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057B1 -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057B1
KR102224057B1 KR1020190049492A KR20190049492A KR102224057B1 KR 102224057 B1 KR102224057 B1 KR 102224057B1 KR 1020190049492 A KR1020190049492 A KR 1020190049492A KR 20190049492 A KR20190049492 A KR 20190049492A KR 102224057 B1 KR102224057 B1 KR 10222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ad state
spectating
load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921A (ko
Inventor
양원준
Original Assignee
트라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라이픽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99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영상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관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부하 상태 확인부; 상기 부하 상태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부하 발생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발되는 멀미를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METHOD FOR LOAD REDUCTION USING AUTOMATIC CONTROL OF OBSERVATION IMAGE AND HEAD-MOUNTED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관전 영상으로 제공하고,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부하를 감소시키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청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단순히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으로만 입력 신호를 제공하던 입력 장치들은, 중력 변화, 가속도 변화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출력 장치의 경우, 사용자에게 대화면을 제공하거나, 초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고, 보다 실재감 있는 시청각 자극을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큘러스 리프트, 갤럭시 VR, HTC VIVE 등과 같이, 머리에 착용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체험하게 하는 출력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출력 장치들은, 일반적인 시청각 출력 장치와 다르게, 사용자의 시야를 전체적으로 가린 상태에서 출력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에 의해서만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체적으로 느끼는 움직임과, 출력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의 움직임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멀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멀미 증상은 사이버 멀미(cyber sickness)(또는, 가상 멀미)로 불리기도 하는데, 가상 멀미가 누적되는 경우, 출력 장치 자체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5863호 (2018.05.09.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전 영상에 부하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멀미가 유발되지 않도록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영상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관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부하 상태 확인부; 상기 부하 상태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하 상태 확인부는,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부하 상태 확인부에서 확인한 부하 상태를 기초로, 상기 관전 영상이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제3 부하 상태,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및 파티클 명복 부하 상태 중 어느 부하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fps)에 따라 상기 관전 영상의 품질 점수를 결정하고, 기 결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품질 점수의 점수 합계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상기 관전 영상이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관전 영상에 대해 판단한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후진, 상승 및 하향 틸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상태가 제1 부하 상태 및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시키고,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시키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고, 상기 부하 상태가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부하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한 부하 상태를 기초로, 상기 관전 영상이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제3 부하 상태,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및 파티클 명복부하 상태 중 어느 부하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관전 영상에 대해 판단한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후진, 상승 및 하향 틸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제공하기 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상기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부하 발생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발되는 멀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움직임을 이용한 부하감소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10)는 사용자가 안경처럼 착용하고 사용하는 모니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안경, 헤드셋 또는 헬멧 등의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양안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눈앞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 다리 또는 벤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는 조작용 트랙 패드, 리턴 버튼, 음량 조정 키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안경, 헤드셋 또는 헬멧 등의 형상을 갖는 본체(가령, 하우징)이고,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이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양안에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를 머리에 착용하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좌안이 바라보는 영역과 우안이 바라보는 영역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좌안이 바라보는 영역과 우안이 바라보는 영역에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입사, 점사 또는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추적하여 시야 영상을 즉각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2D 영상뿐 아니라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를 머리에 착용하면 사용자의 시야를 완전히 장악해 360도 입체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와 통신하는 외부의 위치/동작 센서 등이 사용자가 고개를 위아래 혹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해 그방향에 알맞은 시각효과를 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노라마 3D 영상 중에서 자신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3D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카메라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부하 상태 확인부(130), 판단부(140), 제어부(150) 및 데이터베이스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컨텐츠(이하, 영상이라 함)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부(1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서 사용되는 영상이 관찰자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서 사용되는 영상이 관찰자 입장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되,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에서 관전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10)의 중심이 위치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의 중심이 위치 변경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제어부(150)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하는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가 촬영한 관전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의 재생 중에 GUI 등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의 화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에 오버레이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하 상태 확인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 상태 확인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FPS : Frame Per Second) 상태, 상기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오브젝트의 수를 기반으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 상태 확인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10m 내지 30m 반경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를 기반으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20m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를 기반으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부하 상태 확인부(130)는 확인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 정보를 판단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 상태 확인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FPS),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하 상태 정보를 판단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부하 상태 정보가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하 상태 정보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의 CPU, GPU, MEMORY 정보 등과 같이 연산 부하가 급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판단부(140)는 부하 상태 확인부(130)에서 전달받은 부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의 부하 감소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부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의 부하 상태가 정상상태, 제1 부하상태, 제2 부하상태, 제3 부하상태, 폴리곤 부하상태, 파티클 부하상태 중 어떠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부하 감소 제어가 필요한 경우, 각 상태에 대응하는 카메라부(110) 중심 변경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상기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를 기반으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를 기반으로 영상의 초당 품질 점수를 결정하고, 품질 점수를 통해 해당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fps)가 60 이상인 경우, 0점, 초당 프레임수(fps)가 50이상 60 미만인 경우 1점, 초당 프레임수(fps)가 40이상 49미만인 경우 2점, 초당 프레임수(fps)가 30이상 39미만인 경우 3점의 품질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fps)는 그 숫자가 작을수록 관전 영상이 지연되어 나타나게 될 수 있다. 