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427B1 -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427B1
KR102048427B1 KR1020130026706A KR20130026706A KR102048427B1 KR 102048427 B1 KR102048427 B1 KR 102048427B1 KR 1020130026706 A KR1020130026706 A KR 1020130026706A KR 20130026706 A KR20130026706 A KR 20130026706A KR 102048427 B1 KR102048427 B1 KR 10204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resonators
antenn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485A (ko
Inventor
모하메드 체이크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3010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 G06K7/1012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the step consisting of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one or more record carriers in the vicinity of the interrogation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5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methods and means used by the interrogation device for reliably power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n electromagnetic interrogation field
    • G06K7/1017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methods and means used by the interrogation device for reliably power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n electromagnetic interrogation field including auxiliary means for focusing, repeating or boosting the electromagnetic interrogation fie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8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side-mounted antennas, e.g. bumper-mounted, door-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휴대용 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통합된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이며,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인쇄 배선 회로(printed circuit)(70)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배선 회로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향해 배향된 상부면(FS) 및 상기 상부면(FS)으로부터 대향측에 배향된 하부면(FI), 마이크로컨트롤러(30), 근거리(near-field) 리더(60), 검출 모듈(50), 및 표면(S) 및 중심(0)을 가지며 근거리 리더에 연결되는 상기 인쇄 배선 회로(70)의 면(FS) 상에 위치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2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상기 인쇄 배선 회로의 면(FI)에 인쇄되고, 상기 통신 안테나(20)의 표면(S)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S1)을 덮는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만들어지는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근거리 통신 주파수로 공진하도록 주파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40a, 40b, 40b, 40c)들은 상기 공진기들의 단말들에 걸쳐 전압 편차(△Va, △Vb, △Vc, △Vd)를 생성시키며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 모듈(50)에 접속된다.

Description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ETECTION AND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차로의 접근을 위한 "핸즈 프리(hands free)"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과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자동차 탑재식(onboard) 검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 또한 소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는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배지(badge) 또는 휴대 전화 형식의)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고, 이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러한 휴대용 장치와 통신한다. 사용자가 차량 접근에 승인된 사용자라면, 이후 차량은 차량의 도어들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휴대용 장치의 인식은 NFC 안테나에 연결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에 통합되는 근거리 통신 리더(reader), 소위 NFC 리더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도어들의 잠금 해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접속되는 BCM("Body Control Module" 또는 샤시 제어 모듈) 형식의 차량 탑재식 전자 유닛에 의해 촉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차량 탑재식 NFC 안테나는 차량의 도어 핸들 내에 위치되고, 검출 안테나 및 통신 안테나와 같은 2 개의 부품들로 제작된다. 검출 안테나는 통신 안테나 둘레에 감기는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구성된다. 검출 안테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검출 안테나에 근접 위치되며 차량의 도어 핸들 내에 통합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측정되는 이러한 검출 안테나의 단말들에 걸쳐 전압의 편차는, 휴대용 장치의 접근의 검출을 허용한다. 검출 안테나는 더 큰 검출 범위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대형이며 통신 안테나보다 더 큰 크기이다.
통신 안테나는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구성되며, 어댑테이션 커패시터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안테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에 통합된 NFC 리더에 연결된다. 이러한 통신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 주파수, 즉 13.56 MHz의 주파수로 휴대용 장치에 위치된 NFC 안테나와 통신한다. 통신 안테나는 13.56 MHz로 공진한다고 한다. 통신 안테나의 주파수의 조절은, 예컨대 어댑테이션 커패시터에 의해 실행된다. 검출 안테나와 통신 안테나 사이의 커플링의 임의의 현상들, 그 중에서도, 검출 안테나의 대형 크기에 기인한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통신 안테나는 13.56 MHz 의 주파수로 공진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 안테나는 임의의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고, 뿐만 아니라 13.56 MHz 로 통신하는 NFC 안테나가 장비된 휴대용 장치들의 접근을 검출한다. 검출 안테나가 임의의 형식의 휴대용 장치를 검출하고 통신 안테나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들만을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검출 안테나는 오검출(false detection)들을 만드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실패할 수 있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통신 안테나와 휴대용 장치 사이의 통신의 시도를 유발한다.
