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217B1 - 전신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전신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217B1
KR102049217B1 KR1020190065452A KR20190065452A KR102049217B1 KR 102049217 B1 KR102049217 B1 KR 102049217B1 KR 1020190065452 A KR1020190065452 A KR 1020190065452A KR 20190065452 A KR20190065452 A KR 20190065452A KR 102049217 B1 KR102049217 B1 KR 10204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tation
rotating
ang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듀크 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Priority to KR102019006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6412 priority patent/WO20202467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63B2023/035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모든 관절의 스트레칭 및 재활이 기능한 전신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판; 좌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동판; 상기 좌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회동바; 상기 회동바와 직교하는 방향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바 상에 가변조절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가변하면서 설치되는 롤링바; 및 상기 회동바와 연결되며, 회동바를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으로 회동시키는 정,역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신 스트레칭 장치{Whole body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전신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의 모든 관절의 스트레칭 및 재활이 기능한 전신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stretching)은 건(腱) ·근육을 늘리어 펼치는 체조의 일종으로, 스트레치 체조(stretch gymnastics)라고도 한다.
이러한 스트레칭은 이제까지 준비운동으로 해왔던 유연체조를 개발한 것으로 탄력이나 반동을 주지 않고 근육을 가벼운 신장(伸長)이 느낄 때까지 서서히 뻗은 후, 각자의 능력에 따라 10∼30초 동안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트레치체조는 건이나 근육에 탄력을 주고, 관절의 가동범위를 넓혀 유연성이 붙게 하므로 모든 스포츠의 컨디셔닝과 상해방지의 준비운동으로 적당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각자의 능력에 따라 실시되므로 평소에 운동부족이 되기 쉬운 학생, 노인, 주부 등에게 알맞은 체조이며, 스트레칭을 실시할 때의 유의할 점으로는 ① 무리를 하지말 것, ② 탄력이나 반동을 주지 말 것, ③ 호흡을 멈추지 말고 느긋한 기분으로 할 것 등이다.
이러한 스트레칭은,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은 운동을 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 키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효과적인데, 이는 성장판에 과도한 물리적 압박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세포분화를 억제시켜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절과 근육을 풀어주기 위함이다.
특히 스트레칭은, 허리 디스크 환자나 관절계통에 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허리, 다리, 어깨 등의 관절 부위의 신장 및 이완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또는 관절계통의 치료효과를 효과적으로 도모한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스트레칭을 안전하고 올바른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스트레칭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스트레칭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들은 등록특허 제10-0862559호의 스트레칭 베드, 등록특허 제10-1416956호의 스트레칭 운동기구, 등록특허 제10-1813052호의 상체회전 및 가슴 스트레칭 운동 장치 및 등록특허 제10-0818784호의 스트레칭 장치 등에 다양한 구조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들은 각각 특정된 부위만을 위한 기구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체의 다른 관절부위에 대한 스트레칭은 이루어질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즉, 전신 스트레칭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만일, 타 부위의 스트레칭도 수반되야 한다면 이를 위해 해당 스트레칭 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금전적인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62559호 국내등록특허 제10-1416956호 국내등록특허 제10-1813052호 국내등록특허 제10-08187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일의 스트레칭 장치를 통해 다양한 전신 스트레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는, 좌판; 좌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동판; 상기 좌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회동바; 상기 회동바와 직교하는 방향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바 상에 가변조절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가변하면서 설치되는 롤링바; 및 상기 회동바와 연결되며, 회동바를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으로 회동시키는 정,역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변조절수단은, 일측으로 롤링바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바를 관통시킨 상태로 회동바를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가변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바는 상기 슬라이더의 관통구를 관통하되, 상기 회동바의 외면과 상기 관통구의 내면 중 어느 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의 상,하에는 상기 회동바와 접촉된 상태로 구름운동하는 베어링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회동바의 삽입홀과 대응되게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결합보스; 제1탄성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합보스 내부를 출몰하며, 상기 회동바의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출몰시키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역구동부는, 관통되게 설치된 구동축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바를 상기 좌판의 상측으로 배치시키며, 상기 구동축의 정,역회전을 회동바로 전달하는 기어유닛; 및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연결되며, 구동축의 정,역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값을 제어하는 각도제어유닛;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구동축 일측에 고정된 제1기어와,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고정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축 