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47B1 - 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 - Google Patents

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47B1
KR102048547B1 KR1020190030756A KR20190030756A KR102048547B1 KR 102048547 B1 KR102048547 B1 KR 102048547B1 KR 1020190030756 A KR1020190030756 A KR 1020190030756A KR 20190030756 A KR20190030756 A KR 20190030756A KR 102048547 B1 KR102048547 B1 KR 10204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unit
traveling device
traveling
track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승환 filed Critical 길승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2Chutes; Helter-skelters with special cars, e.g. hors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ity falling device using gravity energy and an experience facility. More specifically, the gravity falling device using gravity energy and the experience facility offer amusements to an experienced person while a ride device installed on a rail descends downward by gravity energy, by having the rail in a plac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ity falling device using gravity energy can be consistently used by not having abrasion in a wheel and a brake device. The gravity falling device using gravity energy and the experience facility improve ride comfort of a driving device by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wheel. The gravity falling device using gravity energy and the experience facility can promptly deal with a part which is worn out by easily recognizing the part which is worn out. Also, the gravity falling device using gravity energy of a new structure can safely operate a falling facility regardless of a change of humidity and temperature in a periphery.

Description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

본 발명은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곳에 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레일에 장착된 탑승장치가 중력에너지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면서 체험자에게 재미를 제공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rail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the passengers mounted on the rail is lowered by gravity energy while the experienced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o provide fun.

최근 들어, 지형이 높은 곳에서 낮은 위치로 하강하며 위치 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는 하강시설물에 대한 인기가 늘어가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popularity of descending facilities where the terrain is lowered from the high position to the lower position and the potential energy is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is increasing.

이러한 하강시설물로는, 짚라인, 플라이 라인, 아바타 포와 같이 체험자가 케이블에 결합되어 하강주행하는 케이블형 체험시설물과, 지상 혹은 허공에 설치한 케이블에 탑승장치를 결합하고 상기 탑승장치에 체험자가 탑승하여 하강주행하는 라이딩형 체험시설물이 존재한다.Such descending facilities include a cable-type experiential facility where the experienced person is coupled to the cable and run down, such as a zip line, a fly line, an avatar gun, and a boarding device to a cable installed on the ground or in the air. There is a riding experience facility that descends.

이러한 하강주행 체험시설물에는 수동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체험자가 스스로 하강속도를 조절하며 하강주행 할 수 있는데, 하강속도를 조절하며 도착지점의 인근에 도달하게 되면, 케이블의 하단 또는 주행경로에 설치된 제동시스템이 작동하여, 주행장치가 도착지점에 완전히 정지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The descent experience facility is equipped with a manual braking device,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can adjust the descent speed and descent run. When the descent speed is reached and reaches the vicinity of the arrival point, the brak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ble or the driving route. The system is operated so that the traveling device is completely stopped at the point of arrival.

하지만, 안타깝게도 1885년에 처음으로 하강시설물이 고안된 이래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인명 사고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Unfortunately, since the first descending facilities were devised in 1885, large and small casualties have occurred to the present, and various problems have been caused.

이러한 문제 중 탑승장치를 구성하는 소재가 마모되어 케이블과의 접촉면적 변경되어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거나, 본래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마모는 문제점이 외부로 크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마모의 심각성을 소홀히 여기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사고가 발생된 이후에야 소재가 마모되었음을 인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Among these problem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vehicle is worn,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cable is changed, causing noise and vibration, or the original function is not properly exhibited. However, such a wear is a fact that the seriousness of the wear is often neglected because the problem is not largely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also common to recognize that the material has worn out only after an accident has occurred.

한편, 종래의 하강시설물은 지속적인 탑승으로 인해 탑승장치의 휠의 위치가 변형되어 주행 및 제동기능이 약화되어지고, 하강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에 의해 몰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down facilities have a problem that the wheel position of the vehicle is deformed due to the continuous riding, the driving and braking function is weakened, the immersion degree is also reduced by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lowering device.

한편, 기온의 변화, 즉 고온일 경우에는 철도 레일처럼 스틸이나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레일은 부치가 팽창되어 늘어나게 되어, 레일과 레일 사이에 적정 유격을 둔 상태에서도 레일과 레일의 간격이 고은으로 인해 급격히 팽창하게 되어 트랙레일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상부라 일부 돌출됨에 따라, 체험자의 카트가 해당 부분을 통과할 경우에는 요철처럼 위아래로 충격이 오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hange in temperature, that is, a high temperature, a rail made of steel or aluminum, such as a railroad rail, expands and expands. As the shape of the track rail is deformed or partially protrudes as the upper part of the track rail, when the experience cart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part, a situation in which up and down impacts frequently occurs like irregularities,

레일의 유격으로 인한 안전문제는 지면에 지지골조를 거치하기 위해 설치하게 되는 앵카롯드가 일반 토양에 박히지 않고 암반이나 콘크리트 등의 단단한 부분에 처리될 경우에는 트랙레일의 팽창으로 인해 지면도 팽창되는 만큼 밀려나야 하지만 앵카롯드를 고정된 채로 트랙레일이 팽창하게 되면 레일이 위로 돌출되게 된다.The safety problem due to the play of the rail is that when the anchor rods installed to mount the supporting frames on the ground are not embedded in the general soil but are treated on solid parts such as rock or concrete, the ground is expand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track rail. It should be pushed out but when the track rail is inflated with the anchor rod fixed, the rail will protrude upward.

