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50B1 -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50B1
KR101753150B1 KR1020160013065A KR20160013065A KR101753150B1 KR 101753150 B1 KR101753150 B1 KR 101753150B1 KR 1020160013065 A KR1020160013065 A KR 1020160013065A KR 20160013065 A KR20160013065 A KR 20160013065A KR 101753150 B1 KR101753150 B1 KR 10175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stribution
fixed
holder
distribution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상단에 고정되는 특고압배전용 완철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과, 특고압배전선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용전압배전용 완철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과 함께 상용전압배전선의 하부에 가설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가설할 수 있으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분리하여 간단하고 안전성 있게 가설할 수 있고,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을 전주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가설할 수 있게 되며, 추후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추가 가설할 경우에도 그 작업은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수행할 수 있어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Power distribution line improved stability of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주의 상단에 고정되는 특고압배전용 완철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과, 특고압배전선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용전압배전용 완철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과 함께 상용전압배전선의 하부에 가설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가설할 수 있으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분리하여 간단하고 안전성 있게 가설할 수 있고,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을 전주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가설할 수 있게 되며, 추후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추가 가설할 경우에도 그 작업은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수행할 수 있어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전력은 발전소에 인접 설치된 변전소에서 승압(345kV 이상급 초고압 또는 765kV 이상급 극초고압 등)하여 송전철탑에 절연지지된 가공송전선로를 통해 대단위 수용가 밀집지역 부근까지 송전하는 송전과정과, 최종 변전소에서 강압(22.9kV급 특고압)하여 전신주에 절연지지된 가공송전선로를 통해 대단위 수용가 밀집지역으로 송전하고, 최종적으로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압(230V, 380V)으로 강압하여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수용가에 배전하게 된다.
종래의 배전선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EP)의 상단부에 특고압 전류를 배전하는 특고압배전선로(10)가 가설되고,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의 하부에 상용전압배전선로(20)가 가설되며,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와 상용전압배전선로(20) 사이에는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는 주상변압기(30)가 설치된다.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는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특고압배전용 완철(11)과,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에 애자(12)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특고압배전선(13)과, 양측 특고압배전선(13)을 연결하는 특고압배전용 점프선(14)을 포함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은 완철고정구(40)에 의하여 상기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완철고정구(40)는 상기 전주(EP)의 외주면에 조여져서 고정되는 완철밴드(41)와, 상기 완철밴드(41)에 결합되어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양측에 접하는 어댑퍼판(42)과,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과 상기 어댑터판(4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3) 및, 상기 고정볼트(43)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4)로 구성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는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과,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21)에 애자(22)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상용전압배전용 배전선(23)과, 양측 상용전압배전용 배전선(23)을 연결하는 상용전압배전용 점프선(24)을 포함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은 완철고정구(50)에 의하여 상기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완철고정구(50)는 상기 전주(EP)의 외주면에 조여져서 고정되는 완철밴드(51)와, 상기 완철밴드(51)에 결합되어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양측에 접하는 어댑터판(52)과,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과 상기 어댑터판(5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53) 및, 상기 고정볼트(53)에 체결되는 고정너트(54)로 구성된다.
상기 주상변압기(30)는 입력단이 제1 인하선(31)을 통해 특고압배전용 배전선(13)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2 인하선(32)을 통해 상용전압배전용 배전선(23)에 연결된다.
