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647B1 -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 Google Patents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647B1
KR102577647B1 KR1020210145571A KR20210145571A KR102577647B1 KR 102577647 B1 KR102577647 B1 KR 102577647B1 KR 1020210145571 A KR1020210145571 A KR 1020210145571A KR 20210145571 A KR20210145571 A KR 20210145571A KR 102577647 B1 KR102577647 B1 KR 10257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ip
housing
smoke
suction
electro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884A (ko
Inventor
박찬우
조석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리엔
Priority to KR102021014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은, 전기수술기의 전극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전극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석션가이드; 석션가이드에 연결되어 연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흡입튜브; 및 흡입튜브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SMOKE SUCTION UNIT FOR ELECTROSURGICAL PENCIL}
본 발명은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수술 중에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기수술기는 고주파 전류가 인체를 통과할 때 근육에 전기충격이나 자극 없이 짧은 스파크나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생체조직을 절개하거나 출혈부위를 지혈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기이다.
전기수술기를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생체조직에서 연기가 발생하며, 상기한 연기에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가스로 벤젠(benzene)과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와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등의 유해 화학물질과, 바이오에어로졸(bioaerosols)과 혈액조직 등을 포함한 살아있거나 죽은 세포조직과, 바이러스 등이 존재한다. 벤젠(benzene),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등의 유해 화학물질은 발암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고농도의 유해가스는 수술장에서 근무하는 의료진의 안구와 호흡기를 자극하며, 특히 수술을 집도하는 외과의사의 시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유해가스는 직접 수술하는 수술자는 물론이고 수술장에서 근무하는 의료진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미국의 경우 CDC(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수술 시의 환기와 수술 시 발생하는 연기 제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외과 수술에서 전기수술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연기는 발생부위에서 바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기수술기 사용 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0823호(2018.06.0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수술기를 사용하여 수술시행 시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유해가스가 수술장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술자 및 수술장 내의 의료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의 전방에 결합된 전극팁을 구비한 전기수술기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극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극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석션가이드; 상기 석션가이드에 연결되어 연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흡입튜브; 및 상기 흡입튜브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석션가이드는, 상기 전극팁이 관통삽입되되, 상기 전극팁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중공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마련되되, 상기 전극팁의 외면을 압착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극팁에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착부; 및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압착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흡입튜브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전극팁에 접촉되는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전극팁에 밀착되는 경우에 탄성변형되는 복수의 압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는,상기 핸드피스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반칼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탄성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흡입튜브에 결합되며, 상기 핸드피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수술기의 전극팁에 석션가이드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수술기의 전극팁의 길이에 따라 석션가이드를 전극팁에 인접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과 전기수술기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과 전기수술기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과 전기수술기의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과 전기수술기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방향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C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과 전기수술기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과 전기수술기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100)은 연기를 흡입하는 석션가이드(110)와, 석션가이드(110)에 연결되는 흡입튜브(120)와, 흡입튜브(120)에 결합되는 커넥터(130)와, 흡입튜브(120)에 결합된 클립(140)을 포함한다.
전기수술기(200)는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여 생체조직을 절개하거나 출혈부위를 지혈하는데 사용되는 의료기기이며, 상기한 전기수술기(200)는 수술자가 파지하는 핸드피스(210)와, 핸드피스(2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생체조직을 절개하거나 출혈부위를 지혈하는 전극팁(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가이드(110)는 전기수술기(200)를 이용한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석션가이드(11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석션가이드(110)의 내부로 흡입한다.
또한 석션가이드(110)는 전극팁(2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석션가이드(110)에 전극팁(220)이 관통삽입되고 석션가이드(110)가 전극팁(220)을 압착하여 전극팁(220)에 석션가이드(110)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석션가이드(110)는 실리콘 등의 탄성체로 제조된다. 수술 중 전극팁(220)은 생체조직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석션가이드(110)가 생체조직에 접촉되고 가압되는 경우에 탄성변형된다. 또한 석션가이드(110)가 전극팁(220)에 압착되고 전극팁(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석션가이드(110)는 탄성변형가능한 탄성체로 제조된다.