타측에 고정되어 연동 회전하며, 복수개의 슬롯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편이 구비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디스크의 슬롯 위치를 감지하여 디스크 회전각도의 상한과 하한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감지센서; 및 상기 디스크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편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디스크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제1스톱퍼 및 제2스톱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역구동부의 하측에는 회동 각도에 따라 설치되는 발걸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발걸이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둘레에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각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회동각플레이트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 발걸이대가 구비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동부재의 회동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에 형성된 이동슬롯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각플레이트의 수용홈들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돌기; 상기 수용돌기와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 고리가 구비된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 배치되어 이동바의 이동시 탄성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스트레칭 장치를 통해 허리, 팔, 다리, 어깨 등의 관절 부위에 대한 다양한 전신 스트레칭 및 재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동시에 종래와 같이 각 부위에 대한 장치의 구매가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롤링바가 회동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각 관절의 위치 및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게 롤링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적 효과 또한 탁월한다.
또한, 회동판 및 회동바의 회동각 설정범위가 제어됨에 따라 스트레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측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중 정,역구동부, 회동바 및 롤링바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 요부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중 각도제어유닛과 회동제어수단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정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중 발걸이부의 상부와 저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를 통해 신체 각부의 스트레칭 및 재활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측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중 정,역구동부, 회동바 및 롤링바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 요부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중 각도제어유닛과 회동제어수단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정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중 발걸이부의 상부와 저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100)는, 좌판(110); 좌판(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동판(120); 상기 좌판(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회동바(130); 상기 회동바(130)와 직교하는 방향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바(130) 상에 가변조절수단(150)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가변하면서 설치되는 롤링바(140); 및 상기 회동바(130)와 연결되며, 회동바(130)를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으로 회동시키는 정,역구동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100)는 단일의 스트레칭 장치를 이용하여 허리, 팔, 다리, 어깨 등과 같은 모든 관절부위에 대한 스트레칭 및 재활치료가 가능토록 하는 것에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100)는 1 및 도 2와 같이, 후술하는 정,역구동부(160)와 기어유닛(162)의 구성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커버(B)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며, 베이스커버(B)의 하측에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10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캐스터(K)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정,역구동부(160)와 회동제어수단(167)의 제어는 베이스커버(B)의 내측에 마련된 콘트롤박스(미 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이 콘트롤박스는 리모컨(미 도시) 또는 외부로 노출되게 표시된 표시장치(미 도시)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일 것이다.
리모컨 또는 표시장치는 정,역구동부(160)를 제어함으로써 후술하는 회동바(130)의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회동바(130)의 회전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좌판(110)은 1 및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의 형상을 이룬 상태로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후술하는 정,역구동부(16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스트레칭 또는 재활치료를 요하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수 있도록 편평한 면을 이루고 있다.
이때, 좌판(110)의 내부에는 스트레칭 시 사용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재가 내장됨은 당연하다.
회동판(120)은 1 및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좌판(110)의 일측으로 일측 단부가 베이스커버(B)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회동판(120)의 일측 단부에는 링크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의 타단은 도 2와 같이 베이스커버(B) 내측에 배치된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판(120)은 실린더 로드의 전,후 이동에 의해 도 2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판(120)의 최대 회동각도는 설정된 75도로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동판(120)의 회동이 75도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후술하는 롤링바(140)의 회전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이 담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구동은 콘트롤박스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회동판(120)의 내부는 좌판(110)과 동일하게 스트레칭 시 사용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쿠션재가 내장되어 있다.