상기 주상변압기(30)는 변압기고정구(60)에 의하여 상기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변압기고정구(60)는 상기 주상변압기(3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어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61a)가 구비되는 결합편(61)과, 상기 전주(EP)의 외주면을 감싸는 변압기밴드(62)와, 상기 결합편(61)과 변압기밴드(62)를 결합하는 결합볼트(63)와 결합너트(64)와, 상기 변압기밴드(62)를 상기 전주(EP)의 외주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65)와 고정너트(6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전선로에서는 통상적으로 특고압배전용 완철(11)에는 4선로의 특고압배전선(13)이 지지되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에는 4선로의 상용전압배전선(23)이 지지되는바, 수용가 밀집지역에서는 4선로의 상용전압배전선(23)만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의 하부에 여러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추가로 가설하고 있다.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추가 가설하기 위하여 별도의 완철과 애자를 사용하더라도 4선로 이상 설치할 수 없으므로 전주(EP)에 고리(80)를 고정하고, 이 고리(80)에 복수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지지하며, 복수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결속끈(90)로 결속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리(80)는 직선부(81)와 고리부(82)로 구성되며, 직선부(81)에 나사부(83)를 형성하여 직선부(81)를 전주(EP)에 천공된 고정공(84)에 관통시키고 전주(EP)의 양측에서 상기 나사부(83)에 한 쌍의 고정너트(8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EP)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전선로에서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이 단순히 고리(80)에 걸쳐진 상태에서 결속끈(90)으로 복수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일일이 결속끈(90)으로 결속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주(EP)에는 통신선로(LL)를 가설하게 되는데 이 통신선로(LL)를 전주(EP)에 가설함에 있어서도 상기 고리(80)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과 함께 지지하고 결속끈(90)으로 함께 결속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과 통신선로(LL)의 가설상태가 매우 복잡하게 되고, 전력선과 통신선이 함께 결속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주에 대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의 가설이 간편하며 안전성 있게 이루어지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분리하여 간단하며 안전성 있게 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843058호(2008.06.25. 등록)의 "전신주용 고압 전기송전케이블 지지장치"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680011호(2007.02.01. 등록)의 "전신주의 애자 지지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843058호(2008.06.25. 등록)의 "전신주용 고압 전기송전케이블 지지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680011호(2007.02.01. 등록)의 "전신주의 애자 지지대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의 상단에 고정되는 특고압배전용 완철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과, 특고압배전선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용전압배전용 완철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과 함께 상용전압배전선의 하부에 가설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가설할 수 있으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분리하여 간단하고 안전성 있게 가설할 수 있고,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을 전주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가설할 수 있게 되며, 차후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를 추가 가설할 경우에도 그 작업은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수행할 수 있어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주의 상단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로와, 상기 특고압배전선로의 하부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로와, 상기 특고압배전선로와 상용전압배전선로 사이에 설치되어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는 주상변압기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의 하부에 가설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 및, 통신선로를 포함하며, 상기 특고압배전선로는 완철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특고압배전용 완철과, 상기 좌우 한 쌍의 특고압배전용 완철에 각각 특고압배전용 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전주의 좌우 양측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과, 상기 양측 특고압배전선을 연결하는 특고압배전용 점프선을 포함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점프선은 접속구를 통해 상기 특고압배전선에 접속되고,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고정수단은 상기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접하며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와,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와, 상기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에 결합되며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에 접하는 어댑터판과,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과 상기 어댑터판을 관통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에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는 상용전압배전용 완철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용전압배전용 완철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용전압배전용 완철에 각각 상용전압배전용 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전주의 좌우 양측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과, 상기 양측 상용전압배전선을 연결하는 상용전압배전용 점프선을 포함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점프선은 접속구를 통해 상기 상용전압배전선에 접속되고,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고정수단은 상기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접하며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와,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와, 상기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에 결합되며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에 접하는 어댑터판과,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과 어댑터판을 관통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에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상변압기는 변압기고정수단에 의하여 전주에 고정되고, 입력단이 제1 인하선을 통해 특고압배전선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제2 인하선을 통해 상용전압배전선에 연결되고,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와,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현수되는 현수애자와, 상기 현수애자의 하단에 결합되는 현수완철과, 상기 현수완철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와 가동홀더 사이에 지지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 및 상기 가동홀더가 고정홀더로부터 완전히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락방지수단은 상기 가동홀더의 하판부와 고정홀더의 상판부를 관통하며 하단에 상기 가동홀더의 하판부의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를 가지는 