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182B1 -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182B1
KR102048182B1 KR1020190131291A KR20190131291A KR102048182B1 KR 102048182 B1 KR102048182 B1 KR 102048182B1 KR 1020190131291 A KR1020190131291 A KR 1020190131291A KR 20190131291 A KR20190131291 A KR 20190131291A KR 102048182 B1 KR102048182 B1 KR 10204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transverse
eras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연
김민신
Original Assignee
이성연
김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연, 김민신 filed Critical 이성연
Priority to KR102019013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물칠판 지우개 받침 장치가 개시된다. 물칠판 지우개 받침 장치는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이격된 하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판부 상에 안착되며,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 및 제2 횡측벽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 및 제2 종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상기 제2 종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박스 공간이 형성된 지우개 받침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제2 횡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횡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을 스폰지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과 지우개 받침 공간으로 구획하는 종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의 상단에 얹혀진 지우개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Water Chalkboard Eraser Stand Apparatus}
본 발명은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물칠판 지우개의 소거 패드에 흡수된 물의 제거가 쉽고, 물칠판 지우개를 오염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면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한 위치에 둘 수 있도록 해주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분필(chalk)은 일반적으로 황산칼슘이나 탄산칼슘 등의 분말을 굳혀서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성형하여 칠판 위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의 분필은 사용시 또는 지우개로 지우는 경우 분필 가루로 인해 불편함이 많이 따랐고, 이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물칠판과 물분필이 개발되었다. 또한, 물칠판에 판서된 물분필 자국을 지우는데 적합한 물칠판 지우개도 함께 개발되었다. 통상적으로, 물칠판 지우개는 손잡이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된 패브릭 재질의 소거 패드를 포함한다.
물칠판 지우개는 소거 패드에 물을 흡수시켜 물분필이 판서된 물칠판을 지우므로 젖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지우개를 물분필들과 함께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 상에 올려놓곤 하는데, 이 위치는 물과 물분필 성분이 섞여, 물칠판, 물칠판 지우개 및 물분필 모두를 오염시킬 수 있는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는 물칠판 지우개의 소거 패드에서 나온 물이 물분필에 흡수되어 물분필을 쓸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칠판 지우개의 소거 패드에서 물을 짜낼 수 있는 용구나 물칠판 지우개를 세척할 수 있는 용구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용구들이 개발에도 불구하고, 소거 패드에 물이 흡수된 물칠판 지우개가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 상에서 물분필과 함께 보관되는 것으로 인한 문제점은 여전하였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2014034호(2019.08.19.)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973912호(2019.04.2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06707호(2010. 12.3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칠판 지우개를 오염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면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한 위치에 둘 수 있도록 해주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는,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이격된 하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판부 상에 안착되며,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 및 제2 횡측벽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 및 제2 종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상기 제2 종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박스 공간이 형성된 지우개 받침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제2 횡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횡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을 스폰지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과 지우개 받침 공간으로 구획하는 종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의 상단에 얹혀진 지우개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 사이에 상기 제1 공간을 복수개의 물 낙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의 소거패드가 상기 횡 파티션 또는 상기 제1 횡측벽의 상단에 눌리면서 상기 소거패드에서 나온 물은 상기 물 낙하 공간으로 떨어지며, 상기 횡 파티션과 상기 제1 횡측벽의 상단은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및 상기 제2 종측벽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격벽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에는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 구멍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격벽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에는 상기 바닥벽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물 흐름을 허용하는 물 흐름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종격벽, 상기 받침 파티션, 횡격벽 및 횡 파티션 각각에는 상기 바닥벽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물 흐름을 허용하는 물 흐름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벽에는 물이 모이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골에 형성된 드레인 구멍에는 패킹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 받침 장치는 물칠판 지우개를 오염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면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한 위치에 둘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들 또는 이점들은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가 설치된 물칠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C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D-D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E-E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침판 지우개 받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가 설치된 물칠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C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D-D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E-E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칠판(200)은 상부 프레임(210), 하부 프레임(220), 좌측 프레임(230) 및 우측 프레임(240)으로 구성된 칠판프레임과, 칠판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보드들(250, 260, 27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드들(250, 260, 270)은 하부 프레임(220)과 상부 프레임(210)을 따라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형 보드들(250, 260)과, 예컨대, 백보드일 수 있고 칠판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 보드(270)일 수 있다. 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드는 물분필로 판서가 가능한 물칠판 보드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시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물칠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물칠판 보드가 칠판 프레임에 지지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물칠판 지우개(300)는 손잡이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의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패브릭(fabric) 재질 소거 패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이 흡수된 소거 패드(320)를 이용하여 물칠판(200)에 판서된 물분필 자국을 지울 수 있다.