회동바(1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소정의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좌판(110)의 어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롤링바(140)가 임의로 설정된 회동바(130)의 위치에서 원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바(130)의 어느 일면에는 회동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위치고정수단(155)의 삽입돌기(157)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13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홀(131)들은 위치고정수단(155)이 회동바(130)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고정수단(155)의 고정을 통해 롤링바(140)의 위치가 회동바(130)에 셋팅될 수 있도록 한다.
롤링바(14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회동바(1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전에 의한 롤링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가변조절수단(150)에 의해 회동바(130) 상에서 회동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가변하면서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즉, 롤링바(140)는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게 회동바(130) 상에서 가변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롤링바(140) 둘레는 스트레칭 시 사용자의 허리, 팔, 다리, 어깨 등이 접촉될 때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변조절수단(150)은 도 4와 같이 일측 즉 도면상 우측에 롤링바(140)가 설치되며 회동바(130)를 관통시킨 상태로 회동바(130)를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더(151)와, 슬라이더(151)에 배치되며 회동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홀(1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151)의 가변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155),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더(151)는 단일의 몸통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측에는 회동바(1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회동바(130)의 단면과 대응하는 관통구(1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더(151)가 회동바(130)를 타고 회동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더(151)의 관통구(152) 내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153)가 형성되고, 회동바(130)의 외면에는 가이드돌기(153)와 대응하는 가이드홈(132)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구(152)의 상,하에는 각각 회동바(130)의 도면상 상,하 단부면과 접촉된 상태로 구름운동하는 베어링(154)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슬라이더(151)와 회동바(130)가 서로 지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더(151)의 이동은 회동바(130)를 타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동시에 롤링바(140)의 이동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51)의 관통구(152)에 가이드돌기(153)가 형성되고, 회동바(130)의 외면에 가이드홈(13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돌기(153)와 가이드홈(132)의 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슬라이더(151)의 가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155)은, 도 4와 같이 회동바(130)의 삽입홀(131)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151)에 고정되는 결합보스(156)와, 제1탄성부재(158)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보스(156) 내부를 출몰하며 회동바(130)의 삽입홀(1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57), 및 삽입돌기(157)와 연결되어 삽입돌기(157)를 출몰시키는 손잡이(159),로 구성된다.
이때, 결합보스(156)는 원통의 형상으로 슬라이더(151)에 나선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내측으로는 제1탄성부재(158)와 삽입돌기(157)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158)는 결합보스(156)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돌기(157)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상시적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으며, 제1탄성부재(158)는 코일스프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59)는 삽입돌기(157)와 연결된 상태로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당겨질 때 삽입돌기(157)를 삽입홀(131)로부터 이탈시키고, 당김 해제를 통한 제1탄성부재(158)에 의해 삽입돌기(157)가 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위치고정수단(155)은 슬라이더(151)가 회동바(130)의 선택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롤링바(140)의 위치도 고정되도록 한다.
정,역구동부(16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회동바(130)의 일측과 연결되어 회동바(130)를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며, 구동모터(161)와, 기어유닛(162) 및 각도제어유닛(163)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161)는 도 3과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동축(161a)이 관통되게 설치되며, 관통된 구동축(161a)을 정,역으로 회전시킨다.
기어유닛(162)은, 구동축(161a)의 일측 즉 도면상 좌측에 구비되어 회동바(130)를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좌판(110)의 상측으로 배치시키며, 구동축(161a)의 정,역회전 구동력을 회동바(130)로 전달시킨다.
이를 위해 기어유닛(162)은 도 3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3개의 기어가 배열되며, 3개의 기어는 구동축(161a) 일측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162a)와, 회동바(130)의 단부에 고정되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동바(130)를 회동시키는 제2기어(162b)와, 제1기어(162a)와 제2기어(162b)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어(162a)의 구동력을 제2기어(162b)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기어(162c)로 구성된다.
즉, 기어유닛(162)은 정,역구동부(160)의 구동력을 회동바(130)로 전달하여 회동바(130)를 정,역으로 회동시킬 뿐 아니라, 복수개의 기어를 적용하여 회동바(130)가 좌판(110)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회동바(130)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이를 조절한다.