차량 탑재식 NFC 안테나의 성능의 주요한 기준은 1 차 NFC 안테나로 불릴 수 있는 이러한 안테나와 2 차 NFC 안테나로 불릴 수 있는 휴대용 장치에 위치되는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 거리이다. 사실상, 근거리 통신의 범위(즉, 13.56 MHz 의 주파수)는 0 cm(그러면, 서로 통신하는 2 개의 물체들이 접촉하고 있음)로부터 최대 10 cm 까지이다. NFC 통신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거리로 휴대용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이점이 존재하고, 그러면 통신을 위해서, 사용자가 휴대용 장치를 도어 핸들에 접근시킬 필요가 없으며, 하물며 휴대용 장치를 차량의 도어 핸들에 접촉 배치할 필요가 없음이 이해된다.
NFC 통신 거리는 통신 안테나의 크기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통신 안테나의 파워(power)와 직접 관련된다. 이제,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통신 안테나에 제공된 파워는 차량의 전기 소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차량 정지 상태 중, 이러한 전기 소모는 배터리를 방전시키기 않기 위해서, 최소화되어야만 한다. 통신 안테나의 통신 거리 증가를 위한 임의의 파워 증가는 회피되어야만 한다.
통신 안테나의 크기 또한 제한되는데, 이는 이러한 통신 안테나, 검출 안테나 및 연관된 전자장비들(마이크로컨트롤러, NFC 리더, 등), 즉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가,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핸들의 매우 제한된 공간 내에 통합되기 때문이다. 1 차 NFC 안테나의 2 개의 부품들, 즉 검출 안테나 및 통신 안테나의 통합은, 차량 도어 핸들의 할당된(allocated) 공간에 있는 룸(room)의 부족으로 인해 종종 어렵다.
이에 따라, 휴대용 장치의 2 차 NFC 안테나와의 통신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통신 안테나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이러한 안테나에 제공된 파워를 증폭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종래 기술로부터, 1 차 NFC 안테나 아래에 페라이트(ferrite)를 배치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페라이트는 차량 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페라이트는 차량을 향해 지향된 통신 안테나의 전자기장의 일부를 반사시킨다. 차량의 외부를 향한 전자기장의 반사의 결과는 통신 안테나의 통신 거리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러나, 페라이트의 추가는 비용적으로 무시할 수 없으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위해 만들어진(dedicated) 도어 핸들의 제한된 공간에서 항상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제안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목적은,
ㆍ1 차 NFC 안테나의 크기 또는 그의 파워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근거리 통신 거리를 증가시키고,
ㆍ검출 안테나가 필요 없고,
ㆍNFC 안테나가 통합된 휴대용 장치들만을 검출하고 단지 임의의 형식의 휴대용 장치들은 바로 검출하지 않아, 오검출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휴대용 장치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1 차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통합된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는
인쇄 배선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배선 회로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향해 배향된 상부면 및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대향 측에 배향된 하부면,
마이크로컨트롤러,
근거리(near-field) 리더,
검출 모듈, 및
표면 및 중심을 가지며 상기 근거리 리더에 연결되는 상기 인쇄 배선 회로의 면 상에 위치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는,
상기 인쇄 배선 회로의 면에 인쇄되고, 상기 통신 안테나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을 커버하는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만들어지는 복수 개의 공진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들은 근거리 통신 주파수로 공진하도록 주파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들은 상기 공진기들의 단말들에 걸쳐 전압 편차를 생성하며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 모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한 방식에서, 통신 안테나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향해 배향된 인쇄 배선 회로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며, 복수 개의 공진기들은 상기 인쇄 배선 회로의 하부면에 위치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조절 수단은 어댑테이션 커패시터(adaptation capacitor)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조절 수단은 다수의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공진기들은 상기 통신 안테나의 표면에 걸쳐 균일한 방식으로 분포된다.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공진기들은 상기 통신 안테나의 중심에서 상기 통신 안테나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축 및 횡방향 축에 대해 대칭(symmetric) 방식으로 분포된다.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핸들 내에 통합되는 임의의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하기 설명을 판독하고 첨부 도면들을 조사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위에서부터 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위에서부터 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진기들을 갖거나 갖지 않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의 공진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의 개략도들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도 1 참조)에 따르면,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근거리 통신 리더(reader), 소위 NFC 리더(60) 및 검출 모듈(50)을 통합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 및 1 차 NFC 안테나(A)를 포함한다. 1 차 NFC 안테나(A)는, 표면(S) 상에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구성된 통신 안테나(20) 및 통신 안테나(20) 둘레에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구성된 검출 안테나(10)를 포함한다.
