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11Y1 - 콤팩트 제습기 - Google Patents

콤팩트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11Y1
KR200480011Y1 KR2020140004864U KR20140004864U KR200480011Y1 KR 200480011 Y1 KR200480011 Y1 KR 200480011Y1 KR 2020140004864 U KR2020140004864 U KR 2020140004864U KR 20140004864 U KR20140004864 U KR 20140004864U KR 200480011 Y1 KR200480011 Y1 KR 200480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upper case
suction fan
dehumidifi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057U (ko
Inventor
이경노
Original Assignee
이경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노 filed Critical 이경노
Priority to KR2020140004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1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통풍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공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중심부에 상기 흡입팬을 수용하며, 다수개의 방열핀을 갖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하단면과 접촉형성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단면에 접촉형성되는 결로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및 결로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결로부에 생성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열전소자의 주변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팬과 열전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내부에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결로부, 제어부를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가 수용결합되어 포터블이 용이하며, 열전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반영구적인 컴팩트한 제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콤팩트 제습기{compact dehumidifier}
본 고안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내부에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결로부, 제어부를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가 수용결합되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소음이 거의 없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콤팩트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과 잦은 우천으로 인한 생활습도의 증가로 불쾌감을 주는 것은 물론 곰팡이 등 유해세균의 발생환경이 만들어져 옷, 서적 등 소중한 물건이 기능발휘를 하지 못하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별도의 처리 비용 또한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습도의 증가로 인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제습기의 활용의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제습기 시장이 확대,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습기는 냉매가스를 이용한 콤프레서가 구비되기 때문에 크고, 무거우며, 대소비전력으로 소음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옷장, 서재 등의 폐쇄된 좁은 공간과 24시간 가동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최근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가 개발되고 있다.
열전소자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성질이 다른 2가지 금속을 접합시키고, 전압을 가하면 어느 하나의 금속은 열을 흡수하고, 다른 하나의 금속은 열을 방출하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기가 냉각판에 접촉되면 냉각되어 수증기로 응축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는 종래의 냉매가스를 이용하는 제습기에 비하여 콤프레서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소음이며, 소비전력을 줄이고, 사용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쾌적한 생활습도(40~60%)와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습도(30% 이하)는 엄격하게 다르다. 즉, 실내습도를 30% 이하로 제습하면 사람은 감기나 호흡곤란 등 질병에 걸리기 쉽고 반대로 물건 보관습도가 높게 되면 곰팡이나 미생물 등이 번식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중, 대형 제습기가 주를 이루어, 소형 제습기로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며, 미리 설정된 온,습도나 시간에 따라서 작동하게 되므로, 제습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12531호.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내부에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결로부, 제어부를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가 수용결합되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콤팩트 제습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통풍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공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중심부에 상기 흡입팬을 수용하며, 다수개의 방열핀을 갖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하단면과 접촉형성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단면에 접촉형성되는 결로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및 결로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결로부에 생성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열전소자의 주변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팬과 열전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팬의 위치에 대응되게 동심형의 통풍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상측으로는 상기 흡입팬이 수용되며, 하측으로는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연속하여 상기 방열판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핀이 원형으로 배치형성된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판과 상기 흡입팬 사이에 상기 방열판의 형태에 대응되게 단열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로부는, 등간격으로 격벽이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격벽은 좌우 높이가 다른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측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저면부에는 상기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는, LED 조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및 습도 센서부가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콤팩트 제습기는, 충전지 또는 건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되거나, USB 케이블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충전지에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전지 또는 건전지는 상기 제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USB 케이블의 연결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단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 외측으로 노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내부에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결로부, 제어부를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가 수용결합되어 포터블이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소음이 거의 없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컴팩트한 제습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선이 없이 충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여, 더욱 다양한 장소, 예컨대 옷장, 신발장, 서랍장, 책상, 화장실, 책꽂이, 텐트 내부 등에 설치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에 대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에 사용 예시도.
