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977B1 -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 Google Patents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977B1
KR102046977B1 KR1020137028939A KR20137028939A KR102046977B1 KR 102046977 B1 KR102046977 B1 KR 102046977B1 KR 1020137028939 A KR1020137028939 A KR 1020137028939A KR 20137028939 A KR20137028939 A KR 20137028939A KR 102046977 B1 KR102046977 B1 KR 10204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bridge
central portion
tissue bridg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993A (ko
Inventor
3세 펠몬트 에프. 이브스
Original Assignee
이엠알지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알지이, 엘엘씨. filed Critical 이엠알지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2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6Sutur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51Material properties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원에서 개시한 의료 장치는 살아 있는 개체의 조직면에서 힘을 분배하기 위한 소정의(predefined) 구조물을 포함하며, 환자의 처치 영역에서 공간적인 관계, 배향, 및 기계적인 힘을 조정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처치 영역은 환자의 상처, 절개, 또는 수술적으로 접근된 영역일 수 있으며, 특정한 크기 및 방향의 힘 벡터를 상기 처치 영역에 적용하는 경우, 흉터를 덜 지게 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치유하는, 서로 대항하여 위치하는 섹션(section)들도 포함한다. 상기 의료 장치는 계획된 변형을 통해 미리 응력을 받을 수 있으며, 조직면을 따라 바람직한 공간적 및 기계적 관계를 구축하여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정렬, 압박, 전진, 외전, 내전, 신연, 회전, 각형성, 및 장력의 조절 또는 조정을 하는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FORCE MODULATING TISSUE BRIDGE}
우선권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개의 계류중인, 2011년 3월 31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 번호 제61/469,966 호 및 2011년 3월 31일에 출원한 제61/470,158 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한다. 이들 가특허 출원은 모두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완전히 기재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조직면을 따라 서로 대항하고 있는 영역을 근접화(approximation), 정렬(alignment), 신연(distraction), 고정(fixation), 또는 압박(compression)하기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장치는 미작동시의(at-rest) 형태와 상태로 제조된 후, 환자의 조직면에 배치되기 전에 변형되고, 배치된 후에는 다시 미작동시 상태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서,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조직-형상화 힘(tissue-shape force)을 제공하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종류의 의료적 처치에는, 신체의 부위들을 치유를 위한 특정 자세로 고정하는 장치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자상(cut), 창상(wound), 및 수술적 절개(surgical incision) 부위가 고정된 장치에 의해 유지됨에 따라, 효율적인 치유의 촉진과 상처의 최소화라는 이득을 얻게 된다. 수세기 동안, 서로 대항하고 있는 조직면을 정렬하는 메커니즘을 많이 만들어 왔다. 다른 장치들로는, 접착제, 클램프, 나사, 로드(rod), 스테이플, 테이프, 코드-형 요소(cord-like element) (봉합사, 결찰선), 또는 기타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들 방법들 각각은 유연성 대(versus) 강성, 느슨함 대 압박, 평면의 내전(inversion) 대 외전(eversion), 외부 대 내부 적용, 및 장치의 영구 적용 대 임시 적용을 포함할 수 있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특성들(quality)을 가진다. 이들 방법들 중 많은 방법들은 고정 전에 서로 대항하고 있는 요소들의 정렬을 필요로 하지만 (예를 들어, 테이프, 접착제), 다른 경우들에서는 고정 시 상기 요소들을 정렬한다 (예를 들어, 봉합사, 스테이플).
조직면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전략 및 메커니즘을 이용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02,251 호 (Sheehan 1987)는, 환자의 피부에 접착되어 조직면 위로 브릿지(bridge)를 형성하여, 피부를 정렬하고 외전시키는 붕대의 사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90240186 (Fang) 호는, 상처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는 섹션(section)과, 상처 부위들을 함께 움켜잡아 당기는 리프팅부(lifting portion)를 포함하는 붕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봉합 브릿지(suture bridge)를 개시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815,264 호 (Chambers 1906); (상처의 가장자리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클램프(clamp)를 개시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 2,371,978 호 (Perham 1941); 및 (외과적인 스트립 스티치(surgical strip stitch)를 개시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 3,487,836 호(Niebel 1968)를 참조한다. 상기 리프팅부는, 서로 접착되어 상처의 서로 대항하고 있는 부위에 근접력(approximating force)을 적용하는 붕대의 섹션들을 포함한다.