그리고 체험자 별로 상이한 체중과 미숙한 주행조작에 의해 탑승장치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게 하강하게 되어, 도착지점에 근접하였지만 속도가 감속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different weights and immature driving operation for each experienced perso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ed unevenly,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because the speed is not reduced, although it is close to the arrival poin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27291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2729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1-0001332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133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과 제동장치에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because no wear occurs on the wheel and the braking device. The purpose.

또한, 구동 휠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켜 주행장치의 탑승감이 향상되어지도록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driving wheel to improve the ride feeling of the traveling device.

또한, 마모가 발생된 부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site where the wear occurs.

또한,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하강시설물의 운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of a new structure that can safely operate the lowering facilities regardless of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곳에 설치되는 출발지점과 상기 출발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도착지점;을 직선레일과 곡선레일의 조합으로 연결된 트랙레일부;와 상기 트랙레일부의 위에 안착되어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 중력에 의해 하강주행 되어지는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레일부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랙레일;과 상기 트랙레일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 트랙레일;과 상기 트랙레일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격자로 배치되는 수직 립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립플레이트에 일측단부가 고정되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ㄷ’형상의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타측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어지는 지지골조;와 상기 지지골조의 밑면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앵카롯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rting poin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an arrival point which is install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starting point; a track rail unit connected to a combination of a straight rail and a curved rail; And a track device which is seated on the track rail and descends by gravity from a starting point to an arrival point, wherein the track rail is a track rail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a cylindrical shape; An auxiliary track rail disposed along a direction; and a vertical lip plate disposed in a latti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ck rail; and a 'c' extending at one side at one end thereof fixed to the vertical lip plate. Support arm of the shape; and the support frame is fixed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rm; and of the suppor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chor rod coupled to the bottom and embedded in the ground extending in the ground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는 체험자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주행장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주행제어부와, 탑승자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도움장치와 도착지점에 도착한 주행장치를 출발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와이어 클램프와, 트랙레일부에 접촉된 주행장치가 슬라이딩 되어 하강되어지도록 하는 주행 휠부로 구성되며, 상기 탑승부는 주행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착석 가능한 탑승시트와, 주행장치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날아오는 오물과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device includes a boarding unit on which the experienced person boards, a driving control unit controlling a state of the traveling devic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indicating a driving state of the passenger and a traveling device arriving at an arrival point. It consists of a wire clamp for transport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a traveling wheel portion for sliding the driving device in contact with the track rail portion is lowered, the boarding portion is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device and a seat for the experienced person seated, and the traveling device Installed in front of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en to prevent the inflow of dirt and wind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제어부는 주행장치의 측면에 설치되어 주행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는 조작핸들과 무선신호를 수신 받는 무선통신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핸들은 일측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를 밀고 당김에 따라 조작핸들이 가속부와 브레이크부에 접속되어 상기 가속부와 브레이크부가 작동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수신된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가속부와 브레이크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장치의 속도가 제어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raveling device is composed of an operation handl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the operation handle is rotated back and forth one side It is secure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operation handle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portion by pushing and pulling the protrusion so that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is opera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radio sign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controlled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celerator and the bra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부는 복수개의 자석패드와 상기 자석패드에 연결되는 자석패드 회전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브레이크부의 동작신호에 따라 자석패드 회전제어부가 회전되고, 자석패드 회전제어부에 연결된 자석패드가 기 설정된 구간을 반복 이동하면서 생성된 와전류에 의해 주행장치가 제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 pads and a magnet pad rot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gnet pads. The magnet pad rotation control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brake unit, and the magnet pad rotation is performed. The traveling device is braked by the eddy current generated while the magnet pa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repeatedly moves the predetermined s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도움장치는 상기 주행장치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조명이 온오프 되어지는 전조등과, 탑승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경적기가 눌려짐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는 경음기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장치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이드미러와, 탑승시트에 설치되어 체험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안전벨트 및 주행장치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riving device, the headlights are turned on and off, and the horn which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arding portion to generate sound as the horn is pressed And a side mirror for checking the presence of a traveling device approaching from the rear, a seat belt installed on the boarding seat, and a handl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raveling device to support the experienced pers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도움장치는 주행장치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발전기와 상기 자가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hel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lf-generator which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and a battery in which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elf-generator is sto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는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충격흡수부는 주행장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범퍼와, 탑승시트의 전면부 및 측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에어백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ing part for absorbing a shock generated during driving, the shock absorbing part is a bumper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iding seat Including an airbag installed in, when the shock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hock absorbing unit detects a shock, the airba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랙레일부는 주행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주행장치에 설치되는 태그장치와, 트랙레일부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태그장치를 인식하는 태그장치 리더기와 상기 태그장치 리더기에 연결되어 인식된 태그장치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송수신하는 위치송신부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송신부는 태그장치 리더기에 인식된 태그장치의 위치와 속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 rail unit further includes a travel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ravel device, the travel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is a tag device installed in the travel device and the track rail portion predetermined A tag device reader installed at intervals of the tag device reader and a location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tag device reader to transmit / receive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tag device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or a display means, wherein the location transmitter is a t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recognized by the reader is transmitt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주행장치가 도착지점에 인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에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evice is located adjacent to the arrival point,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is controlled to reduce the traveling speed by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주행장치의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무선통신부에 가속부를 동작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속도가 증가되어지도록 제어하고, 주행장치의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무선통신부에 브레이크부을 동작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a preset range, the traveling device transmits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accelerato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traveling speed is increased. And, if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measured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by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speed is controlled to be redu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주행장치가 곡선레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에 브레이크부을 동작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is close to the curved rail, it is controlled to reduce the speed b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주행장치와 인접한 주행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장치의 속도가 제어되어지도록 무선통신부에 가속부 또는 브레이크부를 동작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속도가 제어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veling device and the traveling device adjacent to the traveling device is closer than the preset distance, the accelerator or brake is provi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controlled. The speed is controlled b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or operating the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태그장치 리더기에서 인식한 태그장치의 위치를 위치송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tag device recognized by the tag device reader to the manager terminal or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through the position transmitting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는 주행장치가 출발지점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수단은 트랙레일부를 주행하는 주행장치의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출발지점에 인접한 주행장치와 안전거리가 확보된 경우,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발 승인신호가 표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has entered the starting point,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for driving the track rail portion, the driving adjacent to the starting point When the safety distance with the device is secu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arture approval signal is displayed on the manager terminal or the display mea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랙레일부의 도착지점에는 주행장치의 진입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동 브러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ival point of the track rai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king brush for reducing the entry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랙레일부는 상기 보조 트랙레일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보조 트랙레일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바디립과 상기 바디립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격자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지는 정렬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 rail portion extends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track rail and is coupled between the auxiliary track rails and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s of the body lip and the body li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ignment plate that is detachably coupled in a grid for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direction of trav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휠부는 트랙레일부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어 주행 휠을 마모로 부터 보호하는 주행 휠 외부커버와 상기 주행 휠 외부커버의 내측에 형성되어 주행 휠의 마모를 감지하는 마모감지판으로 구성되며,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wheel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rack rail portion to protect the driving wheel from abras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driving wheel outer cover and the driving wheel outer cover is formed It consists of a wear detection plate that detects wear.