한편, 물칠판 지우개 받침 장치(100)는 상기 물칠판(200)의 하부 프레임(220)에 결합되어,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를 받쳐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물칠판 지우개 받침 장치(100)는 고정부재(110)와, 지우개 받침 박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물칠판(200)의 하부 프레임(220)에 고정되는 상판부(112)와, 상기 상판부(112)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하판부(114)와, 상기 상판부(112)와 상기 하판부(114)를 연결하는 측판부(113)를 일체로 포함하는 대략 ㄷ 형태의 고정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부(113)는 상기 상판부(112)의 측단과 상기 하판부(114)의 측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12)와 상기 하판부(114) 사이에는 전방과 후방으로 오픈되어 있는 하나의 갭이 형성된다.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하판부(114) 상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부(112)와 상기 하판부(114) 사이의 갭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단 일 영역에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를 받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부(112)와 상기 하판부(114) 사이의 갭 높이는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의 높이와 상기 물받침 지우개(300)의 높이 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하판부(114) 상에 안착되어 예컨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판부(114) 상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121) 및 제2 횡측벽(122)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123) 및 제2 종측벽(124)과, 바닥벽(12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121), 상기 제2 횡측벽(122), 상기 제1 종측벽(123), 상기 제2 종측벽(124) 및 상기 바닥벽(125)에 의해 하나의 큰 박스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제1 횡측벽(121)과 상기 제2 횡측벽(122)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121) 및 상기 제2 횡측벽(122)과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횡측벽(121)과 가까이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10)과 제2 공간(20)으로 구획하는 횡격벽(126)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간(10)에는 물칠판 지우개(300)의 소거 패드(320)로부터 짜내어진 물이 낙하된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제2 횡측벽(122)과 상기 횡격벽(126)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20)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20)을 스폰지(7)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22)과 지우개 받침 공간(24)으로 구획하는 종격벽(1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종격벽(127)은 일측단에서 상기 제2 횡측벽(122)과 직각으로 만나고 타측단에서 상기 횡격벽(126)과 직각으로 만난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횡격벽(126)의 상단과 상기 제2 횡측벽(122)의 상단에 얹혀져 있는 물칠판 지우개(300)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24)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은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의 횡폭 또는 종폭 중간을 받쳐주어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도 있도록 돕는다.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가 상기 횡격벽(126)의 상단, 상기 제2 횡측벽(122)의 상단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는 동안,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의 소거 패드(320)로부터 떨어진 물은 지우개 받침 공간(24)으로 낙하될 수 있다. 받쳐진 물칠판 지우개(30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횡격벽(126)의 상단, 상기 제2 횡측벽(122)의 상단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의 상단 높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9)은 상기 종격벽(127)과 평행하고 상기 횡격벽(126)과 직각으로 만나지만,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24)에 형성되어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를 받쳐줄 수 있다면, 그 형상이나 배치가 도시된 실시예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제1 횡측벽(121)과 상기 횡격벽(126) 사이에 상기 제1 공간(10)을 복수개의 물 낙하 공간들(12, 14)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 파티션(129)을 포함한다. 상기 횡 파티션(129)은 상기 제1 횡측벽(121) 및 상기 횡격벽(126)과 평행하며, 상기 제1 종측벽(123) 및 상기 제2 종측벽(124) 각각과 직각으로 만난다.