탈락방지볼트와, 상기 탈락방지볼트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홀더의 상판부의 상면에 걸리는 탈락방지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선로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통신선로용 지지대와,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현수되는 현수애자와, 상기 현수애자의 하단에 결합되는 현수완철과, 상기 현수완철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와 가동홀더 사이에 지지되는 통신선, 및 상기 가동홀더가 고정홀더로부터 완전히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락방지수단은 상기 가동홀더의 하판부와 고정홀더의 상판부를 관통하며 머리부가 상기 가동홀더의 하판부의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를 가지는 탈락방지볼트와, 상기 탈락방지볼트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홀더의 상판부의 상면에 걸리는 탈락방지너트로 구성되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의하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로의 통신선이 가설된 상태에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은 각각 고정홀더와 고정홀더 및 고정홀더와 가동홀더에 의하여 분리되어 지지된 상태로 가설되므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이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어 보다 안전성 있는 배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의하면, 고정홀더와 가동홀더에 의하여 여러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을 지지한 상태로 가설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결속끈을 이용한 결속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의 가설이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배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에 의하면,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고정홀더가 지지되는 현수완철이 현수애자를 통하여 결합되므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과 통신선이 전주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가설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특고압배전선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용전압배전선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주상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용전압추가배전선로와 통신선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용전압추가배전선로에 상용전압추가배전선을 추가하는 과정과 통신케이블선로에 통신케이블을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종래 배전선로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배전선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EP)의 상단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로(100)와,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0)의 하부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로(200)와,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0)와 상용전압배전선로(200) 사이에 설치되어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는 주상변압기(300)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의 하부에 가설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 및, 통신선로(500)를 포함한다.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특고압배전용 완철(110)과, 상기 좌우 한 쌍의 특고압배전용 완철(110)에 각각 특고압배전용 애자(120)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전주(EP)의 좌우 양측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130)과, 상기 양측 특고압배전선(130)을 연결하는 특고압배전용 점프선(140)을 포함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점프선(140)은 접속구(141)를 통해 상기 특고압배전선(130)에 접속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0)은 완철고정수단(150)에 의하여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고정수단(150)은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접하며 양단에 절곡부(152)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151)와, 상기 절곡부(152)를 관통하는 조임볼트(153)와, 상기 조임볼트(153)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54)와, 상기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151)에 결합되며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0)에 접하는 어댑터판(155)과,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0)과 상기 어댑터판(155)을 관통하는 결합볼트(156)와, 상기 결합볼트(156)에 체결되는 결합너트(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특고압배전용 애자(120)는 특고압배전용 애자지지수단(160)에 의하여 특고압배전용 완철(110)에 지지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애지지지수단(160)은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0)에 관통되는 나사봉(162)과 한 쌍의 연결편(163)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161)와, 상기 지지구(161)의 나사봉(16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64)와, 상기 특고압배전용 애자(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편(163)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고리(165)와, 상기 한 쌍의 연결편(163)과 연결고리(165)를 관통하는 연결볼트(166)와, 상기 연결볼트(166)에 체결되는 연결너트(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에 각각 상용전압배전용 애자(220)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전주(EP)의 좌우 양측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230)과, 상기 양측 상용전압배전선(230)을 연결하는 상용전압배전용 점프선(240)을 포함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점프선(240)은 접속구(241)를 통해 상기 상용전압배전선(230)에 접속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은 상용전압배전용 완철고정수단(250)에 의하여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고정수단(250)은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접하며 양단에 절곡부(252)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251)와, 상기 절곡부(252)를 관통하는 조임볼트(253)와, 상기 조임볼트(253)에 체결되는 조임너트(254)와, 상기 한 쌍의 반원호형 완철밴드(251)에 결합되며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에 접하는 어댑터판(255)과,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과 어댑터판(255)을 관통하는 결합볼트(256)와, 상기 결합볼트(256)에 체결되는 결합너트(2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애자(220)는 상용전압배전용 애자지지수단(260)에 의하여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에 지지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애자지지수단(260)은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에 관통되는 나사봉(262)과 한 쌍의 연결편(263)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261)와, 상기 지지구(261)의 나사봉(26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64)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애자(2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편(263)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고리(265)와, 상기 한 쌍의 연결편(263)과 연결고리(265)를 관통하는 연결볼트(266)와, 상기 연결볼트(266)에 체결되는 연결너트(2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제 3 참조).