이들 안테나들 각각은 마이크로컨트롤러(30)에 연결된다. 통신 안테나(20)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의 NFC 리더(60)에 연결되고, 검출 안테나(10)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의 검출 모듈(50)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30)(도 3 참조)는 인쇄 배선 회로(70) 내에 통합되며, 그의 상부면(FS)은 1 차 NFC 안테나(A) 하부에 위치된다.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제한된 공간, 예컨대 차량 도어 핸들(P)에 위치된다. 인쇄 배선 회로(70)의 상부면(FS) 및 통신 안테나(20)는 차량의 외부를 향해 배향된 도어 핸들(P) 측에 위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휴대용 장치(도시 생략)가 검출 안테나(10)에 접근할 때, 검출 안테나의 단말(terminal)들에 걸쳐 전압은 변동한다(증가 또는 감소). 이러한 전압 편차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의 검출 모듈(50)에 의해 검출되며, 이후 이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통신 안테나(20)를 구동한다. 통신 안테나(20)의 구동은 이러한 통신 안테나(20) 둘레에 전자기장(B1)(도 3 참조)을 형성시키며, 이 전자기장은 휴대용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영역에 해당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영역은 휴대용 장치 내에 통합된 2 차 NFC 안테나(도시 생략)와 통신 안테나(20) 사이의 최대 통신 거리(dMAX1)(도 3 참조)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휴대용 장치가 통신 안테나(20)에 관하여, 이러한 최대 통신 거리(dMAX1) 미만의 거리에 위치되면, 이후 2 개의 안테나(통신 안테나들 및 2 차 NFC 안테나)들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식별자(identifier)의 교환이 2 개의 안테나들 사이에서 실행되며, 이에 의해 휴대용 장치를 식별하고 (휴대용 장치가 차량에의 접근을 승인하는 것으로 인식된다면) 차량의 도어들의 잠금 해제를 촉발(trigger)하게 할 수 있다.
휴대용 장치가 최대 통신 거리(dMAX1)를 초과하는 거리에 위치되면, 이후 휴대용 장치의 2 차 NFC 안테나와 통신 안테나(20) 사이에서 통신이 불가능하며, 차량의 도어들의 잠금 해제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서는 추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의 주된 문제점은 고가의 구성요소들의 추가 없이, 상기 장치의 크기, 장치의 전력 소모 등에 영향을 주지않고는 최대 통신 거리(dMAX1)의 증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인쇄 배선 회로(70)(도 1에 도시 생략)의 면(face)상에 인쇄된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패시브(passive)식이며, 즉 이들 공진기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방식에서, 이들 공진기는 인쇄 배선 회로(70)의 하부면(FI)에 인쇄된다. 이러한 하부면(FI)은 인쇄 배선 회로(70)의 상부면(FS)에 대향되며, 이러한 상부면 상에 통신 안테나(20)가 위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층들로 구성된 인쇄 배선 회로인 경우에, 인쇄 배선 회로(70)의 2 개의 연속 층들 사이에, 예컨대 통신 안테나(20)가 위치되는 제 1 층 아래에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이 통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통신 안테나(20)의 표면(S)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S1)을 커버한다.
이러한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통신 안테나(20)에 의해 생성되며 차량을 향해 배향된 전자기장 부분(B1)을 반사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자기장 부분(B1)을 반사시킨다.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의 존재에 의해 이렇게 생성된 신규의 전자기장(B2)(도 3 참조)은 주로 차량의 외부를 향해 배향되며,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의 존재 없이 통신 안테나(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B1)보다 더 넓다. 신규의 자기장(B2)의 신규의 최대 거리(dMAX2)는 당연히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의 존재 없이 얻어진 최대 거리(dMAX1)보다 더 현저하게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렇게 얻어진 근거리 통신의 신규의 최대 거리(dMAX2)는 본 발명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의 존재 없이 얻어진 통신의 최대 거리(dMAX1)보다 약 30% 내지 50% 더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인쇄 배선 회로(70)의 하부면(FI)에 걸쳐 균일한 방식으로 레이아웃된다. 보다 정확하게는(도 2 참조), 공진기들의 분포는 통신 안테나의 중심(O)에서 통신 안테나(20)를 통과하는 길이방향축(X-X') 및 횡방향축(Y-Y')에 대해 대칭을 이룬다. 이에 따라, 통신 안테나(20)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B1)의 반사(reflection)는 통신 안테나(20)의 표면(S)에 걸쳐 균일하다(homogeneous). 그리고, 최대 통신 거리의 게인(gain)은 새로운 자기장(B2)의 전파(propagation) 방향들에 특유의(uniform) 방식으로 분포된다.