상기 주행 휠 외부커버가 마모되어 내측의 마모감지판이 트랙레일부에 접촉되어지면, 무선통신부를 통해 관리자단말에 주행 휠의 상태가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riving wheel outer cover is worn and the inner wear detection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track rail, the state of the driv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let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은 휠과 제동장치에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because the wear does not occur in the wheel and the braking device.

또한, 구동 휠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켜 주행장치의 탑승감이 향상되어지도록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driving wheel to improve the riding comfort of the traveling device.

또한, 마모가 발생된 부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to make it possible to readily recognize the site where the wear occurs.

또한,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하강시설물의 운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an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of a new structure that can safely operate the lowering facilities irrespective of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도 1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트랙레일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도착지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도착지점의 트랙레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주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주행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와이어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주행휠부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ck rail por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rrival point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track rail portion of the gravity descending device and the experience facility arrival point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gravity lowering device and a traveling device of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running control unit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wire clamp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running wheel por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트랙레일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도착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도착지점의 트랙레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주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주행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와이어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의 주행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track rail por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arrival point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track rail por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the arrival point of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of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running control unit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wire clamp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running wheel portion of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하강시설물은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곳에 출발부(S)와 상기 출발부(S)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도착부(F)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출발부(S)와 도착부(F)는 직선레일과 곡선레일의 조합으로 연결된 트랙레일부(100)로 구성되며, 하강시설물의 체험자는 상기 트랙레일부(100)의 위를 슬라이딩하며 하강하는 주행장치(200)에 탑승하여 시설물을 즐기게 된다.1 to 4 illustrate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general lowering facility has a starting portion 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consists of an arrival part (F) which is install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starting part (S). Here, the starting portion (S) and the arrival portion (F) is composed of a track rail portion 100 connected by a combination of a straight rail and a curved rail, the experienced person of the descending facility slides on the track rail portion 100 The descending driving device 200 will enjoy the facilities.

상기 트랙레일부(100)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랙레일(110);과 상기 트랙레일(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 트랙레일(120);과 상기 트랙레일(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수직 립플레이트(130);와 상기 수직 립플레이트(13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암(140);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암(14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지지골조(140a);와 상기 지지골조(140a)의 밑면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앵카롯드(140b)로 구성된다.The track rail unit 10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 track rail 110; and an auxiliary track rail 120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10; and the A vertical lip plate 130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10; and a support arm 140 fixed at one end thereof to the vertical lip plate 130 and extending in a ground direction; and A support frame 140a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rm 140; and an anchor rod 140b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40a and extending in the ground direction and embedded in the ground. It is composed.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 립플레이트(130)는 트랙레일(110) 또는 보조 트랙레일(1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되, 상기 보조 트랙레일(120)에 의해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트랙레일(110)과 보조 트랙레일(120)이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In detail, the vertical lip plate 130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10 or the auxiliary track rail 120, and is disposed to penetrate by the auxiliary track rail 120. Thus, the track rail 110 and the auxiliary track rail 120 serves to prevent deformation caused by external force.

