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199B1 -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199B1
KR100934199B1 KR1020090016833A KR20090016833A KR100934199B1 KR 100934199 B1 KR100934199 B1 KR 100934199B1 KR 1020090016833 A KR1020090016833 A KR 1020090016833A KR 20090016833 A KR20090016833 A KR 20090016833A KR 100934199 B1 KR100934199 B1 KR 10093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panel
fire
earthquak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681A (ko
Inventor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주) 전시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전시나라 filed Critical (주) 전시나라
Publication of KR20090119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성함으로써 체험을 통하여 실재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입구 및 출구판넬중 어느 하나의 판넬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에 대한 상황을 구현가능하도록 지진용판넬을 갖는 지진체험구역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중 다른 어느 하나의 판넬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불과 연기를 구현가능하도록 화재용판넬과 연기발생용판넬을 갖는 화재체험구역과, 상기 지진체험 및 화재체험구역으로 이동하는 체험자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지진용판넬과 화재용판넬 및 연기발생용 판넬측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황을 제어가능하도록 제어부가 설치된 제어용판넬을 갖는 제어구역과, 상기 판넬들을 각각 연결부재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역들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체험자가 통로를 이동하는 중에 화재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난, 지진, 화재, 모의 체험, 정전, 연기

Description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A SIMULATION SYSTEM FOR EXPERIENCING MISFORTUNE}
본 발명은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체험자에 요구에 대응되게 연출가능하도록 단일의 판넬을 서로 연결시켜 가상의 재난용 체험공간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성함으로써 체험을 통하여 실재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하상가나 고층빌딩 등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는바, 이러한 구조물에서는 불연화나 방제연설비, 스프링 쿨러와 같은 자동소화설비 등의 설비가 완비되어 있다.
그러나, 안전성이 강조된 상태에서 일단 화재가 발생 될 경우에는 대형 참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소방 방제법의 규정에 의해 정기적으로 피난훈련을 행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피난훈련의 실상은 방제센터로부터 방재램프를 통해 가상의 화점을 설정하고 피난명령을 내린 것이고, 화재의 전파상황에 맞추어지는 세세한 유도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상황의 화재시에 정말로 안전하게 피난시키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재난훈련용 모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 제628789호(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를 살펴보면, 사방이 벽체로 이루어진 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벽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출입용 도어가 구성되어 다른 룸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벽체가 서로 인접 되도록 퍼즐형상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구역과, 상기 구역에 형성된 도어에는 적어도 도어를 통해 출입되는 사람을 감지하는 출입인원감지부와,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구성하고, 적어도 상기 구역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카메라로부터 구역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스피커로 화재연출용 효과음이나 안내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출력부와, 화재연출시뮬레이터를 구동하는 시뮬레이터구동부와, 열기발생장치를 구동하는 열기발생장치 구동부와, 연기발생장치를 구동하는 연기발생장치 구동부를 포함하는 열기체험부와, 적어도 상기 구역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카메라로부터 구역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스피커로 역화연출용 효과음이나 안내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출력부와, 연기발생장치를 구동하는 연기발생장치 구동부와, 에어발생장치를 구동하는 에어발생장치 구동부와, 화재연출시뮬레이터를 구동하는 화재연출시뮬레이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역화체험부와,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를 통해 설정된 코스에 대응되도록 각 도어의 개폐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열기체험부 및 역화체험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동부를 구동 명령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 첫 번째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상의 재난용 체험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체험을 통하여 실재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이해하고 숙지할 수 없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제 피교육자가 재난시 발생되는 상황 예컨대, 전원 차단으로 인하여 정전시와 같은 어두운 상황에서 탈출용 비상구(도어)를 직접 찾아 탈수 이동하여야 하나 상기 종래와 같은 구성은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도어개폐구동부에 의해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므로 실제 상황에서와 같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는, 상기한 종래의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은 설치에 따른 비용과 특히 많이 설치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은, 사방이 벽체에 의해 룸 형태로 구성된 복수개의 구역내에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설치하게 되므로 벽체 설치에 따른 시간과 아울러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설치에 따른 시간이 별도로 소요되므로 시스템 설치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체험자에 요구에 대응되게 연출가능하도록 단일의 판넬을 서로 연결시켜 가상의 재난용 체험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체험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재난 상황에 맞게 행동을 행함으로 인하여 실재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한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체험자에 요구에 대응되게 연출가능하도록 단일의 판넬을 서로 연결시켜 가상의 재난용 체험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설치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을 