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283B1 -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 Google Patents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283B1
KR102228283B1 KR1020190151902A KR20190151902A KR102228283B1 KR 102228283 B1 KR102228283 B1 KR 102228283B1 KR 1020190151902 A KR1020190151902 A KR 1020190151902A KR 20190151902 A KR20190151902 A KR 20190151902A KR 102228283 B1 KR102228283 B1 KR 102228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falling
floor
experience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남
Original Assignee
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위치별로 높낮이가 단계적 레벨에 따라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바닥;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천장에 매달린 채로 상기 단계적 레벨에 따라 낙하하도록 마련되는 낙하 조형물; 및 상기 단계적 레벨에 대응되도록, 지진이 발생된 상황에 대한 모습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시각 만으로 지진 상황을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감각을 통해 지진 상황을 보다 정확히 체험할 수 있고, 필요시 주변의 가이드를 참고하여 각 단계별 상황에서의 적절한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으며, 현장감 높은 체험에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해서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Booth type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to experience earthquake situation}
본 발명은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계별 흔들림을 제공함으로써 지진의 세기에 따른 각각의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 발전은 보다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니즈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VR 영상, 360도 영상 등 보다 실제와 가깝도록 하여 마치 실제의 환경에 맞닥들인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콘텐츠들이 도처에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VR 영상이나 360도 영상 등은, 사용자로 하여금 굳이 현장에 직접 나서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실내에서 여러가지 환경에 대한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들은 어디까지나 영상을 제공하여 현실감을 제공하는 방안에 국한된 것으로서, 시각적인 착각을 통해 잠시나마 현장감을 제공하는 것일 뿐이며, 어디까지나 인간의 오감을 통한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감 제공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실제로, VR 영상이나 360도 영상을 시청하게 되면 다른 부수적인 감각들이 배제된 채 시각적인 부분만으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영상들에 대한 시청이 어느 정도 익숙해질 때까지만 현장감 제공이라는 효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현장감을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 현장을 구체화하여 해당 현장에 맞는 환경을 보다 엄격히 조성하고, 해당 환경에서 보다 다양한 감각으로 현장감을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안전과 관련된 분야에서는, 현장에서의 연습이 불가능한 개념이기 때문에 단순히 영상을 제공하여 체험이 진행되도록 할 것이 아니라, 최대한 실제 상황과 체험 간의 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추후 실제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도 충분한 체험과 연습을 통해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2270호('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공개일 : 2018-1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시각적 체험이 아닌 오감을 통해 지진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위치별로 높낮이가 단계적 레벨에 따라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바닥;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천장에 매달린 채로 상기 단계적 레벨에 따라 낙하하도록 마련되는 낙하 조형물; 및 상기 단계적 레벨에 대응되도록, 지진이 발생된 상황에 대한 모습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상기 바닥의 하부에 복수 개의 파트로 나뉘어 배치되는 바닥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지며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바닥 구동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 구동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트가 상하로 각각 움직임에 따라 위치별 고저를 가지는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상기 바닥 위에서 상기 체험자가 위치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바닥 구동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 마련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파트에서 상기 체험자가 위치한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파트가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 조형물은, 상기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 매칭되도록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천장에 복수 개로 매달린 채로 마련되고, 각각의 낙하 조형물은 낙하 조형물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낙하가 제어되며,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싱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승강이 제어된 파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낙하 조형물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좌측 또는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우측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스는, 상기 바닥의 변형 및 상기 낙하 조형물의 낙하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 영상이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좌측 또는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우측 중 상기 제1 가이드 부스가 마련된 반대 쪽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스는, 상기 바닥의 변형 및 상기 낙하 조형물의 낙하에 대응하기 위한 조교의 시현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상기 체험자의 위치 또는 모션을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센싱부와 함께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체험자를 