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036B1 -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036B1
KR101125036B1 KR1020090042979A KR20090042979A KR101125036B1 KR 101125036 B1 KR101125036 B1 KR 101125036B1 KR 1020090042979 A KR1020090042979 A KR 1020090042979A KR 20090042979 A KR20090042979 A KR 20090042979A KR 101125036 B1 KR101125036 B1 KR 10112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upper case
shaft
assembl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747A (ko
Inventor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주) 전시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전시나라 filed Critical (주) 전시나라
Publication of KR2009011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관련된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재난상황을 이해하고 재난 속에서 체험자가 올바른 대처요령을 사전에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일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후방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타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 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본 발명은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관련된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재난상황을 이해하고 재난 속에서 체험자가 올바른 대처요령을 사전에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지진 및 풍수해와 같은 자연재해와,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건물과 지하철의 화재 및 건물 붕괴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상기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가 발생되면, 신중하고 냉철하게 행동하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판단에 의해 돌출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더 큰 피해를 겪게 된다.
즉, 각종 재난재해시 발생되는 갑작스러운 위급상황에 대한 안전교육이 사전에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이 훨씬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진, 풍수해, 화재 및 건물붕괴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 발생시, 해당하는 재난재해에 대한 발생원인과 신속한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미리 체험하여 훈련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관련된 각종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재난재해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의 대응방법 및 대응요령을 사전에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는,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재난재해를 체험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로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 조립체(110)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일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후방 조립체(120)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의 타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130)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10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 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20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일단이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기어(205)가 형성된 샤프트(210)와, 상기 기어(205)를 회전 시키는 기어드 모터(2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면으로 돌출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좌우 움직임을 유연하게 리드하는 볼베어링(2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높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지지바(112)와, 상기 지지바(112)의 타단에 각각 부착된 회전롤러(113)와, 상기 회전롤러(113) 상에 탑재되어 재난재해를 체험하기 위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원통형의 회전 구름판(114)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111)에는 상기 회전 구름판(11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조립체(120)는, 상기 후방 조립체(120)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삽입구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대(121a 및 121b)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삽입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제 1 및 제 2 샤프트(122a 및 122b)와,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상기 삽입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 다른 샤프트를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제 1 내지 제 4 연결수단(123a ~ 123d)과, 제 1 및 제 3 연결수단(123a 및 123c)에 끼워맞추져 고정되는 제 3 샤프트(122c) 및 상기 제 2 및 제 4 연결수단(123b 및 123d)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제 4 샤프트(122d)와, 상기 제 3 샤프트(122c)의 중간부분에 샤프트의 일단이 끼워맞춰져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된 제 1 고정부재(124a)와 상기 제 4 샤프트(122d)의 중간부분에 샤프트의 타단이 끼워맞춰져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된 제 2 고정부재(124b)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24a 및 124b)에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제 5 샤프트(125)와, 상기 제 5 샤프트에 삽입구가 형성된 일단이 상하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 구동부(126)와, 상기 상하 구동부의 타단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좌우 구동부(127)와, 상기 좌우 구동부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맞춰져 체험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어깨 거치대(12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대(121a)에는 상기 좌우 구동부(127)의 좌측 이동을 감지하는 좌측 감지센서(12a)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대(121b)에는 상기 좌우 구동부(127)의 우측 이동을 감지하는 우측 감지센서(12b)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재(124a)에는 상기 상하 구동부(126)의 상측 이동을 감지하는 상측 감지센서(12c)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124b)에는 상기 상하 구동부(126)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는 하측 감지센서(12d)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 좌우측 감지센서들(12a 내지 12d)의 감지신호는 전방 조립체(130)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조립체(130)는, 재난재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S/W)를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133)와,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133)의 구동에 따라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135)와, 상기 영상출력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재난재해와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3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조립체(130)는 컨트롤러(14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풍수해 영상에 따라 물을 분사하는 강우발생 기(137)와, 상기 풍수해 영상에 따라 강풍을 발생시키는 강풍발생기(138)와,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고온의 열기를 방사하는 열기발생기(139)와, 상기 화재 영상에 바람 또는 물을 분사하는 모형소화기(140)와, 상기 화재 영상에 따라 연기를 연출하는 연기발생기(14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통해 재난재해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의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가상으로 