상기 주상변압기(300)는 입력단이 제1 인하선(310)을 통해 특고압배전선(130)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2 인하선(320)을 통해 상용전압배전선(230)에 연결된다.
상기 주상변압기(300)는 변압기고정수단(330)에 의하여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변압기고정수단(330)은 상기 주상변압기(30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고정부(312)의 중간부에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313)가 구비되는 결합편(331)과,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좌반부를 감싸며 양단부에 절곡부(334a)가 형성되는 반원호형 밴드(334)와,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우반부를 감싸며 일단부에 상기 반원호형 밴드(334)의 절곡부(334a)에 접하는 절곡부(335a)와 서로 대향하며 그 사이에 상기 결합부(313)가 삽입되는 절곡부(335b)가 구비된 한 쌍의 1/4원호형 밴드(335)와, 상기 1/4원호형 밴드(335)의 절곡부(335b)와 결합편(331)의 결합부(313)에 관통되는 결합볼트(336)와, 상기 결합볼트(336)에 체결되는 결합너트(337)와, 상기 반원호형 밴드(334)의 절곡부(334a)와 1/4원호형 밴드(335)의 절곡부(335a)를 관통하는 조임볼트(338)와, 상기 조임볼트(338)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내지 도 4 참조).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와,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현수되는 현수애자(420)와, 상기 현수애자(4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현수완철(430)과, 상기 현수완철(43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홀더(440)와, 상기 고정홀더(44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홀더(450)와, 상기 고정홀더(440)와 가동홀더(450) 사이에 지지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 및 상기 가동홀더(450)가 고정홀더(440)로부터 완전히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수단(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5 참조).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는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고정부(411)와, 상기 고정부(411)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는 연장부(412)로 구성되며, 지지대 고정수단(413)에 의하여 전주(EP)에 고정된다.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를 구성하는 고정부(411)와 연장부(412) 및 현수완철(430)은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0)과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과 동일한 사각파이프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11)와 연장부(412)는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413)은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을 감싸며 양단에 절곡부(414a)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호형 밴드(414)와, 상기 절곡부(414a)를 관통하는 조임볼트(415)와, 상기 조임볼트(415)에 체결되는 조임너트(416)와, 상기 반원호형 밴드(414)에 결합되어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의 고정부(411)에 접하는 어댑터판(417)과, 상기 고정부(411)와 어댑퍼판(417)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18)와, 상기 결합볼트(418)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수애자(420)는 애자부(421)와, 상기 애자부(4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의 지지부(412)에 결합되는 애자상단나사봉(422)과, 상기 애자부(4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현수완철(430)이 결합되는 애자하단나사봉(4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애자상단나사봉(422)은 상기 지지부(412)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412)의 상, 하부에서 결합너트(422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41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애자하단나사봉(423)은 상기 현수완철(430)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에서 현수완철(430)의 상, 하부에서 결합너트(423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완철(43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440)는 상기 현수완철(4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판부(441)와, 상기 상판부(441)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442)와, 상기 측벽부(442)의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443)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홀더(450)는 하판부(451)와, 상기 하판부(45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452)와, 상기 측벽부(452)의 상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45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더(440)는 상판부(441)를 관통하는 고정볼트(444)를 상기 현수완철(430)의 하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완철(430)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수완철(430)의 하면에는 고정볼트(444)가 체결되는 나사공을 형성하거나 고정볼트(444)가 체결되는 너트를 용접해둘 수 있다.