상기 앵카롯드(140b)는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트랙레일부(100)가 공중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앵카롯드(140b)는 얇은 관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철근, 파이프, H형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면에는 별도의 기둥이 매설되고, 상기 앵카롯드(140b)는 기둥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anchor rod 140b is buried in the ground and serves to support the track rail unit 100 in the air. Here, the anchor rod 140b is shown in the form of a thin tube, but may be made of reinforcing bars, pipes, H-beams, etc., and a separate pillar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anchor rod 140b is coupled to the pillar. It may be manufactured.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장치(200)는 체험자가 탑승하는 탑승부(210)와, 주행장치의 하강을 제어하는 주행제어부(220)와, 탑승자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도움장치(230)와, 도착부(F)에 도착한 주행장치를 출발지점까지 끌어올리는 와이어 클램프(240)와, 트랙레일부(100)에 접촉된 주행장치(200)가 트랙레일(110)의 위에서 슬라이딩 되어지도록 하는 주행 휠부(250)로 구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traveling device 200 includes a boarding unit 210 on which an experienced person boards, a driving control unit 220 controlling a lowering of the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assistance device indicating a driving state of a passenger. 230, a wire clamp 240 for raising the traveling device arriving at the arrival part F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traveling device 200 in contact with the track rail part 100 slide on the track rail 110. It is composed of a driving wheel 250 to be.

상기 탑승부(210)는 주행장치(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착석 할 수 있는 탑승시트(211)와, 주행장치(2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날아오는 오물과 바람이 체험자에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212)이 더 포함된다.The boarding unit 210 is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200, the boarding seat 211 that can be seated by the experienced person,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driving device 200 is the dirt and wind flying from the outside The screen 212 is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inflow to the experienced person.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제어부(220)는 주행장치(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조작핸들(221)이 포함된다. 상기 조작핸들(221)은 일측은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체험자가 상기 돌출부를 밀고 당김으로써 조작핸들(22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핸들(221)은 돌출부가 밀고 당겨짐에 따라 가속부(222)와 브레이크부(223)에 각각 접속되어 주행장치(200)의 속도가 제어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작핸들(221)이 브레이크부(223)에 접속되어지면, 브레이크가 동작되어 주행장치의 속도가 감소되어지고, 반대로 조작핸들(221)이 가속부(222)에 접속되어지면, 브레이크가 풀려 주행장치의 속도가 증가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traveling control unit 220 includes an operation handle 22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he operation handle 221 is rotatably fixed to one side back and forth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handle 221 by pushing and pulling the protrusion. Here, the operation handle 221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unit 222 and the brake unit 223 as the protrusion is pushed and pulled so that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is controlled. When the operation handle 221 is connected to the brake unit 223, the brake is operat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on handle 221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unit 222, the brake is released.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increased.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223)는 내측에 복수개의 자석패드(224)와 상기 자석패드(224)에 연결되어 자석패드(224)가 회전되어지도록 하는 자석패드 회전제어부(224a)가 구비되어 브레이크부(223)의 동작신호에 따라 회전되어진다.In addition, the brake unit 223 is provided with a magnetic pad rotation control unit 224a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agnetic pads 224 and the magnetic pads 224 to rotate the magnetic pads 224. 22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다시 말해, 조작핸들(221)이 브레이크부(223)에 접속되거나, 브레이크부(223)로 동작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부(223)는 자석패드 회전제어부(224a)를 제어하여 자석패드(224)가 회전되어지게 한다. 상기 자석패드(224)는 기 설정된 구간을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트랙레일부(100)에 와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on handle 221 is connected to the brake unit 223 or when an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rake unit 223, the brake unit 223 controls the magnet pad rotation control unit 224a to control the magnet pad. Let 224 be rotated. The magnet pad 224 repeatedly generates a eddy current in the track rail unit 100 while repeatedly moving a predetermined section.

이에 따라, 주행장치(200)가 출발부(S)에서 도착부(F)로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는 와전류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경되어, 주행장치(200)의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Accordingly,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while the traveling device 200 descends from the starting part S to the arrival part F is changed into thermal energy by the eddy current, thereby reducing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한편, 상기 브레이크부(223)는 별도의 제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자석패드(224)로 속도를 1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동수단을 통해 주행장치(200)가 완전하게 정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동수단은 주행 휠부(250)의 슬라이딩을 방해하는 장치의 형태 또는 트랙레일부(100)에 마찰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ke unit 223 further includes a separate braking means to reduce the speed primarily with the magnet pad 224, so that the traveling device 200 can be completely stopped through the braking means. Can be. The braking means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vice that prevents sliding of the driving wheel part 250 or a device that generates friction in the track rail part 100.

일 예로, 상기 트랙레일부(100)의 도착지점에 제동 브러쉬(1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동 브러쉬(170)은 도착부(F)에서 10m 이상 떨어진 구간에 설치되어 도착부(F)에 도달하는 주행장치(200)의 진입속도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제동 브러쉬(170)은 나일론 소재의 강성모로 제작되어 주행 휠부(250)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주행장치(200)가 강제로 제동되어지도록 한다.For example, a braking brush 170 may be installed at an arrival point of the track rail unit 100. The braking brush 170 is installed in a section 10m or more away from the arrival portion (F) to reduce the entry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reaching the arrival portion (F). Here, the braking brush 170 is made of a rigid wool of nylon material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vel wheel 250 so that the traveling device 200 is forcibly braked.

한편, 상기 주행제어부(220)는 무선통신부(2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21a)는 외부의 단말기 또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신호에 따라 가속부(222) 또는 브레이크부(223)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주행장치(200)가 가속 또는 감속되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control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terminal or devic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accelerator 222 or the brake unit 223 according to the radio signal, thereby accelerating the traveling device 200. Or it can be controlled to be decelerated.