상처 가장자리들(wound margin)을 근접시켜 외과적 또는 외상 상처를 치료하는 것은 기본적인 예로서, 이러한 작용 시, 조직면들은 조직 관류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적절한 긴장도로 정렬될 필요가 있다. 피부 상처의 봉합 시와 같이 상처 가장자리들을 외전시키면, 상처 치유, 더 깊은 피하 조직 변연의 근접화, 및 최적의 반흔 외양(optimal scar appearance)에 도움이 된다. 조직에 생긴 흠결(tissue defect)을 감추기 위해 조직을 모으는 것(advancement of tissue), 치유 (예를 들어, 골절 치료, 또는 비대 흉터(hypertrophic scar) 및 켈로이드 흉터의 축소)를 촉진하기 위해 조직을 압박하는 것, 그리고 조직 치수(tissue dimension)를 변경하기 위해 조직을 신연 또는 확장시키는 것은 모두 조직면들과 조직면들에 작용하는 힘들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행위들에 대한 부가적인 예들이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여러 가지 장치와 메커니즘들이 이용되어 왔으며, 선택된 장치나 메커니즘은, 특정한 임상적인 상황, 처치될 조직의 특징, 및 기타 요인들을 다루기 위해, 상당히 다양할 수 있다. 봉합 바늘 및 봉합사, 봉합 스테이플, 접착제, 테이프, 강성 플레이트(rigid plate) 및 나사, 로드, 클립, 조직 익스팬더(tissues expander), 및 디스트랙터(distracter)는 모두 처치를 위해 조직을 위치시키고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장치 및 메커니즘의 예들이다. 주어진 조직의 유형과 임상적인 상황에 따라, 이러한 옵션들 중 여러 가지를 고려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옵션은 장단점을 가진다. 주어진 상황에서, 장점일 수 있는 요인들은, 적용의 용이성, 근접화의 안정성 또는 안전성(security), 적응력(adjustability), 포인트-투-포인트 근접화(point-to-point approximation), 및 비외상성 장치-조직 계면이다. 마찬가지로, 단점일 수 있는 요인들은, 비용 및 복잡성의 증가, 상처층(wound bed) 내에 계속 잔류하는 장치의 요소들 (이물질(foreign body))의 성질 (치유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감염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음), 장치 제거의 필요성, 및 적용이나 제거 시 통증으로 인해 후속적으로 마취를 필요로 하는 점들이다. 상처 치료 또는 봉합 메커니즘(closure mechanism)의 다른 특징들은 상처의 치유 또는 반흔의 외양, 예컨대 기계적인 힘에 반응할 수 있을 정도의 봉합의 상대적인 탄력성(elasticity), 흡수성 봉합 재료의 가수분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반응, 및 조직 치유 영역의 바로 외부에 새로운 반흔점(point of scaring)을 만들어내는 조직 관통 지점(tissue perforation point) 또는 압력 지점(pressure point)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직의 배향 및 정렬을 조절할 필요성 외에도, 조직의 기계적인 환경은 치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치유되고 있는 상처를 가로질러 장력(tension)이 증가하면, 급속 치료 기간 동안 상처가 벌어질 가능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처 치유 과정에 만성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쳐서 흉터를 늘리고 비대 흉터와 켈로이드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상처 장력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은 흉터 특징들을 더 불량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예로는, 만성적 팽창, 중력 (예를 들어, 가슴의 중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흉골 상처), 또는 기계적 힘 (예를 들어, 정상적인 관절의 움직임이 피부에 미치는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관절의 신측면(extensor surface) 위에 작용하는 힘)이 존재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조직을 제거하지 않으며 장력이 덜 적용된 절개 봉합(incisional closure)은, 조직 제거로 인해 상처 봉합부위 장력을 증가시키는 절제 처치(excisional procedure)보다 더 양호한 반흔 특징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상처 장력의 증가는 특히, 섬유아세포 수의 증가, 콜라겐 침착의 증가, 섬유아세포의 배향의 변경, 및 소정의 생화학물질의 농도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처 치유 시,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해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치유 및 반흔 외양에 도움이 되는 허용된 전략이다. 장력 감소 외에도, 일부 경우에서는 구축된 비대 흉터 및 켈로이드의 치료 또는 골성 상처의 치료 (골절 또는 절골술)와 같은 치료에, 기계적인 압박 환경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조직면에 계획된 힘(planned force)을 가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의 일례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120035521 (Zepeda 2012) 호에 언급되어 있다. Zepeda 출원은 환자의 피부 상처 부위에 놓이는 붕대를 가로질러 소정의 압박(strain)을 가하는 붕대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키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붕대를 피부에 부착하고 붕대 어플리케이터를 제거한 후에, 상기 붕대의 조작된 압박이 피부에 가해진다. 상기 붕대 어플리케이터의 많은 부품(part)과 커넥터(connector)는 사용 전에 구성되어야 하며, 이는 장치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조직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 장치의 분야에서, 피스(piece) 및 부품들을 장치 내에서 번잡하게 그리고 고비용을 들여 연결할 필요 없이, 조직면을 가로질러 특정하게 배향된 힘 벡터를 가할 수 있는 의료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존재한다.
이에, 압박 및 감압을 할 수 있는 중심부(central section); 상기 중심부의 각 면의 측면부(lateral section); 및 환자의 조직에 장치를 직접 부착하기 위한 장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서로 대항하고 있는 요소들의 근접화, 정렬, 신연, 고정, 안정화, 또는 압박을 위한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미작동 시 소정의 모양과 상태를 가지며, 조직면에 적용될 때 장치에 특별히 조작된 퍼텐셜 힘(potential force)을 가하기 위해 왜곡(distortion)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변형은 장치 모양의 왜곡과, 중심부의 서로 대항하고 있는 면들 간의 거리 또는 환자에 부착되는 측면들 간의 거리의 조정으로 이루어진다. 환자에 적용 시, 장치가 이의 본래의 미작동 상태로 되돌아감에 따라, 상기 장치의 퍼텐셜 힘이 방출된다(released). 장치와 조직면 간의 연결로 인해, 미작동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장치의 자연적인 성질이 저항을 받고, 상기 조직면을 따라 원하는 합력이 제공된다. 변형에 의해 장치에 가해지는 퍼텐셜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결과적으로 조직면에 실리는 힘은 상기 조직면의 섹션들을 치유하기 더 효율적이며 및/또는 반흔이 덜 생기는 바람직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조직면에 장치를 적용하기 전에 장치의 면들을 함께 압괴 또는 압박함으로써, 상기 장치에 퍼텐셜 힘을 가할 수 있다. 장치가 다시 위로 향하여 미작동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장치는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신연시키려는(distracting) 또는 열려는(opening) 힘을 제공한다. 다르게는, 장치는 좌우로 연신 또는 개방될 수 있어서, 조직면에 적용 시, 상기 장치는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밀폐하려는(closing) 또는 근접시키려는(approximating) 힘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조직면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 및 정도는 장치를 처치 영역에 부착하기 전에, 적절한 변형력을 상기 의료 장치에 가함으로써 미리-계획된다.
