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307B1 -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307B1
KR102047307B1 KR1020170179775A KR20170179775A KR102047307B1 KR 102047307 B1 KR102047307 B1 KR 102047307B1 KR 1020170179775 A KR1020170179775 A KR 1020170179775A KR 20170179775 A KR20170179775 A KR 20170179775A KR 102047307 B1 KR102047307 B1 KR 10204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ompressor
air conditioner
tr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072A (ko
Inventor
성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은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컴프레서를 내장하는 본체, 본체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컴프레서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담아 보관하는 응축수 트레이, 응축수 트레이에 보관된 응축수를 흡수하며, 흡수한 응축수를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응축수 유출부,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에 구비되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된 응축수를 응축수 유출부로부터 전달받아 증발시키는 응축수 증발부를 포함하며, 저소음으로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COMPRESS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소음으로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한편, 건물 외부에 실외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를 위한 실외기를 건물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천장 매립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컴프레서 유닛 등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세워 설치되는 부품으로서, 천장 매립 시 생활 공간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실외기를 구성하는 컴프레서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을 나누어, 컴프레서 유닛은 실내에 설치하고, 열교환 유닛은 천장에 매립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모듈형 공기조화기'라 한다.
그런데 모듈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컴프레서 유닛은 실내에 설치됨에 따라 낮은 소음 특성이 요구되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축수 자동배출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934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수받이통(11)의 내부에서 응축수(W)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제1감지봉(13)이 수위를 감지하며, 센서(15)를 통해 배수펌프(17)에 배수작동신호를 보내 응축수(W)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응축수 자동배출장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경우(즉, 모듈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경우)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수 비산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3412호)(이하, '응축수 비산장치'라 함)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발기(21)의 하측에 응축수를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응축수받이(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응축기(25)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가진 응축기 팬(26)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수받이(23)에 모인 응축수가 응축수 파이프(27)와 응축기 팬(26)을 지나면서 외부로 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응축수 비산장치는 응축수를 비산 및 제거하기 위하여 응축기 팬(26)이 사용되며, 이 응축기 팬(26)은 구동모터(28)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모듈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컴프레서 유닛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소음 유발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저소음으로도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프레서 배관의 고온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증발을 유도함으로써 저소음으로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은,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를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담아 보관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보관된 응축수를 흡수하며, 상기 흡수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응축수 유출부, 및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유출부로부터 전달받아 증발시키는 응축수 증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된 박스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배관이 삽입되는 배관 삽입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밀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트레이는, 상기 응축수를 보관하는 직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수용부의 단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를 통해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수용부의 장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에 접촉하여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유출부는,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측면부를 따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증발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 상단에 접하도록 삽입되며, 직사각형 단면 또는
Figure 112017129168313-pat00001
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응축수 저장 최대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은,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를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담아 보관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보관된 응축수를 흡수하며, 상기 흡수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응축수 유출부,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유출부로부터 전달받아 증발시키는 응축수 증발부, 및 상기 컴프레서의 배관의 고온을 이용하여 상기 응축수 증발부에서의 응축수 증발을 유도하는 열 전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 전도부는, 상기 컴프레서의 배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으로부터 고온을 전달받는 링형 고정구, 상기 응축수 증발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링형 고정구로부터 전달된 고온을 상기 응축수 증발부에 제공하여 응축수 증발을 유도하는 삽입 플레이트, 및 상기 링형 고정구와 상기 삽입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된 박스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배관이 삽입되는 배관 삽입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밀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트레이는, 상기 응축수를 보관하는 직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수용부의 단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를 통해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수용부의 장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에 접촉하여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유출부는,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측면부를 따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증발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 상단에 접하도록 삽입되며, 직사각형 단면 또는
Figure 112017129168313-pat00002
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응축수 저장 최대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프레서가 내장되는 본체의 구조를 밀폐 구조로 함과 동시에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증발 방식으로 응축수를 제거함으로써 저소음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실내공간에 설치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프레서 배관의 고온을 열 전도 방식으로 활용하여 응축수의 증발을 유도할 수 있어, 저소음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실내공간에 설치 운용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응축수 자동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응축수 비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외관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응축수 트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응축수 트레이에서 레그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트레이에 응축수 유출부 및 응축수 증발부가 적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응축수 증발부의 단면 형상 및 설치 높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응축수 트레이의 연장부에 삽입된 응축수 증발부의 형상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응축수 증발부의 단면 형상 및 설치 높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있어서 열 전도부가 적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있어서 열 전도부가 적용된 응축수 트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건물 외부에 실외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실외기를 구성하는 컴프레서 유닛과 열교환기 유닛을 나누어 컴프레서 유닛은 실내에 설치하고, 열교환 유닛은 천장에 매립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태를 '모듈형 공기조화기'라 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공기조화기는 모듈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외관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1000)은 컴프레서(100, 도 4 참조), 본체(200), 응축수 트레이(300), 응축수 유출부(410, 도 7 참조), 응축수 증발부(430,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컴프레서(100, 도 4 참조)는 본체(2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컴프레서(100, 도 4 참조)는 본체(200)의 하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200)는 컴프레서(100, 도 4 참조)를 내장하는 케이스 부재를 말한다.