다시 말해, 상기 주행장치(200)는 조작핸들(221)의 조작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어질 수 있으며, 외부의 단말기에서 송신한 무선신호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handle 221 and the speed may be controlled by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terminal.

한편, 상기 주행제어부(220)는 상기 무선통신부(221a)에 연결되는 속도조절제어부(22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속도조절제어부(221b)는 무선통신부(221a)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가속부(222)와 브레이크부(223)의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control unit 220 further includes a speed regulation control unit 221b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he speed regulation control unit 221b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and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peeds of the accelerator 222 and the brake unit 223.

또한, 상기 트랙레일부(100)는 주행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주행장치 위치 측정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 위치 측정부(150)는 주행장치(200)에 부착되는 태그장치(151)와, 트랙레일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태그장치(151)를 인식하는 태그장치 리더기(151a)와 상기 태그장치 리더기에 설치되어 인식된 태그장치(151)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송수신하는 위치송신부(152로 구성되어, 상기 트랙레일부(100)를 주행하는 주행장치(200)의 개별식별번호와 위치,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ck rail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traveling device position measuring unit 150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measuring unit 150 includes a tag device 151 attached to the traveling device 200, a tag device reader 151a installed on the track rail unit 100, and recognizing the tag device 151. It is composed of a position transmitter 15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recognized tag device 151 installed on the tag device reader to the manager terminal or display means, the individual of the traveling device 200 for driving the track rail unit 100 The identification number, location, and spe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manager terminal or display means in real time.

한편,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제어부의 무선통신부(221a)와 통신하여 가속부(222)와 브레이크부(223)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er 150 may control the accelerator 222 and the brake 223 b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of the travel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위치송신부(152에서 전송한 개별식별번호와 위치, 속도 정보를 종합하여 트랙레일부(100)에서 주행하는 주행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manager terminal or the display means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raveling in the track rail unit 100 by combin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number, the posi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transmitter 152.

이는, 트랙레일부(100)를 주행하는 주행장치(200)의 위치 및 속도 등과 같은 주행상태를 판단하여 주행장치(200)의 이상 또는 하강시설물의 순환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장치(200)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거나 빨라지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체험자에게 먼저 연락을 취할 수 있으며, 주행장치(200)가 트랙레일부(100)의 위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 정지된 정확한 위치의 파악과 함께 주변의 주행장치의 속도를 제어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determines the driving state such as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raveling the track rail unit 100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traveling device 200 or the circulation state of the falling facility. 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is abnormally slowed or accelerated, it is possible to contact the experienced person first by recognizing this, and when the traveling device 200 is stopped on the track rail unit 100, the vehicle stop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surrounding traveling device together with grasping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200)가 도착부(F)에 인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221a)에 브레이크부(223)을 작동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하여, 체험자가 도착지점에 안전하게 정지 및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evice 200 is adjacent to the arrival unit F,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223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o drive the traveling speed. Is controlled to be reduced, allowing the experienced person to safely stop and get off at the point of arrival.

또한,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의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무선통신부(221a)에 가속부(222)를 작동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장치의 속도가 증가되어지도록 제어하고. 주행장치의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무선통신부(221a)에 브레이크부(223)를 작동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장치의 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the preset range,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accelerator 222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To be increased. When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measured to be higher than the preset range,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may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223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또한,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200)가 곡선레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221a)에 브레이크부(223)를 작동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장치의 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체험자 또는 주행장치(200)가 트랙레일부(100)의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evice 200 is close to the curved rail,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223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By controlling to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erienced person or the traveling device 200 from being thrown out of the track rail part 100.

또한,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200)가 인접한 주행장치와의 간격이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장치와의 안전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부(221a)에 브레이크(223)를 작동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장치(200)의 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iv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veling device 200 and the adjacent traveling device is closer than the preset dista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may maintain the safety distance with the traveling device. B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223 to the control,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to be reduced.

또한,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200)가 출발부(S)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수단은 트랙레일부(100)를 주행하는 주행장치(200)의 위치를 표시하고, 출발부(S)와 상기 주행장치(200) 사이의 안전거리가 확보되면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발 승인신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has entered the starting unit S,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raveling the track rail unit 100. If the safety distance between the starter (S) and the traveling device 200 is secured, the departure approval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manager terminal or the display means.

한편, 상기 트랙레일부(100)는 보조 트랙레일(1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보조 트랙레일(12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바디립(180)과 상기 바디립(180)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격자 형태로 탈착 가능한 정렬판(181)이 더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ck rail portion 100 extends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track rail 120, is coupled between the auxiliary track rail 120 and the body lip 180 having a form protruding upwards and The alignment plate 181 may be further removed in a lattice for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lip 180.

상기 정렬판(181)은 주행장치(200)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비틀린 주행 휠부(250)의 정렬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트랙레일부(100)에 설치하여 주행 휠부(250)가 실시간으로 정렬되어 질 수 있다.The alignment plate 181 is for adjusting the alignment state of the twisted driving wheel unit 250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he alignment plate 181 is installed on the track rail unit 100 to align the driving wheel unit 250 in real time. Can be done.