중요하게는, 통신 안테나(20)가 위치되는 곳과 같은 인쇄 배선 회로(70)의 동일면,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 상부면(FS)에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을 통합하는 것이 요망되지는 않음에 주목한다. 통신 안테나(20)와 공진기(40a, 40b, 40c, 40d)들 사이의 이러한 직접적인 근접(proximity)은 근거리 검출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자기장(B1)을 교란하며, 이는 요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는 검출 모듈(50)에 연결되며, 1 차 NFC 안테나는 임의의 검출 안테나(10)를 포함하지 않는다. 검출 모듈(50)은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도 2 참조)의 단말(terminal)들에 걸친 전압 편차(△Va, △Vb, △Vc, △Vd)를 검출한다. 이러한 전압 편차(△Va, △Vb, △Vc, △Vd)들은 공진기(40a, 40b, 40c, 40d)들에 가까운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대표한다. 이에 따라, 검출 안테나(10)는 더 이상 필수가 아니며, 폐기될 수 있고,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의 단말들에 걸친 전압 측정으로 이를 대체한다.
제 1 실시예에서,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는 주파수 조절 수단, 예컨대, 어댑테이션 커패시터(adaptation capacitor)(Ca, Cb, Cc, Cd)(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댑테이션 커패시터들은,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가 근거리 통신 주파수, 예컨대, 13.56 MHz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방식으로 교정된다(calibrated).
제 2 실시예에서, 대안으로,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의 임피던스는, 공진기들이 13.56 MHz 으로 공진하도록 교정된다. 이러한 임피던스는, 예컨대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를 위해서, 그의 구리 와이어 권선들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교정된다.
따라서,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의 단말들에 걸쳐 측정된 전압 편차(△Va, △Vb, △Vc, △Vd)들은, 전술된 제 1 또는 제 2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 13.56 MHz 으로 통신하는 통신 안테나의 접근, 즉 2 차 NFC 안테나가 통합된 휴대용 장치의 접근의 검출만(solely) 허용한다.
물론, 이러한 검출은 임계값을 각각의 공진기(40a, 40b, 40c, 40d)의 전압 편차(△Va, △Vb, △Vc, △Vd)로 설정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검출은 이들 사이에서 전압 편차(△Va, △Vb, △Vc, △Vd)들의 곱(multiplication) 및/또는 추가에 의해 얻어진 값들, 또는 소망하는 검출 정확도에 따라 임의의 다른 수학 식들에 기인한 이들 전압 편차(△Va, △Vb, △Vc, △Vd)들을 기반으로 얻어진 임의의 값으로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의 이점은,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이 통신 안테나(20)보다 크기가 더 작아, 상기 공진기들과 통신 안테나(20) 사이에는 커플링의 어떠한 현상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의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특히, 공진기들의 개수 및 이들의 배치(disposition)는 변형될 수 있다. 이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통신 안테나 중심(O)에서 통신 안테나(20)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축(X-X') 및 횡방향축(Y-Y')에 대해 대칭 방식으로 배치되는 단지 2 개의 공진기(40a, 40b)들만을 포함한다. 도 5b에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길이방향 축(X-X') 및 횡방향축(Y-Y')에 대해 대칭 방식으로 배치되는 9 개의 공진기(40a 내지 40i)들을 포함한다.