미리 체험하여 숙지함으로써, 각종 재난재해의 발생원인,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베이스 조립체 및 하부 케이스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후방 조립체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전방 조립체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 위에서 좌우 회전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에서 관리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는 베이스 조립체(110), 후방 조립체(120) 및 전방 조립체(130)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네 개의 모서리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높이를 형성하는 지지바(112)와, 상기 바닥판(111)에 일단이 고정된 네 개의 지지바(112)의 타단에 각각 부착된 회전롤러(113)와, 상기 네 개의 회전롤러(113) 상에 탑재되어 각종 재난재해를 체험하기 위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원통형의 회전 구름판(1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111)에는 복수개의 속도 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체험자의 걸음 속도에 따른 상기 회전 구름판(11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 후방 조립체(120)는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의 일단과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조립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조립체(120)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삽입구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대(121a 및 121b)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삽입구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제 1 및 제 2 샤프트(122a 및 122b)와,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상기 삽입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 다른 샤프트를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제 1 내지 제 4 연결수단(123a ~ 123d)과, 제 1 및 제 3 연결수단(123a 및 123c)에 끼워맞추져 고정되는 제 3 샤프트(122c) 및 상기 제 2 및 제 4 연결수단(123b 및 123d)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제 4 샤프트(122d)와, 상기 제 3 샤프트(122c)의 중간부분에 샤프트의 일단이 끼워맞춰져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된 제 1 고정부재(124a)와 상기 제 4 샤프트(122d)의 중간부분에 샤프트의 타단이 끼워맞춰져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된 제 2 고정부재(124b)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24a 및 124b)에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제 5 샤프트(125)와, 상기 제 5 샤프트에 삽입구가 형성된 일단이 상하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 구동부(126)와, 상기 상하 구동부의 타단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좌우 구동부(127)와, 상기 좌우 구동부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맞춰져 체험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어깨 거치대(1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지지대(121a)에는 체험자의 좌측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좌우 구동부(127)의 좌측 이동을 감지하는 좌측 감지센서(12a)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대(121b)에는 체험자의 우측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좌우 구동부(127)의 우측 이동을 감지하는 우측 감지센서(12b)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재(124a)에는 체험자의 상측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하 구동부(126)의 상측 이동을 감지하는 상측 감지센서(12c)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124b)에는 체험자의 하측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하 구동부(126)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는 하측 감지센서(12d)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들(12a 내지 12d)의 체험자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신호는 상기 전방 조립체(130)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어깨 거치대(128)에는 체험자가 보다 사실감 있게 각종 재난재해를 체험할 수 있도록 진동 스피커(129)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조립체(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의 타단과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강우, 강풍, 열기, 연기 및 소화기 체험과 같은 특수효과를 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의 회전 구름판(11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양측면의 연결부재(131)에 의해 시스템 거치대(132)가 이격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방 조립체(130)의 시스템 거치대(132)는 프로그램 구동부(133), 작동선택 스위치(134), 영상출력부(135), 음향출력부(136), 강우발생기(137), 강풍발생기(138), 열기발생기(139), 모형소화기(140), 연기발생기(141) 및 컨트롤러부(1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구동부(133)는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S/W)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CD-RO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자체의 저장부를 통해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저장하여 디 스플레이할 수 있다.
작동선택 스위치(134)는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133)의 구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지진, 풍수해 및 화재 체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버튼이고, 영상출력부(135)는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PDP, LCD, 터치스크린 및 HMD(Head Mounted Display)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출력부(136)는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이다.
강우발생기(137)는 예를 들어 풍수해와 같은 재난재해 연출시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풍수해 영상에 따라 폭풍우와 같은 물을 분사하는 수단이고, 강풍발생기(138)는 상기 풍수해와 같은 재난재해 연출시 강풍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열기발생기(139)는 예를 들어 화재와 같은 재난재해 연출시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고온의 열기를 방사하는 수단이고, 모형소화기(140)는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화재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화재의 불꽃에 분사구의 초점을 맞추어 예를 들어 바람 또는 물을 분사하는 게임용 수단이며, 연기발생기(141)는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사람의 인체에 무해한 드라이 아이스 및 안개와 같은 효과를 연출하는 수단이다.
또한, 컨트롤러부(142)는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133), 작동선택 스위치(134), 영상출력부(135), 음향출력부(136), 강우발생기(137), 강풍발생기(138), 열기발생기(139), 모형소화기(140) 및 연기발생기(141)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출력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체험 영상에 따라 특수효과를 연출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후방 조립체(120)의 상하 좌우측 감지센서들(12a 내지 12d)의 체험자의 움직임에 따른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를 좌우 회전(도 5 참조)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205)가 연결된 샤프트(210), 기어드 모터(220), 진동모터(230) 및 볼베어링(2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0)는 일단이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기어(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어드 모터(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기어(205)가 회전하면서 상부 케이스(100)를 좌우 회전하게 한다.
진동모터(230)는 예를 들어 지진과 같은 재난재해 체험시 상기 영상출력부(135)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지진 영상에 따라 진동을 연출한다.
