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809B1 -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809B1
KR102047809B1 KR1020190078626A KR20190078626A KR102047809B1 KR 102047809 B1 KR102047809 B1 KR 102047809B1 KR 1020190078626 A KR1020190078626 A KR 1020190078626A KR 20190078626 A KR20190078626 A KR 20190078626A KR 102047809 B1 KR102047809 B1 KR 102047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wire
adhesive liquid
jumper
hole
ove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암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암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암전기
Priority to KR102019007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철(130)과, 지지기구(140)와, 휴대용전등(150)과, 애자(10)와, 점퍼선연결케이스(20)와,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30)와, 연결바(40)와, 인장스프링(50)과, 제1자석(60)과, 가이드표식기구(70)와, 제1걸림기구(80)와, 제2자석(90)과, 접착액이동판(100)과, 접착액수용기구(110) 및, 제2걸림기구(120)를 포함한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활선 상태에서 안전하게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할 수 있고, 어두운 환경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가공배전선(AL)에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가공배전선(AL)의 처짐에 따른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의 이동을 가시적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의 위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Supporting Equipment Of Over-hea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각 수용가로 전송된다.
이때, 가공배전선로는 전주를 매개로 가설되는데, 가공배전선과 가공배전선은 점퍼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로(가공배전선 또는 점퍼선)에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수리할 시, 가공배전선 또는 점퍼선을 활선 상태에서 수리하는 경우가 있는 데, 종래에는 수리중 활선 상태의 점퍼선이 바람 등에 의해 움직일 수 있어, 작업자가 활선 상태에서 수리 작업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가공배전선에 처짐이 발생하면, 가공배전선과 연결된 점퍼선 또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가공배전선의 처짐을 완화하면서 가공배전선의 처짐이 기준 이상 발생하였을 경우 점퍼선이 가공배전선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었으며, 가공배전선 처짐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01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가공배전선의 처짐에 따라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이 이동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며,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의 이동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철(130)과:
완철(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대(141)와; 지지대(14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이동대(142)와; 상방으로 개구된 전선배치홈(143a)을 구비하여 이동대(14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선배치대(143) 및; 전선배치대(143)를 착탈가능하게 관통하여 전선배치대(143)의 전선배치홈(143a)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바(144)를 갖춘 절연 재질의 지지기구(140)와:
지지기구(140)의 전선배치대(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용전등(150)과:
완철(130)에 설치되는 애자(10)와: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점퍼선인입홀(21a)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바통과홀(21b)을 구비한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와;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상측을 개폐하는 점퍼선연결케이스커버(22)를 갖추고서, 애자(10)에 설치되는 점퍼선연결케이스(20)와:
일측에 가공배전선인입홀(31)이 형성되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30)와:
연결바(4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공배전선(AL)이 연결되는 가공배전선연결고리(41)와, 연결바(40)의 타측에 형성되며 점퍼선(JL)이 통과하여 연결되는 제1,2점퍼선고정홀(42,43)을 구비하여,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연결바통과홀(2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배전선(AL)과 점퍼선(J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바(40)와:
일단이 연결바(40)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50)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자석(60)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 형상의 가이드표식기구(70)과:
상하로 형성되며 점퍼선(JL)이 삽입부착고정되는 점퍼선연결홀(81)과, 측방으로 형성되어 점퍼선연결홀(81)과 연통되는 접착액통과홀(82)과, 상측이 접착제통과홀(82)의 일측과 연통되는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과,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의 하측과 연통되는 걸림홈(84)과, 가이드표식기구(70)가 통과하는 가이드홀(85) 및,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의 상측에 구비되는 첨단돌기(86)을 갖춘 제1걸림기구(80)와:
제1자석(60)에 착탈가능하게 제1걸림기구(8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자석(90)과: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착액이동판(100)과:
접착액이동판(100)의 상측에 배치되게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수용되는 접착액수용기구(110)와:
상하로 형성되어 점퍼선(JL)이 삽입부착고정되는 점퍼선연결홀(121a)을 구비하고 제1걸림기구(80)의 걸림홈(84)에 삽입되어 걸리는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삽입되는 가압부(122)를 갖추고서, 제1걸림기구(80)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걸림기구(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안전하게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할 수 있고, 어두운 환경에서 가공배전선로 수리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가공배전선(AL)에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가공배전선(AL)의 처짐에 따른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의 이동을 가시적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의 위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는 완철(130)과, 지지기구(140)와, 휴대용전등(150)과, 애자(10)와, 점퍼선연결케이스(20)와,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30)와, 연결바(40)와, 인장스프링(50)과, 제1자석(60)과, 가이드표식기구(70)와, 제1걸림기구(80)와, 제2자석(90)과, 접착액이동판(100)과, 접착액수용기구(110) 및, 제2걸림기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구(14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41)와, 이동대(142)와, 전선배치대(143) 및, 이탈방지바(14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기구(140)를 이루는 구성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41)는 완철(130)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41)은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이동대(142)는 지지대(14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대(142)는 지지대(14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전선배치대(143)는 상방으로 개구된 전선배치홈(143a)을 구비하여 이동대(142)의 하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배치대(143)의 전선배치홈(143a)에 가공배전선(AL) 또는 점퍼선(JL)이 삽입가능하다.