또한, 공진기들의 형상도 다양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및 통신 장치는:
ㆍ 휴대용 장치와 차량 탑재식(onboard) 1 차 NFC 안테나 사이의 최대 근거리 통신 거리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ㆍ 근거리 통신 안테나(통신 안테나(20)와의 커플링의 임의의 현상들을 회피하기 위해서, 그 크기가 주어진 검출 안테나(10)가 13.56 MHz 로 교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해결책으로는 가능하지 않았음)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존재만을 검출하고, 그리고
ㆍ 이에 따라 검출 안테나의 존재가 필요 없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만 설명되고 부여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휴대용 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통합된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인쇄 배선 회로(printed circuit)(70)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배선 회로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향해 배향된 상부면(FS) 및 상기 상부면(FS)으로부터 대향측에 배향된 하부면(FI),
    마이크로컨트롤러(30),
    근거리(near-field) 리더(60),
    검출 모듈(50), 및
    표면(S) 및 중심(0)을 가지며 상기 근거리 리더(60)에 연결되는 상기 인쇄 배선 회로(70)의 면(FS) 상에 위치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2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D)는, 상기 인쇄 배선 회로의 면(FI)에 인쇄되고, 상기 통신 안테나(20)의 표면(S)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S1)을 덮는 구리 와이어 권선들로 만들어지는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근거리 통신 주파수로 공진하도록 주파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40a, 40b, 40b, 40c)들은 상기 공진기들의 단말들에 걸쳐 전압 편차(△Va, △Vb, △Vc, △Vd)를 생성시키며 상기 휴대용 장치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 모듈(5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안테나(20)는 상기 휴대용 장치를 향해 배향된 인쇄 배선 회로(70)의 상부면(FS) 상에 위치되며,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상기 인쇄 배선 회로(70)의 하부면(FI)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절 수단은 어댑테이션 커패시터(adaptation capacitor)(Ca, Cb, Cc, C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절 수단은 다수의 구리 와이어 권선(winding)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상기 통신 안테나(20)의 표면(S)에 걸쳐 균일한(homogeneous) 방식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진기(40a, 40b, 40c, 40d)들은 상기 통신 안테나의 중심(O)에서 상기 통신 안테나(20)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축(X-X') 및 횡방향 축(Y-Y')에 대해 대칭(symmetric) 방식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는 차량 도어 핸들(P)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30026706A 2012-03-14 2013-03-13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KR102048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2277 2012-03-14
FR1252277A FR2988195B1 (fr) 2012-03-14 2012-03-14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485A KR20130105485A (ko) 2013-09-25
KR102048427B1 true KR102048427B1 (ko) 2019-11-25

Family

ID=4648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706A KR102048427B1 (ko) 2012-03-14 2013-03-13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9814B2 (ko)
KR (1) KR102048427B1 (ko)
CN (1) CN103346819B (ko)
FR (1) FR2988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7613B (zh) * 2013-10-17 2016-01-11 國立交通大學 非接觸式訊號傳輸整合式裝置
FR3013069B1 (fr) * 2013-11-12 2015-12-0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oignee de portiere de vehicule comprenant une antenne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US9306283B2 (en) * 2014-01-24 2016-04-05 Sony Corporation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loop antenna communication range
FR3024594B1 (fr) * 2014-07-31 2017-12-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communication radiofrequence en champ proche avec un element portable embar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TW201623056A (zh) * 2014-12-30 2016-07-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汽車防盜系統及方法
EP3082061A1 (en) * 2015-04-13 2016-10-19 Phitek Systems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for aircraft
KR102342852B1 (ko) * 2015-06-16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US9590699B1 (en) * 2015-09-11 2017-03-07 Texas Instuments Incorporated Guided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short range data communication
CN107710285A (zh) * 2015-09-30 2018-02-16 杜拉汽车系统有限公司 车辆进入设备及配备有这种设备的车辆装饰部件
FR3043512B1 (fr) * 2015-11-05 2017-11-17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bidirectionnelle d'approche d'un equipement portable d'acces main libre a un vehicule et procede de detection associe
CN106056019B (zh) * 2016-05-24 2019-06-14 北京工业大学 一种耐高温低频天线及其分立器件的驱动放大电路系统
FR3066656A1 (fr) * 2017-05-19 2018-11-2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d'approche et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DE102018105837A1 (de) * 2018-03-14 2019-09-19 HELLA GmbH & Co. KGaA Fahrzeug mit einer Einrichtung zur passiven Zugangskontrolle
US10378254B1 (en) * 2018-05-16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having proximity sensors for door control and keypad
US10633910B2 (en) 2018-05-16 2020-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ving variable speed power assist
FR3082361B1 (fr) * 2018-06-12 2021-04-2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Systeme de detection d'approche et/ou de contact d'un utilisateur et de communication en ultra haute frequence avec un equipement portable d'utilisateur