촬영하여 상기 위치 또는 상기 모션을 센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부가 상기 체험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상기 체험자에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촬영한 이미지 이외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체험자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아이템 간의 상호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의 모션이, 체험의 포기를 알리는 약속된 모션인 경우, 상기 바닥 구동부와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닥이 평평해지도록 하고, 상기 낙하 조형물이 모두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의 모션이, 체험의 진행 불가를 나타내는 모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닥 구동부와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닥이 평평해지도록 하고, 상기 낙하 조형물이 모두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각 만으로 지진 상황을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감각을 통해 지진 상황을 보다 정확히 체험할 수 있고, 필요시 주변의 가이드를 참고하여 각 단계별 상황에서의 적절한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으며, 현장감 높은 체험에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해서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바닥과 바닥 구동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바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바닥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는 체험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템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부스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체험 부스(100), 바닥(110), 바닥 구동부(115), 강화 유리(120), 낙하 구조물(130), 낙하 구조물 구동부(135), 디스플레이(140), 제1 센싱부(150), 제2 센싱부(155),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체험 부스(100)는 체험자(E)가 입장하여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스형으로 마련되며, 특히, 단순한 영상 제공을 통한 시각적인 체험을 떠나 오감으로 복합적인 감각에 의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제적인 지진 상황에 근접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체험 부스(100)의 아래 쪽은 바닥(110)이 마련된다. 이러한 바닥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체험자(E)가 몸의 중심을 잃어 쓰러지거나 넘어질 때와 같은 만약의 상황에서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110)은 체험 부스(100)의 아래 쪽에 위치하되 위치별로 높낮이가 단계적 레벨에 따라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11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파트로 나뉘어 배치되는 바닥 구동부(115)가 마련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3과 도 4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3은 바닥과 바닥 구동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며, 도 4는 바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바닥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바닥 구동부(115)는 판넬과 같은 복수의 파트가 열과 행을 구성하며 M*N의 배열을 이루면서 바닥(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닥 구동부(115)는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파트가 각각 상하로 승강하며 이동하도록 마련되게 된다.
바닥(110)은 이러한 바닥 구동부(115)의 위에 덮힌 상태로 마련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지며 일체화된 상태로 바닥 구동부(115)의 상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바닥 구동부(115)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트가 상하로 각각 움직임에 따라 위치별 고저를 가지는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 구동부(115)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트가 상하로 승강되게 되면서 땅이 흔들리는 듯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체험자(E)로 하여금 현장감있는 체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바닥 구동부(115)의 상층에 신축성을 가지는 바닥(110)이 마련됨에 따라 체험자(E)가 몸의 중심을 잃는 만약의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다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과 도 2에 대해 설명하자면, 체험 부스(100)의 측면에는 투명한 강화 유리(120)가 마련된다. 특히, 이러한 강화 유리(120)는 체험 부스(100)의 전면과 후면을 제외한 체험 부스(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험 부스(100)의 양 측면에 투명한 강화 유리(120)가 마련됨으로써, 체험자(E)는 좌우측으로 시선을 돌리며 투명한 강화 유리(120)를 통해 좌우측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강화 유리(120) 너머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바닥 구동부(115)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는, 체험자(E)가 위치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 센싱부(150)가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 구동부(115)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 제1 센싱부(150)가 마련됨에 따라, 체험자(E)가 체험 부스(100) 내에서 현재 어떠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즉, 어떠한 바닥 구동부(115)의 영향권 내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체험자(E)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이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체험자(E)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영역에 상응하는 바닥 구동부(115)는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 소모를 줄이고 불필요한 영역에서의 구동에 의한 예기치 못한 불의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낙하 조형물(130)은 체험 부스(100)의 천장에 매달린 채로 단계적 레벨에 따라 낙하하도록 마련된다.
낙하 조형물(130)은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의 구동에 따라 낙하하거나 다시 상승하게 되며, 특히, 바닥 구동부(115)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 매칭되도록 체험 부스(100)의 천장에 복수 개로 마련되어 매달리게 되며, 이러한 복수의 낙하 조형물(130)은 복수의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에 의해 개별적으로 낙하가 제어되게 된다.