상기 가동홀더(450)는 상기 결합편(443, 453)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54)와, 상기 결합볼트(454)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55)에 의하여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은 고정홀더(440)의 상판부(441)와 측벽부(442), 가동홀더(450)의 하판부(451)와 측벽부(45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탈락방지수단(470)은 상기 가동홀더(450)의 하판부(451)와 고정홀더(440)의 상판부(441)를 관통하며 하단에 상기 가동홀더(450)의 하판부(451)의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471a)를 가지는 탈락방지볼트(471)와, 상기 탈락방지볼트(471)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홀더(440)의 상판부(441)의 상면에 걸리는 탈락방지너트(472)로 구성된다.
상기 탈락방지너트(472)는 탈락방지볼트(471)로부터 임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선로(500)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통신선로용 지지대(510)와,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510)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현수되는 현수애자(520)와, 상기 현수애자(5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현수완철(530)과, 상기 현수완철(53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홀더(540)와, 상기 고정홀더(54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홀더(550)와, 상기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 사이에 지지되는 통신선(560), 및 상기 가동홀더(550)가 고정홀더(540)로부터 완전히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수단(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5 참조).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510)는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고정부(511)와, 상기 고정부(511)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는 연장부(512)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510)를 구성하는 고정부(511)와 연장부(512) 및 현수완철(530)은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10)과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0)과 동일한 사각파이프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1)와 연장부(512)는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510)는 별도의 지지대 고정수단에 의하여 전주(EP)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413)을 이용하여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와 함께 동시에 전주(EP)에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513)은 상기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을 감싸며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호형 밴드와,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볼트와, 상기 반원호형 밴드에 결합되어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의 고정부에 접하는 어댑터판과, 상기 고정부와 어댑퍼판을 관통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에 체결되는 결합너트를 별도로 구성하여 통신선로용 지지대(510)를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와 다른 위치에서 전주(EP)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반원호형 밴드(414), 조임볼트(415), 조임너트(416), 어댑터판(417), 결합볼트(418) 및 결합너트(419)로 이루어지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와 동시에 전주(EP)에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현수애자(520)는 애자부(521)와, 상기 애자부(5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510)의 지지부(512)에 결합되는 애자상단나사봉(522)과, 상기 애자부(5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현수완철(530)이 결합되는 애자하단나사봉(5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애자상단나사봉(522)은 상기 지지부(512)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512)의 상, 하부에서 결합너트(522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51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애자하단나사봉(523)은 상기 현수완철(530)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에서 현수완철(530)의 상, 하부에서 결합너트(523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완철(53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540)는 상기 현수완철(5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판부(541)와, 상기 상판부(541)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542)와, 상기 측벽부(542)의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543)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홀더(550)는 하판부(551)와, 상기 하판부(55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552)와, 상기 측벽부(552)의 상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55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더(540)는 상판부(541)를 관통하는 고정볼트(544)를 상기 현수완철(530)의 하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완철(530)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수완철(530)의 하면에는 고정볼트(544)가 체결되는 나사공을 형성하거나 고정볼트(544)가 체결되는 너트를 용접해둘 수 있다.
상기 가동홀더(550)는 상기 결합편(543, 553)을 관통하는 결합볼트(554)와, 상기 결합볼트(554)에 체결되는 결합너트(555)에 의하여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통신선(560)은 상기 고정홀더(540)의 상판부(541)와 측벽부(542), 가동홀더(550)의 하판부(551)와 측벽부(55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탈락방지수단(570)은 상기 가동홀더(550)의 하판부(551)와 고정홀더(540)의 상판부(541)를 관통하며 머리부가 상기 가동홀더(550)의 하판부(551)의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571a)를 가지는 탈락방지볼트(571)와, 상기 탈락방지볼트(571)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홀더(540)의 상판부(541)의 상면에 걸리는 탈락방지너트(572)로 구성된다.
