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30B1 -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730B1
KR101576730B1 KR1020140037680A KR20140037680A KR101576730B1 KR 101576730 B1 KR101576730 B1 KR 101576730B1 KR 1020140037680 A KR1020140037680 A KR 1020140037680A KR 20140037680 A KR20140037680 A KR 20140037680A KR 101576730 B1 KR101576730 B1 KR 10157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moke
disposed
tip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556A (ko
Inventor
이상용
주규태
윤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메드
주식회사 아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메드, 주식회사 아케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메드
Priority to KR102014003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7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펜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환부(P)를 절개하는 절개팁(120);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서 상기 절개팁(120)에 근접 배치되어 절개팁(120)이 환부(P)를 절개하여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30);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40); 및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팁(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체결되며,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발생된 연기가 상기 흡입구(1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150);을 포함하는 핸드피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Handpiece For Electrical Surgical Apparatus And, Electrical Surgical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기 위한 절개수단과 상기 환부를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개선된 수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수술 기기는 고주파 전원이 절개팁에 인가되면서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고열을 이용하여 수술부위의 환부를 국소적으로 절개하며 동시에 절개부위의 표피 안쪽을 태워 봉합하는 시술장비로서, 메스를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출혈이 적고 지혈 효과로 인해 시술후 회복속도가 빨라 외과 시술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전기수술 기기는 절개팁의 고열로 환부를 태워 절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환부 절개시 피부가 타면서 필연적으로 연기가 발생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연기로 인한 악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기흡입 장치가 함께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기흡입 장치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기수술 기기를 조작하는 시술자 이외에 상기 연기흡입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시술자가 필요하게 되어 시술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연기를 적절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를 환부에 근접 배치함에 따라 시술부위가 흡입구에 의해 가려지면서 시술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기흡입 장치의 경우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를 배출하는 중에 장치의 케이스가 조립된 조립부위의 틈새로 연기가 누출되면서 수술장 내에 연기가 확산되어 악취로 인해 수술환경이 열악해지고 시술자의 손에 연기의 악취가 베어 불괘감을 느낄수 있었으며, 연기는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전기수술 기기를 조작하는 시술자 등에게 건강상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많았다.
더욱이, 상기 조립부위의 틈새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력이 저하되며 저하된 흡인력을 보강하기 위해 흡입출력을 증가시키게 되면, 케이스의 내부를 유동하는 흡입기류와 케이스의 내부부재가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커질 뿐만 아니라 고출력으로 동작되는 진공펌프의 구동소음으로 인해 시술에 필요한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9524호(2013.01.29), 개선된 성능을 갖는 전기 수술 기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기 위한 절개수단과 상기 환부를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개선된 수술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부품의 조립부위를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환부가 절개되면서 발생된 연기가 수술장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인력을 증대시키며 흡인구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는,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펜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환부(P)를 절개하는 절개팁(120);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서 상기 절개팁(120)에 근접 배치되어 절개팁(120)이 환부(P)를 절개하여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30);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40); 및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팁(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체결되며,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발생된 연기가 상기 흡입구(1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둘레에 끼워지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각 케이스부품(111,112)의 조립부위(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연기차단튜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직관형으로 형성되되, 플렉시블한 열수축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열됨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형상에 따라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각 흡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나선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130)로 흡입되는 스월기류(S)를 형성하는 스월흡입관로(17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는,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펜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환부(P)를 절개하기 위한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는 절개팁(120)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서 상기 절개팁(120)에 근접 배치되어 절개팁(120)이 환부(P)를 절개하여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40) 및,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팁(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체결되며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발생된 연기가 상기 흡입구(1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150)을 포함하는 핸드피스(100); 및 상기 핸드피스(100)와 전원케이블(210)로 연결되어 상기 절개팁(120)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와, 상기 배출구(140)와 에어튜브(230)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류를 