즉, 낙하 조형물(130)과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는, 바닥 구동부(115)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성이 열과 행을 구성하며 M*N의 배열을 이루면서 마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는 바닥 구동부(115)와 동기화를 이루며 낙하 조형물(130)이 낙하하는 영역과 바닥(110)이 움직이는 영역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체험자(E)에게 배가된 실제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닥 구동부(115)와 마찬가지로, 체험자(E)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이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체험자(E)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영역에 상응하는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는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 소모를 줄이고 불필요한 영역에서의 구동에 의한 예기치 못한 불의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바닥 구동부(115)와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가 동기화를 이루며, 바닥(110)이 움직이는 영역과 낙하 조형물(130)이 낙하하는 영역이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체험자(E)의 시선 내에 있는 바닥(110)의 영역이라면 모두 움직이게 하거나 체험자(E)의 시선 내에 있는 낙하 조형물(130)이라면 모두 움직이게 함으로써 시각적인 현장감이 배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140)는 다양한 단계별 레벨에 따른 지진이 발생된 상황에 대한 모습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센싱부(155)는 체험자(E)의 위치 또는 모션을 센싱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경우 단순히 시각적인 체험에 국한되지 않고 오감을 통해 지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현장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현장감의 극대화는 실제 상황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실제 상황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 존재할 때를 대비한 안전 확보 방안들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체험자(E)는 체험 부스(100)에 입장하기 이전에 안전 교육을 받으면서 특별한 모션이나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체험 부스(100)의 외부에 있는 관리자나 조교에게 체험의 포기를 알리는 신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 체험 시에는 체험 부스(100) 안에 관리자나 조교가 함께 입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관리자나 조교가 체험의 포기를 알리는 체험자(E)의 모션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싱부(155)는 체험 부스(100)의 네 면에 각각 복수 개씩 설치되어, 체험자(E)의 위치나 모션을 파악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체험자(E)의 모션이 체험의 포기를 알리는 약속된 모션인 경우, 바닥(110)의 변형이 중단되거나 평평해지도록 하고, 낙하 조형물(135)의 낙하가 중단되거나 상승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센싱부(155)는 체험자(E)가 사전에 약속된 모션을 취하지 않더라도, 체험자(E)가 단위 시간 당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동작 움직임을 보여주거나 단위 시간 당 기설정된 범위 이상의 위치 변동이 있는 경우에 이를 파악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도 바닥(110)의 변형이 중단되거나 평평해지도록 하고, 낙하 조형물(135)의 낙하가 중단되거나 상승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센싱부(155)는 체험자(E)의 위치나 모션을 파악하여, 제어부(170)로 하여금 체험자(E)에 대응되는 객체가 디스플레이(140)에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다른 아이템 과의 연동에 따라 바닥 구동부(115)나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가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5는 체험자(E)의 모션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아이템(I)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센싱부(155)가 체험 부스(100)의 전면 중 디스플레이(14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제2 센싱부(155)는 체험자(E)의 위치나 모션을 파악하되 카메라 촬영 방식으로 체험자(E)를 촬영함으로써 위치나 모션을 파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체험자(E)는 자신의 모습에 대응되는 객체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체험자(E)에 대응되는 객체 이외에 별도의 아이템(I)이화면 상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화면 상에서 아이템(I)이 표시되는 좌표에 대한 정보 및 체험자(E)에 대응되는 객체가 표시되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양자의 상호 위치를 기반으로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자(E)가 이동함으로써 제2 센싱부(155)의 센싱 결과에 따라 객체가 이동하며, 객체가 화면 상의 별도의 아이템(I) 하단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체험자(E)가 아이템(I)에 상응하는 테이블 밑으로 대피한 것으로 상정하여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를 제어함으로써 낙하 조형물(130)이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70)는 체험자(E)가 아이템(I)에 상응하는 테이블 밑으로 대피한 것으로 상정할 경우,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가 아닌 바닥 구동부(115)를 제어함으로써 바닥(110)의 변형이 완화되거나 평평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4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아이템(I) 과의 연계에 따라 구동 동작을 다르게 함으로 인해,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시켜 체험자(E)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으로 체험에 임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과 도 2에 대해 설명하자면, 저장부(160)는 바닥 구동부(115)를 구성하는 각 파트의 현재 높이 정보와 낙하 조형물(13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진 체험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와 지진 체험이 시현되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1 센싱부(150)로부터 센싱되는 체험자(E)의 실시간 위치 정보와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 