사용자는 상기 지우개(300)의 소거패드(320)를 상기 횡 파티션(129) 또는 상기 제1 횡측벽(121) 상단에 누르면서 상기 지우개(300)를 전후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횡 파티션(129) 또는 상기 제1 횡측벽(121)의 상단에 눌린 소거패드(32)로부터 물이 나오며, 이 물은 상기 물 낙하 공간(12, 14) 내로 떨어진다. 상기 횡 파티션(129)의 상단과 상기 제1 횡측벽(121)의 상단은 상기 제2 횡측벽(122), 상기 제1 종측벽(123) 및 상기 제2 종측벽(124)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한다. 이는 사용자가 소거패드(320)를 상기 제1 횡측벽(121)의 상단 또는 상기 횡 파티션(129)에 누르면서 물칠판 지우개(300)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격벽(127)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벽(125)과 접하도록 물 흐름 홀(1271)이 형성되며, 상기 종격벽(127)에 형성된 물 흐름 홀(1271)에 의해, 스폰지(7)가 삽입되어 있는 물 흡수 공간(22)과 지우개 받침 공간(24) 사이의 물 흐름이 허용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 흡수 공간(22) 내에 배치된 스폰지(7) 상에 물칠판 지우개(300)의 소거패드(32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거패드(320)에 흡수되어 있던 물은 상기 스폰지(7)로 스며들 수 있다. 상기 스폰지(7)에서 나온 물은 상기 물 흡수 공간(22)에서 상기 물 흐름 홀(1271)을 통해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24) 내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벽(125)과 접하도록 물 흐름 홀(1281)이 형성되며,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에 형성된 물 흐름 홀(1281)에 의해,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에 구획된 두 공간 사이에 물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격벽(126)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벽(125)과 접하도록 물 흐름 홀들(1261a, 1261b, 1261c; 통칭하여 1261)가 형성되며, 상기 횡격벽(126)에 형성된 물 흐름 홀들(1261a, 1261b, 1261c)들에 의해, 제1 공간(1)과 제2 공간(2) 사이의 물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 파티션(129)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벽(125)과 접하도록 물 흐 홀(1291)이 형성되며, 상기 횡 파티션(129)에 형성된 물 흐름 홀(1291)에 의해 낙하 공간들(22, 24) 사이의 물 흐름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벽(125)의 일 영역에는 박스 공간 내로 들어온 물이 모일 수 있는 골(12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1251)과 외부를 연결하는 드레인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드레인 구멍에는 패킹(8)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인 구멍이 바닥벽(125)에 형성되지만, 외부와 접해 있는 제1 횡측벽, 제2 횡측벽, 제1 종측벽, 제2 종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상기 종격벽(127)에 형성된 통풍 구멍(1272)와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에 형성된 통풍 구멍(1282)을 포함한다. 상기 통풍 구멍(1272, 1282)은 지우개 받침 박스(120) 내 공간, 즉 박스 공간을 순환시켜 상기 공간 내 습도를 낮추며, 이는 물칠판 지우개(300)의 소거패드(320)가 세균 등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억제 또는 줄여주는데 크게 기여를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횡격벽(126)과 상기 횡 파티션(129)에도 통풍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우개 받침 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사용자는 지우개(300)를 제2 횡측벽(122), 횡격벽(126)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128)에 받쳐지도록 지우개 받침 박스(1200)의 상단에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는 물칠판 지우개(300)는 외부의 오염 환경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물칠판 지우개(300)는 물분필이나 물칠판으로부터도 상당 거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선생님 등 물칠판 사용자가 물칠판 지우개(300)를 쉽고 간편하게 들어 올려 사용할 수 있다.
