RFID 카드는 금속성 물질로 인한 자기선속 차단 및 전자기장 반사로 인한 상기 RFID 카드의 태그 유도전압 감쇄로 공진 주파수는 변경되어 리더가 태그안의 정보를 독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RFID 카드설계시 상기 자기선속 차단 및 전자기장 반사로 인한 태그의 유도전압 감쇄를 고려하여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지만, 실생활에서 자기선속 차단, 전자기장 반사 또는 다른 전자파의 영향은 시시각각 변동될 수 있으므로 리더의 정확한 정보 독출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대중 교통이용자가 교통카드를 담배갑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사용시 답배갑의 은박지는 금속성 물질로서 자기선속차단 및 전자기장 반사로 인한 태그 유도전압을 감쇄시켜 리더가 상기 교통카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RFID 통신은 금속으로 커버링이 되어 있을 경우 금속표면에서 발생하는 와상전류(Eddy Current)가 자속을 발생시켜서 교번자속의 흐름을 방해시킴으로 인해 정보해독이 불가능해지거나 해독범위가 축소되어 통신장애를 유발, 원활한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RFID 통신 기술을 차량의 스마트키에 적용하여 차량의 시동 여부를 제어할 경우에 통신장애가 없이 원활한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경우에 차량의 내부 일측에 부착되어 누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동버튼의 경우에 단순하게 합성수지 재질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 외에도 차량 운전자의 시동스위치에 대한 여러 형상 및 재질감에서 오는 감수성 다변화 등 다양한 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동버튼 자체의 외적인 수려함을 도모하여 품격을 격상시킴으로써 디자인과 소비자 감수성을 고급화할 수 있는 시동버튼의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장식부를 구비하여 외적인 수려함을 추구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를 고품격으로 격상시킬 수 있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동버튼은,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시동버튼으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 형성된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로고, 문자, 상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동버튼은,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시동버튼으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 형성된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로고, 문자, 상표, 사진, 그림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측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통하여 상기 장식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조명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장식부 주연부의 상기 케이스의 저부면 내측에 고정 배치되어 발광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장식부 주연부의 상기 케이스의 저부면 외측에 고정 배치되어 발광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부는 상기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면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은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시에 확산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이 가장자리보다 두껍도록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은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시에 산란될 수 있도록 불규칙하게 절삭 가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은 판면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차량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과 연동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시동버튼과; 상기 시동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의 주변에 위치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하고, 상기 시동버튼와의 사이에 자속 누설로를 형성하여 상기 자기력선이 상기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RFID)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코일로 구성된 자기력선 발생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이 반복적으로 권취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형성하는 직경은 상기 장식부가 형성하는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권취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을 따라 2 cm 이내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은 125 kHz 내지 134 kHz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장식부를 구비하여 외적인 수려함을 추구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를 고품격으로 격상시켜 제품에 소비자의 다양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스마트키에 내장 되어 있는 단파대(High Frequency) RFID 통신 칩이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해 구동이 안될 때 스마트키에 내장되어진 금속키(VALET KEY)를 꺼내어 수동으로 차량 문을 열고 스마트키를 차량 시동 버튼에 접촉하여 누르게 되면 차량 키 박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Low Frequency) RFID 무선통신기기(리더기)에서 자속을 발생시켜 스마트키 안에 내장되어진 장파대역(125kHz, 134kHz) 칩의 정보를 읽어 보안인증을 함으로써 엔진 가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차량 엔진의 구동여부에 따라 차량용 시동스위치에 구비된 진동자로부터 진동이 발생되도록 차량의 엔진과 상기 진동자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걸림을 명확히 인식하도록 하여 중복적인 시동버튼의 누름동작으로 의도하지 않게 차량의 시동이 꺼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동버튼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차량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차량 엔진이 초기 구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누름 동작되는 시동스위치와 보안인증을 진행하는 리더기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설계시에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자속누설로를 통하여 자기력선이 외부로 인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자속누설로를 통하여 자기력선이 외부로 인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은,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시동버튼(100)으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이(111) 마련된 케이스(110)과;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형성된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12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며 로고, 문자, 상표, 사진, 그림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10) 측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10)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111)이 마련된 납작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수용공간(111)에는 