통하여 습득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출입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입구 및 출구판넬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중 어느 하나의 판넬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에 대한 상황을 구현가능하도록 지진용판넬을 갖는 지진체험구역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판넬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불과 연기를 구현가능하도록 화재용판넬과 연기발생용판넬을 갖는 화재체험구역과, 상기 지진체험 및 화재체험구역으로 이동하는 체험자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지진용판넬과 화재용판넬 및 연기발생용 판넬측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황을 제어가능하도록 제어부가 설치된 제어용판넬을 갖는 제어구역과, 상기 지진체험구역의 지진용판넬과 화재체험구역의 화재용 판넬과 연기발생용 판넬 그리고 제어용판넬을 각각 연결부재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역들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체험자가 통로를 이동하는 중에 화재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지진체험구역과 화재체험구역 및 제어구역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유도등이 점등된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에 의해 구역별 구획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지진체험구역과 화재체험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과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을 통하여 구획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체험자가 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탑승여부를 체험가능하도록 연결부재를 매개로 분리가능한 엘리베이터용판넬을 갖춘 엘리베이터체험구역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엘리베이터체험구역과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을 통하여 구획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의 제 어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체험가능하도록 연결부재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열발생용판넬을 갖춘 열체험구역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화재체험구역 및 엘리베이터체험구역 그리고 열체험구역의 상부에는 화재시 정전상태를 체험가능하도록 천정판넬이 연결부재의 상면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지진체험구역은 지진으로 인한 천정붕괴를 구현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절개되어 천정붕괴부가 형성된 천정붕괴용판넬이 고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체험자에 요구에 대응되게 연출가능하도록 단일의 판넬을 서로 연결시켜 가상의 재난용 체험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체험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재난 상황에 맞게 행동을 행함으로 인하여 실재 재난발생에 따른 환경을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체험자에 요구에 대응되게 연출가능하도록 단일의 판넬을 서로 연결시켜 가상의 재난용 체험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설치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은,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을 통하여 습득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출입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도어(101a,102a)가 구비되는 입구 및 출구판넬(101,102)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101,101)중 어느 하나의 판넬(101)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에 대한 상황을 구현가능하도록 지진용판넬(111)을 갖는 지진체험구역(110)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110,120)중 다른 어느 하나의 판넬(102)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불과 연기를 구현가능하도록 화재용판넬(121)과 연기발생용판넬(122)을 갖는 화재체험구역(120)과, 상기 지진체험 및 화재체험구역(110,120)으로 이동하는 체험자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지진용판넬(111)과 화재용판넬(121) 및 연기발생용 판넬(122)측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황을 제어가능하도록 제어 부(131a)가 설치된 제어용판넬(131)을 갖는 제어구역(130)과,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의 지진용판넬(111)과 화재체험구역(120)의 화재용 판넬(121)과 연기발생용 판넬(122) 그리고 제어용판넬(131)을 각각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역들(110,120,130)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체험자가 통로를 이동하는 중에 화재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판넬(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진체험구역(110)과 화재체험구역(120) 및 제어구역(130)은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어부(131a)의 제어에 대응되게 유도등이 점등된 개폐가능한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에 의해 구역별 구획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진체험구역(110)과 화재체험구역(120) 중 어느 하나의 구역(120)과 개폐가능한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을 통하여 구획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체험자가 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탑승여부를 체험가능하도록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가능한 엘리베이터용판넬(141)을 갖추어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과 개폐가능한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을 통하여 구획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체험가능하도록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열발생용판넬(151)을 갖추어 열체험구 역(150)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체험구역(120) 및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 그리고 열체험구역(150)의 상부에는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정전상태를 체험가능하도록 천정판넬(106)이 연결부재(104)의 상면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으로 인한 천정붕괴를 구현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절개되어 천정붕괴부(107a)가 형성된 천정붕괴용판넬(107)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입구 및 출구판넬(101,1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상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01a,102a)가 구비된다.
또한, 전면 상부에는 체험자에게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제어부(131a)의 제어에 대응되게 점등되는 유도등(101b,102b)이 구비된다.