이러한 본체(200)는 컴프레서(100, 도 4 참조)를 일측으로 치우쳐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내부를 통해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체(200)는 다수의 패널(210)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박스 형상(즉, 직육면체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패널(210)은 배관 삽입공간(211, 도 4 참조)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밀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삽입공간(211, 도 4 참조)은 컴프레서(100, 도 4 참조)로 연결되는 배관이 삽입되는 구멍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본체(200)는 배관 삽입공간(211, 도 4 참조) 등과 같이 최소한의 필요 공간을 제외하고는 구멍 또는 홈이 삭제된 구조로서, 컴프레서(100, 도 4 참조)를 외부와 차단시켜 소음 유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등과 같은 저소음 운전이 필요한 설치 공간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체(200)의 바닥을 통해 응축수 트레이(300)가 구비된다.
응축수 트레이(300)는 본체(200)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컴프레서(100, 도 4 참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담아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응축수 트레이(300)는 수용부(310), 측면부(320), 연장부(330), 그리고 레그부(3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응축수 트레이(3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의 응축수 트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응축수 트레이에서 레그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트레이(300)는 일정량의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 수용부(310)와, 수용부(3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측면부(320)를 포함한다.
수용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면부(320)는 수용부(31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하여 수용부(310)의 전, 후 좌, 우 쪽 벽면을 형성한다.
한편,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부(310)의 단변(즉, 직사각형의 짧은 변) 방향에는 "ㄱ"형 단면을 갖는 연장부(330)가 측면부(320)를 통해 더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용부(310)는 별도의 다리(이하, '레그부(350)'라 함)를 이용하여 소정 높이 상에 떠 받쳐진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레그부(350)는 수용부(310)의 장변(즉, 직사각형의 긴 변) 방향에서 측면부(320)에 접촉하여 결합하는데, 수용부(310)를 하부에서 지탱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레그부(350)가 수용부(310)의 하부에 결합되기 전 분해된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그부(350)의 단면을 통해 마련된 홈의 내부로 후술할 응축수 증발부(430, 도 8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응축수 유출부(410, 도 7 참조)와 응축수 증발부(430, 도 7 참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트레이에 응축수 유출부 및 응축수 증발부가 적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응축수 유출부(410)와 응축수 증발부(430)가 응축수 트레이(300)를 통해 적용된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응축수 유출부(410)는 응축수 트레이(300)(더 구체적으로는 수용부(310)를 말함)에 보관된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응축수 트레이(300)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응축수 유출부(410)는 수용부(310)에 보관된 응축수를 흡수하여 측면부(320)를 따라 레그부(350) 또는 연장부(330)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응축수 유출부(410)는 일단부는 수용부(31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측면부(320)를 따라 응축수 트레이(30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응축수 증발부(430)와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응축수 증발부(430)는 응축수 트레이(300)의 외부에 구비되며, 응축수 유출부(410)를 통해 응축수 트레이(300)의 외부까지 유출된 응축수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응축수 증발부(430)는 레그부(350) 또는 연장부(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삽입 가능하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레그부(350)와 연장부(330)를 통해 응축수 증발부(430)가 삽입되고, 응축수 증발부(430)와 연결되기 위해 다수 개의 응축수 유출부(410)가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수용부(310)와 측면부(320)를 통해 구비된다.