장식부(130)가 수용되도록 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재(120)를 상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시동버튼 자체의 외형을 수려하게 함으로써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용공간(1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장식부(130) 자체가 움직임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경우에는 수용공간(111)의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중앙 영역이 하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도록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120)는 개구 형성된 케이스(110)의 상면에 체결되어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장식부(130)를 보호함과 동시에 재질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차량 탑승자가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장식부(13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20)의 상면은 후술할 조명부(15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시에 확산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이 가장자리보다 두껍도록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의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면의 중앙 영역이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형성되면 조명부(15)에서 발생되는 빛이 커버부재(120)의 외부로 확산될 수 있게 때문에 탑승자가 장식부(130)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심미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20)의 상면은 후술할 조명부(15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시에 산란될 수 있도록 불규칙하게 절삭 가공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120)의 상면이 불규칙하게 절삭 가공된 경우에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면서 산란되기 때문에 시동버튼(100)의 전면이 반짝반짝 빛나도록 하여 탑승자의 이목을 끌 수 있도록 하여 심미적인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커버부재(120)를 통하여 장식부(13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조명부(1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명부(150)는 장식부(130) 주연부의 케이스(110)의 저부면 내측에 고정 배치되어 발광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엘이디(151)와, 단수 또는 복수의 엘이디(151)가 부착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엘이디(15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기판(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부(150)는 장식부(130) 주연부의 케이스(110)의 저부면 외측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스(110)의 재질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조명부(150)에서 발생되는 빛이 케이스(11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조명부(150)를 구성하는 엘이디(151)의 경우에 스팟 형상이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어 배치되는 형상뿐만 아니라 엘이디(151) 자체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장식부(130)의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엘이디(151)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또한, 조명부(150)는 상기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면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출입문을 개방하면 조명부(150)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운전자를 맞이하는 느낌을 운전자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조명부(15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152)은 판면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시동버튼(100)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부(130)는 로고, 문자, 상표, 사진, 그림 등과 같은 문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을 제조한 회사의 마크, 심볼 등과 조합하여 형성됨으로써 고급 차량 운전자의 자부심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거나 혹은 차량의 시동이 걸릴 경우에 시동버튼(100)의 내부에 배치된 장식부(130) 자체에 움직임을 부여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나 동승자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진동부(140)는 차량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차량의 엔진 구동과 연동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시동버튼(100)을 눌러서 차량의 시동을 걸게 되면 시동버튼(100) 자체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제대로 걸렸음을 촉감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청각적으로 소리(사운드) 효과로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최근에 개발된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차량과 같은 경우에는 시동을 걸어 엔진의 구동이 시작되더라도 소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운전자가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워서 중복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차량 엔진에 무리가 가해지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차량의 시동을 중복하여 걸게 되면 엔진에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100)은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되면 동시에 진동부(140)에 의하여 시동버튼(100)에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의 엔진이 구동됨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중복으로 시동을 걸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량의 엔진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동버튼(100)과; 상기 시동버튼(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하고, 상기 시동버튼(100)와의 사이에 자속 누설로를 형성하여 상기 자기력선이 상기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동버튼(1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시동버튼(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식부(13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RFID 통신기기(리더기)에서 전파방해로 인해 통신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스마트키와 시동버튼(100)에 구비된 장식부(13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장식부(130)를 형성하는 금속의 재질은 오스테나이트계(Austenite, 탄소원소를 녹여 굳힌 감마철) 금속인 SUS, 티타늄, 백동과 기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니켈 등 비자성 금속 및 비철금속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느낌으로 도금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도 있다.