아울러, 입구 및 출구판넬(101,102)의 양측면에는 연결부재(104)를 통하여 분리 조립가능하도록 고정홀(101c,102c)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홀(101c,102c)은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100)을 구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모든 판넬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연결부재(104)는 각 판넬(101,102,103,105,111,121,122,131,141,151) 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판넬(101,102,103,105,111,121,122,131,141,151)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홀(101c,102c)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3면에 연결돌기(104a)가 돌출 형성된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각 판넬(101,102,103,105,111,121,122,131,141,151)을 연결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동일한 높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연결판넬(103)은 연결부재(104)에 의해 연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연결판넬(103)중에는 체험자의 이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해 전면 하부에 통로 유도등(103a)이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점등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지진체험구역(110)에 구비되는 지진용판넬(111)은, 지진 발생시 대피 요령(건물 내부에 있을 경우 책상 또는 테이블 밑으로 대피)을 숙지 및 체험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상부에 감지센서(111a)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111a)의 하부에 지진 발생으로 벽체가 붕괴되는 모습을 구현한 붕괴부(111b)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기 감지센서(111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여 건물 붕괴시 발생되는 소리를 구현가능하도록 붕괴음향발생부(111c)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체험자의 눈과 귀를 통하여 지진에 대한 체험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시 발생되는 지반 붕괴를 체험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의 바닥에는 체험자가 올라서는 것에 대응되게 미도시된 가압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의 감지된 값에 의해 제어부(131a)로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미도시)와 피스톤(미도시)에 의해 중앙부가 상,하 이동가능한 붕괴판(112a)을 갖는 지진체험용 지반붕괴용판넬(11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화재체험구역(120)의 화재용 판넬(121)과 연기발생용 판넬(122)은, 도 1 및 도 9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되는 불꽃과 연기를 구현하여 체험자들에게 화재시 연기의 흡입을 하지 않도록 낮은 자세로 화재 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기 위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화재용판넬(121)은, 전면 상부에 감지센서(121a)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121a)의 하부에 화재시 발생되는 불꽃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 불꽃부(121b)에 불꽃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불꽃조명부(121c)가 구비되며, 배면에는 상기 감지센서(121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소리를 발생시켜 체험가능하도록 한 화재음향발생부(121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기발생용 판넬(122)은, 전면 상부에 체험자를 감지가능한 감지센서(122a)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의 일측에는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배면에 구비된 연기발생부(122b)로부터 연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기분사구(122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기발생용 판넬(122)의 제어는 상기 화재용판넬(121)은 전면 상부에 구비된 감지센서(121a)가 체험자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31a)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화재체험구역(120)을 이루는 판넬들 중, 즉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용 판넬과 연결부재를 매개로 분리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불꽃과 연기가 발생되면 화재를 타인에게 알리는 것을 체험가능하도록 전면에는 경종과 표시등 및 비상벨을 갖는 발신기세트(123a)가 제어부와 연결된 비상 경보기용판넬(123)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구역(130)의 제어용판넬(131)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역(110,120,140,150)을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센서가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지진, 화재(불꽃, 연기), 엘리베이터, 열기 등을 체험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각 감지센서와 판넬(101,102,103,105,111,112,121,122,123,141,151)들간 전선 연결되는 제어부(131a)가 전면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의 엘리베이터용판넬(141)은, 지진이나 화재시 엘리베이터의 사용에 대한 위험함을 체험자에게 체험시킬 수 있도록 화재체험구역(110)과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와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구획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가능하도록 전면 상부에는 감지센서(141a)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141a)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여부를 체험가능하도록 도어(141b)와 제어부(131a)와 전선 연결된 승강용버튼(141c)이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기체험구역(150)의 열발생용 판넬(151)은,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의 위험함을 체험자가 체험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상부에 체험자를 감지가능한 감지센서(151a)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감지센 서(151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열선(151b)이 배열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은, 각 판넬이 연결부재를 통하여 분이 연결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험자의 연령별 예컨대, 유치원생, 초,중,고 학생 및 일반인에 따라 다른 형태 즉, 화재채험구역을 처음 체험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를 먼저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상기한 일실시예와 같이 체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을 통하여 재난 상황을 체험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자(2명 또는 3명이 한 조를 이룸)가 입구판넬(120)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는 천정붕괴용판넬(107)이 고정 구비된 재난 체험 모의시스템(100)의 지진체험구역(110)으로 들어오게 되면 지진용판넬(111)의 전면에 구비된 감지센서(111a)가 체험자들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11a)의 감지로 제어구역(130)을 이루는 제어용판넬(131)의 제어부(131a)는 지진용판넬(111)의 붕괴음향발생부(111c)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대응되게 지진시 발생되는 음향(소리)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의 바닥에 설치된 지반붕괴용판넬(112)을 체험자들이 올라가는 것에 대응되게 붕괴판(112a)를 작동되고 그로 인해 보다 사실감 있는 지진체험과 함께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대피요령을 취 하면서 구역경계용판넬(105)의 도어(105a)를 통하여 연결부재와 연결판넬(103)에 의해 연결된 화재체험구역(120)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지진 발생시 건물 흔들림이나 벽 붕괴 등과 같은 체험을 하게 된다.