한편, 응축수 유출부(410)는 하나의 응축수 증발부(430)에 대해 다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 영역을 살펴보면, 레그부(350)에 응축수 증발부(430)가 삽입되고, 이 응축수 증발부(430)에는 3개의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응축수 유출부(410a, 410b, 410c)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하나의 응축수 유출부(410a)는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일단부가 수용부(310, 도 9 참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측면부(320, 도 9 참조)를 따라 연장되어 레그부(350)에 삽입된 응축수 증발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응축수 유출부(410a)가 상대적으로 큰 폭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배관 삽입공간(211)을 통해 설치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크기는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다른 하나의 응축수 유출부(410b)는 일단부가 수용부(310, 도 9 참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측면부(320, 도 9 참조)를 따라 연장되어 레그부(350)와 패널(210) 결합부위에 설치 홈을 마련하여 응축수 증발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응축수 유출부(410c)는 일단부가 수용부(310, 도 9 참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측면부(320, 도 9 참조)를 따라 연장되어 레그부(350)에 마련된 홈을 통해 삽입되어 응축수 증발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응축수 유출부(410: 410a, 410b, 410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증발부(350)를 향하여 각각의 타단부(411a, 411b, 411c)가 연결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응축수 유출부(410: 410a, 410b, 410c)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는 응축수 증발부(430)에서 증발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응축수 유출부(410)는 모세관 현상으로 수용부(310)에 보관된 응축수를 응축수 증발부(430)까지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 유출부(410)는 친수성 섬유, 친수성 중합체, 친수성 수지, 흡수성 수지, 고흡수성 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응축수 증발부의 단면 형상 및 설치 높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증발부(430)는 레그부(530)의 단면을 통해 마련된 홈의 내부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수 증발부(430)는 레그부(530)의 단면을 통해 마련된 홈의 내측 상단에 접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서로 다른 단면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7129168313-pat00003
형 단면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증발부(4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0)의 응축수 저장 최대 높이(H)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5는 응축수 트레이의 연장부에 삽입된 응축수 증발부의 형상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응축수 증발부의 단면 형상 및 설치 높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증발부(430)는 연장부(330)를 통해 삽입 가능하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단면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Figure 112017129168313-pat00004
형 단면 형상(430, 도 14 참조)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응축수 증발부(4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0)의 응축수 저장 최대 높이(H)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은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 조화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열 전도부(500, 도 18 참조)를 더 포함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있어서 열 전도부가 적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전도부(500)는 컴프레서(100, 도 4 참조)의 배관의 고온을 이용하여 응축수 증발부(430)에서의 응축수 증발을 촉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컴프레서(100, 도 4 참조)에 연결되는 배관(예: 토출 배관 등)의 온도가 60~100℃ 정도의 고온인 경우, 이러한 배관의 고온 열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증발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부(50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크게 링형 고정부(510), 연결 플레이트(520), 그리고 삽입 플레이트(530)를 포함한다.
링형 고정부(510)는 컴프레서의 배관(P, 도 18 참조)을 감싸며 배관(P, 도 18 참조)으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 받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링형 고정부(510)는 배관(P, 도 18 참조)의 외경을 감싸 고정하도록 배관에 대응하는 크기의 중공(511)을 가질 수 있다. 이 중공(511)을 통해 배관(P)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링형 고정부(51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배관(P, 도 18 참조)에 접촉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로써, 컴프레서의 배관(P, eh 18 참조)으로부터 고온의 열을 쉽게 전달 받을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520)는 링형 고정구(510)와 후술할 삽입 플레이트(5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연결 플레이트(520) 역시 링형 고정부(510)로 전달된 열을 후술할 삽입 플레이트(530)까지 전달해주어야 하므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배관(P, 도 18 참조)을 삽입하는 링형 고정부(510)를 구조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해 필요한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삽입 플레이트(530)는 응축수 증발부(430)의 삽입홈(431)에 삽입되며, 링형 고정구(510)로부터 전달된 고온을 응축수 증발부(430)에 제공하여 응축수의 증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플레이트(530)는 연결 플레이트(520)에 비해 넓은 폭으로 응축수 증발부(430)의 삽입홈(431)을 따라 길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9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구성된 열 전도부(500)에 의해 컴프레서의 배관으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 받은 응축수 증발부(430)는 응축수 유출부(410)를 통해 흡수 이동된 응축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에 있어서 열 전도부가 적용된 응축수 트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하나의 열 전도부(500)가 레그부(350)에 삽입된 응축수 증발부(430)를 통해 삽입 고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열 전도부(500)를 응축수 증발부(430)가 삽입된 위치마다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부(500)의 개수 및 위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배관(P, 도 18 참조)의 설치 형태에 따라 조금씩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저소음으로 운전이 가능하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없는 실내 등의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컴프레서가 내장되는 본체를 통해 홈이나 구멍이 존재하지 않아 저소음에 유리하며, 물받이에 고인 응축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부로 이동하면서 증발시킬 수 있어 소음 없이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0: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100: 컴프레서
