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349B1 -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349B1
KR102048349B1 KR1020170042944A KR20170042944A KR102048349B1 KR 102048349 B1 KR102048349 B1 KR 102048349B1 KR 1020170042944 A KR1020170042944 A KR 1020170042944A KR 20170042944 A KR20170042944 A KR 20170042944A KR 102048349 B1 KR102048349 B1 KR 10204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experience
video
tria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270A (ko
Inventor
고충길
문수원
Original Assignee
고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충길 filed Critical 고충길
Priority to KR102017004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지진 등의 자연재해 또는 화재를 비롯한 생활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며,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여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 다수에 대한 안전체험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30)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20)와; 상기 체험판(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과; 상기 체험판(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30)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와; 상기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지진 등의 자연재해 또는 화재를 비롯한 생활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며,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여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 다수에 대한 안전체험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태평양 조산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진안전지대로 여겨져 왔으나, 우리나라에도 다수의 활성단층이 존재하고 그로 인해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지진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그리고, 지진 발생시 원활한 대응을 위하여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재현하는 다양한 지진체험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중요 도시에 지진체험관을 설치하여 지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인 지진체험장치는 일반적인 건물의 실내 공간처럼 형성된 체험실과, 이 체험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체험실에 들어간 상태에서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체험실을 진동시킴으로써 지진이 일어날 때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지진체험장치는 단순히 건물의 흔들림만 모사할 수 있을 뿐 실제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지진 체험의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높은 진도로 체험실을 진동시킬 경우 체험실이 부서질 수 있어 일정 진도 이하의 지진만 체험할 수 있으며, 체험실을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 등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어 사람들이 생활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모두 체험할 수 없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진체험관이 설치된 도시가 많지 않아 지진체험을 위해서는 이들 도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지진을 체험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을 경우에는 장시간 동안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지진체험장치를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체험실을 크게 만들기가 어려워 체험인원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지진 체험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단순한 구성수단에 의해서도 지진발생시 흔들림이나 요동에 의한 연출이 무난한 실내주방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콘테이너 철구조물로 된 체험부스내에 입실한 체험자들에게 전신으로 지진발생에 따른 흔들림이나 요동을 체감하도록 하며, 방진스프링상에 안착하고 진동모터와 장착한 체험부스체와 그 하방에 중간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이 상호 길이방향의 축방향으로 조립된 틸팅로드를 기준으로 S파동의 체감과 동시에 P파의 체감을 위한 중간프레임상에 마련된 LM가이드모듈시스템에 의하여,P파와,S파, 복합파인 L파와 같은 복합적인 지진파동효과의 보다 다이나믹한 지진체험학습을 제공하도록 하는, 지진체험학습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베이스의 상부에 X축으로 진동되는 X축 진동플레이트와 Y축으로 진동되는 Y축 진동플레이트 및 상하로 진동되는 상하 진동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Y축과 X축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으므로, 좌우측 방향으로만 진동되던 종래의 지진체험장치에 비해, 더욱 다양한 패턴의 지진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지진체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수평방향 작동부와 수직방향 작동부에 의해 체험패널이 모의 지진파를 연출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모듈; 상기 구동모듈과 조립되어, 체험패널을 확장하는 확장체험패널과, 작동부와 연계되어 확장체험패널이 모의 지진파를 연출하도록 안내하는 이송부가 구비되는 확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모듈과 확장모듈이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구비되어 휴대성이 좋고, 수평방향 작동부와 수직방향 작동부에 의해 360° 전방향에 대해서 수평, 수직 가진을 정밀하게 연출함과 아울러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높이방향 사이즈가 축소되어 실내와 같이 천장이 낮은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용이한, 지진체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지진체험장치는 대부분 바닥의 흔들림만 모사할 수 있을 뿐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상을 표현할 수 없어 현실감이 떨어지고 체험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람들은 상기한 지진 이외에도 태풍이나 쓰나미(지진해일), 파랑, 홍수, 산사태 등 다양한 자연재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재해를 미리 체험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양한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사고의 유형에 맞게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사람들은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교통 사고 등의 다양한 안전사고를 겪을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도 추락 등 다양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안전 사고나 산업재해에 대한 사전 대비를 위한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재난사고를 모두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으며, 특정 재난사고를 선택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설 역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4에는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걸음을 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일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후방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타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 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관련된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재난상황을 이해하고 재난 속에서 체험자가 올바른 대처요령을 사전에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는 화면에 출력되는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재난상황을 이해하도록 하고 있어 현실감이 낮고, 소수의 인원만 이용할 수 있어 체험인원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지진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생기는 여러 가지 현상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R 10-0920627 B1 KR 10-1069755 B1 KR 10-1590955 B1 KR 10-1125036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진체험장치를 비롯한 각종 안전체험장치에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 등의 생활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일어나는 