파트별 바닥 구동부(114)의 현재 높이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의 각 파트별 바닥 구동부(114)의 높이를 얼마나 높일 것인지 얼마나 낮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에 따라 바닥 구동부(114)를 제어하여 바닥(110)의 모양이 변형되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160)는 체험자(E)와 사전에 약속된 모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로 인해 제어부(170)로 하여금 체험자(E)가 저장되어 있는 약속된 모션에 대응되는 모션을 취하고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70)는 제2 센싱부(155)로부터 센싱되는 체험자(E)의 실시간 모션 정보와 저장부(160)에 저장된 약속된 모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의 상황이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결정된 사항에 따라 바닥 구동부(114)를 제어하여 바닥(110)의 변형이 중단되거나 평평해지도록 하고,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를 제어하여 낙하 조형물(135)의 낙하가 중단되거나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60)는 체험자(E)와 사전에 약속된 모션이 아니더라도 위험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모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로 인해 제어부(170)로 하여금 체험자(E)가 기저장된 모션에 대응되는 모션을 취하고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70)는 제2 센싱부(155)로부터 센싱되는 체험자(E)의 실시간 모션 정보와 저장부(160)에 저장된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의 상황이 위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결정된 사항에 따라 바닥 구동부(114)를 제어하여 바닥(110)의 변형이 중단되거나 평평해지도록 하고, 낙하 조형물 구동부(135)를 제어하여 낙하 조형물(135)의 낙하가 중단되거나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부스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체험 부스(100)의 좌우측으로 제1 가이드 부스(180)와 제2 가이드 부스(190)가 추가로 구비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부스(180)와 제2 가이드 부스(190)는 체험 부스(100)의 양 옆에 바짝 붙어있는 상태로 마련되되, 인접한 부분이 투명한 강화 유리로 마련되게 되어, 체험 부스(100) 내에 있는 체험자(E)가 제1 가이드 부스(180)와 제2 가이드 부스(19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이드 부스(180)는, 바닥(110)이 움직이고 낙하 조형물(130)이 낙하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부스(180)에는 체험자(E)가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지 못한 경우, '책상 밑으로 들어가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책상 밑으로 들어가는 모습의 가이드 영상이 가이드 디스플레이(185)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체험자(E)가 가이드 영상을 참고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2 가이드 부스(190)는, 제1 가이드 부스(180)의 반대쪽에 마련되되 바닥(110)이 움직이고 낙하 조형물(130)이 낙하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조교(A)의 시현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제1 가이드 부스(180)를 통해서도 대응 방안을 찾지 못하거나 제1 가이드 부스(180)의 가이드 디스플레이(185)에서 제공되는 가이드 영상의 방향으로 미처 시선을 돌리지 못한 체험자(E)가 존재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2 가이드 부스(190)는 제1 가이드 부스(180)의 반대 쪽에서 조교(A)가 직접 시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체험 부스 110 : 바닥
115 : 바닥 구동부 120 : 강화 유리
130 : 낙하 구조물 135 : 낙하 구조물 구동부
140 : 디스플레이 150 : 제1 센싱부
155 : 제2 센싱부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180 : 제1 가이드 부스
185 : 가이드 디스플레이 190 : 제2 가이드 부스
E : 체험자(experiencer) I : 아이템(item)
A : 조교(assistant)

Claims (10)

  1.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에 있어서,
    위치별로 높낮이가 단계적 레벨에 따라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바닥;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천장에 매달린 채로 상기 단계적 레벨에 따라 낙하하도록 마련되는 낙하 조형물;
    상기 단계적 레벨에 대응되도록, 지진이 발생된 상황에 대한 모습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바닥의 하부에 복수 개의 파트로 나뉘어 배치되는 바닥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지며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바닥 구동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 구동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트가 상하로 각각 움직임에 따라 위치별 고저를 가지는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는,
    상기 바닥 위에서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를 체험하는 체험자가 위치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바닥 구동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 마련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파트에서 상기 체험자가 위치한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파트가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낙하 조형물은,
    상기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 매칭되도록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천장에 복수 개로 매달린 채로 마련되고, 각각의 낙하 조형물은 낙하 조형물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낙하가 제어되며,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싱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승강이 제어된 파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낙하 조형물이 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좌측 또는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우측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스는,