200: 본체
210: 패널
211: 배관 삽입공간
300: 응축수 트레이
310: 수용부
320: 측면부
330: 연장부
350: 레그부
410: 응축수 유출부
430: 응축수 증발부
431: 삽입홈
500: 열 전도부
510: 링형 고정구
520: 연결 플레이트
530: 삽입 플레이트

Claims (15)

  1.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를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담아 보관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보관된 응축수를 흡수하며, 상기 흡수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응축수 유출부; 및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유출부로부터 전달받아 증발시키는 응축수 증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는, 상기 응축수를 보관하는 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수용부의 단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를 통해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수용부의 장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에 접촉하여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유출부는,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측면부를 따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증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된 박스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배관이 삽입되는 배관 삽입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밀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 상단에 접하도록 삽입되며, 직사각형 단면 또는
    Figure 112019032107030-pat00005
    형 단면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응축수 저장 최대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8.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를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담아 보관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보관된 응축수를 흡수하며, 상기 흡수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응축수 유출부;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로 유출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유출부로부터 전달받아 증발시키는 응축수 증발부; 및
    상기 컴프레서의 배관의 고온을 이용하여 상기 응축수 증발부에서의 응축수 증발을 유도하는 열 전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는, 상기 응축수를 보관하는 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수용부의 단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를 통해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수용부의 장변 방향에서 상기 측면부에 접촉하여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유출부는, 일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측면부를 따라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증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부는,
    상기 컴프레서의 배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으로부터 고온을 전달받는 링형 고정구;
    상기 응축수 증발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링형 고정구로부터 전달된 고온을 상기 응축수 증발부에 제공하여 응축수 증발을 유도하는 삽입 플레이트; 및
    상기 링형 고정구와 상기 삽입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된 박스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배관이 삽입되는 배관 삽입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밀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레그부와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 상단에 접하도록 삽입되며, 직사각형 단면 또는
    Figure 112019032107030-pat00006
    형 단면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증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응축수 저장 최대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KR1020170179775A 2017-12-26 2017-12-26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KR10204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75A KR102047307B1 (ko) 2017-12-26 2017-12-26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75A KR102047307B1 (ko) 2017-12-26 2017-12-26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72A KR20190078072A (ko) 2019-07-04
KR102047307B1 true KR102047307B1 (ko) 2019-11-21

Family

ID=6725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75A KR102047307B1 (ko) 2017-12-26 2017-12-26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3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6279A (ja) * 2015-07-28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332A (ko) * 1998-12-24 2000-07-15 전주범 응축수 제거장치를 구비한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KR20020086774A (ko) * 2001-05-10 2002-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용 가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6279A (ja) * 2015-07-28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72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1555B2 (ja) 空調装置
KR101954633B1 (ko) 제습기
JP6980104B2 (ja) 地熱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111886455A (zh) 小型除湿机
US10240853B2 (en) Upflow condensate drain pan
CN111433521A (zh) 空调器的室外单元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96080A (ko) 제습기
KR200441282Y1 (ko)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이동식 에어컨디셔너
KR101771646B1 (ko) 방진 유닛을 구비한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47307B1 (ko)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KR20080003525A (ko) 공기조화기
US20160131369A1 (en) Air conditioner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EP0978250A2 (en) A device for drying the dishes at the end of the washing process of a dishwasher
CN104110754B (zh) 立式空调器室内机
KR20170090105A (ko) 복사 냉방 시스템
GB2328270A (en) Air conditioner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KR200480011Y1 (ko) 콤팩트 제습기
JP2013245827A (ja) 輻射式空気調和機
KR100434073B1 (ko) 욕실형 에어컨의 응축수트레이
JP2012117755A (ja) 空気調和機
US20150153096A1 (en) Upflow condensate drain pan
WO2015062661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defrost water collection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