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83B1 - 범용 전기 수술기 - Google Patents

범용 전기 수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83B1
KR102049483B1 KR1020190095993A KR20190095993A KR102049483B1 KR 102049483 B1 KR102049483 B1 KR 102049483B1 KR 1020190095993 A KR1020190095993 A KR 1020190095993A KR 20190095993 A KR20190095993 A KR 20190095993A KR 102049483 B1 KR102049483 B1 KR 10204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electrode needle
electrode
need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한진
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to KR102019009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83B1/ko
Priority to PCT/KR2020/006315 priority patent/WO20210252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using additional gas becomin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3Trolleys, e.g. c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28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related to intensity or progress of surgic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2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treatment energy directly within the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58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working modes of the main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95Electrodes being detachable from a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전원(RF IN)을 인가받아 고주파 전류을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RF-니들용 핸드피스;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용 핸드피스; 사용자의 피부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대극판이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펄스방식으로 사용자 피부에 인가하는 RF-AC 모듈;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조작패널부; 및 상기 조작패널부에서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선택모드에 맞춰 고주파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RF-니들 기능, RF-AC 기능, 플라즈마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복합적으로 사용 및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고, 수술도구의 교체가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범용 전기 수술기{Universal Electro-surgical device}
본 발명은 범용 전기 수술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RF-니들, RF-AC, 플라즈마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적 사용이 가능한 전기 수술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수술(Electrosurgery)은 고주파(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환자의 조직을 절개(切開), 절제(切除) 및/또는 소작(燒灼) 등을 행하는 수술방법이다.
전극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세포 내 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세포 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조직이 가열된다. 세포 내 온도가 약 60℃에 도달하면 세포 사멸이 일어나고, 60∼99℃로 가열되면 조직의 건조(탈수)와 단백질 응고가 진행되며, 세포 내 온도가 100℃에 도달하면 세포의 체적 팽창 및 기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을 절개 또는 소작하게 된다.
전기수술기는 전기수술발전기(electrosurgical unit) 및 핸드피스를 포함하고, 이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는 단극성(monopolar) 또는 양극성(bipola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수술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978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700532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7003357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전기 수술기는 RF-니들 기능의 전기 수술기, RF-AC 기능의 전기 수술기, 플라즈마 기능의 전기 수술기 등 하나의 기구에 한 가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상의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76730호(등록일 2015.12.0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81683호(등록일 2019.05.1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여 세포조직의 응고에 사용하는 기능과, 고주파전류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공기중의 질소가 이온화되어 생성된 플라즈마를 조직에 전도하는데 전극이 조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열응고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조합된 전기 수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RF-니들 기능, RF-AC 기능, 플라즈마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적 사용이 가능한 전기 수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는 고주파 전원(RF IN)을 인가받아 고주파 전류을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가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RF-니들용 핸드피스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용 핸드피스와, 사용자의 피부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대극판이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펄스방식으로 사용자 피부에 인가하는 RF-AC 모듈;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조작패널부와, 상기 조작패널부에서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선택모드에 맞춰 고주파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는 피부에 접촉되는 전극니들과, 상기 전극니들을 고정시키는 전극니들소켓부와,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전극니들에 접속되는 전극케이블과,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극니들은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니들소켓부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후단부 외면에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에는 인입된 스프링에 고정되어 상기 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리브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고정시키는 록킹홈으로 구성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와 결합된 상기 그립부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상기 그립부 