상기 이탈방지바(144)는, 전선배치대(143)를 착탈가능하게 관통하여 전선배치대(143)의 전선배치홈(143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바(144)는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전선배치대(143)에 나사산 체결되어, 일단이 전선배치대(143)의 전선배치홈(143a)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휴대용전등(15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구(140)의 전선배치대(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전등(150)은 자체 배터리를 내장하여, 지지기구(140)의 전선배치대(143) 하측에 삽입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애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1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애자(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점퍼선연결케이스(20)는 도 1에 도시된 바오 같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와, 점퍼선연결케이스커버(22)를 갖추고서, 애자(10)에 설치된다.
상기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는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상하로 형성되는 점퍼선인입홀(21a)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일측에 측방으로 형성되는 연결바통과홀(21b)을 갖춘다. 본 실시에에서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는 사각 케이스 형태를 이루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점퍼선연결케이스커버(22)는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상측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상측에는 점퍼선연결케이스커버(22)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홀이 형성된다.
상기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가공배전선인입홀(31)이 형성되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30)는 사각 케이스 형태를 이루지만,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연결고리(41)와, 제1점퍼선고정홀(42,43)을 갖추고서,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연결바통과홀(2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바(40)는 가공배전선(AL)과 점퍼선(JL)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40)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배전선연결고리(41)는 연결바(4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공배전선(AL)이 연결된다.
상기 제1,2점퍼선고정홀(42,43)은, 연결바(40)의 타측에 형성되며, 점퍼선(JL)이 통과하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점퍼선고정홀(42,43)은 측방으로 이웃되게 구비된다.
상기 인장스프링(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연결바(40)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자석(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석(60)은 점퍼선인입홀(21a) 주변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표식기구(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을 이루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표식기구(70)는 제1자석(60)보다 내측방에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표식기구(70)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걸림기구(80)는 도 1,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연결홀(81)과, 접착액통과홀(82)과,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과, 걸림홈(84)과, 가이드홀(85) 및, 첨단돌기(86)을 갖춘다.
상기 점퍼선연결홀(81)은, 상하로 형성되며, 점퍼선(JL)이 삽입부착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JL)은 접착액이 도포되어 상기 점퍼선연결홀(81)에 고정된다.
상기 접착액통과홀(82)은 측방으로 형성되어 점퍼선연결홀(8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액통과홀(82)은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은 상측이 접착제통과홀(82)의 일측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은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걸림홈(84)은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의 하측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홈(84)은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이드홀(85)은 가이드표식기구(70)가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홀(85)은 제1걸림기구(80)의 외측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첨단돌기(86)는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자석(9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60)에 착탈가능하게 제1걸림기구(8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에에서는 제1자석(6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하측이 자성재질로 이루어져, 제2자석(90)이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하측에 자력으로 부착될수 있다.
상기 접착액이동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접착액수용기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액이동판(100)의 상측에 배치되게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액수용기구(110)는 튜브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접착액(예를 들어 강력 접착액 또는 실리콘)이 수용된다. 이때 접착액은 유동성을 가지면서 일정시간 경과 후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액수용기구(110) 내부에는 압축가스가 수용되어 접착액수용기구(110)가 터질 시 접착액의 확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걸림기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1)와, 가압부(122)를 갖추고서, 제1걸림기구(80)의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본체부(121)는 상하로 형성되어 점퍼선(JL)이 삽입부착고정되는 점퍼선연결홀(121a)을 구비하고, 제1걸림기구(80)의 걸림홈(84)에 삽입되어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JL)은 접착액이 도포되어 상기 점퍼선연결홀(81)에 고정된다.