상기 탈락방지너트(572)는 탈락방지볼트(571)로부터 임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홀더(440)와 가동홀더(450),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는 각각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와 통신선로용 지지대(510)에 하나씩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좌우 한 쌍씩의 고정홀더(440)와 가동홀더(450),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씩의 고정홀더(440)와 가동홀더(450) 중 일측에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을, 타측에는 통신선(570)을 지지하고, 한 쌍씩의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 중 일측에는 통신선(570)을, 타측에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70)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와 통신선로(500)를 가설하는 과정과 차후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70)을 추가 가설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의 (a)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을 가설 또는 추가 가설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6의 (b)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로(500)의 통신선(560)이 가설 또는 추가 가설 완료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최초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을 가설하는 경우에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의 고정홀더(440)와 가동홀더(450)를 결합하는 결합볼트(454)와 결합너트(455), 통신선로(500)의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를 결합하는 결합볼트(554)와 결합너트(555)를 해체한 하면, 가동홀더(450, 550)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되고,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 가동홀더(450, 550)와 고정홀더(440, 540)를 관통하는 탈락방지볼트(471, 571)의 하단의 머리부(471a, 571a)가 가동홀더(450, 550)의 하판부(451, 551)의 하면에 걸리고, 탈락방지볼트(471, 571)의 상단에 체결된 탈락방지너트(472, 572)가 고정홀더(440, 540)의 상판부(441, 541)의 상면에 걸리게 되므로 가동홀더(450, 550)가 고정홀더(440, 540)로부터 완전히 탈락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 사이의 벌어진 틈새를 통하여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을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 사이에 삽입한다.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가동홀더(450, 550)를 상승시키고,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의 결합편(443, 543), (453, 553)에 결합볼트(454, 554)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455, 555)를 체결하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 사이에 삽입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과정은 최초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로(500)의 통신선(560)을 가설하는 경우는 물론 최초 가설 후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을 추가 가설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와 같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로(500)의 통신선(560)이 가설된 상태에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은 각각 고정홀더(440)와 고정홀더(450) 및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에 의하여 분리되어 지지된 상태로 가설되므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이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어 보다 안전성 있는 배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정홀더(440, 540)와 가동홀더(450, 550)에 의하여 여러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을 지지한 상태로 가설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결속끈을 이용한 결속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의 가설이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배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주(EP)에 고정되는 고정대(410, 510)와 고정홀더(440, 540)가 지지되는 현수완철(430, 530)이 현수애자(420, 520)를 통하여 결합되므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과 통신선(560)이 전주(EP)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가설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특고압배전선로 110 : 특고압배전용 완철
120 : 특고압배전용 애자 130 : 특고압배전선
140 : 특고압배전용 점프선 150 : 완철고정수단
200 : 상용전압배전선로 210 : 상용전압배전용 완철
220 : 상용전압배전용 애자 230 : 상용전압배전선
240 : 상용전압배전용 점프선 250 : 완철고정수단
300 : 주상변압기 310 : 제1 인하선
320 : 제2 인하선 330 : 변압기고정수단
400 :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 410 :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
420 :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현수애자
430 : 현수완철 440 : 고정홀더
450 : 가동홀더 460 : 추가 상용전압배전선
470 : 탈락방지수단 500 : 통신선로
510 : 통신선로용 지지대 520 : 통신선로용 현수애자
530 : 현수완철 540 : 고정홀더
550 : 가동홀더 560 : 통신선
570 : 탈락방지수단

Claims (1)