볼베어링(240)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전방 및 후방에 상면으로 돌출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좌우 움직임을 유연하게 리드한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상기 샤프트(210)에 의해 하부 케이스(200)에 결합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240) 상에 탑재되어 좌우 회전하는데, 이러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어드 모터(220) 및 진동모터(23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컨트롤러부(142)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케이스(200)에 별도의 컨트롤러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의 시뮬레이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체험자는 베이스 조립체(110) 상의 회전 구름판(114)에 탑승한 후, 후방 조립체(120)의 어깨 거치대(128)에 양쪽 겨드랑이를 걸쳐 놓는다.
다음에, 체험자는 영상출력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지진, 풍수해 및 화재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작동선택 스위치(134)를 조작하여 선택한다.
그러면, 컨트롤러부(142)는 체험자가 선택한 지진, 풍수해 및 화재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영상출력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음향출력부(136)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고, 아울러 후방 조립체(120)의 진동 스피커(129)를 통해 음향을 진동으로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 컨트롤러부(142)는 베이스 조립체(110)의 속도 감지센서(115)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 구름판(114)의 회전 속도에 따라 영상출력부(135)의 화면 진행 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러부(142)는 상기 후방 조립체(120)에 있는 상하 좌우측 감지센서들(12a 내지 12d)의 체험자의 움직임에 따른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하부 케이스(200) 위에 있는 상부 케이스(100)가 좌우로 회전한다.
이후, 컨트롤러부(400)는 영상출력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예 를 들어 지진 체험인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200) 내의 진동모터(230)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하게 하고, 풍수해 체험인 경우에는 강우발생기(137)를 통해 빗물을 내리게 함과 동시에 강풍발생기(138)를 통해 강풍을 발생시킨다.
또한, 화재 체험인 경우에는 열기발생기(139)를 통해 뜨거운 열기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연기발생기(141)ff 통해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연기효과를 연출함과 아울러 모형소화기(140)를 통해 화재를 가상으로 진압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에 대한 체험을 단순히 시각이 아닌 온몸으로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메인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각 시뮬레이터들의 자료 수집 및 모니터링을 통해 각 체험자의 안전지수 및 대처요령 점수를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베이스 조립체 및 하부 케이스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후방 조립체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전방 조립체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 위에서 좌우 회전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에서 관리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6)

  1. 삭제
  2.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재난재해를 체험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로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 조립체(110)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일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후방 조립체(120)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의 타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130)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10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 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20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일단이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기어(205)가 형성된 샤프트(210)와, 상기 기어(205)를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2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면으로 돌출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좌우 움직임을 유연하게 리드하는 볼베어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높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지지바(112)와, 상기 지지바(112)의 타단에 각각 부착된 회전롤러(113)와, 상기 회전롤러(113) 상에 탑재되어 재난재해를 체험하기 위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원통형의 회전 구름판(114)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111)에는 상기 회전 구름판(11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센서(1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3.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재난재해를 체험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로서,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 조립체(110)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일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후방 조립체(120)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110)의 타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130)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10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 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20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일단이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기어(205)가 형성된 샤프트(210)와, 상기 기어(205)를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2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면으로 돌출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좌우 움직임을 유연하게 리드하는 볼베어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조립체(120)는,