상기 가압부(122)는 본체부(121)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122)는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삽입되면서 접착액이동판(1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되, 도 7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설치된다. 이때 제1걸림기구(80) 및 제2걸림기구(120)를 점퍼선(JL)에 고정할 시, 작업의 편리함을 위해 접착액을 사용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AL)에 처짐이 발생하면(또는 가공배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AL)이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바(40)가 측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결바(40)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위험 위치까지 이동하면, 연결바(40)와 연결된 점퍼선(JL)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걸림기구(80)가 가이드표식기구(70)에 삽입된다.
그러면, 관리자는 상기 제1걸림기구(80)의 위치변화 및 가이드표식기구(70)의 노출 변화를 확인하여, 가공배전선(AL)의 처짐이 1차 위험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공배전선(AL)에 지속적인 처짐이 발생하면, 연결바(40)가 측방으로 계속 이동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JL)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걸림기구(80)는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하측에 걸리면서 점퍼선(JL)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러면 연결바(40)가 더이상 이동하지 않으면서 인장스프링(50)이 늘어나지 않고, 이로 인해 인장스프링(50)의 손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제1걸림기구(80)가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하측에 위치하면 제1걸림기구(80)의 하방으로 가이드표식기구(70)가 돌출되고, 관리자는 제1걸림기구(80)와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접촉과, 가이드표식기구(70)의 돌출을 통해 2차 위험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가 상기 1,2차 위험 단계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시간이 흐르면 점퍼선(JL)에 가해지는 당김력에 의해 점퍼선(JL)과 제1걸림기구(80)의 점퍼선연결홀(81)간의 접촉력이 약해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화살표 방향 참조) 점퍼선(JL)이 제1걸림기구(8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기구(120)는 점퍼선(JL)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걸림기구(80)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걸림기구(80)는 점퍼선(JL)의 접착력이 소멸돼 하방으로 이동하려하지만, 제1자석(60)과 제2자석(90)의 부착력에 의해 일시고정된다.
한편, 도 10와 같이 제2걸림기구(120)가 제1걸림기구(80)에 삽입되면, 제2걸림기구(120)의 가압부(122)는 접착액이동판(1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접착액이동판(100)은 상방으로 접착액수용기구(110)를 이동시키고, 접착액수용기구(110)는 제1걸림기구(80)의 첨단돌기(86)에 접촉하면서 접착액이동판(100)의 가압력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진다. 이때 접착액이동판(100)은 접착액을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통과홀(82)로 유도하여, 접착액이 점퍼선(JL)과, 제1걸림기구(80)의 점퍼선연결홀(81) 사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착액이 점퍼선(JL)과, 제1걸림기구(80)의 점퍼선연결홀(81) 사이로 유입되어 일정시간 후 경화되면, 점퍼선(JL)과 제1걸림기구(80) 간의 결속력이 다시 강화되어, 다시 제1걸림기구(80)에 1차로 걸림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2차로 제2걸림기구(120)에 걸림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어, 관리자가 가공배전선로의 이상을 발견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접착액이 제1걸림기구(80)의 점퍼선연결홀(81), 접착액통과홀(82),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서 경화되면서 경화체가 하나의 연결체를 이루어, 제1걸림기구(80)와 점퍼선(JL)의 결속력을 더우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점퍼선(JL) 및 가공배전선(AL)을 연결 및 해제하거나, 점퍼선(JL) 및 가공배전선(AL)의 활선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교체(또는 수리)할 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JL)을 지지기구(140)의 전선배치대(143)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점퍼선(JL)을 전선지지대(143)의 전선배치홈(143a)에 배치한 후 이탈방지바(144)를 전선배치대(143)에 삽입하여 점퍼선(JL)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퍼선(JL)의 흔들림이 제한되면, 작업자가 점퍼선(JL) 및 가공배전선(AL)의 활선 상태에서 점퍼선(JL)과 가공배전선(AL)을 연결 및 해제하거나, 본 발명의 구성을 교체할 시, 보다 안전하게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기구(140)의 이동대(142)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자의 작업 상태에 따라 전선배치대(143)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점퍼선(JL)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활선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시, 주변이 어두우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전등(150)을 지지기구(140)에서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바(40)를 매개로 가공배전선(AL)과 점퍼선(JL)을 연결할 시, 연결바(40)에 인장스프링(50)을 설치하여,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에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AL)에 처짐이 발생할 시, 인장스프링(50)이 가공배전선(AL)을 지지하면서 늘어나는 데, 이때 제1걸림기구(8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표식기구(70)에 