한편, 트랙레일부(100)는 상기 정렬판(181)을 거치하기 위한 정렬판 거치대(181a)가 더 포함된다.Meanwhile, the track rail unit 100 further includes an alignment plate holder 181a for mounting the alignment plate 181.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휠부(250)는 트랙레일부(100)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어 주행 휠(251)을 마모로 부터 보호하는 주행 휠 외부커버(252)와 상기 주행 휠 외부커버(252)의 내측에 형성되어 주행 휠(251)의 마모를 감지하는 마모감지판(25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트랙레일부(100)의 주행에 따라 주행 휠 외부커버(252)에 마모가 발생되어 내측에 위치한 마모감지판(253)이 트랙레일부(100)에 접촉되면, 주행제어부(22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에 주행 휠(251)의 마모 상태를 전송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the driving wheel part 250 is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rack rail part 100 to protect the driving wheel 251 from abrasion and the driving wheel outer cover 252.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riving wheel outer cover 252 is composed of a wear detection plate 253 for detecting the wear of the driving wheel 251. Here, when the track rail unit 100 is worn, the wear of the driving wheel outer cover 252 occurs and the wear detection plate 253 located inside the contact with the track rail unit 100, through the running control unit 220 The wear state of the driving wheel 251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는 주행제어부(220)에서 송신하는 주행장치(200)의 마모상태를 수신함으로써, 주행장치의 안전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한편,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manager terminal receives the wear state of the travel device 200 transmitted from the travel control unit 220, thereby monitoring the safety state of the travel device in real time and maintaining the optimal stat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장치(200)는 주행 도움장치(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도움장치(230)은 주행장치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조명이 온오프 되어지는 전조등(231)과, 탑승부(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경적기가 눌려짐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는 경음기(232), 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다른 주행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사이드미러(233)와, 탑승시트(211)에 착석한 체험자를 고정하는 안전벨트(234) 및 주행장치의 양 측면에서 설치되어 체험자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35)를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travel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helper 230. The driving helper 23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riving device, the headlight 231 is turned on and off the light, and the hor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arding portion 210, the sound is generated as the horn is pressed ( 232), and the side mirror 233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ther traveling device 200 approaching from the rear, the seat belt 234 to secure the experienced person seated on the seat 211, and both sides of the traveling device A handle 235 is installed to allow the experiencer to be supported.

또한, 상기 주행 도움장치(230)은 주행장치(2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발전기(236)와 상기 자가발전기(236)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237)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self-generator 236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and a battery 237 for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elf-generator 236. Include.

또한 상기 주행장치(200)는 주행 중 발생할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충격흡수부(2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충격흡수부(260)는 주행장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범퍼(261)와 탑승시트(211)의 전면부와 측면부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백(262)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부(260)는 충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충격이 감지될 경우, 에어백(262)을 작동시켜 주행장치(200)에 탑승한 체험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velin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ing unit 260 to absorb a shock that may occur during driving. The shock absorbing unit 260 includes a bumper 261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and an air bag 262 installed at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boarding seat 211, respectively. The shock absorbing unit 260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sensor to operate the airbag 262 to prevent an injured person from injuring the vehicle 200 by operating the airbag 262.

한편,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장치(200)는 와이어 클램프(2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240)는 특수 합성 고무소재를 사용하여 기존의 고무패드보다 면적이 넓게 제작되어, 우수한 밀착성과 내구성을 가져 요철 표면과 와이어 클램프(240)간의 마찰계수를 높여 슬립현상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traveling device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 clamp 240. The wire clamp 240 is made of a wider area than conventional rubber pads using a special synthetic rubber material, has excellent adhesion and durability to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uneven surface and the wire clamp 240 to remove the slip phenomenon It is possible.

한편 이러한 와이어 클램프(240)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된 와이어 턴 테이플 윈치(241)를 상기 와이어 클램프(240)에 고정시켜, 당기는 것으로 상기 주행장치(200)가 출발부(S)까지 인양되어진다.Meanwhile, the wire clamp 240 fixes the wire turn tapered winch 241 installed 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arrival point to the wire clamp 240 and pulls the traveling device 200 to the starting part S by pulling. It is don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장치 및 체험시설물에 따르면,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를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위치 및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체험자가 하강시설물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석패드(224)를 이용한 제동방식으로 주행장치(200)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the experience facility using the gravity ener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50 to measure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driving device in real time, the experienced person can safely use the descend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 braking method using the magnetic pad 224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wear from occurring in the traveling device 2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may be named a first component as a second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100 : 트랙레일부 110 : 트랙레일
120 : 보조 트랙레일 130 : 수직 립플레이트
140 : 지지암 150 :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
200 : 주행장치 210 : 탑승부
220 : 주행제어부 230 : 주행 도움장치
240 : 와이어클램프 250 : 주행 휠부
260 : 충격흡수부
100: track rail portion 110: track rail
120: auxiliary track rail 130: vertical lip plate
140: support arm 150: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driving device 210: the boarding portion
220: driving control unit 230: driving help device
240: wire clamp 250: driving wheel portion
260: shock absorbing part