    상기 후방 조립체(120)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삽입구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대(121a 및 121b)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삽입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제 1 및 제 2 샤프트(122a 및 122b)와,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상기 삽입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 다른 샤프트를 체결할 수 있게 하는 제 1 내지 제 4 연결수단(123a ~ 123d)과, 제 1 및 제 3 연결수단(123a 및 123c)에 끼워맞추져 고정되는 제 3 샤프트(122c) 및 상기 제 2 및 제 4 연결수단(123b 및 123d)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제 4 샤프트(122d)와, 상기 제 3 샤프트(122c)의 중간부분에 샤프트의 일단이 끼워맞춰져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된 제 1 고정부재(124a)와 상기 제 4 샤프트(122d)의 중간부분에 샤프트의 타단이 끼워맞춰져 삽입될 수 있게 삽입홀이 형성된 제 2 고정부재(124b)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24a 및 124b)에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제 5 샤프트(125)와, 상기 제 5 샤프트에 삽입구가 형성된 일단이 상하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 구동부(126)와, 상기 상하 구동부의 타단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좌우 구동부(127)와, 상기 좌우 구동부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구에 끼워맞춰져 체험자의 양쪽 겨드랑이로 감쌀 수 있게 구성된 어깨 거치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121a)에는 상기 좌우 구동부(127)의 좌측 이동을 감지하는 좌측 감지센서(12a)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대(121b)에는 상기 좌우 구동부(127)의 우측 이동을 감지하는 우측 감지센서(12b)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재(124a)에는 상기 상하 구동부(126)의 상측 이동을 감지하는 상측 감지센서(12c)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124b)에는 상기 상하 구동부(126)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는 하측 감지센서(12d)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 좌우측 감지센서들(12a 내지 12d)의 감지신호는 전방 조립체(13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립체(130)는,
    재난재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S/W)를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133)와,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133)의 구동에 따라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135)와, 상기 영상출력부(13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재난재해와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립체(130)는 컨트롤러(14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풍수해 영상에 따라 물을 분사하는 강우발생기(137)와, 상기 풍수해 영상에 따라 강풍을 발생시키는 강풍발생기(138)와,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고온의 열기를 방사하는 열기발생기(139)와, 상기 화재 영상에 바람 또는 물을 분사하는 모형소화기(140)와, 상기 화재 영상에 따라 연기를 연출하는 연기발생기(14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KR1020090042979A 2008-05-16 2009-05-18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KR101125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5788 2008-05-16
KR1020080045788 2008-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747A KR20090119747A (ko) 2009-11-19
KR101125036B1 true KR101125036B1 (ko) 2012-03-21

Family

ID=4160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979A KR101125036B1 (ko) 2008-05-16 2009-05-18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39B1 (ko) 2015-04-14 2016-10-31 (주)일렉콤 지형에 따른 경사각 구현기능을 갖는 가상현실 모션 플렛폼을 이용한 구동 방법
KR20180112270A (ko) 2017-04-03 2018-10-12 고충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14B1 (ko) 2009-12-04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조작장치
KR101695947B1 (ko) * 2015-05-28 2017-01-13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101880701B1 (ko) * 2017-06-27 2018-07-20 이형준 가상현실 실시간 모션 시뮬레이터
KR102151434B1 (ko) * 2018-08-06 2020-10-26 (주) 전시나라 재난 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KR102191218B1 (ko) * 2019-01-23 2020-12-15 (주)린텍씨엠에스 가상현실을 이용한 지진대피훈련시스템
KR102564810B1 (ko) 2020-06-01 2023-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790Y1 (ko) 2005-05-04 2005-09-07 신동호 3차원 체감용 시뮬레이터
KR200409276Y1 (ko) * 2005-09-26 2006-02-24 김옥근 시뮬레이터
KR100911719B1 (ko) 2008-10-15 2009-08-10 (주) 전시나라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790Y1 (ko) 2005-05-04 2005-09-07 신동호 3차원 체감용 시뮬레이터
KR200409276Y1 (ko) * 2005-09-26 2006-02-24 김옥근 시뮬레이터
KR100911719B1 (ko) 2008-10-15 2009-08-10 (주) 전시나라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39B1 (ko) 2015-04-14 2016-10-31 (주)일렉콤 지형에 따른 경사각 구현기능을 갖는 가상현실 모션 플렛폼을 이용한 구동 방법
KR20180112270A (ko) 2017-04-03 2018-10-12 고충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747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036B1 (ko)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KR100911719B1 (ko)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
KR101433044B1 (ko) 영상화면 연동 런닝머신
KR101669239B1 (ko)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CN205796477U (zh) 一种人类模拟鸟飞翔的装置
KR20110046414A (ko) 낙하산 강하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916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JP7379798B2 (ja) 地震疑似体感装置、地震疑似体感制御プログラム
JPH09305099A (ja) 体感装置
WO2010123201A2 (ko)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
JP2677537B2 (ja) パラシュート降下教育装置
KR10204834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US20210370117A1 (en) Realistic fire-fighting training simulator
KR101670939B1 (ko) 지형에 따른 경사각 구현기능을 갖는 가상현실 모션 플렛폼을 이용한 구동 방법
JPH08173583A (ja) スカイダイビング及びパラシュート降下訓練シミュレータ
JP6701357B2 (ja) Vrアミューズメント用搭乗装置
CN110299038A (zh) 施工场景培训系统
CN103366612B (zh) 可模拟地震的多场景避震练习演示器
JPH10156047A (ja) 空中遊泳シアター
KR102328405B1 (ko) 날으는 체감이 증대된 4d vr시뮬레이터
KR102239347B1 (ko) 체공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JP2872939B2 (ja) ハング・グライダー・シミュレータ
KR101769027B1 (ko) 가상 공중하강 체험 시스템
CN207909399U (zh) 一种地震安全体验屋
WO2019225831A1 (ko) 가상현실 기반의 공중부양 시뮬레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