상기 화재체험구역으로 체험자들이 이동되면, 화재용판넬(121)의 전면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는 체험자들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값에 의해 제어부(131a)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대응되게 화재용 판넬(121)에 구비된 불꽃조명부(121c)에서 불꽃조명이 조사되고, 아울러 화재음향발생부(121d)에서 화재시 발생되는 음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연기발생용판넬(122)의 연기분사구(122c)에서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구현가능하도록 연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체험자들은 경보기용판넬(123)에 구비된 발신기세트(123)의 비상벨을 누름시킨 후,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대피요령 즉, 몸을 낮추고 숨을 참으면서 구역경계용판넬(105)를 통해 신속하게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화재로 인한 체험을 하게 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에서는 화재 또는 지진시 정전됨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를 탑승하지 말아야 하는 체험을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용 판넬(141)에 구비된 버튼(141c)을 누르지 말아야 하는 체험을 한 후, 구역경계용판넬(105)를 통해 신속하게 열체험구역(15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험자들이 열체험구역(150)으로 들어오면, 열발생용판넬(151)에 구비된 감지센서(151a)는 체험자들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값에 의해 제어부(131a)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대응되게 (151)에 내선된 열선(151b)에 의 해 (151)에 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체험자들은 출구판넬(102)을 탈출함으로써 모의 체험이 완료되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체험자들에게 지진과 화재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을 통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교육에 대한 효과를 높을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가변가능한 체험공간의 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설치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분리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판넬들로 인해 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재방문시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천정판넬과 천정붕괴용판넬 및 입구 및 출구판넬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의 연결판넬, 지진용판넬, 지반붕괴용판넬, 화재용판넬, 연기발생용판넬, 비상경보기용판넬, 제어용판넬, 엘리베이터용판넬, 열발생판넬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101 ; 입구판넬
102 ; 출구판넬 110 ; 지진체험구역
111 ; 지진용판넬 112 ; 지반붕괴용판넬
120 ; 화재체험구역 121 ; 화재용판넬
130 ; 제어구역 131 ; 제어용판넬
140 ; 엘리베이터체험구역 141 ; 엘리베이터용판넬
150 ; 열체험구역 151 ; 열발생용판넬

Claims (14)

  1.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을 통하여 습득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출입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도어(101a,102a)가 구비되는 입구 및 출구판넬(101,102)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101,101)중 어느 하나의 판넬(101)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에 대한 상황을 구현가능하도록 전면 상부에 감지센서(111a)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111a)의 하부에 지진 발생으로 벽체가 붕괴되는 모습을 구현한 붕괴부(111b)가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기 감지센서(111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여 건물 붕괴시 발생되는 소리를 구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붕괴음향발생부(111c)가 구성된 지진용판넬(111)을 갖는 지진체험구역(110)과;
    상기 입구 및 출구판넬(110,120)중 다른 어느 하나의 판넬(102)에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불과 연기를 구현가능하도록 화재용판넬(121)과 연기발생용판넬(122)을 갖는 화재체험구역(120)과;
    상기 지진체험 및 화재체험구역(110,120)으로 이동하는 체험자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지진용판넬(111)과 화재용판넬(121) 및 연기발생용 판넬(122)측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황을 제어가능하도록 제어부(131a)가 설치된 제어용판넬(131)을 갖는 제어구역(130)과;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의 지진용판넬(111)과 화재체험구역(120)의 화재용 판넬(121)과 연기발생용 판넬(122) 그리고 제어용판넬(131)을 각각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역들(110,120,130)과 연결되는 통로를 가변가능하게 형성하여 체험자가 통로를 이동하는 중에 화재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모의 체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판넬(103)과;