시동버튼(100)의 차량의 내측으로 향하는 일측면에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시동 콘솔 박스와 같은 접속대상물에 삽입되며 시동버튼(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별도의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부(13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장식부(130)는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된 자기력선 발생부(300)로부터 하우징(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2 cm 이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금속면에 자기력선이 접근시에 자계의 변화로 인해 교번자속이 금속과 교차하여 금속표면에 와상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어 교반 자속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장식부(130)가 자기력선 발생부(300)로부터 2 cm이내에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자기력선이 외부로 충분히 인가되어 상기 스마트키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200)은 중앙 영역에 중공(201)이 관통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중공(201)에 삽입 설치된 시동버튼(100)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하우징(200)의 양측 단부 둘레면에는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된 자기력선 발생부(30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링형상의 걸림턱(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된 자기력선 발생부(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자기력선 발생부(3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하우징(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별도의 커넥터(2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코일(310)이 권취되는 하우징(200)의 측면이 형성하는 직경은 장식부(13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 장식부(130)의 폭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기력선 발생부(3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장식부(130)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식부(130)와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상기 자기력선이 원활하게 외부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키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자기력선 발생부(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느다란 코일(310) 형상로 형성되어 걸림턱(210)과 걸림턱(210) 사이의 하우징(200)의 측면에 반복적으로 권취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유도 현상에 의하여 하우징(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자기력선이 길다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가느다란 코일(310) 형상으로 형성된 자기력선 발생부(300)가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되는 회수를 조절함으로써 자기력선 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특징에 따라 코일(310)이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되는 회수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310)로 형성된 자기력선 발생부(300)가 권취된 하우징(200)은 시동버튼(100)이 설치된 위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차량 내부 일측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장식부(13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이러한 장식부(130)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스마트키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하우징(200)이 차량 내부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차량의 센터페시아 일측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전체적인 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터페시아를 설계하는데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속재질로 형성된 장식부(130)로 인하여 자기력선 발생부(300)와 상기 스마트키 사이의 통신이 방해받을 경우에는 시동버튼(100)과 자기력선 발생부(300) 사이에 비결정성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하우징(200)의 전방에는 비결정성합금 시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별도의 사이드커버(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비결정성합금 시트(AMORPHOUS ALLOY SHEET)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결정성합금 시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비결성성합금 시트가 설치되면 자기력선 발생부(3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선의 자속 흐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키와의 보다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는 무선 통신에 기반한 스마트키와 스마트키에 내장된 비상용 금속키(VALET KEY)를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키 내부에는 근거리 전파송수신을 위한 장파(125kHz 내지 134kHz)대 영역과 장거리 전파송수신을 위한 단파(433MHz)대 영역 두 가지의 RFID 칩을 모두 가진 통신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단파대(HIGH FREQUENCY RADIO)는 원거리에서 자동차의 문의 개폐와 트렁크 시동 등을 작동 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말하며, 장파대(LOW FREQUENCY RADIO)는 차내의 비상용 목적으로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RFID 통신에 있어서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은 저주파(LF) 장파대 영역인 125kHz에서 134kHz 영역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는, 자기력선 발생부(3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부터 교류변화하는 전계와 자기력선이 90도 각도의 위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력선이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됨으로써 스마트키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무선 통신에 기반한 스마트키와 스마트키에 내장된 비상용 금속키(VALET KEY)를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키 내부에는 근거리 전파송수신을 위한 장파(125kHz, 134kHz)대 영역과 장거리 전파송수신을 위한 단파(433MHz)대 영역 두 가지의 알에프아이디 칩을 모두 가진 통신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키의 내부에 실장된 장파대 영역인(PASSIVE TYPE / 125kHz 내지 134kHz) 칩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와 암호화 된 통신을 통해서 시동버튼(100)을 이용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키와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사이의 통신 방법은,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구성하는 코일(31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면 자기유도 현상이 의하여 코일(310)이 권취된 하우징(200)의 주연부에 자기력선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력선이 시동버튼(100)과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된 자속누설로를 통하여 차량용 시동스위치의 외부로 인가되게 되고, 이러한 자기력선에 의하여 차량용 시동스위치와 스마트키 사이에 암호화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어 스마트키를 인식함으로써 차량에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시동버튼 110 : 케이스
111 : 수용공간 120 : 커버부재
130 : 장식부 140 : 진동부
150 : 조명부 151 : 엘이디
152 : 회로기판 200 : 하우징
201 : 중공 210 : 걸림턱
220 : 커넥터 300 : 자기력선 발생부
310 : 코일

Claims (16)

  1.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시동버튼(100)으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111)이 마련된 케이스(110)과;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형성된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12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며 로고, 문자, 상표, 사진, 그림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130)를; 포함한 시동버튼(100)과,