판단부(140)는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2초마다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fps)를 확인하여 관전 영상의 품질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관전 영상 품질 점수의 점수 합계로 현재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기 설정된 기간이 3회의 품질 점수인 경우, 현재로부터 이전 3회의 초당 품질 점수의 합을 통해 현재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관전 영상의 품질 점수의 합계에 따라, 합계 점수가 0점 ~ 1점인 경우, 쾌적한 상태로 판단하고, 2점인 경우, 제1 부하 상태, 3점~5점인 경우, 제2 부하 상태, 6점~9점인 경우 제3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를 기반으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가 20m인 경우,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20m 이내에 오브젝트의 수가 10개 이상 20개 미만인 경우, 제1 부하 상태, 오브젝트의 수가 20개 이상 30개 미만인 경우, 제2 부하 상태, 오브젝트의 수가 30개 이상인 경우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40)는 제1 부하 상태 내지 제3 부하 상태 이외에,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곤이란 3D 그래픽에서 물체를 표현할 때 쓰이는 기본 단위인 다각형을 말하는 것으로, 3D 게임에서는 폴리곤이 모여서 캐릭터나 각종 3D로 이루어진 사물들이 표현되게 된다. 즉, 다각형 모양의 폴리곤이 여럿 모여서 하나의 캐릭터나 3D 오브젝트(3D Object)를 이루게 된다. 판단부(140)는 관전 영상에서 폴리곤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곤의 수가 적은 경우는 약 3,000개의 폴리곤 수가 관전 영상이 표현이 되고, 폴리곤의 수가 많은 경우는 약 30,000개의 폴리곤 수가 관전 영상에 표현이 된다. 판단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폴리곤의 수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30m 이내에 출력 폴리곤의 수가 120,000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40)는 제1 부하 상태 내지 제3 부하 상태,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이외에,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파티클이란 관전 영상에 폭탄이 터지는 현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상에서 폭탄이 터진 경우, 폭탄의 파편들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파티클의 수가 증가하여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판단부(140)는 관전 영상에 파티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40)는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50m 이내에 출력되는 파티클이 2,500 이상일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 상기 판단부(140)에서 판단한 부하 상태에 따라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판단부(140)에서 관전 영상에 부하 감소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각 부하 상태에 대응하는 부하 감소 제어를 통해 카메라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관전 영상이 부하 상태에 있는 경우, 카메라부(110)를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후진, 상승 및 하향 틸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틸팅(Tilting)이란 카메라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제1 부하 상태인 경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5m 후진, 3m 상승 및 8도 하향 틸팅함으로써,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만약,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제어부(150)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9m 후진, 6m 상승 및 15도 하향 틸팅함으로써,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에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만약, 관전 영상의 부하상태가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부하가 낮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에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경우, 제1 부하 상태를 기초로 카메라부(110)의 이동에 가중치를 줌으로써,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에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경우, 후진 거리를 120% 가중하고, 상승거리에 80%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디스플에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카메라부(110)를 이용해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관전 영상에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관전 영상에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상의 지연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멀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관심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의 입력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 연결된 컨트롤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의 움직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8초) 동안 외부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관심 지점은 사용자가 기 저장한 지점이거나, 제1 부하 상태 또는 제2 부하 상태가 발생된 지점 등이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6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서 사용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160)는 각 부하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 각 부하 상태에 따른 카메라부(110)의 제어 방법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데이터베이스부(160)가 저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를 설명한 것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부(16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 저장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움직임을 이용한 부하감소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관전 영상을 촬영한다(S302).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서 사용되는 영상이 관찰자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304).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관찰자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306).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현재 표시되는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FPS : Frame Per Second) 상태, 상기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오브젝트의 수를 기반으로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현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가 제1 부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8). 만약,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현재 제1 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폴리곤 부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320)하고, 폴리곤 부하 상태인 경우, 폴리곤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폴리곤 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파티클 부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24), 파티클 부하 상태인 경우, 파티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가 제1 부하상태임에 따라 제1 부하를 감소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관전 영상이 제1 부하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제1 부하 감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10)의 중심을 후진, 상승 및 하향 틸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가 제2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2). 만약,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현재 제2 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외부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328)하고, 외부 입력이 없는 경우,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10)를 기 설정된 관심 지역으로 이동시켜 관심지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가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제2 부하를 감소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14).