본 고안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내부에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결로부, 제어부를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가 수용결합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소음이 거의 없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포터블이 용이한 콤팩트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에 사용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통풍공(110)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상부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공(110)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0)과, 중심부에 상기 흡입팬(200)을 수용하며, 다수개의 방열핀(320)을 갖는 방열부(300)와, 상기 방열부(300)의 하단면과 접촉형성되는 열전소자(500)와, 상기 열전소자(500)의 하단면에 접촉형성되는 결로부(600),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팬(200), 방열부(300), 열전소자(500) 및 결로부(6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결로부(600)에 생성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출공(710)이 형성된 하부케이스(700)와, 상기 열전소자(500)의 주변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팬(200)과 열전소자(500)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복수개의 통풍공(110)이 형성되어 제습하고자 하는 곳의 공기를 이동시켜 후술할 흡입팬(20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의해 삼각뿔,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는 후술할 하부케이스(700)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흡입팬(200), 방열부(300), 열전소자(500) 및 결로부(600), 제어부(800)가 수용 배치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동심형 형태의 통풍공(110)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며, 이는 흡입팬(200)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외기 흡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풍공(110)은 상기 상부케이스(100) 상면 전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상기 흡입팬(200)에 의한 외기의 흡입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후술할 방열부(300)에 의한 열(데워진 공기)이 바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FRP, 금속 등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하여 소비자들의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200)은 상기 상부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통풍공(110)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200)의 구동 및 그 회전속도의 제어는 후술할 제어부(800)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팬(200) 하측으로는 방열부(300)와 접하게 되는데, 방열부(300)에 의한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흡입팬(200) 모서리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그 나사공에 흡입팬(200)의 두께보다 두꺼운 나사 또는 지지대를 결합함으로써, 방열부(300)로부터 상기 흡입팬(200)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하며, 방열부(300)에 대한 열전달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해 후술할 단열부재(400)를 흡입팬(200)과 방열판(310) 사이에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부(300)는 상기 흡입팬(200)을 중심부에 수용할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방열효율 향상을 위해 다수개의 방열핀(320)을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방열부(300)는 상측으로는 상기 흡입팬(200)이 수용되며, 하측으로는 열전소자(5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방열판(310)과, 상기 방열판(310)에 연속하여 상기 방열판(31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핀이 원형으로 배치형성된 방열판(31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방열부(3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700) 내부에 수용되게 되므로, 방열효율을 높이고 케이스 내부에 효율적으로 배치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중심부는 원형의 방열판(310)으로 형성되고, 그 주변부로는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방열핀(320)으로 이루어져, 방열판(310) 상측 및 방열핀(320) 내측으로 이루어진 수용 공간에 흡입팬(200)이 수용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는 콤팩트한 제습기 구현을 위해 방열효율을 최대한 발휘하면서 공간 상으로는 효율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열부(300)는 하단면으로 열전소자(500)와 접촉되어, 열전소자(500)의 발열부에 의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열판(310)과 상기 흡입팬(200) 사이에 상기 방열판(310)의 형태에 대응되게 단열부재(400)가 더 형성되며, 이는 방열부(300)에 의한 열이 상기 흡입팬(200)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단열필름(3M사 등 시중 제품 사용)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열전소자(500)는 상기 방열부(300)의 하단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방열부(300)의 방열판(310) 하단면에 접촉형성되고, 하측으로는 후술할 결로부(600)와 접촉형성되게 된다.