회동바(130)를 좌판(110)의 상부로 배치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좌판(110) 또는 회동판(120)에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허리, 팔, 다리, 어깨가 롤링바(140)에 얹혀질 때, 회동바(130)의 회동 시작점이 설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가 3개로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좌판(110)의 높이에 따라 기어의 개수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각도제어유닛(163)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기어유닛(162)의 반대편인 구동축(161a)의 타측에 열결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61)에 의한 구동축(161a)의 정,역 회전에 따른 구동축(161a)의 회전 각도값을 제어한다.
각도제어유닛(163)은, 디스크(164)와, 각도감지센서(165) 및 제1,2스톱퍼로 구성된다.
디스크(164)는 도 5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원판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구동축(161a) 타측 단부와 연결되어 구동축(161a)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고, 둘레의 일측에는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편(164b)이 구비되어 있다.
디스크(164)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슬롯(164a)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롯(164a)의 간격은 설정에 따라 다르며, 통상 5도씩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감지센서(165)는 디스크(16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축(161a)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164)의 슬롯(164a) 위치를 감지하여 디스크(164) 회전 각도의 상한과 하한 각도를 센싱한다.
즉 예를 들어, 리모컨을 통해 구동축(161a)의 정,역 회전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구동축(161a)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면, 각도감지센서(165)가 정,역 회전하는 디스크(164)의 슬롯(164a)을 감지하다가 설정된 회전값의 상한과 하한에 해당하는 슬롯(164a)이 위치하면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콘트롤박스는 각도감지센서(165)의 신호를 받아 구동축(161a)을 역회전시킴으로써, 회동바(130)의 회동이 설정된 회전 구간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스톱퍼(166a) 및 제2스톱퍼(166b)는 도 5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디스크(164)의 둘레면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상 우측으로 제1스톱퍼(166a)가 배치되고 좌측으로 제2스톱퍼(166b)가 배치되어 있다.
정확하게, 제1스톱퍼(166a)는 디스크(164)가 최대로 회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며, 제2스톱퍼(166b)는 디스크(164)의 최초 회전이 시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도제어유닛(163)은, 각도감지센서(165)를 통해 정,역 회전하는 디스크(164) 슬롯(164a)의 상한과 하한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디스크(164)가 설정된 회전값 범위 내에서 반복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모터(161)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각도제어유닛(163)의 도면상 상측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회동판(120)의 설정각도 이상의 회동 제어와 동시에 회동바(13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수단(167)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회동판(120)의 회동에 따른 설정각도를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회동판(120)을 등받이로 사용하면서 롤링바(140)의 회동을 통한 스트레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회동제어수단(167)은, 베이스커버(B)에 고정된 제어모터(167a)와, 소정의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168a)가 구비되고 타측이 제어모터(167a)의 축과 결합되어 제어모터(167a)에 의해 회동하는 각도제어바(168)와, 회동하는 각도제어바(168)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1스위치(169a) 및 제2스위치(169b)로 구성된다.
제1스위치(169a)는 도면상 상측의 상사점에 배치된 상태이고, 제2스위치(169b)는 도면상 하측의 하사점에 배치된 상태이다.
즉, 제1스위치(169a)는 회동판(120)의 회동이 설정각도를 벗어나기 전까지 도 5와 같이 각도제어바(168)와 접촉을 이루게 되고, 제2스위치(169b)는 회동판(120)의 회동이 설정각도를 벗어나는 순간 하강하여 도 6과 같이 각도제어바(168)와 접촉됨으로써 회동판(120)의 회동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디스크(164)와 회동바(130)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롤링바(140)의 회동 또한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롤링바(140)와 회동판(120) 사이에 착석한 사용자의 안전이 담보된다.