Claims (7)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곳에 설치되는 출발부(S)와 상기 출발부(S)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도착부(F)를 직선레일과 곡선레일의 조합으로 연결된 트랙레일부(100);와 상기 트랙레일부(100)의 위에 안착되어 출발부(S)에서 도착부(F)까지 중력에 의해 하강주행 되어지는 주행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레일부(10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랙레일(110);과 상기 트랙레일(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 트랙레일(120);과 상기 트랙레일(1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격자로 배치되는 수직 립플레이트(130);와 상기 수직 립플레이트(13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ㄷ’형상의 지지암(140);과 상기 지지암(140)의 타측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어지는 지지골조(140a);와 상기 지지골조(140a)의 밑면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앵카롯드(140b)를 포함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트랙레일부(100)는 주행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200)에 설치되는 태그장치(151)와, 트랙레일부(100)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태그장치(151)를 인식하는 태그장치 리더기(151a)와 상기 태그장치 리더기(151a)에 연결되어 인식된 태그장치(151)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송수신하는 위치송신부(152)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송신부(152)는 태그장치 리더기(151a)에 인식된 태그장치(151)의 위치와 속도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트랙레일부(100)는 상기 보조 트랙레일(1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보조 트랙레일(12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바디립(180)과 상기 바디립(180)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격자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지는 정렬판(181)이 더 포함되며,
상기 트랙레일부(100)의 도착지점에는 주행장치(200)의 진입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동 브러쉬(1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rack rail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tart portion (S)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the arrival portion (F)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tart portion (S) by a combination of a straight rail and a curved rail. And a traveling device 200 seated on the track rail part 100 and descending by gravity from the starting part S to the arrival part F,
The track rail unit 100 is a track rail (110) disposed in parallel to the groun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an auxiliary track rail (120) dispos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10; and the track rail ( A vertical lip plate 130 is disposed in a gri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120; and one side end is fixed to the vertical lip plate 130 and a 'c' shaped support arm extending in the ground direction ( 140; and the support frame 140a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arm 140; and the anchor rod 140b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140a and extended in the ground direction and embedded in the ground In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including),
The track rail unit 100 further includes a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traveling device 200, and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is a tag installed in the traveling device 200. The tag device reader 151a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device 151 and the track rail unit 100 to recognize the tag device 151 and the tag device recogni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ag device reader 151a. It comprises a position transmitter 15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151 to the manager terminal or display means, the position transmitter 152 is the posi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151 recognized by the tag device reader 151a You can send in real time,
The track rail part 100 extends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track rail 120 and is coupled between the auxiliary track rails 120 and has a body lip 180 which protrudes upward. Further included is an alignment plate 181 which is detachably coupled in a lattice for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lip 180,
At the arrival point of the track rail unit 100, the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king brush 170 for reducing the entry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200)는 체험자가 탑승하는 탑승부(210)와, 주행장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주행제어부(220)와, 탑승자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도움장치(230)와 도착부(F)에 도착한 주행장치(200)를 출발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와이어 클램프(240)와, 트랙레일부(100)에 접촉된 주행장치(200)가 슬라이딩 되어 하강되어지도록 하는 주행 휠부(250)로 구성되며,
상기 탑승부(210)는 주행장치(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체험자가 착석 가능한 탑승시트(211)와, 주행장치(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날아오는 오물과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21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veling device 200 includes a boarding unit 210 on which an experienced person boards, a driving control unit 220 controlling a state of the driving devic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230 and an arrival unit F indicating a driving state of the passenger. A wire clamp 240 for transferring the traveling device 200 arriving at the starting point to the starting point, and a traveling wheel part 250 allowing the traveling device 200 in contact with the track rail part 100 to slide downward.
The boarding unit 210 is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device 200 to allow the experienced person to sit on the seat 211 and the front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o prevent the inflow of dirt and wind from the front.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212 is inclu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제어부(220)는 주행장치(2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주행장치(200)의 속도를 제어하는 조작핸들(221)과 무선신호를 수신 받는 무선통신부(221a)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핸들(221)은 일측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를 밀고 당김에 따라 조작핸들(221)이 가속부(222)와 브레이크부(223)에 접속되어 상기 가속부(222)와 브레이크부(223)가 작동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무선통신부(221a)는 수신된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가속부(222)와 브레이크부(223)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장치의 속도가 제어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veling control unit 2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raveling device 200 is composed of a control handle 221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The operation handle 221 is rotat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projection, the operation handle 221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222 and the brake unit 223 as the acceleration and pull the protrusion as the acceleration To operate the unit 222 and the brake unit 223,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celerator 222 and the brake unit 223 according to the received radio signal so that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is controlled so that gravity falls using gravity energy.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223)는 복수개의 자석패드(224)와 상기 자석패드(224)에 연결되는 자석패드 회전제어부(224a)로 구성되어,
상기 브레이크부(223)의 동작신호에 따라 자석패드 회전제어부(224a)가 회전되고, 자석패드 회전제어부(224a)에 연결된 자석패드(224)가 기 설정된 구간을 반복 이동하면서 생성된 와전류에 의해 주행장치가 제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rake unit 223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 pads 224 and a magnet pad rotation control unit 224a connected to the magnet pads 224.
The magnet pad rotation control unit 224a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brake unit 223, and the magnet pad 224 connected to the magnet pad rotation control unit 224a is moved by the eddy current generated while repeatedly moving the preset section.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brak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도움장치(230)는 상기 주행장치(200)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조명이 온오프 되어지는 전조등(231)과, 탑승부(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경적기가 눌려짐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는 경음기(232)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장치의 유무를 확인하는 사이드미러(233)와, 탑승시트(211)에 설치되어 체험자의 신체를 고정하는 안전벨트(234)와, 주행장치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235)와, 주행장치(2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발전기(236) 및 상기 자가발전기(236)에서 발생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237)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helper 230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driving device 200, the headlight 231 and the lighting is turned on and off, and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arding portion 210, the sound as the horn is pressed The horn 232 generated, the side mirror 233 for checking the presence of the traveling device approaching from the rear, the seat belt 211 is installed on the seat belt 211 to secure the body of the experienced person, and A handle 235 installed at both sides, a self-generator 236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to produce electric energy, and a battery 237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elf-generator 236.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 위치 판단부(150)는 주행장치(2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무선통신부(221a)에 가속부(222)를 동작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속도가 증가되어지도록 제어하고, 주행장치(200)의 속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무선통신부(221a)에 브레이크부(223)을 동작시키는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주행속도가 감소되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a preset range, the travel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unit 15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accelerator 222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whereby the traveling speed is increased. When the speed of the traveling device 200 is measured to be higher than the preset range, the wireless signal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223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1a to control the traveling speed to be reduced. Gravity lowering device using the gravitational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erie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200)는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2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충격흡수부(260)는 주행장치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범퍼(261)와, 탑승시트(211)의 전면부 및 측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262)을 포함하여, 충격흡수부(260)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에어백(262)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velin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ing unit 260 that absorbs a shock generated during driving.
The shock absorbing unit 260 is installed on the shock absorbing unit 260, including a bumper 261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veling device, and an air bag 262 installed at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boarding seat 211. Gravity lower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y using gravity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bag 262 is operated when the shock sensor detects a shock.
KR1020190030756A 2018-08-10 2019-03-18 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 KR1020485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4069 2018-08-10
KR1020180094069 2018-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47B1 true KR102048547B1 (en) 2019-11-25