일 실시 양태에서, 의료 장치는 장치의 밑면에 있는 부착부를 따라 조직면에 연결되는 조직 브릿지이다. 상기 장치는 서로 대항하고 있는 측면부들에 연결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부의 밑면은 환자의 피부나 다른 해부학적 구조와 같은 조직면에 직접 위치하게 될 각각의 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는 처치 영역 위로 연장되도록 설계된다. 전이부(transitional section), 또는 숄더(shoulder)는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측면부들까지 연장되어 단일 피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연속 구조물을 제공한다. 중심부, 전이부, 및 측면부의 모양은 처치 영역 위로 원하는 합력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조직 브릿지는 상기 조직 브릿지를 조직면에 위치시키기 전에 변형을 받아, 구조물에 퍼텐셜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수동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조직 브릿지를 맞물리게 하고, 상기 조직 브릿지에 위치 에너지를 가하는 변형력을 제공하며, 상기 조직 브릿지를 조직면에 적용한 다음,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다면 상기 조직 브릿지로부터 분리하는 편리한 툴(tool)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조직 브릿지는 환자에게 접착되는 탄성 스트립 (예를 들어, 붕대)에 조직 브릿지가 연결되는 2-피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직 브릿지를 변형시키고 상기 조직 브릿지에 퍼텐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2-피스 구조는 처치 영역을 가로지른 조직면에 놓이는 탄성 스트립을 연신 또는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런 식으로, 상기 탄성 스트립 및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조직면에게 의료적 개입을 제공한다. 본 실시 양태에서,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탄성 스트립과 함께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조직면을 가로지르는 합력(resultant force)을 줄이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2-피스 실시 양태는 조직 브릿지와 붕대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직 브릿지는 아치형 모양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붕대에 접착되도록 편평한 형태일 수 있다. 일 구조에서, 조직 브릿지 및 탄성 붕대는 둘 다 편평해서, 상기 조직 브릿지(bridge) 또는 상기 붕대 중 어느 것도 미작동 상태에서 장력을 받지 않으며, 어떤 구성분도 변형 없이 접히도록 돕는다. 강도가 서로 다른 일반적으로 알려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붕대를 조직면에 부착시키고, 조직 브릿지를 상기 붕대에 부착시킨다. 조직 브릿지와 붕대 사이를 연결하면, 붕대를 처치 영역에 적용한 후에 상기 조직 브릿지가 상기 붕대를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는 독립형 장치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복수의 조직 브릿지를 조직면을 가로질러 배열하여, 일련의 조직 브릿지에 대해 층 재료(layered material) (예를 들어, 붕대, 접착 시트, 의료 시트)를 위치시키기 위한 스카폴딩(scaffolding)을 제공할 수 있다. 조직 브릿지가 처치 영역 위로 상승부(raised protion)를 포함하는 실시 양태의 경우, 조직 브릿지 시리즈가 접착 시트를 지지해서, 상기 조직 브릿지 및 그 위를 덮는(overriding) 시트는 처치 영역과 시트 사이에 한정된 공간을 가진 도관을 형성한다. 이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가적인 의료적 개입 (즉, 배액(drainage), 관주(irrigation), 조사(inspection), 의약 및 마취의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원에서 개시하는 장치들은 부착부를 통해 작용하는 조직면들 간의 브릿지 또는 도관을 가로질러 힘을 전달하고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조직 브릿지는 치료되는 조직의 특징, 조직면으로의 부착 방법, 장치의 기하학적 배치, 필요한 힘의 방향 및 크기, 구성분 재료(들) 또는 조직(들)의 특성, 마취제, 2차 부착의 필요성 또는 기타 요인들에 따라, 매우 다양한 디자인을 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임상적 상황에 요구되는 서로 다른 서머리 힘 벡터(summary force vector), 효과적인 부착 및 기하학적 배치를 만들어 내기 위해, 이들 특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해서 변해서, 가지각색의 배치, 실시 양태, 및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방대한 모음(vast array)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명백히 알고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고 청구되는 조직 브릿지는, 장치의 고정 전에 적용되고 장치가 조직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고정된 후 방출되는 변형력을 문제의 브릿지 및/또는 조직면에 가하는, "프리-로딩(preloading)" 또는 "프리-텐셔닝(pre-tensioning)"을 통해 그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변형력이 방출될 때, 장치 및/또는 조직 내에서 발생한 퍼텐셜 힘이 방출되어, 이 힘은 장치가 제거, 접착, 방출, 탈착되거나 또는 장치가 비-장력 배치로 놓이도록 조직 특징이 변할 때까지, 상기 조직면에 작용한다.
상기 조직면에 적용되는 합성 벡터는 장치 치수, 기하학, 및 구성 물질의 탄성률; 적용 전에 적용되는 프리-로딩 힘의 방법, 진폭, 방향 및 위치; 조직면으로의 고정 지점 및 방법; 및 기계적인 조직 특성의 함수로서, 장치의 회전 강성의 함수 (k=M/Φ)이다. 변형력은 브릿지나 조직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브릿지와 조직 둘 다에 적용될 수 있다. 변형을 일으키는 "프리-로딩" 또는 "프리-텐셔닝" 힘이 조직 브릿지에 적용되는 경우, 그 힘이 장치의 항복점(yield point)을 넘지 않는 방식으로 적용되며, 조직면에 부착되고 변형력이 방출될 때, 상기 브릿지에 전달된 위치 에너지는 상기 조직에 그 영향을 발휘할 수 있다. 힘이 조직에 직접 적용되는 경우, 외부의 기계적인 힘이 상기 조직에 적용되어, 부착 시점 전에 상기 브릿지와 관련된 이들의 위치와 힘 환경을 조절한다. 상기 힘이 상기 조직에만 적용되는 경우, 상기 브릿지는 비-탄성 또는 탄성 구조물일 수 있다.