형성하는 진공펌프부(240)와, 상기 진공펌프부(240)에 의해 내부로 흡입된 연기를 정화하는 필터부(250) 및, 상기 전원공급부(220)와 진공펌프부(24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제어콘솔(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피스(10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둘레에 끼워지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각 케이스부품(111,112)의 조립부위(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연기차단튜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직관형으로 형성되되, 플렉시블한 열수축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열됨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형상에 밀착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각 흡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나선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130)로 흡입되는 스월기류(S)를 형성하는 스월흡입관로(17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콘솔(200)은, 상기 환부(P)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드피스(100)의 절개팁(120)과 대향하여 상기 환부(P)의 저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절개팁(120)의 전원이 환부(P)에 인가되도록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290)가 구비되는 모노폴라(monopolar) 모드; 및 상기 핸드피스(100)에는 환부(P)를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콘솔(200)로부터 양극의 전류를 공급받아 환부(P)에 인가하는 하나의 절개팁(120a)과 다시 전류가 상기 제어콘솔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는 또 다른 절개팁(120b)이 구비되는 바이폴라(bipol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에 의하면,
첫째,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기 위한 절개수단과 상기 환부를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상기 흡입수단에 의해 시술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연기흡입 장치를 별도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시술자가 불필요하므로 시술에 필요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의 일측에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팁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어 흡입되는 연기가 흡입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이 배치되므로, 환부 절개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케이스의 둘레에는 케이스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각 케이스부품의 조립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연기차단튜브가 배치되므로, 조립부위로 누출되는 연기가 수술장 내에서 확산되어 연기의 악취가 사용자의 손에 베는 것이나 연기 흡입으로 인한 시술자의 건강상 위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기가 조립부위를 통해서 누출되면서 연기를 빨아들이는 공압의 힘이 약해져서 불필요하게 진공펌프의 출력을 높여야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조립부위가 상기 연기차단튜브에 의해 완전히 밀폐됨에 따라 케이스가 밀폐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으로 진공펌프부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진공펌프부의 출력 대비 흡인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진공펌프부를 고출력으로 구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소음과, 케이스의 내부를 유동하는 흡입기류와 케이스의 내부부재가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소음에 의해 시술자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연기차단튜브는 케이스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직관형으로 형성되되, 플렉시블한 열수축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열됨에 따라 수축되어 케이스의 외부형상에 따라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기차단튜브를 케이스의 둘레에 체결시키기 위한 공정이 간소해질 수 있다.
다섯째, 상기 흡입구는 케이스의 일측 상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는 각 흡입구와 연통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서 나선형태로 연장형성된 스월흡입관로를 통해, 케이스의 일측 전방에 회전하며 흡입구로 흡입되는 스월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흡입력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주변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흡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차단튜브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개팁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월흡입관로의 구성 및 기능을 나타낸 측면도 및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는, 전원을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기 위한 절개수단과 상기 환부를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하나의 케이스(110)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개선된 수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외과용 시술장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100)와 제어콘솔(2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핸드피스(100)는 수술부위의 환부(P, 도 4 참고)를 절개하고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장치로서, 케이스(110), 절개팁(120), 흡입구(130), 배출구(140) 및 가이드관(15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핸드피스(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로서,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조립되어 형성되며, 시술자가 한 손에 쥐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펜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2) 등 2개의 부품이 조립되어 케이스(110)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10)의 세부 형상 및 외부에 장착되는 구성품에 따라 3개 이상의 사출 등을 통해서 생산된 부품이 조립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절개팁(120)은, 팁형태로 형성되어 제어콘솔(200)의 전원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재로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수술부위와 접촉되면서 발열된 고열로 환부(P)를 국소적으로 절개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팁(12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후단부분이 케이스(110)의 타측에 마련된 전원선(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선(190)은 제어콘솔(200)의 전원케이블(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제어콘솔(200)의 전원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을 인가받는다.
또한, 상기 절개팁(120)은 발열된 고열이 환부(P)에 국소적으로 가해지도록 단부가 뾰족한 팁(Tip)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부(P)를 정교하게 라인 형태로 절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30)는, 연기를 흡입하는 입구부재로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서 절개팁(120)에 근접 배치되어 절개팁(120)이 환부(P)를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한다.