소거패드(320)에 물기가 많은 경우, 사용자는 물칠판 지우개(300)를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흡수 공간 내 스폰지(7)에 눌러 소거패드(320)의 물기 상당량을 짜낼 수 있다. 짜내진 물은 스폰지(7)에 스며든다.
다음,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칠판 지우개(300)의 소거패드(320)를 제1 횡측벽(121)의 상단 또는 횡 파티션(129)의 상단에 누른 상태로 상기 물칠판 지우개(300)를 움직임으로써, 소거패드(320)의 물기를 더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소거패드(320)에서 나온 물은 물 낙하 공간 내로 떨어진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우개 받침장치는 두 개 이상의 물칠판 지우개(300)를 상단에 올려 보관할 수 있는 지우개 받침 박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120)는 횡격벽(126; 도 1 내지 도 8 참조)의 상단과 제2 횡측벽(122; 도 1 내지 도 8 참조)의 상단에 얹혀져 있는 2개의 물칠판 지우개(300)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24)에 복수개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들(128, 128, 128)들을 포함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침판 지우개 받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물 흡수 공간(22)에 형성된 분리벽(w)에 의해 물 흡수 공간(22)이 제1 물 흡수 공간(22a)과 제2 물 흡수 공간(22b)으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제1 스폰지와 제2 스폰지가 수용된다. 그리고, 드레인 구멍과 패킹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한, 각 공간을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도 아펀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110: 고정부재 112: 상판부
114: 하판부 121: 제1 횡측벽
120: 지우개 받침 박스 122: 제2 횡측벽
123: 제1 횡측벽 124: 제2 종측벽
125: 바닥벽 126: 횡격벽
127: 종격벽 128: 지우개 받침 파티션

Claims (5)

  1.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이격된 하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판부 상에 안착되며,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 및 제2 횡측벽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 및 제2 종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상기 제2 종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박스 공간이 형성된 지우개 받침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제2 횡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횡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을 스폰지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과 지우개 받침 공간으로 구획하는 종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의 상단에 얹혀진 지우개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 사이에 상기 제1 공간을 복수개의 물 낙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의 소거패드가 상기 횡 파티션 또는 상기 제1 횡측벽의 상단에 눌리면서 상기 소거패드에서 나온 물은 상기 물 낙하 공간으로 떨어지며, 상기 횡 파티션과 상기 제1 횡측벽의 상단은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및 상기 제2 종측벽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2. 삭제
  3.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이격된 하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판부 상에 안착되며,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 및 제2 횡측벽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 및 제2 종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상기 제2 종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박스 공간이 형성된 지우개 받침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제2 횡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횡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을 스폰지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과 지우개 받침 공간으로 구획하는 종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의 상단에 얹혀진 지우개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종격벽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에는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4.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이격된 하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판부 상에 안착되며,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 및 제2 횡측벽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 및 제2 종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상기 제2 종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박스 공간이 형성된 지우개 받침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제2 횡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횡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을 스폰지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과 지우개 받침 공간으로 구획하는 종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의 상단에 얹혀진 지우개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종격벽 및 상기 지우개 받침 파티션에는 상기 바닥벽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물 흐름을 허용하는 물 흐름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5. 물칠판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이격된 하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판부 상에 안착되며, 서로 평행한 제1 횡측벽 및 제2 횡측벽과, 서로 평행한 제1 종측벽 및 제2 종측벽과,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측벽,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상기 제2 종측벽 및 상기 바닥벽에 의해 박스 공간이 형성된 지우개 받침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제2 횡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 횡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횡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을 스폰지가 삽입되는 물 흡수 공간과 지우개 받침 공간으로 구획하는 종격벽과,
    상기 제2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의 상단에 얹혀진 지우개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우개 받침 공간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우개 받침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 받침 박스는 상기 제1 횡측벽과 상기 횡격벽 사이에 상기 제1 공간을 복수개의 물 낙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지우개의 소거패드가 상기 횡 파티션 또는 상기 제1 횡측벽의 상단에 눌리면서 상기 소거패드에서 나온 물은 상기 물 낙하 공간으로 떨어지며, 상기 횡 파티션과 상기 제1 횡측벽의 상단은 상기 제2 횡측벽, 상기 제1 종측벽 및 상기 제2 종측벽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종격벽, 상기 받침 파티션, 횡격벽 및 횡 파티션 각각에는 상기 바닥벽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물 흐름을 허용하는 물 흐름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벽에는 물이 모이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골에 형성된 드레인 구멍에는 패킹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칠판 지우개 받침 장치.