각종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현실성 있는 재난체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재난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와; 상기 체험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과; 상기 체험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와; 상기 영사장치와 3차원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돔 형상 또는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고정 시설물 또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폴대와,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폴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와, 상기 폴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3차원 구동장치는 체험판의 중앙 하부에 1대가 배치되거나, 상기 체험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영사장치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의 영상 또는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는 생활 안전사고의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재난상황에 따라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바람, 연기, 비, 냄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제공하는 부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는 일반인들이 가상현실을 이용한 동영상과 체험판의 진동을 통해 지진 상황을 비롯한 각종 재난상황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제 재난 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거실이나 사무실 등을 세트화하여 체험실을 꾸밀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진동에 의해 부서지지 않게 되어 높은 진도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상황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 상황을 현실감 있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자연재해는 물론 생활안전사고와 같은 각종 재난에 대한 체험 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가상현실의 재난 동영상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이동형 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디스플레이 구조물의 중량이 가볍고 이동이 가능하므로, 학교나 관공서, 공원 등 일정한 공간만 있으면 어디에든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지진체험관 등의 재난체험시설이 설치된 곳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여러 장소를 모사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장소에서의 상황만 체험할 수 있는 기존의 재난 체험시설에 비해 더욱 다양한 형태의 재난 체험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체험판의 중앙 또는 체험판의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배치된 3차원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고 경우에 따라 회전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모사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실감나고 현실성 있는 재난 체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디스플레이 구조물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디스플레이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3차원 구동장치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30)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20)와; 상기 체험판(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과; 상기 체험판(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30)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와; 상기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은 돔 형상 또는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학교나 관공서의 건물 내에 설치된 고정 시설물일 수도 있고,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이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인 경우, 이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폴대(11)와,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폴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12)와, 상기 폴대(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13)로 이루어진다.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는 상기 체험판(30)을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X축과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시킬 수 있는 6축 방식의 구동장치로서, 6축 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다면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는 상기 체험판(30)의 중앙 하부에 1대가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체험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영사장치(20)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의 영상 또는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는 생활 안전사고의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음향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재난상황에 따라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바람, 연기, 비, 냄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제공하는 부가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풍이나 태풍 상황에 대응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장치나, 화재상황에 대응하도록 연기를 제공하는 연기발생장치, 폭우 상황에 대응하도록 물을 뿌려주는 스프레이 장치, 가스 사고에 대응하도록 가스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기 등을 부가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는 지진에 따른 진동만 모사하던 기존 지진체험장치나 화면에 나타난 영상으로만 재난 상황을 나타내던 기존 안전체험장치와는 달리 재난상황에 따른 각종 현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과 진동으로 표출함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사고 등의 각종 생활 안전사고에 대한 체험 효과를 높이게 된다.
지진체험을 원하는 학교나 관공서, 공원, 놀이 시설 등으로 이동한 후, 강당이나 운동장 등에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을 설치한다. 즉, 다수의 폴대(11)를 조립하여 돔 형상 또는 큐브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 후, 그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내부 커버(12)와 외부 커버(13)를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설치를 완료한다. 물론, 학교나 관공서와 같은 건물에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조립 설치하지 않고 해당 건물의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체험판(30)을 설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출입구를 통해 들어온 체험자가 그 위로 올라설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메인 구조물(10)의 내부에 영사장치(20)와 제어부(5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50)에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연결함으로써 안전체험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안전체험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글을 착용한 체험자가 체험판(30) 위에 올라가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작동시킴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 사고 등의 생활안전 재난에 대한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진 체험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가 지진의 진도에 대응하여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를 작동시킴으로써 체험판(30)이 전후좌우로 진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에 따른 진동을 체험한다. 