삽입되어, 제1걸림기구(80)의 이동 및 가이드표식기구(70)를 통해 가공배전선(AL)의 1차 위험 상태(처짐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1차 위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AL)이 계속 처지면, 제1걸림기구(80)가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하측에 걸려,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관리자는 제1걸림기구(80)의 이동을 통해 2차 위험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걸림기구(80)에 의해 점퍼선(JL)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지 못하면, 가공배전선(AL)의 처짐력에 의해 제1걸림기구(80)와 점퍼선(JL)의 결속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제1걸림기구(80)가 걸리더라도 점퍼선(JL)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점퍼선(JL)이 상방으로 이동할 시, 제2걸림기구(12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걸림기구(80)에 삽입되고, 제2걸림기구(120)에 의해 접착액수용기구(110)가 터지면서 접착액이 제1걸림기구(80)와 점퍼선(JL) 사이로 유입되어, 점퍼선(JL)이 제1걸림기구(80)에 다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은 제1걸림기구(80)를 통해 1차의 걸림력을 다시 제공할 수 있고, 제2걸림기구(120)를 통해 2차의 걸림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제2걸림기구(80)의 이동을 통해 가공배전선(AL)의 처짐이 매우 위험한 상태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자석(60,90)을 구비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퍼선(JL)이 제1걸림기구(80)에서 분리될 시, 제1걸림기구(8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걸림기구(80)가 점퍼선연결케이스(20)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접착액에 의해 점퍼선(JL)에 다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걸림기구(8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걸림기구(80)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관리자에게 가공배전선(AL)의 위험 상태를 잘못 알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걸림기구(80)를 점퍼선(JL)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표식기구(70)을 통해 가공배전선(AL)의 처짐에 따른 위험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1차 위험 상태에서 제1걸림기구(8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관리자가 제1걸림기구(80)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함으로써, 1차 위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연결케이스(20)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연결바(40)가 점퍼선연결케이스(20)에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연결바(40)를 매개로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AL) 및 점퍼선(JL)의 연결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 시 점퍼선(JL)을 임시로 위치 지지할 수 있어, 활선 작업 중 점퍼선(JL)의 흔들림으로 인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 시 주변이 어두워지면 휴대용전등(150)을 활용하여, 활선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로는 가공배전선(AL)과 점퍼선(JL)으로 이루어진 선로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선 상태의 점퍼선(JL)을 지지하는 절연 재질의 구성(지지기구)에, 점퍼선(JL) 및 가공배전선(AL)을 지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로 정의한다.
10; 애자 20; 점퍼선연결케이스
30;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 40; 연결바
50; 인장스프링 60; 제1자석
70; 가이드표식기구 80; 제1걸림기구
90; 제2자석 100; 접착액이동판
110; 접착액수용기구 120; 제2걸림기구
130; 완철 140; 지지기구
141; 지지대 142; 이동대
143; 전선배치대 144; 이탈방지바
150; 휴대용전등

Claims (1)

  1. 완철(130)과:
    완철(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대(141)와; 지지대(14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이동대(142)와; 상방으로 개구된 전선배치홈(143a)을 구비하여 이동대(14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선배치대(143) 및; 전선배치대(143)를 착탈가능하게 관통하여 전선배치대(143)의 전선배치홈(143a)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바(144)를 갖춘 절연 재질의 지지기구(140)와:
    지지기구(140)의 전선배치대(14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용전등(150)과:
    완철(130)에 설치되는 애자(10)와: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점퍼선인입홀(21a)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바통과홀(21b)을 구비한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와;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상측을 개폐하는 점퍼선연결케이스커버(22)를 갖추고서, 애자(10)에 설치되는 점퍼선연결케이스(20)와:
    일측에 가공배전선인입홀(31)이 형성되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공배전선연결케이스(30)와:
    연결바(4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공배전선(AL)이 연결되는 가공배전선연결고리(41)와, 연결바(40)의 타측에 형성되며 점퍼선(JL)이 통과하여 연결되는 제1,2점퍼선고정홀(42,43)을 구비하여,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연결바통과홀(2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배전선(AL)과 점퍼선(J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바(40)와:
    일단이 연결바(40)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50)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자석(60)과:
    점퍼선연결케이스본체(21)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 형상의 가이드표식기구(70)과:
    상하로 형성되며 점퍼선(JL)이 삽입부착고정되는 점퍼선연결홀(81)과, 측방으로 형성되어 점퍼선연결홀(81)과 연통되는 접착액통과홀(82)과, 상측이 접착제통과홀(82)의 일측과 연통되는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과,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의 하측과 연통되는 걸림홈(84)과, 가이드표식기구(70)가 통과하는 가이드홀(85) 및,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의 상측에 구비되는 첨단돌기(86)을 갖춘 제1걸림기구(80)와:
    제1자석(60)에 착탈가능하게 제1걸림기구(8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자석(90)과: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착액이동판(100)과:
    접착액이동판(100)의 상측에 배치되게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수용되는 접착액수용기구(110)와:
    상하로 형성되어 점퍼선(JL)이 삽입부착고정되는 점퍼선연결홀(121a)을 구비하고 제1걸림기구(80)의 걸림홈(84)에 삽입되어 걸리는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걸림기구(80)의 접착액수용기구수용홈(83)에 삽입되는 가압부(122)를 갖추고서, 제1걸림기구(80)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걸림기구(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KR1020190078626A 2019-07-01 2019-07-01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KR102047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26A KR102047809B1 (ko) 2019-07-01 2019-07-01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26A KR102047809B1 (ko) 2019-07-01 2019-07-01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809B1 true KR102047809B1 (ko) 2019-11-22

Family

ID=6873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26A KR102047809B1 (ko) 2019-07-01 2019-07-01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8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2437A (ja) * 1997-09-05 1999-03-26 Pop Rivet Fastener Kk 接着ファスナー
KR20080003670U (ko) * 2007-02-28 2008-09-02 진 수 김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
KR101006469B1 (ko) * 2010-09-09 2011-01-06 윤은수 특고압전기의 감전사고 배전선로의 지지완철
KR101829671B1 (ko) * 2017-09-07 2018-02-19 성다교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101920195B1 (ko) 2018-07-31 2018-11-20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점퍼선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1924986B1 (ko) * 2018-04-05 2018-12-04 대한기술단(주)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2437A (ja) * 1997-09-05 1999-03-26 Pop Rivet Fastener Kk 接着ファスナー
KR20080003670U (ko) * 2007-02-28 2008-09-02 진 수 김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
KR101006469B1 (ko) * 2010-09-09 2011-01-06 윤은수 특고압전기의 감전사고 배전선로의 지지완철
KR101829671B1 (ko) * 2017-09-07 2018-02-19 성다교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101924986B1 (ko) * 2018-04-05 2018-12-04 대한기술단(주)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KR101920195B1 (ko) 2018-07-31 2018-11-20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점퍼선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359B1 (ko) 피뢰기능이 향상된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047807B1 (ko) 가공배전용 점퍼선 지지장치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09727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KR100877123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2086653B1 (ko)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CN104112994A (zh) 变电站继电保护及自动装置屏柜的检修防误装置
KR10204780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절연형 지지장치
KR102047360B1 (ko) 전주에 안정적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CN105356368A (zh) 绝缘护罩安装工具
CN203205749U (zh) 一种变电站继电保护及自动装置屏柜的检修防误装置
KR101846216B1 (ko) 광심선 접속단자함
KR20180016135A (ko) 변류기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20200059335A (ko) 절연커버
WO2016088618A1 (ja) スプライス部の絶縁構造、ハーネス配置プレートおよび配線ユニット
KR10175315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2548499B1 (ko) 낙뢰 회피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JP7185599B2 (ja) 円筒形高圧カットアウトの誤挿入防止カバーおよび高圧配電線路用接地装置
US2015112A (en) Apparatus for multiple meter installation
JP5856449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190043353A (ko) 계량용 변류기 쉴딩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20136497A (ko) 차량용 정션박스의 터미널 이탈 방지 장치
KR102045755B1 (ko) 가공배전라인 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KR102088039B1 (ko) 자기유도 방식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