이동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전극니들소켓부가 이동하여 선단부의 직경이 확장되고,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확장된 선단부 내에 상기 전극니들을 끼우고 상기 그립부를 슬리브방향으로 밀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상기 그립부 이동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전극니들소켓부가 이동하여 선단부의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그립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고정돌기가 그립부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리브의 록킹홈에 걸림되고 아울러 상기 직경이 축소된 전극니들소켓부의 선단부가 상기 전극니들을 물어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니들소켓부는 상기 전극니들과 상기 전극케이블이 일직선상에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가 상기 전극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극니들에 직접 전달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에는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와 상기 플라즈마용 핸드피스를 거치시키는 거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부에는 상기 입력수단으로 대기/준비모드, RF POWER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 강도 표시부, 타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는 상기 본체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시키고 하단부에 보조판 및 수납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돕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상기 본체의 고정방식에 따라 교체될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RF-니들 기능, RF-AC 기능, 플라즈마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복합적으로 사용 및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술도구의 교체가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여 세포조직의 응고에 사용하는 기능과, 고주파전류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공기 중의 질소가 이온화되어 생성된 플라즈마를 조직에 전도하는데 전극이 조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열 응고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조합되어 있어 수술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에서 RF-니들용 핸드피스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4의 RF-니들용 핸드피스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RF-니들용 핸드피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의 (a)는 종래 전극니들소켓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니들소켓부의 구조를 도시한 비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에서 조작패널부의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의 제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 기를 거치시키는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의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범용 전기 수술기는 고주파 전원(RF IN)을 인가받아 고주파 전류을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가 내장되는 본체(100)와, 본체에 연결되고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RF-니들용 핸드피스(200)와, 본체에 연결되고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용 핸드피스(300)와, 사용자의 피부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대극판이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와 한 쌍을 이루어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펄스방식으로 사용자 피부에 인가하는 RF-AC 모듈(400)과, 본체에 구비되고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조작패널부(500)와, 조작패널부에서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선택모드에 맞춰 고주파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장되는 고주파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은 상부커버(Upper Cover), 중간커버(Middle Cover), 하부커버(Bottom Cov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 한부분만의 변경으로 하나의 디자인이 아닌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전원스위치(110)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AC 전원입력부(120), 과전류/과전압 인입시 전원차단장치(130), 주전원스위치(140), RF-니들 핸드피스 연결부(150), 플라즈마 핸드피스 연결부(160), 풋스위치(Foot Switch)연결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RF-니들용 핸드피스(200)와 플라즈마용 핸드피스(300)를 거치시키는 거치부(18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RF-니들 핸드피스 연결부(150)에는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RF-니들용 핸드피스(200) 및 대극판이 연결된 RF 2P 케이블이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니들용 핸드피스(200)는 피부에 접촉되는 전극니들(210)과, 전극니들(210)을 물어서 고정시키는 전극니들소켓부(220)와, 전극니들소켓부(220)의 일단에 결합되는 그립부(230)와, 그립부(230) 중앙을 통과하여 전극니들(210)에 접속되는 전극케이블(240)과, 전극니들소켓부(220)의 외측을 커버하는 슬리브(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극니들소켓부(220)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롯(221)이 형성되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직격이 확장되거나 축소되게 구비된다. 즉, 외력이 가해지면 선단부직경이 축소되면서 내부에 삽입되는 전극니들(210)을 물어서 고정시키고,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직경이 확장되면서 전극니들(210)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러한 전극니들소켓부(220)는 후단부가 그립부(230)와 결합되고, 후단부 외면에는 스프링(223)이 인입되는 홀(222)과, 스프링(223)에 결합되어 홀(2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224)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돌기(224)는 스프링(223)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홀(222)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홀(222)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전극니들소켓부(220)의 외측을 커버하는 슬리브(250)는 직경이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갖는다. 또한, 슬리브(250)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251)과, 이동홈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록킹홈(252)으로 구성된 삽입홀(253)이 형성되고, 삽입홀(253)에는 전극니들소켓부(220)에 형성된 고정돌기(224)가 삽입된다. 즉, 전극니들소켓부의 고정돌기(224)는 삽입홈의 이동홈(251)에 위치 시 전극니들소켓부(22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고, 록킹홈(252)에 위치 시 전극니들소켓부(220)가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시킨다.