    상기 지진체험구역(110)과 화재체험구역(120) 중 어느 하나의 구역(120)과 개폐가능한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을 통하여 구획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체험자가 버튼을 누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탑승여부를 체험가능하도록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가능한 엘리베이터용판넬(141)을 갖춘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체험구역(110)과 화재체험구역(120) 및 제어구역(130)은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연결되고 제어부(131a)의 제어에 대응되게 유도등이 점등된 개폐가능한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에 의해 구역별 구획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의 바닥에는 체험자가 올라서는 것에 대응되게 가압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의 감지된 값에 의해 제어부(131a)로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중앙부가 상,하 이동가능한 붕괴판(112a)을 갖는 지진체험용 지반붕괴용판넬(1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과 개폐가능한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을 통하여 구획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화재시 발생되는 열을 체험가능하도록 전면 상부에 체험자를 감지가능한 감지센서(151a)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감지센서(151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열이 발생되도록 열선(151b)이 배열되어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열발생용판넬(151)을 갖춘 열체험구역(1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체험구역(120) 및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 그리고 열체험구역(150)의 상부에는 화재시 정전상태를 체험가능하도록 천정판넬(106)이 연결부재(104)의 상면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지진체험구역(110)은 지진으로 인한 천정붕괴를 구현가능하도록 중앙부가 절개되어 천정붕괴부(107a)가 형성된 천정붕괴용판넬(107)이 고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4)는, 양측면에 고정홀(101c,102c)이 형성된 각 판넬(101,102,103,105,111,121,122,131,141,151)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홀(101c,102c)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3면에 연결돌기(104a)가 돌출 형성된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넬(103)은, 연결부재(104)에 의해 연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연결판넬(103)중에는 체험자의 이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해 전면 하부에 통로 유도등(103a)이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점등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체험구역(120)의 화재용판넬(121)은, 전면 상부에 감지센서(121a)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121a)의 하부에 화재시 발생되는 불꽃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 불꽃부(121b)에 불꽃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불꽃조명부(121c)가 구비되며, 배면에는 상기 감지센서(121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소리를 발생시켜 체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화재음향발생부(121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체험구역(120)의 연기발생용 판넬(122)은, 전면 상부에 체험자를 감지가능한 감지센서(122a)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122a)의 일측에는 감지센서(122a)로부터 감지된 신호값에 대응되게 제어부(131a)의 제어에 의해 배면에 구비된 연기발생부(122b)로부터 연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기분사구(12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체험구역(120)을 이루는 판넬들 중 화재용 판넬(121)과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분리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불꽃과 연기가 발생되면 화재를 타인에게 알리는 것을 체험가능하도록 전면에는 경종과 표시등 및 비상벨을 갖는 발신기세트(123a)가 제어부와 연결된 비상 경보기용판넬(123)을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체험구역(140)의 엘리베이터용판넬(141)은, 지진이나 화재시 엘리베이터의 사용에 대한 위험함을 체험자에게 체험시킬 수 있도록 화재체험구역(110)과 도어(105a)를 갖는 구역경계용판넬(105)과 연결부재(104)를 매개로 구획 연결되어 체험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가능하도록 전면 상부에는 감지센서(141a)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141a)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여부를 체험가능하도록 도어(141b)와 제어부(131a)와 전선 연결되어 구비되는 승강용버튼(141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체험모의 시스템.