상기 열전소자(500)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성질이 다른 2가지 금속을 접합시키고, 전압을 가하면 어느 하나의 금속은 열을 흡수(흡열부)하고, 다른 하나의 금속은 열을 방출(발열부)하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기가 후술할 결로부(600)에 접촉되면 냉각되어 수증기로 응축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열전소자(500)의 발열부는 상기 방열판(310)에 접촉형성되어 열을 방출하게 되고, 상기 열전소자(500)의 흡열부는 후술할 결로판(600)에 접촉형성되어 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로부(600)는 상기 열전소자(500)의 하단면에 접촉형성되어, 상기 열전소자(500)의 흡열부에 의해 수증기가 응축되면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모아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로부(600)는 등간격으로 격벽(610)이 구비되어 유로(620)를 형성하여 수증기의 응축 및 집결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격벽(610)의 좌우 높이가 다른 사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 및 집결된 응축수가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하부케이스(700)에 형성된 배출공(710)으로 효율적으로 응축수를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7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결합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결로부(600)에 생성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출공(71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상광하협 형태로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출공(710)으로 배출된 응축수의 효율적인 수집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700)는 상측부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저면부에는 상기 배출공(710)이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케이스(700)의 상측부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형태에 대응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다가, 하측 일부 위치에서는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이루면서 수평 단면이 좁게 형성되어 저면부에 이르러서는 최종 배출공(710)의 지름과 비슷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응축수의 효율적인 집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배출공(710)으로 그 흐름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축수의 기화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700)의 결합 부위에 배기공(900)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제습기 내부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열전소자(500)의 주변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팬(200)과 열전소자(50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PCB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팬(200) 및 열전소자(500)에 전원을 공급하고, 흡입팬(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800)의 형태는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700) 내부에 수용되게 되므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간 상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서 중심부에는 열전소자(500)가 배치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방열부(300), 하측으로는 결로부(600)가 배치된다.
즉, 제어부(800)의 PCB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방열부(300) 및 흡입팬(200)이 형성되고, 제어부(800)의 중심부에는 열전소자(500)가 구비되며, 열전소자(500) 하측, 제어부(800)의 PCB 하측으로는 결로부(600)가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800)를 중심으로 한 방열부(300), 흡입팬(200), 열전소자(500), 결로부(600)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독립적인 모듈 형태로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을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700)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800)의 PCB의 지름을 가장 크게 형성하여 상기의 모듈을 조립한 후, 이를 하부케이스(700)에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상측으로 상부케이스(100)를 닫는 형태로 조립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흡입팬(200)에 의해 흡입된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가 더 구비되어,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PW 제어를 통해 상기 흡입팬(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외기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흡입팬(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습도가 높으면 흡입팬(200)의 회전속도를 높여 더욱 많은 공기의 제습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습도가 낮으면 흡입팬(200)의 회전속도를 낮춰 적절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00) 또는 하부케이스(700)에는 LED 조명부(1000)가 더 형성되어, 작동 상태를 알리면서, 무드등으로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의해 LED 조명부(1000)가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외기의 습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는 전원선이 없이 충전지 또는 건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되거나, USB 케이블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충전지에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포터블이 더욱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 예컨대 옷장, 신발장, 서랍장, 사무실 책상, 화장실, 책꽂이, 텐트 내부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충전지 또는 건전지는 응축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100)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800)의 상측 상부케이스(100) 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USB 케이블의 연결단자(11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 하단부측 또는 하부케이스(700) 상단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800)의 단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부케이스(100) 또는 하부케이스(700)에 형성된 연결단자 수용부(1110)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700)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700)의 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여기에 흡입팬(200), 방열부(300), 열전소자(500), 결로부(600) 및 제어부(800)가 모두 수용되어 외적으로는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700)의 형태만 노출되게 되어, 포터블이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의 사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제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출공을 통한 응축수의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 측의 오목한 곡면에 물통이 안착되도록 구현하여, 응축수의 수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부케이스 아래에 빈컵, 종이컵, 커피컵 등 다양한 형태의 수집 물통이 결합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컵 형태의 물통이 사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필요에 의해서는 이러한 수집 물통이 하부케이스 아래로 착탈결합될 수 있도록 구현되게 할 수도 있다.