도 4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니들소켓부(220)의 고정돌기(224)가 삽입홈의 이동홈(251)에 위치되게 한 후 그립부(230)를 후방으로 당기면 고정돌기(224)가 이동홈(251)을 따라 그립부(230) 이동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전극니들소켓부(220)가 이동하여 선단부의 직경이 확장된다. 즉, 전극니들소켓부(2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리브(250) 내면의 단차진 내경에 의해 외력이 제거되면서 슬롯(221)이 형성된 선단부의 직경이 확장되고 이로 인하여 전극니들(210)을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230)를 슬리브(250)방향으로 밀면 고정돌기(224)가 이동홈(251)을 따라 그립부(230) 이동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전극니들소켓부(220)가 전진 이동하여 슬롯(221)이 형성된 선단부의 직경이 축소하게 된다. 즉, 전극니들소켓부(220)의 선단부는 슬리브(250) 내면의 단차진 내경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전극니들(210)을 물어서 고정시킨다. 이때, 전극니들소켓부(220)의 고정돌기(224)는 삽입홈의 이동홈(251)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2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극니들소켓부(220)의 고정돌기(224)가 그립부(23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리브(250)의 록킹홈(252)에 걸림되고 아울러 직경이 축소된 전극니들소켓부(220)의 선단부가 전극니(210)들을 물어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구성된 RF-니들용 핸드피스(200)는 구조가 단순하고 전극니들(210)의 탈착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며, 슬리브(250)나 그립부(230)의 외형 변경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RF-니들용 핸드피스(200)에서 전극니들소켓부(220)는 전극니들(210)과 전극케이블(240)이 일직선상(180°)에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가 전극케이블(240)을 통해 전극니들(210)에 직접 전달되도록 구비된다.(도 6의 (b)참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극니들소켓부(20)는 전극니들(21)과 전극케이블(24)이 수직선상(90°)에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전극케이블(24)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가 전달매체(25)를 통해 수직선상에 결합되는 전극니들(21)로 전달되는 3중 전달방식의 구조 이였다.
이에 반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극니들소켓부(220)는 전극케이블(240)이 전극니들(210)의 일직선상(180ㅀ)에서 결합되고 전극케이블(24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가 전극니들(210)에 직접 전달되는 2중 전달방식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3중 전달방식보다 저항손실을 줄여 일정한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작 공정 시 부품수 및 생산 공정수를 줄이게 되어 원가절감 및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공정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RF-AC 모듈(400)은 생체에 넓은 접촉면적으로 장착되는 대극판(410)과 RF-니들용 핸드피스(메스선 전극으로 불리는 금속제전극)(200)을 쌍으로 하여 고주파 전류를 생체에 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촉저항이 작고 흐르는 전류밀도도가 낮은 대극판 측에서는 열이 발생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접촉저항을 갖고 전류밀도도가 높은 메스선 전극 측에서는 열과 아크 방전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열이 순간적으로 세포를 가열하여 폭발시키고, 절개 및 응고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플라즈마 핸드피스 연결부(160)에는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용 핸드피스(300) 케이블이 연결된다.
플라즈마용 핸드피스(300)는 고주파 전류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공기 중의 질소가 이온화되서 생성된 플라즈마를 피부 조직에 전도하는 것으로서, 전극 탐침자가 피부 조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열 응고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풋스위치(Foot Switch)연결부(170)에는 풋스위치(Foot Switch) 케이블이 연결되고, 풋스위치를 동작시키면 RF 출력된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조작패널부(500)가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패널부(500)는 각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입력수단에는 버튼(button), 다이얼(dial), 터치스크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고, 표시수단에는 액정패널, LED. LCD 등의 시각적 장치와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RF 니들 모드(511), 플라즈마 모드(512), RF-AC 모드(513)를 포함하는 모드선택부(510)와, 대기/준비(Standby/Ready)설정부(520), RF출력(RF-Power)조절부(530)등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수단은 출력강도를 표시하는 출력강도표시부(540), 출력시 작동시간을 나타내는 타임(Time)표시창(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출력 시 표시되는 LED점등 및 부저음(Buzzer)발생부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조작패널부(500)에서 RF 니들 모드(511), 플라즈마 모드(512), RF-AC 모드(513)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선택모드에 맞게 고주파발생부(102)의 출력을 제어한다.
RF 니들 모드(511)가 선택되면 제어부(600)는 고주파발생부(102)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연속적으로 출력하여 RF-니들용 핸드피스(150)에 출력되게 한다.
그리고, 플라즈마 모드(512)가 선택되면 제어부(600)는 고주파발생부(102)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펄스방식으로 출력하여 플라즈마용 핸드피스(300)에 출력되게 하되, 플라즈마용 핸드피스(300)는 피부에 비 접촉된다.