방출되는 경우 조직들 간의 힘과 공간적 관계를 조절하는 것 외에도 (정적 조절(static control) 또는 정적 방호(static shielding)), 상기 브릿지는 또한, 적용 후에 조직들이 받을 수 있는 기계적 힘을 조절하는 기능도 한다 (동적 조절(dynamic control) 또는 동적 방호(dynamic shielding)). 예를 들어, 상기 브릿지에 의해 평면들이 근접하게 되는 접합부(junction) 근처에서 조직이 중심에서부터 팽창하게 되면, 조직에서 발생한 힘에 비례하여 상기 브릿지가 보상적으로 왜곡되어 조직 장력을 완화함으로써 이 증가된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조직이 측방향의 힘 벡터를 받는 경우, 즉, 측면부의 조직이 팽창하거나 또는 조직면의 이동과 같이 신연력(distracting force)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브릿지는 가해진 힘 벡터에 관하여 왜곡되어서, 힘을 흡수하고 상기 힘으로부터 접합부 영역을 방호할 수 있다. 중심 방향의 힘 벡터, 즉, 압박력이 조직면 접합부의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으로부터 가해지는 경우, 상기 브릿지는 가해진 왜곡력에 비례하여 외부 압박을 흡수하면서 중심 방향으로 왜곡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브릿지는 조직의 힘 변화에 대해 동적으로 반응하기도 하고, 조직면들 간의 교차부 근처의 영역을 동적으로 방호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환경이 유동적이지 않은 경우 정적 장력 및 방호도 제공한다.
상기 브릿지가 강성으로 설계되는 경우, 상기 브릿지의 측면부의 임의의 비대칭적인 힘은 반대쪽 면에 전달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조직면들 간의 교차부 근처 영역이 방호된다. 상기 브릿지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측면부 조직의 힘 벡터가 비대칭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힘의 분산은 상기 브릿지에서 변형력을 흡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브릿지의 구조물을 통해 반대쪽 면의 조직(들)에 힘이 전달되는 것의 조합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는 힘 도관으로서 기능한다.
조직 브릿지는 중심부 또는 중심부들, 또는 조직 브릿지 바디(body)(들), 및 측면부들, 또는 전이부에서 연결되는 조직 브릿지 림브(limb)를 가진다. 이들 부분들은 각각 서로 다른 치수, 외양, 곡선, 각도, 또는 특정한 임상적 필요 및 조직의 특징에 의해 지시되는 외양을 가질 수 있다. 장치가 비-선형인 경우, 중심부는 측면부와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으며, 측면부 분절들 사이를 잇는 선보다 위쪽에, 또는 측면부 분절들 사이를 잇는 선의 면쪽에, 또는 부착된 조직면의 표면에 대해 다른 각도에서 존재할 수 있다. 장치는 양측으로 대칭이거나 또는 대칭이 아닐 수 있다. 주어진 장치에서, 측면부 분절들은 동일한 모양 또는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일 수 있으며, 측면부는 그 수, 배향, 치수, 재료, 구성, 또는 고정 방법에서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중심부는 외곡형(outward curve)을 나타내며, 전이부은 반대로 내곡형(inward curve)이다. 부착 표면 위의 중심부의 정점의 높이를 더 높게 만들면, 변형력을 이용한 장치의 회전 아치가 길어진다. 중심부를 더 두껍게 또는 더 넓게 만들거나 또는 중심부를 릿지(ridge)나 기타 보조적인 지지체로 변형시키면, 상기 중심부의 상대적인 회전 강성이 커져서 프리로딩 시 동일한 정도의 중심부 변형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변형력의 크기가 변할 것이다. 상대 강도 및 취약성의 다른 지점들은 변형을 받지 않는 영역과 변형 영역을 만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중 곡선 또는 각이 중심부에 병합될 수 있으며, 구멍(hole), 슬롯(slot), 그루브, 릿지, 함몰부(depression), 또는 기타 특징부들을 사용해, 조직의 현탁(suspension), 어플리케이터 장치와의 상호작용과 같은 2차 기능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봉합사나 스테이플과 같은 보조적인 고정부를 유용하게 할 수 있다.
중심부와 마찬가지로, 전이부 및 측면부는 실제로 한정되지 않은 모양, 특징부, 및 표면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을 변경하면 장치의 힘의 전달과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숄더는 직선으로 (즉, 측면부 분절과 나란히) 그리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얇게 배치되어 보다 유연할 수 있으며, 중심 분절과 측면부 분절들 사이의 변이 곡선의 모양 및 기능을 생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측면부 분절들은 변이 곡선에 근접한 부분에서는 더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래서 힘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지만, 변이 곡선으로부터 먼 곳은 더 얇아서 장치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조직면 및 2차 기능부 모두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슬롯, 그루브, 노치(notch), 구멍, 핀(pin), 후크(hook),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또한, 부착 또는 기능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부착된 메쉬(mesh), 테이프, 접착 스트립, 스트럿(strut), 또는 기타 특징부들과 같은 연장부(extens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들은 프리로딩, 로딩 (왜곡), 및 적용된 상황에서 원하는 모양 둘 다를 만들도록 여러 가지 배치상태로 중심부에 부착할 수 있다. 부착 위치 및 구역을 변경함으로써, 적용 및 사용 방법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가 측면부의 길이 중 중간점에 존재하는 경우, 중심부는 편평하게 하고 중심 분절과 측면부 사이의 변이점의 각형성은 커질 수 있도록, 왜곡력(distorting force)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예비-적용 배치에서 측면부 분절들의 중앙 헤드들 간의 거리를 늘려서,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측면부 분절들의 중앙 헤드들이 먼저 조직면과 접촉한 다음, 왜곡력이 방출될 때 변이각이 본래대로 되고, 부착된 조직은 중앙쪽으로 이동하며, 그런 다음 측면부의 나머지 부분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쪽으로의 이동(central advancement)은 중심에 위치한 구역의 조직에 원하는 장력 감소를 창출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많이 이동하는 경우, 실제의 압박력(compressive force)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중심 분절과 측면부 분절 사이의 변이점이 상기 측면부 분절의 측면부 말단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경우, 이는 더 긴 회전 호(arc)를 만든다. 전이부의 상대적인 탄성 또는 강성, 부착되는 각도 또는 곡선, 중심 분절과 측면부 분절 사이의 합성각(resultant angle), 또는 이들 중 임의의 조합을 변경하면, 적용 시 생성되는 합력 및 기계적인 조직 환경의 변화에 대한 반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분절과 측면부 분절 사이의 전이부을 매우 유연성이 있거나 또는 접합이 되도록 만드는 경우, 상기 측면부는 조직면에 접착되고, 이러한 부착이 유연하여 측면부 조직면의 직접적인 변화를 단순히 수동적으로 야기할 것이므로, 측면화 힘(lateralizing force)은 측면부 교지(lateral limb)의 상대적인 외전 또는 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측면화 조직 장력은 모두 중심 분절로 전달될 것이다. 다르게는, 중심 분절과 측면부 분절 사이의 전이부을 상대적으로 강성으로 만드는 경우, 중심부 및 측면부 뿐만 아니라 전이부까지 모두 변형력 흡수가 변할 것이다.