상기 배출구(140)는, 흡입된 연기를 제어콘솔(2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재로서,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흡입구(130)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40)는 제어콘솔(200)의 진공펌프부(240)와 연결된 에어튜브(230)가 체결되면서 상기 제어콘솔(200)의 내부로 흡입된 연기가 배출된다.
상기 가이드관(150)은, 흡입구(130)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연기가 유입되도록 연기의 흡입을 유도하는 관부재로서,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팁(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체결되며,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발생된 연기가 흡입구(1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150)의 타측은 케이스(110)의 일측 둘레와 대응되는 내경으로 구비되어, 케이스(1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에는 절개팁(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조작하거나 전원의 인가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핸드피스 조작부(180)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 조작부(180)를 통해 흡입구(130)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기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핸드피스(100)는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펜형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각 케이스부품(111,112)의 조립부위(A)를 통해 흡입구(130)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가 누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00)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연기차단튜브(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둘레에 끼워지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각 케이스부품(111,112)의 조립부위(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연기차단튜브(160)의 외부에서 핸드피스 조작부(180)를 가압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기차단튜브(160)의 구성을 통해 각케이스(110)의 조립부위(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가 수술장 내에서 확산되거나 사용자의 손에 연기의 악취가 베는 것이나 연기 흡입으로 인한 시술자의 건강상 위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조립부위(A)를 통해 연기가 누출되면서 상기 연기를 빨아들이는 공압의 힘이 약해져서 불필요하게 진공펌프부(240)의 출력을 높여야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불어, 조립부위(A)가 연기차단튜브(16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됨에 따라 케이스(110)가 밀폐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으로 진공펌프부(240)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진공펌프부(240)의 출력 대비 흡인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진공펌프부(240)를 고출력으로 구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소음과, 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흡입기류와 케이스(110)의 내부부재가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소음에 의해 시술자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차단튜브(160)는 케이스(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직관형으로 형성되되, 열수축 재질로 이루어져 케이스(1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열됨에 따라 수축되어 케이스(110)의 외부형상에 따라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를 케이스(110)의 둘레에 체결시키기 위한 공정이 간소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00)는, 흡입구(130)의 주변에 흡입되는 스월기류(S)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주변 공기가 흡입구(130)로 흡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30)는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각 흡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케이스(110) 내에서 나선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130)로 흡입되는 스월기류(S)를 형성하는 스월흡입관로(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월흡입관로(170)에 의한 스월기류(S)를 통해 동일한 흡입력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주변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구(130)에 의한 흡입력이 전방으로 작용하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어 흡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콘솔(200)은, 핸드피스(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로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220), 진공펌프부(240), 필터부(250) 및 제어콘솔(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20)는, 핸드피스(100)와 전원케이블(210)로 연결되어 환부(P)를 절개하기 위한 고주파 전원을 절개팁(120)에 공급하며, 제어부(2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절개팁(120)에 의해 환부(P)가 절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진공펌프부(240)는, 핸드피스(100)의 흡입구(130) 및 배출구(140)를 통해 제어콘솔(200)의 내부로 절개팁(120) 주변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압펌프로서, 상기 배출구(140)와 에어튜브(230)로 연결되어 흡입구(130)를 통해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류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부(250)는, 제어콘솔(2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연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부재이며, 정화된 공기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콘솔(20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어부(260)는, 사용자 입력신호 또는 프로그래밍된 설정사항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220)와 진공펌프부(240)를 구동제어하여 전기수술 기기의 동작을 구현시키는 마이컴으로서 제어콘솔(200)의 내부에 회로구성되어 실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콘솔(200)에는 제어콘솔(20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콘솔조작부(280)가 배치되어 핸드피스(100)의 절개팁(120)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또는 전압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환부(P)가 절개되는 정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콘솔(200)에는 각종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화면창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70)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70)에 터치패널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콘솔조작부(280)를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콘솔(200)에서는, 상기 환부(P)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드피스(100)의 절개팁(120)과 대향하여 상기 환부(P)의 저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어콘솔(200)과 전원케이블(291)로 전원을 공급받아 절개팁(120)의 전원이 환부(P)에 인가되도록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2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을 모노폴라(monopolar) 모드라고 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콘솔(200)에서는, 상기 핸드피스(100)에는 환부(P)를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콘솔(200)로부터 양극의 전류를 공급받아 환부(P)에 인가하는 하나의 절개팁(120a)과 다시 전류가 상기 제어콘솔(20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는 또 다른 절개팁(12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을 바이폴라(bipolar) 모드라고 하며, 이 경우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290)는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하고자 하는 환부(P)의 하부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290)를 접촉되게 배치하고, 핸드피스(100)의 절개팁(120)을 절개부위에 접촉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어콘솔(200)로부터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290)에는 음극의 그라운드 전위가 공급되고 절개팁(120)에는 양극의 전위가 공급되면, 전류가 인체 표면을 타고 돌아나가면서(표면 효과) 그라운드 플레이트(290)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면적이 협소한 절개팁(120)은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면서 고열을 발산하게 된다. 또한, 시술자가 핸드피스(100)를 손에 쥐고 환부(P)에 절개팁(120)을 접촉하는 시술동작에 의해 절개팁(120)의 고열로 환부(P)에는 국소적인 절개가 이루어지며 동시에 절개부위의 표피 안쪽이 가열되면서 봉합된다.