    상기 바닥의 변형 및 상기 낙하 조형물의 낙하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 영상이 제공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좌측 또는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우측 중 상기 제1 가이드 부스가 마련된 반대 쪽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스는,
    상기 바닥의 변형 및 상기 낙하 조형물의 낙하에 대응하기 위한 조교의 시현이 수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자의 위치 또는 모션을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센싱부와 함께 상기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의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체험자를 촬영하여 상기 위치 또는 상기 모션을 센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부가 상기 체험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상기 체험자에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촬영한 이미지 이외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체험자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아이템 간의 상호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의 모션이, 체험의 포기를 알리는 약속된 모션인 경우, 상기 바닥 구동부와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닥이 평평해지도록 하고, 상기 낙하 조형물이 모두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험자의 모션이, 체험의 진행 불가를 나타내는 모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닥 구동부와 상기 낙하 조형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바닥이 평평해지도록 하고, 상기 낙하 조형물이 모두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KR1020190151902A 2019-11-25 2019-11-25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KR10222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902A KR102228283B1 (ko) 2019-11-25 2019-11-25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902A KR102228283B1 (ko) 2019-11-25 2019-11-25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283B1 true KR102228283B1 (ko) 2021-03-16

Family

ID=7522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902A KR102228283B1 (ko) 2019-11-25 2019-11-25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2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681A (ko) * 2008-05-16 2009-11-19 (주) 전시나라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CN106940958A (zh) * 2017-05-10 2017-07-11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山地灾害室内演示仪
KR20180112270A (ko) 2017-04-03 2018-10-12 고충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KR101969550B1 (ko) * 2018-09-12 2019-04-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용자 생활 공간의 내진 취약성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생활 공간의 내진 취약성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681A (ko) * 2008-05-16 2009-11-19 (주) 전시나라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
KR20180112270A (ko) 2017-04-03 2018-10-12 고충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CN106940958A (zh) * 2017-05-10 2017-07-11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山地灾害室内演示仪
KR101969550B1 (ko) * 2018-09-12 2019-04-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용자 생활 공간의 내진 취약성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생활 공간의 내진 취약성 분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50108A1 (en) Autostereoscopic Virtual Reality Platform
US94177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immersive environment
KR20200044102A (ko) 물리적 경계 검출
TWI648655B (zh) 虛擬實境系統中顯示使用者移動的方法及相關裝置
TWI662984B (zh) 應用於虛擬實境之電競座艙
KR102564810B1 (ko) 실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터
JP6594041B2 (ja) 危険体感システム
Matsumoto et al. Detection thresholds for vertical gains in vr and drone-based telepresence systems
KR102223107B1 (ko) 협업을 지원하는 vr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228283B1 (ko) 지진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지진 체험 장치
KR101670939B1 (ko) 지형에 따른 경사각 구현기능을 갖는 가상현실 모션 플렛폼을 이용한 구동 방법
WO2021070411A1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079550A1 (ja) 映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映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470462A (en) Surround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synchronised screens
US20220383601A1 (en) Virtual avatars and physical object interaction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KR102228282B1 (ko) 태풍 상황을 체험하기 위한 부스형 태풍 체험 장치
WO2015196877A1 (en) Autostereoscopic virtual reality platform
US20220351448A1 (en) Animation production system
US20220351443A1 (en) Animation production system
JP7448943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24057B1 (ko)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510465B1 (ko) 4면 터치가 가능한 미디어 파사드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11537199B2 (en) Animation production system
Bachelder Helicopter aircrew training using fused reality
US20220035442A1 (en) Movie distribu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