동시에 지진의 진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영사장치(20)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내부에 표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체험판에(30) 올라선 체험자들이 체험판(30)의 움직님과 고글을 통한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통해 지진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영사장치(20)는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과 같은 일반적인 건물 내부는 물론 백화점이나 터미널, 역사 등 다중 이용 시설의 내부와 외부, 거리나 도로 등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모두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여 각각의 장소에서 지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진체험자들이 언제 어디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폭풍우 등을 체험하는 경우에는 부가된 송풍장치와 물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바람과 물을 뿌려주면서 상기 영사장치(20)를 통해 폭풍우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내부에 표출함으로써, 폭풍우에 따른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화재 사고나 가스 사고 및 전기 사고와 같은 생활안전재난을 체험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사장치(20)를 이용하여 해당 재난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구조물(10) 내부에 표출함으로써, 체험자가 고글을 통해 나타나는 영상을 통해 사고 상황을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체험자는 일반 생활 중에 직면할 수 있는 각종 사고 상황을 체험하고, 해당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지진체험이나 재난체험이 완료되면, 영사장치(20)와 제어부(50)를 제거하고, 체험판(30)을 분리한 후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거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이 이동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을 형성하는 내부 커버(12)와 외부 커버(13)를 분리하고,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하고 있는 폴대(11)를 분리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다음 체험장소로 이동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종 재난이 발생할 경우 미리 체험한 재난상황을 기반으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디스플레이 구조물
11...폴대
12...내부 커버
13...외부 커버
20...영사장치
30...체험판
40...3차원 구동장치
50...제어부

Claims (7)

  1. 체험인원을 수용하는 체험판(30)과,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20)와, 체험판(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영사장치(20)에 의해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과, 체험판(30)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와,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체험기구로서,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응하여, 바람, 연기, 비 또는 냄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부가장치가 더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은 체험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로서,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폴대(11)와,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로 조립된 복수 개의 폴대(11)의 조립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12)와, 복수 개의 폴대(11)의 조립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13)로 이루어지고,
    재난 상황을 표출하도록 작동되는 영사장치(20)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 영상, 혹은, 가스사고, 화재사고, 전기사고, 교통사고를 포함하는 생활안전사고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며,
    체험판(30)은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도록 구성되고,
    3차원 구동장치(40)는 체험판(30)의 중앙 하부에 1대가 설치되거나 또는 체험판(30)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대가 설치되어,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되는 재난 상황에 맞게 체험판(30)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42944A 2017-04-03 2017-04-03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KR10204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4A KR102048349B1 (ko) 2017-04-03 2017-04-03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4A KR102048349B1 (ko) 2017-04-03 2017-04-03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70A KR20180112270A (ko) 2018-10-12
KR102048349B1 true KR102048349B1 (ko) 2019-11-25

Family

ID=6387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44A KR102048349B1 (ko) 2017-04-03 2017-04-03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90A1 (ko) 2018-11-12 2020-05-22 데이터킹주식회사 가상현실 체험장치
KR102228283B1 (ko)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KR102228282B1 (ko)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태풍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태풍 체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203A (ja) * 2013-08-09 2016-10-13 剛 月井 空気膜を利用したドーム状構造物およびその骨組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36B1 (ko) 2008-05-16 2012-03-21 (주) 전시나라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KR100920627B1 (ko) 2009-01-13 2009-10-08 김랑일 지진 체험학습 장치
KR101069755B1 (ko) 2011-05-30 2011-10-04 (주)미디어스페이스 지진체험장치
KR20140110675A (ko) * 2013-03-06 2014-09-17 주식회사 알브이소프트 4d효과를 갖는 3차원 시뮬레이션 장치
KR101596943B1 (ko) * 2014-04-03 2016-02-23 신동호 복수 인원 탑승용 회전식 시뮬레이터 및 그를 사용한 원형 구조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590955B1 (ko) 2014-08-27 2016-02-18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지진체험장치
KR20170013522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포디존 재난안전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203A (ja) * 2013-08-09 2016-10-13 剛 月井 空気膜を利用したドーム状構造物およびその骨組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70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34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CN106652625A (zh) 交互式虚拟现实消防训练系统
KR100934199B1 (ko)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Gong et al. A novel earthquake educ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JP2003066825A (ja) 擬似体感装置
CN206363567U (zh) 交互式虚拟现实消防训练系统
KR20180112271A (ko)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시스템
CN110648564A (zh) 一种基于bim和vr技术的施工安全教育装置
KR20180052904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지진체험 기구
CN110895892A (zh) 一种模拟地震环境的逃生体验装置
CN103366612B (zh) 可模拟地震的多场景避震练习演示器
Hassanpour et al. Incorporation of BIM-based probabilistic non-structural damage assessment into agent-based post-earthquake evacuation simulation
CN202523235U (zh) 可模拟地震的多场景避震练习演示器
WO2021250597A1 (en) Aqua dome space theatre
CN113577795B (zh) 一种舞台视觉空间构建的方法
CN114093228A (zh) 一种模拟线路行走体验实训系统
KR102233584B1 (ko) 도시형 지진 시청각 교육 키트
AYTUN¹ A new 3-D earthquake simulator for training and research purposes
CN220474171U (zh) 一种基于虚拟仿真的地震场景模拟及避险训练装置
KR20150062420A (ko) 실제 견학 구조물 내부 모의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Rossmann et al. Integrating Virtual Reality, Motion Simulation and a 4D GIS
JP7309357B2 (ja) 振動体験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Cremer et al. " This old digital city" one year later: experience gained, lessons learned, and future plans
KR200167910Y1 (ko) 실물 입체 대형 스크린 전시장치
JP3852272B2 (ja) 仮想空間における煙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