그리고, RF-AC 모드(513)가 선택되면 제어부(600)는 고주파발생부(102)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펄스방식으로 출력하여 RF-AC 모듈(400)에 출력되게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용 전기 수술기는 본체(100)를 지지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는 하는 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700)는 본체(100)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상판(710)과, 상판(710)을 지지시키고 하단부에 보조플레이트(721) 및 수납부(722)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720)과, 지지프레임(7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돕는 캐스터(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판(710)은 본체(100)의 고정방식에 따라 교체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7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720)에 형성되는 수납부(722)는 상판(7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수납부(722)를 형성하는 상면에는 보조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부와 보조플레이트에는 의료용품을 거치하거나 수납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RF-니들 기능, RF-AC 기능, 플라즈마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복합적으로 사용 및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술도구의 교체가 필요 없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여 세포조직의 응고에 사용하는 기능과, 고주파전류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공기 중의 질소가 이온화되어 생성된 플라즈마를 조직에 전도하는데 전극이 조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열 응고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조합되어 있어 수술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2: 고주파발생부
110: 전원스위치 120: AC전원입력부
130: 전원차단장치 140: 주전원스위치
150: RF-니들 핸드피스 연결부 160: 플라즈마 핸드피스 연결부
170: 풋스위치 연결부 180: 거치부
200: RF-니들용 핸드피스 210: 전극니들
220: 전극니들소켓부 221: 슬롯
222: 홀 223: 스프링
224: 고정돌기 230: 그립부
240: 전극케이블 250: 슬리브
251: 이동홈 252: 록킹홈
253: 삽입홀 300: 플라즈마용 핸드피스
400: RF-AC 모듈 410: 대극판
500: 조작패널부 510: 모드선택부
511: RF 니들 모드 512: 플라즈마 모드
513: RF-AC 모드 520: 대기/준비설정부
530: RF출력조절부 540: 출력강도표시부
550: 타임표시창 600: 제어부
700: 카트 710: 상판
720: 지지프레임 721: 보조플레이트
722: 수납부 730: 캐스터

Claims (10)

  1. 고주파 전원(RF IN)을 인가받아 고주파 전류을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RF-니들용 핸드피스;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받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용 핸드피스; 사용자의 피부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대극판이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고주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펄스방식으로 사용자 피부에 인가하는 RF-AC 모듈;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조작패널부; 및 상기 조작패널부에서 RF 니들 모드, RF-AC 모드, 플라즈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선택모드에 맞춰 고주파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는 피부에 접촉되는 전극니들과, 상기 전극니들을 고정시키는 전극니들소켓부와,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전극니들에 접속되는 전극케이블과,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니들은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니들소켓부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후단부 외면에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에는 인입된 스프링에 고정되어 상기 홀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리브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고정시키는 록킹홈으로 구성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와 결합된 상기 그립부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상기 그립부 이동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전극니들소켓부가 이동하여 선단부의 직경이 확장되고,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확장된 선단부 내에 상기 전극니들을 끼우고 상기 그립부를 슬리브방향으로 밀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상기 그립부 이동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전극니들소켓부가 이동하여 선단부의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그립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전극니들소켓부의 고정돌기가 그립부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리브의 록킹홈에 걸림되고 아울러 상기 직경이 축소된 전극니들소켓부의 선단부가 상기 전극니들을 물어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니들소켓부는 상기 전극니들과 상기 전극케이블이 일직선상에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출력되는 고주파 전류가 상기 전극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극니들에 직접 전달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RF-니들용 핸드피스와 상기 플라즈마용 핸드피스를 거치시키는 거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부에는 상기 입력수단으로 대기/준비모드, RF Power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 강도 표시부, 타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지지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는 상기 본체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시키고 하단부에 보조플레이트 및 수납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돕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본체의 고정방식에 따라 교체될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전기 수술기.