전극팁(220)에 석션가이드(110)가 결합되는 경우에, 석션가이드(110)의 일단부는 전극팁(220)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석션가이드(110)의 타단부는 핸드피스(210)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전극팁(2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 석션가이드(110)가 전극팁(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극팁(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일단부가 전극팁(220)의 끝단에 인접하게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전극팁(2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 석션가이드(110)의 일단부 영역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전극팁(220)의 길이에 맞게 석션가이드(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7 참조).
석션가이드(110)는 전극팁(220)이 관통삽입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내면에 마련되어 전극팁(220)의 외면을 압착하는 압박부와, 하우징(111)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중공관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전극팁(220)이 관통삽입된다. 그리고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가 하우징(111)의 내면과 전극팁(220) 사이로 흡입되도록 하우징(111)의 내경은 전극팁(22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석션가이드(110)가 실리콘 등의 탄성체로 제조되므로, 하우징(111)이 생체조직 내로 삽입되어 변형되는 경우에 석션가이드(110)의 내면과 전극팁(220)이 밀착될 수 있다. 석션가이드(110)의 내면과 전극팁(220)이 밀착되는 경우에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가 하우징(11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1)은 내면에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112)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리브(112)는 하우징(111)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우징(111)의 내면에 복수의 리브(112)가 형성되므로, 하우징(111)이 생체조직 내로 삽입되어 변형되는 경우에도 리브(112)에 의해 하우징(111)의 내면과 전극팁(220)이 밀착되지 않아 연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압착부(113)는 하우징(111)의 내면에 마련되며 전극팁(220)의 외면을 압착한다. 하우징(111)에 전극팁(220)이 관통삽입되는 경우에 압착부(113)가 탄성변형되어 전극팁(220)에 밀착되고 전극팁(220)에 압착된다. 압착부(113)는 하우징(111)의 후방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113)에 의해 하우징(111)이 전극팁(220)에 고정되며, 수술 중 하우징(111)으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압착부(113)는 하우징(111)을 전극팁(220)에 고정함과 동시에 연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극팁(220)에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복수의 압착돌기(114)를 포함한다.
압착돌기(114)는 전극팁(220)에 접촉되는 면에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압착돌기(114)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압착부(113)는 하우징(11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압착부(113)를 제작한 뒤 하우징(111)의 내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압착부(113)는 전극팁(220)이 관통되고 전극팁(220)에 밀착되는 경우에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오목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목홈(115)은 핸드피스(210)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오목홈(115)은 핸드피스(210)에 대향되는 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상기한 복수의 압착돌기(114)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깊이를 가질 수 있다.
배출구(116)는 일단부가 하우징(111)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압착부(113)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배출구(116)의 타단부는 흡입튜브(120)에 연결된다. 전극팁(220) 측에서 하우징(111)으로 유입된 연기는 하우징(111)의 내부와 연통된 배출구(116)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통해 흡입튜브(120)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튜브(120)는 일단부가 배출구(116)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흡입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흡입튜브(120)의 타단부에는 흡입펌프에 연결된 배출튜브(미도시)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커넥터(130)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140)은 일측이 흡입튜브(120)에 결합되고 타측이 핸드피스(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술자가 수술 중에 흡입튜브(12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경우에 수술동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흡입튜브(12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튜브(120)에 클립(140)을 결합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자는 클립(140)을 핸드피스(210)에 체결함으로써 흡입튜브(12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수술기(200)를 이용하여 수술을 하기에 앞서 수술자는 전극팁(220)을 하우징(111)에 관통삽입하여 소정길이의 전극팁(220)이 하우징(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우징(11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클립(140)을 핸드피스(210)에 결합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113)가 탄성변형되어 전극팁(220)의 외면을 압착하여 하우징(111)을 전극팁(220)에 고정하고 하우징(111)으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실링한다.