한편, 정,역구동부(160)의 하측 즉 베이스커버(B)의 하측에는 회동 각도에 따라 설치되는 발걸이부(1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발걸이부(170)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베이스커버(B)의 하측에 고정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둘레에 복수개의 수용홈(171a)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각플레이트(171)와, 한 쌍의 회동각플레이트(171)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선단에 사용자의 발이 걸쳐지는 발걸이대(173)가 구비된 회동부재(172), 및 회동부재(172)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동부재(172)의 회동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수단(174),으로 구성된다.
회동각플레이트(171)는 원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개의 수용홈(171a)은 일측이 개방된 상태이다.
회동부재(172)는 도 1과 같이 발겅리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걸림수단(174)은, 회동부재(172)에 형성된 이동슬롯(164a)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회동각플레이트(171)의 수용홈(171a)들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돌기(175)와, 수용돌기(175)와 직교되게 연결되어 회동부재(17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 고리(176a)가 구비된 이동바(176), 및 이동바(176) 배치되어 이동바(176)의 이동시 탄성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177),로 구성된다.
이때, 수용돌기(175)는 회동부재(172) 양측에 형성된 이동슬롯(164a)을 관통하여 회동각플레이트(17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동바(176)는 수용돌기(175)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이동바(176) 선단의 고리(176a)는 사용자가 이동바(176)를 당길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177)는 이동바(176)가 관통된 상태로 회동부재(172)에 형성된 격실에 배치되어 이동바(176)가 당겨질 때 탄성을 부여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발걸이부(170)는, 이동바(176)의 당김을 통해 수용돌기(175)를 회동각플레이트(171)의 수용홈(171a)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회동부재(172)를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킨 후 이동바(176)의 당김을 해제시킴으로써, 수용돌기(175)가 설정된 수용홈(171a)에 수용되게 하여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하,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스트레칭 장치(100)를 이용하여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스트레칭 장면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일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시된 장면들에서 롤링바(140)는 설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회동한다.
(a)는 굽은등교정, 척추교정, 어깨관절교정에 사용되는 엎드린 자세로써, 퇴행성 척추나 요추관 협착증 완화, 척추디스크교정, 척추측만증 또는 후만증교정 및 척주 및 허리근력강화 등에 효과가 있다.
(b)는 허리교정 및 대퇴사두근에 사용되는 엎드린 자세로써, 퇴행성 척추나 요추관 협착증 완화, 척추디스크교정, 척추측만증 또는 후만증교정, 척추근력강화, 요추기능강화, 하체 및 복부근력강화 등에 효과가 있다.
(c)는 척추교정에 이용되는 옆으로 누운 자세로써, 옆구리 군살 제거와 골반위치의 좌우 비대칭 균형교정, 고관절유연성증대, 척추 및 척추측만증 교정 등에 효과가 있다.
(d)는 척추기립근 및 대둔근 강화에 이용되는 허리세움 자세로써, 허리강화 운동과 오십견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다.
(e)는 척추관협착증에 이용되는 누운 자세로써, 척추뼈 마디를 늘려 척추관 협착증과 척추전방전위증에 효과가 있다.
(f)는 발목관절, 무릎관절, 골반관절, 척추관절 교정에 이용되는 앉은 자세로써, 하체근육을 이완하고 늘려줘 하지정맥의 예방과 통증 완화, 그리고 반복운동을 통해 발목관절, 무릎관절, 골반관절, 척추관절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g)는 척추교정에 이용되는 브릿지 자세로써, 허리(요추)근력강화, 척추교정, 골반의 좌우비대칭교정, 힙업 탄력 등과 같은 효과가 있다.
(h)는 발목관절, 무릎관절, 골반관절, 척추관절 교정에 이용되는 앉은 자세로써, 척추 뼈 마디와 하체근육을 이완하고 늘려줘 하지정맥의 예방과 통증 완화, 그리고 반복운동을 통해 발목관절, 무릎관절, 골반관절, 척추관절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j)는 대퇴사두근, 허리교정, 무릎관절 교정에 이용되는 엎드린 자세로써, 퇴행성 척추 또는 요추관 협착증 완화, 척추근력강화, 허리기능강화, 무릎관절 주변 근력강화, 유연성증대 및 통증완화 등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는, 단일의 스트레칭 장치를 통해 허리, 팔, 다리, 어깨 등의 관절 부위에 대한 다양한 전신 스트레칭 및 재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동시에 종래와 같이 각 부위에 대한 장치의 구매가 필요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롤링바가 회동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각 관절의 위치 및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게 롤링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적 효과 또한 탁월한다.