    상기 시동버튼(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100)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에 위치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하고, 상기 시동버튼(100)와의 사이에 자속 누설로를 형성하여 상기 자기력선이 상기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코일(310)로 구성된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310)이 반복적으로 권취된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이 형성하는 직경은 상기 장식부(130)가 형성하는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130)는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300)로부터 상기 하우징(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2 cm 이내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버부재(120)를 통하여 상기 장식부(13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조명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면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되며, 상기 커버부재(120)의 상면은 상기 조명부(15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시에 산란될 수 있도록 불규칙하게 절삭 가공되고, 진동부(140)는 차량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과 연동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부(140)는 상기 차량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소리(사운드)가 발생하도록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2. 누름동작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는 시동버튼(100)으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111)이 마련된 케이스(110)과;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형성된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120)와;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며 로고, 문자, 상표, 사진, 그림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10) 측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140)를; 포함한 시동버튼(100)과;
    상기 시동버튼(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시동버튼(100)의 직경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동버튼(100)의 둘레에 위치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자기력선을 형성하고, 상기 시동버튼(100)와의 사이에 자속 누설로를 형성하여 상기 자기력선이 상기 자속 누설로를 통하여 외부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코일(310)로 구성된 자기력선 발생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310)이 반복적으로 권취된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이 형성하는 직경은 상기 장식부(130)가 형성하는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130)는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에 권취된 상기 자기력선 발생부(300)로부터 상기 하우징(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2 cm 이내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버부재(120)를 통하여 상기 장식부(13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조명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면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출입문과 연동되며, 상기 커버부재(120)의 상면은 상기 조명부(15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시에 산란될 수 있도록 불규칙하게 절삭 가공되고, 상기 진동부(140)는 차량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진동을 발생하도록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과 연동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부(140)는 상기 차량 엔진의 시동이 걸리면 소리(사운드)가 발생하도록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장식부(130) 주연부의 상기 케이스(110)의 저부면 내측에 고정 배치되어 발광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엘이디(151)와, 상기 엘이디(151)가 설치되는 회로기판(1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장식부(130) 주연부의 상기 케이스(110)의 저부면 외측에 고정 배치되어 발광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엘이디(151)와, 상기 엘이디(151)가 설치되는 회로기판(1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152)은 판면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방식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은 125 kHz 내지 134 kHz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16. 삭제
KR1020170134827A 2017-10-17 2017-10-17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KR10204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827A KR102049511B1 (ko) 2017-10-17 2017-10-17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US16/757,204 US20210134541A1 (en) 2017-10-17 2018-04-20 Start button and vehicle start switch having same
PCT/KR2018/009542 WO2019078468A1 (ko) 2017-10-17 2018-08-20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827A KR102049511B1 (ko) 2017-10-17 2017-10-17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28A KR20190043028A (ko) 2019-04-25
KR102049511B1 true KR102049511B1 (ko) 2020-01-08

Family

ID=6617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827A KR102049511B1 (ko) 2017-10-17 2017-10-17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34541A1 (ko)
KR (1) KR102049511B1 (ko)
WO (1) WO201907846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94B1 (ko) * 2011-05-02 2012-11-09 김진영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2963B2 (ja) * 1999-10-26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ボタンスイッチ
KR20100058787A (ko) * 2008-11-25 2010-06-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시동 버튼, 그를 이용한 시동 장치 및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 표시 방법
KR20120029534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온도표시모듈 일체형 로터리 노브
KR20160053237A (ko) * 2014-10-31 2016-05-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94B1 (ko) * 2011-05-02 2012-11-09 김진영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8468A1 (ko) 2019-04-25
US20210134541A1 (en) 2021-05-06
KR20190043028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211B1 (ko) 스위치 장치
US20160180212A1 (en) Smart metal card with radio frequency (rf) transmission capability
US8536981B2 (en) Warning system for signaling the presence of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216854B1 (ko)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EP1837809A4 (en) STORAGE CASE FOR INTEGRATED CIRCUIT LABEL
EP3647118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nabled mirrors
KR101347271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발광 장치가 구비된 인조 손톱
CN107710285A (zh) 车辆进入设备及配备有这种设备的车辆装饰部件
JP2015093004A (ja) Rfidタグ組込リング
AU2013292473A1 (en)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CN103353947A (zh) 射频卡防盗刷保护装置
KR102049511B1 (ko) 시동버튼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JP2010077603A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腕時計型無線携帯キー
Roz et al. Using low power transponders and tags for RFID applications
JP2013514571A (ja) 人間/機械対話システム
KR101308947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티커형 발광 장치
JP4768644B2 (ja) 通信端末
JP4037424B2 (ja) 車両用通信装置
JP2007016519A (ja) 車両用通信装置
KR102031229B1 (ko) 절곡형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시동스위치
KR20190000557A (ko) 스틸 커버를 장착한 알에프아이디 차량용 시동스위치
KR101163211B1 (ko) 터치 감응식 발광과 햅틱기능을 갖춘 알에프 전자카드 시스템
JP2007016518A (ja) 車両用通信装置
KR20190000558A (ko) 스틸 커버를 장착한 알에프아이디 차량용 시동스위치
RU1888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кации наличи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по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считывателя смарт-кар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