다른 배치 또는 구조적 특징들은 유사하게 구상되어, 변형 로딩, 조직력 상호작용, 및 적용-후 기계적 힘 변화에 대한 장치의 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들로는, 접합부(articulation), 조인트, 추축점(pivot point), 치수 변화, 곡선, 각도, 벤드(bend), 트위스트, 상대 강도 또는 취약성의 지점, 구조적 강화, 어플리케이터 부착점, 또는 기타 설계 요소들이 포함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용어로 본 발명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할 것이고, 도면은 반드시 실제 크기대로 그리지 않았으며, 이들 도면에서:
도 1A 내지 1B는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의 상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힘을 미리 가한 조직 브릿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접촉면들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미작동시 상태의 조직 브릿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와 접착제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조직면에 적용하기 위해 변형에 의해 미리 힘을 가한, 도 5의 조직 브릿지와 접착제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라, 미작동 상태에서 조직면에 적용 시 조직 브릿지를 변형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원의 개시내용에 따라, 미작동 상태에서 각진 측면부를 가지는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미리 힘을 가하고 처치 영역 위로 신연력(distracting force)을 적용하기 위해 변형된, 도 8의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원에서 개시한 본 발명에 따라, 조직 브릿지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부속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조직면에 조직 브릿지를 적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부착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A는 처치 영역에 의학적으로 근접하기 위한 개구를 규정하는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B는 접착층을 가지는 조직 브릿지의 밑면도(bottom plan view)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내지 13D는 처치 영역 위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조직 브릿지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A 내지 14D는 중심부를 가로질러 다중의 익스팬더를 가지는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를 이용하기 위한, 조직 브릿지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A 및 16B는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를 수동으로 로딩하기 위한 부속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A 내지 17D는 조직 브릿지에 퍼텐셜 힘을 미리 가하기 위해 제2 장치를 이용하는,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의 실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A 내지 18C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브릿지의 사용, 및 처치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 스템(guide stem)의 이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내지 19V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직 브릿지의 중심부 및 측면부 둘 다의 여러 가지 많은 모양과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A 내지 20B는 조직 브릿지에 힘을 프리로딩하고 상기 조직 브릿지를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한,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A 내지 21D는 경첩 및 회전 조인트가 있는 본원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조직 브릿지의 실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A 내지 22B는 중심부에 개구가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장비를 위치시키는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A 내지 23B는 다중 조직 브릿지를 처치면에 프리로딩하고 적용하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처치 영역을 따라 장력을 제공하는 가요성 시트(flexible sheet) 및 탈착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복합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A 내지 25B는 적절한 접착제를 통해 가요성 시트를 처치 영역에 부착하는 본원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A 내지 26F는 접착제 및 기타 붕대와 조직 브릿지의 여러 가지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7A 내지 27B는 패딩(padding) 및 접착 시트와 함께 사용되는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조직면을 따라 여러 가지 강도 및 탈착성을 가진 접착층의 면들을 병합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A 내지 29D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직 브릿지, 및 탭(tab)을 통해 위치시키기 위해 연신되는 가요성 시트와 조합하여 조직 브릿지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도면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많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언급한 실시 양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 되며; 그보다는 이들 실시 양태는 본 개시내용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동일한 숫자는 명세서 전체를 통해 요소들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조직면(5)의 부위들을 정렬, 근접화, 고정 및/또는 압박/신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에서는 이 장치를 조직 브릿지(10)로 지칭한다. 많은 그리고 서로 다른 종류의 요소들을 정렬 및 고정하도록 조직 브릿지(10)를 설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상처 치유를 위한 이의 이용가능성을 다루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9에서 예시한 제1 실시 양태에서, 장치는 조직면(5)에 특히 처치 영역(28)을 가로질러 합력을 제공하는 조직 브릿지(10)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조직면(tissue plane)"이라는 용어는 환자의 모든 종류의 조직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조직면"은 조직의 어느 한 표면 또는 종류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조직 브릿지가 연결될 수 있는 환자의 신체의 지점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조직면으로는, 환자의 신체 내 또는 그 위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장치의 섹션들 간의 전이부(transition)가 완만하도록 단일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별도로 조립되는 부품(part) 및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음).