또한, 회동판 및 회동바의 회동각 설정범위가 제어됨에 따라 스트레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신 스트레칭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전신 스트레칭 장치 110 : 좌판
120 : 회동판 130 : 회동바
140 : 롤링바 150 : 가변조절수단
160 : 정,역구동부 170 : 발걸이부

Claims (9)

  1. 좌판(110);
    좌판(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동판(120);
    상기 좌판(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회동바(130);
    상기 회동바(130)와 직교하는 방향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바(130) 상에 가변조절수단(150)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가변하면서 설치되는 롤링바(140);
    상기 회동바(130)와 연결되며, 회동바(130)를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으로 회동시키는 정,역구동부(160); 및
    상기 정,역구동부(160)의 하측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둘레에 복수개의 수용홈(171a)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각플레이트(171)와, 상기 회동각플레이트(171)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 발걸이대(173)가 구비된 회동부재(172) 및 상기 회동부재(172)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동부재(172)의 회동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수단(174),으로 구성되어 회동부재(172)의 회동 각도에 따라 발걸이대(173)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발걸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조절수단(150)은,
    일측으로 롤링바(140)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바(130)를 관통시킨 상태로 회동바(130)를 타고 이동하는 슬라이더(151); 및
    상기 슬라이더(151)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홀(1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151)의 가변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15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130)는 상기 슬라이더(151)의 관통구(152)를 관통하되,
    상기 회동바(130)의 외면과 상기 관통구(152)의 내면 중 어느 일면에는 가이드돌기(153)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53)와 대응하는 가이드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52)의 상,하에는 상기 회동바(130)와 접촉된 상태로 구름운동하는 베어링(15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155)은,
    상기 회동바(130)의 삽입홀(131)과 대응되게 상기 슬라이더(151)에 고정되는 결합보스(156);
    제1탄성부재(158)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결합보스(156) 내부를 출몰하며, 상기 회동바(130)의 삽입홀(1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57); 및
    상기 삽입돌기(157)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돌기(157)를 출몰시키는 손잡이(15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구동부(160)는,
    관통되게 설치된 구동축(161a)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1);
    상기 구동축(161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바(130)를 상기 좌판(110)의 상측으로 배치시키며, 상기 구동축(161a)의 정,역회전을 회동바(130)로 전달하는 기어유닛(162); 및
    상기 구동축(161a)의 타측에 연결되며, 구동축(161a)의 정,역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값을 제어하는 각도제어유닛(1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유닛(162)은 상기 구동축(161a) 일측에 고정된 제1기어(162a)와, 상기 회동바(130)의 단부에 고정된 제2기어(162b)와, 상기 제1기어(162a)와 제2기어(162b)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기어(16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제어유닛(163)은,
    상기 구동축(161a) 타측에 고정되어 연동 회전하며, 복수개의 슬롯(164a)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편(164b)이 구비된 디스크(164);
    상기 디스크(164)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하는 디스크(164)의 슬롯(164a) 위치를 감지하여 디스크(164) 회전각도의 상한과 하한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감지센서(165); 및
    상기 디스크(164)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편(164b)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디스크(164)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제1스톱퍼(166a) 및 제2스톱퍼(16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74)은,
    상기 회동부재(172)에 형성된 이동슬롯(164a)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각플레이트(171)의 수용홈(171a)들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돌기(175);
    상기 수용돌기(175)와 직교되게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17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 고리(176a)가 구비된 이동바(176); 및
    상기 이동바(176)에 배치되어 이동바(176)의 이동시 탄성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17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스트레칭 장치.