다음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가 제3 부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6).
만약,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가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제3 부하를 감소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18).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4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400)은 컴퓨팅 장치(41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410)는 VR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 및 버스(4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2)는 버스(460)와 연결되고, 버스(4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4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412)에 연결한다.
프로세서(412)는 컴퓨팅 장치(4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4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4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41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4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4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430)은 프로세서(4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메모리(416) 및 저장 장치(4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14)의 예이다. 메모리(416)에는 프로세서(4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4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4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4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4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4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는 버스(4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4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를 통해 컴퓨팅 장치(4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4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110 : 카메라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부하 상태 확인부
140 : 판단부
150 : 제어부
16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4)

  1. 영상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관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관전 영상에서,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부하 상태 확인부;
    상기 부하 상태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프레임수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상기 부하 상태를 차등적으로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1 부하 상태 및 상기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시키고,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시키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며,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 상태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관전 영상이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부하 상태인 경우에서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부의 후진 거리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승 거리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fps)에 따라 상기 관전 영상의 품질 점수를 결정하고, 기 결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품질 점수의 점수 합계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9.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제공되도록 카메라부에서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수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상기 부하 상태를 차등적으로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1 부하 상태 및 상기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시키고,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시키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며,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 상태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고,
    상기 관전 영상이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부하 상태인 경우에서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부의 후진 거리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승 거리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상기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관전 영상에서,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프레임수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상기 부하 상태를 차등적으로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및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1 부하 상태 및 상기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고,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 상태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며,
    상기 부하 상태가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부하 상태인 경우에서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부의 후진 거리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승 거리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90049492A 2019-03-25 2019-04-29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224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3454 2019-03-25
KR1020190033454 2019-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921A KR20200114921A (ko) 2020-10-07
KR102224057B1 true KR102224057B1 (ko) 2021-03-09

Family

ID=7288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492A KR102224057B1 (ko) 2019-03-25 2019-04-29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0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155A (ja) 2001-01-12 2002-08-02 Namco Ltd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7138973A (ja) * 2017-01-18 2017-08-10 株式会社コロプラ 仮想空間の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905A (ko)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가상현실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180005528A (ko) * 2016-07-06 201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855863B1 (ko) 2017-10-18 2018-05-09 (주)이노시뮬레이션 멀미를 방지하는 실시간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155A (ja) 2001-01-12 2002-08-02 Namco Ltd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7138973A (ja) * 2017-01-18 2017-08-10 株式会社コロプラ 仮想空間の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92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54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avigation within virtual reality space using head mounted display
CN107111340B (zh) 在虚拟或增强现实场景内进行用户交互的方法和系统
JP6058184B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40971B2 (en) Augmented reality field of view object follower
JP5996814B1 (ja) 仮想空間の画像を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に提供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7377B1 (ja) 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69635B (zh) 用於顯示彈幕的方法、裝置以及非揮發性電腦可讀儲存介質
JP5483761B2 (ja) 映像出力装置、立体映像観察デバイス、映像提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出力方法
US10726765B2 (en) Using tracking of display device to control image display
US20190221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ensing of real object position, trajectory, or attitude to enable user interaction with a virtual object
JP6276434B1 (ja) 仮想空間における移動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EP263475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game program, and method of controlling game
US11195320B2 (en) Feed-forward collision avoidance for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s
US20190114841A1 (en)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WO2017056892A1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Peterson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Definitions
KR102224057B1 (ko)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JPWO201922535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86517B1 (ko) 컨트롤러 입력에 따른 회전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8124989A (ja) 仮想空間における移動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JP6613099B2 (ja) 仮想現実空間を立体的に表示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9101943A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102286518B1 (ko) 컨트롤러 입력에 따른 화면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7097918A (ja) 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42769A (ja) 仮想空間の画像を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に提供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