Family

ID=6873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56A KR102048547B1 (en) 2018-08-10 2019-03-18 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3B1 (en) 2022-06-08 2023-01-04 (주)신흥이앤지 Extreme ride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78A (en) * 1996-07-17 1998-02-03 R & R:Kk Vehicle for recreation ground and facilities therefor
KR100908040B1 (en) * 2008-04-07 2009-07-15 한국철도공사 A rail-bike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system
KR20110001332U (en)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Descent stop platform
KR20120101906A (en) * 2011-03-07 2012-09-17 윤은석 Amusement device using nonutility generation
KR101538459B1 (en) * 2014-03-18 2015-07-22 주식회사 더스페이스코리아 A leisure vehicle installation drivable both earth and sky
KR101627291B1 (en)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Leisure sports facilities equipped with smart safety device
KR101865137B1 (en) * 2017-06-05 2018-06-05 진동열 Bobsleigh for practice
CN207520597U (en) * 2017-10-27 2018-06-22 芜湖市宝艺游乐科技设备有限公司 Inflate electric game vehic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78A (en) * 1996-07-17 1998-02-03 R & R:Kk Vehicle for recreation ground and facilities therefor
KR100908040B1 (en) * 2008-04-07 2009-07-15 한국철도공사 A rail-bike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system
KR20110001332U (en)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Descent stop platform
KR20120101906A (en) * 2011-03-07 2012-09-17 윤은석 Amusement device using nonutility generation
KR101538459B1 (en) * 2014-03-18 2015-07-22 주식회사 더스페이스코리아 A leisure vehicle installation drivable both earth and sky
KR101627291B1 (en)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Leisure sports facilities equipped with smart safety device
KR101865137B1 (en) * 2017-06-05 2018-06-05 진동열 Bobsleigh for practice
CN207520597U (en) * 2017-10-27 2018-06-22 芜湖市宝艺游乐科技设备有限公司 Inflate electric game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3B1 (en) 2022-06-08 2023-01-04 (주)신흥이앤지 Extreme ri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312B2 (en) Arrangement for damping lateral sways of a rope fixed to an elevator unit and an elevator
CN110261849B (en) Tunnel lining structure detection device
EP1172273B1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CN105539391A (en) Vehicle running protecting device for rubber-tire vehicle
CN101306687A (en) Gravitation vehicle for conveying persons or cargo
KR102048547B1 (en) Gravity falling device and experience facilities using gravity falling energy
CN102811936A (en) Arrangement for damping lateral sways of a rope-like means fixed to an elevator car
CN207158541U (en) A kind of protection device fallen for elevator emergency
CN114988246A (en) Car yielding rubber base subassembly for elevator
WO2012023324A1 (en) Transportation system
KR100988364B1 (en) Turn table apparatus for railbike
KR101010362B1 (en) Elevator having horizontally moving section
KR102302630B1 (en) Ziptrek system with harness withdrawl device
JP2012218888A (en) Elevator with deceleration assist device
CN210526547U (en) Railway vehicle emergency braking device and railway vehicle
US9038780B2 (en) Safety brake for incline elevators
KR102423656B1 (en) Aerial cableway transport installation and method
KR101455060B1 (en) Wire type elevator and falling prevention method of the same
JP4818645B2 (en) Wind monitoring device for cable carriage
CN205365560U (en) Rubber wheel vehicle sports car protector
CN105712148B (en) A kind of car emergency stop equipment
CN210457053U (en) Weighing structure at elevator car top wheel shaft
JPH05131920A (en) Hybrid-type circulation cableway usable with railway
CN202952975U (en) Anti-galloping device of aerial passenger device
CN206766023U (en) A kind of suspension type monorail conductor rail system installs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