KR1020190131291A 2019-10-22 2019-10-22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KR10204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91A KR102048182B1 (ko) 2019-10-22 2019-10-22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91A KR102048182B1 (ko) 2019-10-22 2019-10-22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182B1 true KR102048182B1 (ko) 2019-11-22

Family

ID=6873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91A KR102048182B1 (ko) 2019-10-22 2019-10-22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58A (ko) * 2008-01-10 2009-07-15 박창식 칠판용 물 지우개 세척기
KR101006707B1 (ko) 2010-03-09 2011-01-10 주식회사 머리디언 칠판용 지우개 세척기
KR101973912B1 (ko) 2018-11-26 2019-04-29 이성연 물칠판용 분필함 및 물칠판용 분필함에 일체화된 물칠판지우개 수납함을 포함하는 물칠판용 수납 장치
KR102014034B1 (ko) 2018-11-26 2019-08-23 이성연 물분필 지우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58A (ko) * 2008-01-10 2009-07-15 박창식 칠판용 물 지우개 세척기
KR101006707B1 (ko) 2010-03-09 2011-01-10 주식회사 머리디언 칠판용 지우개 세척기
KR101973912B1 (ko) 2018-11-26 2019-04-29 이성연 물칠판용 분필함 및 물칠판용 분필함에 일체화된 물칠판지우개 수납함을 포함하는 물칠판용 수납 장치
KR102014034B1 (ko) 2018-11-26 2019-08-23 이성연 물분필 지우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56561U (zh) 一种基于大学英语教学用擦写一体式黑板
KR102048182B1 (ko) 물칠판 지우개 받침장치
CN205033813U (zh) 新型多功能黑板擦除尘盒
KR100945367B1 (ko) 워터초크용 지우개의 세척기
KR102059780B1 (ko) Tv를 포함하는 물칠판
KR100873793B1 (ko) 워트보드용 쵸크펜(수중분필) 지우개 세척기
US3986224A (en) Eraser with dust-collecting means
CN203766348U (zh) 一种黑板擦
CN211237214U (zh) 一种新型英语教学用板
CN116278467A (zh) 一种用于旅游英语的新型教学教具
JP2014043005A (ja) ボード用イレーサ
CN204635360U (zh) 一种多功能粉笔盒
KR100582844B1 (ko) 유지보수구조를 갖는 전자칠판장치
KR102414229B1 (ko) 스프레이 지우개 홀더
CN211041604U (zh) 一种适用于玻璃板和载玻片的通用型晾干装置
KR20140120554A (ko) 연속식 오수 배출 가능한 칠판용 습식 지우게 세정장치
KR101973912B1 (ko) 물칠판용 분필함 및 물칠판용 분필함에 일체화된 물칠판지우개 수납함을 포함하는 물칠판용 수납 장치
CN208480718U (zh) 一种教学用具集中放置盒
CN214803293U (zh) 一种改良型教育演示设备
CN219629106U (zh) 一种教学材料收纳装置
CN207182169U (zh) 一种多功能交互式白板一体机
CN207236418U (zh) 一种教育管理教学使用的组合讲桌
KR20160099219A (ko) 스탠드타입 고정식 다면칠판
CN220180442U (zh) 一种书写板教具
CN220903296U (zh) 压力机的工件收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