US11078691B2 (en) 2018-06-26 2021-08-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vehicle door handle
FR3083877B1 (fr) * 2018-07-12 2020-06-12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odule d'activation detectant simultanement une approche et un appui d'un utilisateur avec une antenne haute frequence mobile
FR3085088B1 (fr) * 2018-08-20 2020-07-17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d'un equipement electronique et de communication a deux antennes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DE102019124217A1 (de) * 2019-06-11 2020-1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nordnung
CN112993554B (zh) * 2021-02-19 2023-04-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3021114A1 (fr) * 2021-08-19 2023-02-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ispositif de detection d'approche
FR3126276A1 (fr) * 2021-08-19 2023-02-24 Continental Automotive Dispositif de détection d’approche
CN115484666B (zh) * 2022-09-29 2023-05-05 深圳市鼎飞技术有限公司 适用于物联网移动终端的低功耗nfc装置及降功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085A (ja) 2005-11-10 2007-05-31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通信ユニット
KR101047078B1 (ko) 2010-04-09 2011-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Rfid용 무선 신호 및 전력 송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rfid 송수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697B2 (en) * 1995-06-07 2004-05-1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elematics system for vehicle diagnostics
US20050192727A1 (en) * 1994-05-09 2005-09-0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ensor Assemblies
US6963305B2 (en) * 2002-10-02 2005-11-08 Guenther Knapp Electromagnetic coupler system
US7504951B2 (en) * 2005-12-22 2009-03-17 Xerox Corporation Interface antenna
JP4977438B2 (ja) * 2006-10-25 2012-07-1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通信端末
CN101005291B (zh) * 2007-01-19 2010-05-19 清华大学 移动终端双频平面两天线系统
DE102007007703A1 (de) * 2007-02-12 2008-10-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tenne für Nahfeldreader und/oder Nahfeldtransponder
FR2920916B1 (fr) * 2007-09-12 2011-03-25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e fabrication d'un capteur d'approche etanche aux conditions environnementales exterieures, capteur d'approche etanche aux conditions environnementales exterieures et poignee associee
KR101473600B1 (ko) * 2007-09-17 2014-12-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자기 공진기에서의 고효율 및 고전력 전송
US7825860B2 (en) * 2008-04-16 2010-11-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assembly
CN102099965B (zh) * 2008-07-17 2014-05-14 高通股份有限公司 高频无线功率发射天线的自适应匹配和调谐
CN107415706B (zh) * 2008-09-27 2020-06-09 韦特里西提公司 无线能量转移系统
US8689013B2 (en) * 2008-10-21 2014-04-01 G. Wouter Habraken Dual-interface key management
CN101459273B (zh) * 2008-12-24 2014-10-22 瑞化股份有限公司 无线射频识别询答器之天线构造及其制造方法
KR101118471B1 (ko) * 2009-09-30 2012-03-12 한국전기연구원 스파이럴 안테나 및 스파이럴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장치
US8982008B2 (en) * 2011-03-31 2015-03-17 Harri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side-by-side passive loop antenna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085A (ja) 2005-11-10 2007-05-31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通信ユニット
KR101047078B1 (ko) 2010-04-09 2011-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Rfid용 무선 신호 및 전력 송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rfid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46819B (zh) 2017-01-18
US8929814B2 (en) 2015-01-06
KR20130105485A (ko) 2013-09-25
FR2988195A1 (fr) 2013-09-20
US20130244577A1 (en) 2013-09-19
CN103346819A (zh) 2013-10-09
FR2988195B1 (fr)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427B1 (ko) 검출 및 근거리 통신 장치
CN110520585B (zh) 用于从便携式访问设备激活车辆功能的方法和相关激活模块
KR101201441B1 (ko) 무선통신장치
CN101777697B (zh) 天线装置和信号传输系统
JP7243416B2 (ja) 位置判定システム
JP5109172B2 (ja) 送信アンテナ装置及び送信アンテナ装置が収容されるドアハンドル
WO2020217746A1 (ja) 位置判定システム
KR20210046727A (ko) 전자 장비의 아이템을 검출하고 2개의 근거리 통신 안테나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402279B1 (ko) 자동차의 보드 상에 있는 휴대용 요소와 근거리 무선 주파수 통신을 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50072137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US9148189B2 (en) Quality adjustment of a receiving circuit
US11043751B2 (en) NFC antenna device in a metallic environment
KR102276504B1 (ko) 근거리 통신 및 접근 검출 장치
US9888102B2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adjustable gain and associated gain adjustment method
KR20180080304A (ko) 차량에 핸즈프리 액세스를 하기 위해 휴대용 장치의 양방향 접근을 검출하는 디바이스 및 관련 검출 방법
US20140324252A1 (en) Method for characterizing a portable device by way of an antenna on board a motor vehicle
JP5633662B1 (ja) アンテナコイル内蔵モジュール、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機器
JP6977443B2 (ja) 複合アンテナ装置
JP2017123572A (ja) アンテナ装置
JP5826056B2 (ja) アンテナ装置
JP2010251819A (ja) 携帯機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通信システム
JP2019062373A (ja) 複合アンテナ装置
JP2010031455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WO2011014031A2 (ko) 무선 식별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17175555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