  14. 삭제
KR1020090016833A 2008-05-16 2009-02-27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KR100934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786 2008-05-16
KR20080045786 2008-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81A KR20090119681A (ko) 2009-11-19
KR100934199B1 true KR100934199B1 (ko) 2009-12-29

Family

ID=4160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833A KR100934199B1 (ko) 2008-05-16 2009-02-27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1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276A (ko) 2015-05-29 2016-12-08 (주)에스겔 컨테이너 이동형 시설 시스템
KR20170065858A (ko) 2015-12-04 2017-06-14 (주)동호전자 지진 시뮬레이터 시스템
KR102233584B1 (ko) 2020-06-11 2021-03-30 코리아넷 주식회사 도시형 지진 시청각 교육 키트
KR102307331B1 (ko) 2020-06-11 2021-10-05 코리아넷 주식회사 가정형 지진 시청각 교육 키트
KR20230157240A (ko) * 2022-05-09 2023-11-16 (주)영우산업 가상현실 체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84B1 (ko) * 2013-02-06 2013-09-10 (주)미디어스페이스 화재 피난 체험장
KR101511600B1 (ko) * 2014-10-06 2015-04-13 주식회사 비즈니스서비스그룹 간이 설치형 화재 체험실
JP7309357B2 (ja) * 2018-12-12 2023-07-18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振動体験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KR102218784B1 (ko) * 2019-08-06 2021-02-22 엄성도 소방 농연 훈련장
KR102228283B1 (ko) *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KR102206778B1 (ko) * 2020-03-13 2021-01-25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지진체험장치
CN114033475A (zh) * 2021-11-16 2022-02-11 中煤科工集团沈阳研究院有限公司 一种煤矿救援训练用塌方模拟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542A (ja) 1998-02-27 1999-09-17 Takenaka Komuten Co Ltd 地震災害模擬体験装置
JP2001356680A (ja) * 2000-06-15 2001-12-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災害シュミ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3022001A (ja) * 2001-07-09 2003-01-24 Takao Kondo 人工的地震発生装置埋設の敷地上に建つ、激震防除機能付住宅の揺れの体験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実施のビジネス。
KR100628789B1 (ko) * 2004-05-03 2006-09-26 (주)동현인테크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542A (ja) 1998-02-27 1999-09-17 Takenaka Komuten Co Ltd 地震災害模擬体験装置
JP2001356680A (ja) * 2000-06-15 2001-12-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災害シュミ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3022001A (ja) * 2001-07-09 2003-01-24 Takao Kondo 人工的地震発生装置埋設の敷地上に建つ、激震防除機能付住宅の揺れの体験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実施のビジネス。
KR100628789B1 (ko) * 2004-05-03 2006-09-26 (주)동현인테크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276A (ko) 2015-05-29 2016-12-08 (주)에스겔 컨테이너 이동형 시설 시스템
KR20170065858A (ko) 2015-12-04 2017-06-14 (주)동호전자 지진 시뮬레이터 시스템
KR102233584B1 (ko) 2020-06-11 2021-03-30 코리아넷 주식회사 도시형 지진 시청각 교육 키트
KR102307331B1 (ko) 2020-06-11 2021-10-05 코리아넷 주식회사 가정형 지진 시청각 교육 키트
KR20230157240A (ko) * 2022-05-09 2023-11-16 (주)영우산업 가상현실 체험장치
KR102642701B1 (ko) * 2022-05-09 2024-03-04 (주)영우산업 가상현실 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81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99B1 (ko)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US5173052A (en) Fire safety training trailer for children
US6179620B1 (en) Firefighter training building model
KR101561472B1 (ko)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KR100896450B1 (ko) 가상현실 체험용 게임 시뮬레이터 부스 시스템
KR20190041384A (ko) 격자 기반 가상현실 놀이기구 시스템
DE69227682D1 (de) Modularer brandbekaempfungstrainer
CN204077485U (zh) 双层大巴消防宣传车
KR101978327B1 (ko) 지진 대처 교육훈련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30108518A (ko) 재난 대응 훈련 모의 시스템
KR200437697Y1 (ko) 피난 유도 체험장
CN110599846A (zh) 一种大型造船厂的安全培训体验馆
KR100628789B1 (ko)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KR101127953B1 (ko) 모의 소방훈련 시스템
KR10204834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KR101511600B1 (ko) 간이 설치형 화재 체험실
CN210865354U (zh) 楼宇火灾报警的演示系统
CN104648216A (zh) 一种单侧拉大型安全与应急演练车
KR101851298B1 (ko)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CN109200524A (zh) 一种多场景火灾模拟逃生演练系统
CN207571958U (zh) 一种楼宇火灾烟雾扩散演示模型
KR101306884B1 (ko) 화재 피난 체험장
KR20160149697A (ko) 승강기 안전 교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212797B1 (ko) 교육용 소방 시스템
KR102067284B1 (ko) 화재 대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