KR1020190065452A 2019-06-03 2019-06-03 전신 스트레칭 장치 KR10204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52A KR102049217B1 (ko) 2019-06-03 2019-06-03 전신 스트레칭 장치
PCT/KR2020/006412 WO2020246725A1 (ko) 2019-06-03 2020-05-15 전신 스트레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52A KR102049217B1 (ko) 2019-06-03 2019-06-03 전신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217B1 true KR102049217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52A KR102049217B1 (ko) 2019-06-03 2019-06-03 전신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217B1 (ko)
WO (1) WO20202467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25A1 (ko) * 2019-06-03 2020-12-10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전신 스트레칭 장치
KR102615717B1 (ko) * 2023-05-11 2023-12-19 오정민 자동 및 반자동 기능이 결합된 운동용 침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56Y1 (ko) * 2003-01-23 2003-05-09 (주)개선스포츠 운동용 프레스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13393Y1 (ko) * 2003-01-16 2003-05-14 (주)팀코리아 복근, 요근 및 하지근 등속 운동기구
KR100818784B1 (ko) 2006-08-22 2008-04-01 디앤에이 주식회사 스트레칭장치
KR100862559B1 (ko) 2007-06-14 2008-10-09 주식회사 바맥스 스트레칭 베드
KR20130002557U (ko) * 2013-03-25 2013-04-29 김부일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287134B1 (ko) * 2013-01-24 2013-07-17 배듀크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KR101416956B1 (ko) 2012-08-20 2014-07-08 윤자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813052B1 (ko) 2015-03-22 2017-12-28 김소용 상체회전 및 가슴 스트레칭 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17B1 (ko) * 2019-06-03 2020-01-08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전신 스트레칭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93Y1 (ko) * 2003-01-16 2003-05-14 (주)팀코리아 복근, 요근 및 하지근 등속 운동기구
KR200312156Y1 (ko) * 2003-01-23 2003-05-09 (주)개선스포츠 운동용 프레스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18784B1 (ko) 2006-08-22 2008-04-01 디앤에이 주식회사 스트레칭장치
KR100862559B1 (ko) 2007-06-14 2008-10-09 주식회사 바맥스 스트레칭 베드
KR101416956B1 (ko) 2012-08-20 2014-07-08 윤자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287134B1 (ko) * 2013-01-24 2013-07-17 배듀크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KR20130002557U (ko) * 2013-03-25 2013-04-29 김부일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813052B1 (ko) 2015-03-22 2017-12-28 김소용 상체회전 및 가슴 스트레칭 운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25A1 (ko) * 2019-06-03 2020-12-10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전신 스트레칭 장치
KR102615717B1 (ko) * 2023-05-11 2023-12-19 오정민 자동 및 반자동 기능이 결합된 운동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725A1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7501B (zh) 踝关节训练适配件及康复训练设备
KR100436899B1 (ko) 스트레치치료기
Anderson et al. Introduction to Pilates-based rehabilitation
US6846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or resisting postures or movements related to the joints of humans or devices
US6416448B1 (en) Therapy and training device
US5176706A (en) Spinal curvature correction device
WO1987002236A1 (en) Massage apparatus
US6224521B1 (en) Orthopedic exerciser
US5957816A (en) Exercise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 coordination and joint stability during multiaxial movement patterns involving rotational force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Matjačić et al. BalanceReTrainer: a new standing-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applied to a chronic hemiparetic subject with a neglect syndrome
KR102049217B1 (ko) 전신 스트레칭 장치
KR20120100613A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US7452308B2 (en) Cross-crawl chair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1739686B1 (ko)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
US9949884B2 (en) Device for spine corr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Robinson et al. The Pilates Bible: The most comprehensive and accessible guide to Pilates ever
KR101625518B1 (ko) 정형용 교정장치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JP2880672B2 (ja) 腰痛治療装置
RU23894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KR102243602B1 (ko) 재활장치
JP3248888B2 (ja) 脊椎関節矯正用補助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