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조직 브릿지(10)를 형성하는 데 이용가능하며, 이로는 사출 성형, 스탬핑(stamping), 정밀 절단, 또는 단일 피스 구조를 생성하는 임의의 다른 공정을 포함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5)에 그리고 처치 영역(28)을 가로질러 이를 적용하는 것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처치면" 및 "처치 영역"이라는 용어는, 상기 용어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본 발명 또는 이를 사용하는 환경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조직면(5)은 피부, 기타 장기, 또는 해부학에서의 계면 (예를 들어, 뼈와 근육 사이의 계면)과 같이 인간이나 동물의 모든 해부학적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처치 영역(28)은 해부학의 일반화된 영역(generalized region)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조직 브릿지(10)를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영향을 받는 조직면의 부위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9는 조직 브릿지의 일반적인 개념, 및 상처 치유의 맥락에서 의료 장치로서의 용도 중 한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1B는 조직면에 전개되기 전의 미작동 상태의 조직 브릿지(10)의 제1 배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유사하게는, 도 8은 유사 장치의 다른 실시 양태의 보다 상세한 특징부를 나타낸 것이다. 조직 브릿지(10)의 모든 실시 양태에서, 조직면(5)에 대한 합력은 상기 조직면(5)에 원하는 효과를 창출하도록 상기 조직 브릿지(10) 내에서 미리-조작된다(pre-engineered). 예를 들어, 도 6, 7, 및 9는 조직 브릿지(10)가 연장하고 미리-계획된 힘(pre-planned force)을 가하는 상처 또는 절개부위의 서로 대항하고 있는 면들을 포함하는 조직면(5)을 예시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시작하여,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5)에 힘을 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치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환자의 처치 영역(28) 위로 연장되는 중심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12)는 최고 영역(uppermost region) 또는 정점(A), 및 상기 정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면과 제2 면(12A, 12B)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는 서로 조립(modular) 및 제거가능한 탈착형(detachable)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2)는 (본래, 또는 상기 중심부의 본체에 가요성 영역을 병합함으로써) 가요성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중심부는 원하는 유연성 및 탄성에 맞게 맞춰질 수 있는 치수를 가진 유연성 아치로서 기술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직 브릿지의 영역들은 필요에 따라 더 두껍거나 또는 더 얇게 만들어질 수 있음). 제1 및 제2 측면부(11A, 11B)는 각각 상기 제1 면 및 제2 면(12A, 12B)으로부터 연장한다. 도 1 및 8의 실시 양태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의 각각의 전이부(19A, 19B)를 나타낸다. 도 1은 상기 조직 브릿지(10)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12A, 12B) 사이의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D1), 및 각각의 측면부(11A, 11B) 사이의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 (L1)를 둔 채 원형으로(originally) 제작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작동(at rest)"이라는 용어는, 어떠한 외부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제작된 조직 브릿지(10)가 "미작동 상태"로 놓여서 자연스런 모양 및 상태를 가진다는 원래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 실시 양태에서, 조직 브릿지는 장치를 조직면(5)에 적용하기 전에, 퍼텐셜 힘을 구조물에 가하여 조직 브릿지(10)를 변형시킬 수 있는 중합체로 제조된다. 상기 조직 브릿지(10)가 가진 중합체로서의 성질은 전체적인 구조에 충분한 탄성을 제공해서, 조직 브릿지(10)는 변형 후, 이의 본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거나, 또는 적어도 되돌아가려고 한다. 따라서, 상기 조직 브릿지(10)를 변형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은 상기 조직 브릿지에 위치 에너지를 "가한다(load)". 힘이 실린 상태에서 상기 조직 브릿지(10)를 조직면(5)에 적용함으로써 (즉, 구조물을 변형시키고 그 변형상태를 적용 시까지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미리 계획하고 조작한 합성 벡터에서 상기 조직면(5)에 특정 방향의 힘을 방출한다. 조직 브릿지(10)의 변형은, 사용자가 조직 브릿지를 환자에게 부착하는 경우 상기 조직 브릿지가 상기 조직면에 특정 합력을 발휘하도록, 조직 브릿지 구조물의 변화 면에서 계산되고 정확하게 규정될 수 있다. 조직 브릿지의 탄성은 또한, 치유나 기타 활성이 처치 영역을 따라 일어남에 따라, 조직과 함께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동적 성질(dynamic quality)을 장치에 제공한다.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는 환자의 신체 움직임에 맞게 그 자체를 적응시키거나 또는 시간 경과에 따라 조직면에서 발생하는 증가하는 적응사항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유연하다. 중심부, 전이부 또는 숄더, 및 측면부는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는 특별히 조작된 탄성률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단일 피스 구조일 수 있거나, 또는 서로 탈착가능한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D는 조직 브릿지 (도 7A)를 왜곡시키고 (도 7B), 조직면에 적용하고 (도 7C), 처치 영역 위로 조직(5)을 외전시킨 (도 7D), 도식 도면의 시리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조직 브릿지(10)를 이용해 조직면(5) 내에서 조직을 치유에 바람직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일례이다 (즉, 도 7D에서 조직의 외전은 치유를 촉진하고 흉터 함몰부를 최소화하며; 처치 영역(28)을 가로지르는 장력을 제거하는 것 또한 흉터를 전반적으로 줄임). 조직의 이동은 조직 브릿지(10)로부터 조직면(5)에 가해지는 힘의 결과이다. 조직면에 대한 합력은 환자에 적용하기 전에 조직 브릿지를 변형시킨 직접적인 결과이며; 조직 브릿지(10)가 이의 변형된 상태로부터 미작동시의 상태로 다시 되돌아감에 따라, 상기 조직 브릿지는 미리-계획된 방식으로 상기 조직을 이동시킨다.
도 1B는 도 7A 내지 7D의 도식에 따라 사용되는 조직 브릿지의 기하학적 개요를 제공한다. 도 7D의 조직 배치 형태를 유도하는 합력은 조직면(5)에 적용하기 전에 조직 브릿지(10)를 왜곡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왜곡은 조직 브릿지(10)의 중심부(12)의 면들(12A, 12B)을 미작동시의 거리(D1)로부터 왜곡상태의 거리(D2)로 격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장치의 왜곡 또는 프리로딩(preloading)은 중심부(12)에 연결된 측면부들(11A, 11B)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조직 브릿지(10)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12A, 12B) 사이의 최대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maximum distortion-induced separation distance)(도 3, D2), 및 조직 브릿지(10)의 상기 측면부들 사이의 최대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도 3, L2)를 포함한다.
조직 브릿지(10)는 측면부(11A, 11B) (즉, 측면부의 밑면) 상의 각각의 부착부(16A, 16B)를 통해 조직 브릿지(10)를 조직면(5)에 연결함으로써, 변형에 의해 장치에 하중된 힘을 상기 조직면(5)에 발휘한다. 상기 측면부(11A, 11B)가 상기 조직면에 고정되는 경우, 중심부(12)의 제1 면과 제2 면(12A, 12B)은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D1)와 상기 최대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D3) 사이의 거리만큼 격리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측면부(11A, 11B)가 상기 조직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L1)와 상기 최대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L2) 사이의 거리만큼 격리된다.