또한, 진공펌프부(240)가 흡입구동하면 에어튜브(230), 배출구(140), 케이스(110) 내부 및 흡입구(130)를 연하여 흡입구(130)에서 제어콘솔(200)을 향하는 흡입기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팁(120)에 의해 환부(P)가 절개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는 가이드관(150)을 통해 가이드관(15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흡입구(130)로 향하도록 안내되며, 흡입구(130)를 통해 유입된 연기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거쳐 배출구(140) 및 에어튜브(230)를 통해 제어콘솔(200)의 내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콘솔(20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는 필터부(250)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악취성분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가 제어콘솔(200)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핸드피스(100)의 핸드피스 조작부(180)를 조작하면서 환부(P)에 전원이 인가되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콘솔(200)의 콘솔조작부(280)를 조작하면서 절개팁(120)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및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환부(P)가 절개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 기기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여 환부를 절개하기 위한 절개수단과 상기 환부를 절개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하나의 케이스(110)에 일체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수단에 의해 시술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연기흡입 장치를 별도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시술자가 불필요하므로 시술에 필요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핸드피스 110...케이스
111,112...케이스부품 120...절개팁
130...흡입구 140...배출구
150...가이드관 160...연기차단튜브
170...스월흡입관로 200...제어콘솔
210...전원케이블 220...전원공급부
230...에어튜브 240...진공펌프부
250...필터부 260...제어부
A...조립부위 P...환부

Claims (9)

  1.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펜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환부(P)를 절개하는 절개팁(120);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서 상기 절개팁(120)에 근접 배치되어 절개팁(120)이 환부(P)를 절개하여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30);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40); 및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팁(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체결되며,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발생된 연기가 상기 흡입구(1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150);을 포함하며,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둘레에 끼워지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각 케이스부품(111,112)의 조립부위(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연기차단튜브(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직관형으로 형성되되, 플렉시블한 열수축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열됨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형상에 따라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각 흡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나선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130)로 흡입되는 스월기류(S)를 형성하는 스월흡입관로(17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5. 복수 개의 케이스부품(111,112)이 펜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환부(P)를 절개하기 위한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는 절개팁(120)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서 상기 절개팁(120)에 근접 배치되어 절개팁(120)이 환부(P)를 절개하여 발생되는 연기를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40) 및,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팁(1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끼워져 체결되며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발생된 연기가 상기 흡입구(13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관(150)을 포함하는 핸드피스(100); 및
    상기 핸드피스(100)와 전원케이블(210)로 연결되어 상기 절개팁(120)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와, 상기 배출구(140)와 에어튜브(230)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류를 형성하는 진공펌프부(240)와, 상기 진공펌프부(240)에 의해 내부로 흡입된 연기를 정화하는 필터부(250) 및, 상기 전원공급부(220)와 진공펌프부(24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제어콘솔(20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10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둘레에 끼워지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각 케이스부품(111,112)의 조립부위(A)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연기차단튜브(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기차단튜브(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직관형으로 형성되되, 플렉시블한 열수축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열됨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형상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 기기.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상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각 흡입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나선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회전하며 상기 흡입구(130)로 흡입되는 스월기류(S)를 형성하는 스월흡입관로(17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 기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콘솔(200)은,
    상기 환부(P)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드피스(100)의 절개팁(120)과 대향하여 상기 환부(P)의 저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절개팁(120)의 전원이 환부(P)에 인가되도록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290)가 구비되는 모노폴라(monopolar) 모드; 및
    상기 핸드피스(100)에는 환부(P)를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콘솔(200)로부터 양극의 전류를 공급받아 환부(P)에 인가하는 하나의 절개팁(120a)과 다시 전류가 상기 제어콘솔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전위를 형성하는 또 다른 절개팁(120b)이 구비되는 바이폴라(bipolar)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 기기.