KR1020190095993A 2019-08-07 2019-08-07 범용 전기 수술기 KR10204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93A KR102049483B1 (ko) 2019-08-07 2019-08-07 범용 전기 수술기
PCT/KR2020/006315 WO2021025268A1 (ko) 2019-08-07 2020-05-14 범용 전기 수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993A KR102049483B1 (ko) 2019-08-07 2019-08-07 범용 전기 수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483B1 true KR102049483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993A KR102049483B1 (ko) 2019-08-07 2019-08-07 범용 전기 수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483B1 (ko)
WO (1) WO20210252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84B1 (ko) * 2020-05-22 2021-02-10 최성희 전기 수술용 장치
WO2021025268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범용 전기 수술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080A (ja) * 1994-04-12 1995-02-21 Olympus Optical Co Ltd 外科手術装置
KR20060092140A (ko) * 2005-02-17 2006-08-22 리텍 리미티드 조직 치료 시스템
KR20120093650A (ko) *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비젼플러스메디 플라즈마 디스크 치료 장치
KR20130009511A (ko) * 2011-07-15 2013-01-23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50128457A (ko) * 2014-05-09 2015-11-18 전용규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1576730B1 (ko) 2014-03-31 2015-12-10 주식회사 리메드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KR20160102199A (ko) * 2013-12-23 2016-08-29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전자기 에너지 및/또는 열 플라즈마를 생물학적 조직 내에 전달하는 능력이 있는 외과수술용 스네어
KR101814109B1 (ko) * 2016-07-04 2018-01-02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20180123005A (ko) * 2016-03-04 2018-11-14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다중 처리 모드들을 가진 전기외과적 기구
KR101981683B1 (ko) 2018-01-18 2019-05-23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83B1 (ko) * 2019-08-07 2019-11-27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범용 전기 수술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080A (ja) * 1994-04-12 1995-02-21 Olympus Optical Co Ltd 外科手術装置
KR20060092140A (ko) * 2005-02-17 2006-08-22 리텍 리미티드 조직 치료 시스템
KR20120093650A (ko) *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비젼플러스메디 플라즈마 디스크 치료 장치
KR20130009511A (ko) * 2011-07-15 2013-01-23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60102199A (ko) * 2013-12-23 2016-08-29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전자기 에너지 및/또는 열 플라즈마를 생물학적 조직 내에 전달하는 능력이 있는 외과수술용 스네어
KR101576730B1 (ko) 2014-03-31 2015-12-10 주식회사 리메드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KR20150128457A (ko) * 2014-05-09 2015-11-18 전용규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20180123005A (ko) * 2016-03-04 2018-11-14 크리오 메디컬 리미티드 다중 처리 모드들을 가진 전기외과적 기구
KR101814109B1 (ko) * 2016-07-04 2018-01-02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101981683B1 (ko) 2018-01-18 2019-05-23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68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범용 전기 수술기
KR102215284B1 (ko) * 2020-05-22 2021-02-10 최성희 전기 수술용 장치
WO2021235862A1 (ko) * 2020-05-22 2021-11-25 최성희 전기 수술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268A1 (ko)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228B2 (en) RF output stage switching mechanism
US7255696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7322975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004319A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984231B2 (en) Electrosurgical system
US5944715A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102049483B1 (ko) 범용 전기 수술기
JP5785957B2 (ja) 電気外科用器具およびシステム
US11540870B2 (en) Ultrapolar electrosurgery blade assembly and ultrapolar electrosurgery pencil with argon beam capability
JP2023011748A (ja) 動的漏洩電流補償および動的rf片長を含む電気手術装置
AU2011209570B2 (en) Electrosurgical system
JP4249070B2 (ja) 電気メス装置
AU2011209579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CN103596514B (zh) 电外科系统
CN110121305A (zh) 用于电外科系统的附件
JPH05184589A (ja) 電気手術器
CN214761433U (zh) 一种双电极射频治疗仪的输入切换电路
JP2022152469A (ja) 焼灼装置
US20210393313A1 (en) Universal surgical footswitch toggling
CN117958950A (zh) 一种等离子射频消融电极及其系统
WO2017094063A1 (ja) 手術システム、手術器具、手術器具の制御方法、及び手術器具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4000398A (ja) 電気手術用高周波電源及び電気手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