조직 브릿지로부터 이용가능한 합력의 다른 종류를 예시하기 위해, 도 4는 미작동 상태에서 밀폐된 상태로 존재하는 조직 브릿지(10)의 실시 양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서, 중심부의 면들 사이의 거리(D3) 및 측면부들 사이의 거리(L3)는 제작 동안에 최소화한다. 따라서, 도 4의 장치에 하중을 가하는 것은, 조직면에 장치를 적용하기 전에 이들 거리를 최대화하는 것 (즉, 장치 부품을 연신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조직면에 적용 시, 장치(10)는 이의 미작동 상태인 밀폐된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어서, 조직면의 섹션들을 함께 잡아당긴다.
도 8은 조직 브릿지(10)의 또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측면부들(11A, 11B)이 중심부(12)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8의 조직 브릿지는 도 9A 내지 9C에 나타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조직면(28)을 신연 또는 격리하는 힘이 미리 하중되어 있다. 상기 조직 브릿지(10)의 상기 측면부들(11A, 11B)은 더 낮은 전이 숄더(19)로부터 장치의 정점(A)을 향해 위쪽을 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8의 장치는 상기 측면부들을 조직면(5)을 향해 아래로 구부리고 (도 9B), 상기 장치(10)를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17)를 통해 처치 영역(28)을 가로질러 부착시킴으로써, 하중을 받게 된다.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5)에 부착된 후, 이의 미작동시의 상태로 다시 되돌아갈 정도로 충분한 탄성을 가진다. 조직 브릿지(10)의 합력(R1 및 R2)은 상기 조직면을 따로 잡아당긴다 (즉,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치 영역을 가로지르는 신연력이 존재함).
조직 브릿지(10), 및 이의 조직면(5)으로의 적용은 장치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따라 기술될 수 있다. 기하학 용어들은 장치의 구조를 기술하고자 사용될 뿐,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8은 조직 브릿지(10)의 성분 섹션들 사이의 각각의 각도 또는 호(arc)를 예시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 1B 및 도 9 모두의 조직 브릿지는 환자의 처치 영역(28) 위로 연장되어 있는 중심부(12)를 병합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각각의 연결 분절(13)을 따라 중심부에 병합되고 있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11A, 11B)를 각각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분절(13)은 공통의 수평면(H)에 놓여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분절(13) 및 상기 수평면(H)은 공간에서 기하학적인 참고일 뿐,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실재하는 피스들을 나타내기 보다는 기하학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측면부(11A, 11B)는 수평면(H)으로부터 각각의 각도(Φ)로 미작동 상태에서 연장해 있다. 측면부(11A, 11B) 상의 각각의 부착부(16)는 상기 측면부를 조직면(5)에 연결하는 영역을 제공한다.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조직 브릿지(10)는 수평축(x)과 수직축(y)에 대해 연장하고 있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상기 축은 둘 다 비-제한적인 기하학적 참조이다. 수평축은 측면부와 중심부 사이의 연결 분절(13)의 각각의 중간점(M1, M2, M3) 뿐만 아니라, 측면부(11A, 11B)를 연결하는 가상의 기하학적 선 분절의 중간점을 포함한다. 조직 브릿지의 수직축은 중심부(12)의 정점(A)으로부터 측면부를 연결하는 기하학적 선 분절의 중간점(M3)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조직 브릿지(12)의 측면부는, 상기 측면부(11A, 11B)가 조직 브릿지(10)의 수평축(x)으로부터 연장해 있는 각도에 따라 표시된다. 도 1B의 실시 양태에서, 제1 측면부(11A)와 수평축(x)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180° 내지 270° 이다. 제2 측면부 (11B)와 수평축(x)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270° 내지 360° 이다. 각도에 관한 참조는 참조의 용이성을 위해 표준 4분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도 8의 배치 형태는 서로 다른 합력을 제공하는 서로 다른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제1 측면부(11A)와 수평축(x)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90° 내지 180°이다. 제2 측면부(11B)와 수평축(x)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0° 내지 90°이다. 따라서,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측면부(11A, 11B)와 중심부(12)를 연결하는 배열을 다양하게 한, 미작동시의 상태로 구축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8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면부가 연장되는 각도가 서로 다르면, 도 7D 및 9C에 나타낸 서로 다른 결과로써 알 수 있듯이, 조직면에 대해 확연히 다른 회전력을 제공한다.
조직 브릿지(10)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환자의 조직면(15)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 및 7A 내지 7D는, 접착층(17)이 부착부(16A, 16B)를 따라 각각의 측면부(11A, 11B)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접착층(17)은 상기 조직면에 부착한다. 조직 브릿지가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른 부착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조직 브릿지를 조직면(5)에 부착시키기 위한 액체 접착제, 스테이플, 나사, 및 기타 기계적인 조임기(fastener)가 존재할 수 있는 개구들(23)이 상기 조직 브릿지의 본체에 규정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부착 메커니즘들의 조합이 소정의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 브릿지(10)의 밑면에는, 조직 브릿지(10)의 밑면 전체 위로 접착제를 분포시키기 위해 홈 또는 이랑이 있는 섹션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장치의 밑면에 놓인 액체 접착제는 상기 홈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고르게 분포함).