KR1020140037680A 2014-03-31 2014-03-31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KR10157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680A KR101576730B1 (ko) 2014-03-31 2014-03-31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680A KR101576730B1 (ko) 2014-03-31 2014-03-31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556A KR20150113556A (ko) 2015-10-08
KR101576730B1 true KR101576730B1 (ko) 2015-12-10

Family

ID=5434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680A KR101576730B1 (ko) 2014-03-31 2014-03-31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83B1 (ko) 2018-01-18 2019-05-23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KR102049483B1 (ko) 2019-08-07 2019-11-27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범용 전기 수술기
KR20200055535A (ko) 2018-11-13 2020-05-21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KR20210088967A (ko) 2020-01-07 2021-07-15 김태균 전기수술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027B1 (ko) 2015-11-20 2017-11-27 박익로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KR102432751B1 (ko) * 2020-07-30 2022-08-16 최인상 전기 수술용 핸드피이스의 스모그 석션 구조
KR102577647B1 (ko) * 2021-10-28 2023-09-13 주식회사 두리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WO2023145979A1 (ko) * 2022-01-25 2023-08-03 최인상 전기 수술용 모노폴라 핸드피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0462A1 (en) * 2011-06-28 2013-01-03 Safeair Ag An elongat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a switch means for said instrument, and an assembly k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0462A1 (en) * 2011-06-28 2013-01-03 Safeair Ag An elongat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a switch means for said instrument, and an assembly k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83B1 (ko) 2018-01-18 2019-05-23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KR20200055535A (ko) 2018-11-13 2020-05-21 최인상 전기수술기구
KR102049483B1 (ko) 2019-08-07 2019-11-27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범용 전기 수술기
KR20210088967A (ko) 2020-01-07 2021-07-15 김태균 전기수술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556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730B1 (ko)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US10695120B2 (en) Adapter element, HF surgical instrument, adapter attachment and system
US20060052774A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fragmenting, cutting and coagulating tissue
US5242442A (en) Smoke aspirating electrosurgical device
US20220160425A1 (en) Combination electrosurgical and mechanical resection device
KR101297637B1 (ko) 기체의 흡입수단과 분사수단을 모두 구비한 전기소작기
US20220304741A1 (en) Electrosurgical Device with Illumination and Smoke Evacuation Features
TWI726531B (zh) 用於外科手術的具有排物裝置的輔助系統
CN109862841B (zh) 具有氩束能力的超极电外科刀片组件和超极电外科笔
KR20180010488A (ko)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CN113208724B (zh) 一种多功能电刀笔
CN211381734U (zh) 一种吸烟手术刀
US20150157390A1 (en) Hand-held smoke evacuation instrument
CN216876572U (zh) 一种多功能电刀笔
KR20220051814A (ko) 전기수술 기구, 전기수술 장치 및 전기수술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586813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KR102594598B1 (ko) 필터 모듈 내장형 의료 기기
CN204708983U (zh) 一种吸烟电刀
KR100419102B1 (ko) 전기 수술장치
KR20230099379A (ko) 필터 내장형 기체 흡입 구조의 수술 기기
KR102577647B1 (ko)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US20230138559A1 (en) Multifunctional surgical instrument
EA043322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JPH10216139A (ja) 吸引および脱臭機能付き医療用外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