100 : 상부케이스 110 : 통풍공
200 : 흡입팬 300 : 방열부
310 : 방열판 320 : 방열핀
400 : 단열부재 500 : 열전소자
600 : 결로부 610 : 격벽
620 : 유로 700 : 하부케이스
710 : 배출공 800 : 제어부
900 : 배기공 1000 : LED 조명부
1100 : 연결단자

Claims (13)

  1.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통풍공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중심부에 상기 흡입팬을 수용하며, 다수개의 방열핀을 갖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의 하단면과 접촉형성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하단면에 접촉형성되는 결로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팬, 방열부, 열전소자 및 결로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결로부에 생성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열전소자의 주변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팬과 열전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부는,
    상측으로는 상기 흡입팬이 수용되며, 하측으로는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연속하여 상기 방열판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핀이 원형으로 배치형성된 방열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열판과 상기 흡입팬 사이에 상기 방열판의 형태에 대응되게 단열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로부는,
    등간격으로 격벽이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격벽은 좌우 높이가 다른 사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측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저면부에는 상기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팬의 위치에 대응되게 동심형의 통풍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 부위에 배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는,
    LED 조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및 습도 센서부가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11. 제 1항, 제2항,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 제습기는,
    충전지 또는 건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되거나, USB 케이블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충전지에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 또는 건전지는 상기 제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케이블의 연결단자는 상기 제어부의 단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제습기.
KR2020140004864U 2014-06-27 2014-06-27 콤팩트 제습기 KR200480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64U KR200480011Y1 (ko) 2014-06-27 2014-06-27 콤팩트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64U KR200480011Y1 (ko) 2014-06-27 2014-06-27 콤팩트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57U KR20160000057U (ko) 2016-01-06
KR200480011Y1 true KR200480011Y1 (ko) 2016-04-01

Family

ID=5517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64U KR200480011Y1 (ko) 2014-06-27 2014-06-27 콤팩트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613A (ko) * 2019-05-10 2020-11-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KR20230051860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제습, 탈취 및 항균이 가능한 mof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947B1 (ko) * 2020-10-23 2022-03-22 주식회사 새한하이테크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함체용 쿨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874Y1 (ko) * 2005-02-03 2005-04-15 주식회사 프로네트텔레콤 휴대용 다기능 가습기
KR100898063B1 (ko) * 2008-09-01 2009-05-19 엄장우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JP2013190245A (ja) * 2012-03-13 2013-09-26 Shimadzu Corp 試料冷却装置及びサンプ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531A (ko) 2010-04-07 2011-10-13 조계선 기화 제습식 공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874Y1 (ko) * 2005-02-03 2005-04-15 주식회사 프로네트텔레콤 휴대용 다기능 가습기
KR100898063B1 (ko) * 2008-09-01 2009-05-19 엄장우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JP2013190245A (ja) * 2012-03-13 2013-09-26 Shimadzu Corp 試料冷却装置及びサンプリ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613A (ko) * 2019-05-10 2020-11-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KR102261531B1 (ko) * 2019-05-10 2021-06-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KR20230051860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제습, 탈취 및 항균이 가능한 mof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57U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8837A1 (en) Air-conditioner
KR102095090B1 (ko) 소형 스마트 제습기
US10139117B2 (en) Wall-mounted smart dehumidifier
KR200480011Y1 (ko) 콤팩트 제습기
US20070163295A1 (en) Air treatment systems
US10886875B2 (en) Solar powered cooler for smart device
JP5909648B2 (ja) 発熱体収納装置
US20120081904A1 (en) Lamp
AR018909A1 (es) Una unidad evaporadora para una disposicion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CN106129575B (zh) 一种动中通天线用小型除湿机
KR20100037419A (ko) 제습기구가 결합된 환풍기
KR200480012Y1 (ko) 콤팩트 제습기
KR200475069Y1 (ko) 냉풍이 토출되는 제습기
KR200476113Y1 (ko) 다용도 휴대용 송풍장치
CN212626556U (zh) 除湿配电房
KR10213104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1636959B1 (ko) 빌트인 제습기
CN108813862A (zh) 一种快速烘干拉杆箱
KR101671575B1 (ko) 제습기
JPS61116259A (ja) 除湿冷却装置
KR20180074310A (ko) 소형 제습기
KR102047307B1 (ko) 공기조화기의 컴프레서 유닛
KR20160062908A (ko) 빌트인 제습기
WO2023000727A1 (zh) 空气水杯
US11014018B1 (en) Apparatus coupled to an air-circulating device to reduce temperature of a room or surrou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