그리고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는 흡입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전극팁(220)에 인접한 하우징(111)의 일단부에서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되고,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는 배출구(116)를 통해 흡입튜브(120) 및 배출튜브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팁(2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 소정길이의 전극팁(220)이 하우징(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11)을 전극팁(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환경에 따라 전극팁(220)의 길이가 차이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전극팁(220)의 길이에 맞게 하우징(111)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1)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거나 이격되게 반칼라인(미도시)을 형성하여 해당 전극팁(220)의 길이에 맞게 하우징(111)을 용이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칼라인은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연기 흡입유닛 110: 석션가이드
111: 하우징 112: 리브
113: 압착부 114: 압착돌기
115: 오목홈 116: 배출구
120: 흡입튜브 130: 커넥터
140: 클립 200: 전기수술기
210: 핸드피스 220: 전극팁

Claims (8)

  1.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의 전방에 결합된 전극팁을 구비한 전기수술기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극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극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수술 중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석션가이드;
    상기 석션가이드에 연결되어 연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흡입튜브; 및
    상기 흡입튜브에 결합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석션가이드는,
    상기 전극팁이 관통삽입되되, 상기 전극팁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중공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마련되되, 상기 전극팁의 외면을 압착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극팁에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착부; 및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압착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흡입튜브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전극팁에 접촉되는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전극팁에 밀착되는 경우에 탄성변형되는 복수의 압착돌기를 포함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더 포함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반칼라인을 포함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탄성체로 제조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튜브에 결합되며, 상기 핸드피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7. 삭제
  8. 삭제
KR1020210145571A 2021-10-28 2021-10-28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KR10257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71A KR102577647B1 (ko) 2021-10-28 2021-10-28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71A KR102577647B1 (ko) 2021-10-28 2021-10-28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84A KR20230060884A (ko) 2023-05-08
KR102577647B1 true KR102577647B1 (ko) 2023-09-13

Family

ID=8638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571A KR102577647B1 (ko) 2021-10-28 2021-10-28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02B1 (ko) 2013-07-26 2015-02-11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의료용 연기흡입장치
JP2015217291A (ja) 2014-05-21 2015-12-07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入れ子式吸引カニューレを有する多目的電気外科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730B1 (ko) * 2014-03-31 2015-12-10 주식회사 리메드 전기수술 기기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기
KR101801027B1 (ko) * 2015-11-20 2017-11-27 박익로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KR20180060823A (ko) 2016-11-29 2018-06-07 서울대학교병원 수술 유해연기 흡입 튜브 내장 전기수술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02B1 (ko) 2013-07-26 2015-02-11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의료용 연기흡입장치
JP2015217291A (ja) 2014-05-21 2015-12-07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入れ子式吸引カニューレを有する多目的電気外科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84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611B2 (en) Hand-held instrument with dual zone fluid removal
EP0565694B1 (en) Laser delivery system
EP052317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tissue fragmentation and/or hemostasis
DE60138291D1 (de) Endoskopische schaberklinge
KR101073767B1 (ko) 스모크 흡입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KR101492602B1 (ko) 의료용 연기흡입장치
CN113208724B (zh) 一种多功能电刀笔
KR102577647B1 (ko) 전기수술기용 연기 흡입유닛
KR20180060823A (ko) 수술 유해연기 흡입 튜브 내장 전기수술기구
JP2016150229A (ja) 内視鏡用カテーテル
CN216876572U (zh) 一种多功能电刀笔
CN211271110U (zh) 一种用于腹腔镜手术的排烟装置
CN109009412B (zh) 一种电凝切割器
KR101586813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KR100419102B1 (ko) 전기 수술장치
CN215739399U (zh) 带吸烟功能的高频电刀
CN215914867U (zh) 一种排烟电刀
KR20230136995A (ko) 전기 소작 기능 및 흡입 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전기 소작기
JP2541760B2 (ja) 手術用吸引管
TW201223496A (en) Adjustable electric knife smoke sucking device for medical surgery
CN211962176U (zh) 一种兼顾负压吸引与神经监测的电刀
CN115768367A (zh) 包括抽吸装置的电外科钳
JP2004089510A (ja) 電気メス用排煙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メス装置
WO2018025360A1 (ja) 内視鏡用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