  1. 전주(EP)의 상단에 가설되는 특고압배전선로(100)와,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0)의 하부에 가설되는 상용전압배전선로(200)와,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0)와 상용전압배전선로(200) 사이에 설치되어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는 주상변압기(300)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의 하부에 가설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 및, 통신선로(500)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로(400)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와,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용 지지대(410)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현수되는 현수애자(420)와, 상기 현수애자(4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현수완철(430)과, 상기 현수완철(4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판부(441)와 상기 상판부(441)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442)와 상기 측벽부(442)의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443)을 구비하는 고정홀더(440)와, 상기 고정홀더(44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판부(451)와 상기 하판부(45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452)와 상기 측벽부(452)의 상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453)을 구비하는 가동홀더(450)와, 상기 고정홀더(440)와 가동홀더(450) 사이에 지지되는 추가 상용전압배전선(460), 및 상기 가동홀더(450)가 고정홀더(440)로부터 완전히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수단(4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락방지수단(470)은 상기 가동홀더(450)의 하판부(451)와 고정홀더(440)의 상판부(441)를 관통하며 하단에 상기 가동홀더(450)의 하판부(451)의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471a)를 가지는 탈락방지볼트(471)와, 상기 탈락방지볼트(471)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홀더(440)의 상판부(441)의 상면에 걸리는 탈락방지너트(472)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선로(500)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EP)에 고정되는 통신선로용 지지대(510)와, 상기 통신선로용 지지대(510)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현수되는 현수애자(520)와, 상기 현수애자(5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현수완철(530)과, 상기 현수완철(5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판부(541)와 상기 상판부(541)의 좌우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542)와 상기 측벽부(542)의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543)을 구비하는 고정홀더(540)와, 상기 고정홀더(54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판부(551)와 상기 하판부(55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552)와 상기 측벽부(552)의 상단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 형성되는 결합편(553)을 구비하는 가동홀더(550)와, 상기 고정홀더(540)와 가동홀더(550) 사이에 지지되는 통신선(560), 및 상기 가동홀더(550)가 고정홀더(540)로부터 완전히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수단(5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락방지수단(570)은 상기 가동홀더(550)의 하판부(551)와 고정홀더(540)의 상판부(541)를 관통하며 머리부가 상기 가동홀더(550)의 하판부(551)의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571a)를 가지는 탈락방지볼트(571)와, 상기 탈락방지볼트(571)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홀더(540)의 상판부(541)의 상면에 걸리는 탈락방지너트(572)로 구성되는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20160013065A 2016-02-02 2016-02-02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75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65A KR101753150B1 (ko) 2016-02-02 2016-02-02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65A KR101753150B1 (ko) 2016-02-02 2016-02-02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50B1 true KR101753150B1 (ko) 2017-07-04

Family

ID=5935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065A KR101753150B1 (ko) 2016-02-02 2016-02-02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70B1 (ko) * 2021-02-18 2021-07-22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KR102490270B1 (ko) * 2021-12-20 2023-01-20 김호이앤씨(주)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고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87B1 (ko) * 2007-03-16 2008-04-08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배전주 공가케이블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3520B1 (ko) * 2013-10-21 2013-12-20 공은옥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87B1 (ko) * 2007-03-16 2008-04-08 한국전력공사 피엘씨 기술을 활용한 배전주 공가케이블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3520B1 (ko) * 2013-10-21 2013-12-20 공은옥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70B1 (ko) * 2021-02-18 2021-07-22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KR102490270B1 (ko) * 2021-12-20 2023-01-20 김호이앤씨(주)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29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KR101523289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175315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CN104505766A (zh) 一种带电更换变电站500kV耐张绝缘子串的工具及方法
KR101862100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CN203747339U (zh) 一种旁路作业柱上绝缘支架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CN109038434B (zh) 一种楔形直通耐张线夹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180917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CN103208757B (zh) 绝缘导线架线器
KR101366896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0843162B1 (ko) 전선케이블 경완금 연결장치
CN110445079A (zh) 高强度导线固定连接夹
CN110445078A (zh) 高强度导线固定连接夹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JP5794902B2 (ja) 鉄塔周辺の工事ユニット及び工事方法
CN205211610U (zh) 一种静触头金具
KR101292645B1 (ko) 스톡 브리지 댐퍼 홀더
KR101723379B1 (ko) 통신케이블 가설장치
KR101042952B1 (ko) 전차선로용 쐐기형 드롭퍼 클램프
CN209948624U (zh) 耐张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