어떤 종류의 부착 메커니즘을 사용하든지 간에,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5)을 가로질러 힘을 가하고, 상기 조직 브릿지 아래의 영역에 의학적 처치를 적용하도록 배치된다. 조직 브릿지를 사용함으로써 이용가능한 처치의 종류로는, (i)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쪽으로 힘을 배향하여, 처치 영역을 가로지르는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 (ii) 처치 영역을 압박하는 것; (iii) 조직면의 섹션들이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근접하도록 하는 것; (iv) 조직면의 섹션들을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정렬시키는 것; (vi) 조직을 고정하는 것; 및 (vii) 상처를 가로지르는 힘을 조정하는 것이 포함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직 브릿지(10)는 또한, 처치 영역을 가로지르는 의학적 개입에 유용한 다른 툴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조직 브릿지(10)가 추가의 의약 (예를 들어, 항생체, 상처 치유 약제, 마취제)을 분배하거나 또는 흡수 표면 (예를 들어, 거즈)을 제공할 수 있는 패드(32A)를 수용함을 예시한 것이다. 도 10B는 이식된 장치(32B)가 조직면 안으로 연장하여 보호가 필요한 경우, 조직 브릿지(10)가 조직면을 덮는 보호성 방호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조직 브릿지(10)는 절개 또는 상처를 포함하거나 또는 조직을 건드리지 않은 채 보호만을 필요로 조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선을 따라, 조직 브릿지(10)는, 사용자가 중심부(12)를 조직면의 특정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방향을 잡아 주는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연장부(extension)(39)를 중심부(12)가 포함하도록 병합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연장부(39)는 조직 브릿지(10)를 부착시키기 전에, 조직면(5) 상에 놓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연장부(39)를 처치 영역(28)의 절개 또는 개구 내에, 특히 조직면의 개구 중 일면을 따라 위치시킨 후, 조직 브릿지(10)를 부착하고 처치 영역(28)을 밀폐형 상태로 잡아당길 수 있다. 도 12A는, 사용자가 장치의 상부로부터 처치 영역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26)가 중심부(12)에 규정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개구(26)는 개구(26)를 통한 액체 약제의 적용과 같은 의학적 처치를 할 수 있게 한다.
조직 브릿지는 도 7, 9, 및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독립형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B, 13C, 및 13D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낸 서로 다른 실시 양태에서, 다중 조직 브릿지는 의학적 치료를 위해 조직면(5)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다중 조직 브릿지는 상처나 기타 처치 영역의 폐색과 같은 의학적 목적으로 기능할 수도 있는 공통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3B는, 처치 영역(28) 상으로 향하는 특수한 힘을 조작해서 조직면의 전 섹션을 치료하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조직 브릿지(1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B의 실시예에서, 상기 섹션은 조직면의 윤곽이 그려진(contoured) 절개 또는 개구를 포함하며, 조직 브릿지들(10)은 전략적인 배치 형태에서 윤곽을 따라 놓여서 흉터는 덜 지게 하면서 상처 치유를 촉진한다.
도 13C는, 일련의 조직 브릿지들(10)이 처치 영역(28)과 조직 브릿지(10)의 중심부 사이에 개방형 공간을 만들기 위한 스카폴딩(scaffolding)으로서 기능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학적 처치용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 조직 브릿지 중심부의 만곡 또는 상승 성질은 처치 영역 위로 보호 공간을 제공한다. 일련의 조직 브릿지를 통해 형성되는 개방형 공간은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채널을 통해 의학적 개입이 접근가능하다. 도 13C는, 적용된 시트(43), 또는 처치 영역(28)을 추가로 보호하는 재료 층을 지지하도록, 일련의 조직 브릿지(10)로 제시되는 스카폴딩이 작용할 수도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적용된 시트 (예를 들어, 중합체 접착 시트)는, 사용자가 상기 적용된 시트(43)와 의학적 개입을 위한 처치 영역(28) 사이에 덮힌(covered) 채널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처치 영역(28)을 배액하거나, 처치 영역(28)에 관주하거나, 또는 처치 영역(28)에 흡인을 적용하기 위한 보호된 채널에 펌프를 부착할 수 있다. 물론, 적용된 시트 또는 접착제는 이러한 사용들을 견디는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것이다 (즉, 흡인을 적용해서 시트 하에 진공상태를 만들 때, 상기 시트는 망가지지 않을 것임). 도 13C의 실시 양태는 또한, 개별 도관들(36)이 상기 보호된 채널에 끼워질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개별 도관들(36)은 약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상처의 관주 또는 배액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관일 수 있다. 상기 보호된 채널이 처치 영역(28)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의학적 개입 영역으로서 작용함에 따라, 상기 조직 브릿지들(10)은 제2 접착제(41)를 이용해 조직면(5)에 적용되어, 적절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조직 브릿지(10)를 독립형 장치 (도 7, 9, 13A)로 또는 조합해서 (도 13B-13D) 사용하든지 간에, 상기 조직 브릿지(10)의 모양, 및 하중을 받는 동안 이것이 변형되는 방식은 각각의 적용에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 14B, 및 14C는, 처치 영역(58) 위로 분포되는 위치 에너지를 조직 브릿지(50)에 가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부가적인 부위(53A, 54A)를 상기 중심부가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A의 상부에서, 조직 브릿지(50)는 변형을 받기 전에는 미작동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이중 루프" 모양을 변형시킬 시, 변형부(53A, 54A)는 확장하고, 측면부들이 접착제 섹션(51)을 통해 처치 영역(58)에 부착한다. 전술한 다른 실시 양태에서와 같이, 상기 조직 브릿지(50)는 접착제 섹션(51)을 통해 환자에 직접 부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도 14의 실시 양태는 조직 브릿지(50)의 접착제 섹션(51)과 처치 영역(58) 사이에 개별 붕대(55)를 삽입하고 있다. 도 14C는, 처치 영역에 적용한 경우, 상기 조직 브릿지(50)가 이의 미작동시의 모양과 상태(도 14A)로 다시 되돌아감을 나타낸다. 처치 영역(58)을 따라 조직을 함께 잡아당기는 압박력은 도 14에서 조직면 내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으며, 처치 영역(58) 방향으로 향해 있다.
도 14의 "이중 루프" 모양은, 조직 브릿지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이 조직면에 특정한 합력 세트를 생성하기 위해 장치의 모양을 조작하는 여러 가지 실시 양태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일례이다. 장치에 에너지 및 힘 퍼텐셜을 프리로딩하도록 변형되는 조직 브릿지의 영역들은 임의의 크기 및 모양을 취할 수 있다. 이들 변형가능한 영역들은 원하는 크기 및 방향의 범위 내에서 힘 벡터를 생성하는 임의의 종류의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a가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2가지 확장 영역 또는 루프(53A, 54A)를 나타내고 있는 한편, 도 14B는 변형가능한 루프 자체도 도 14B에서 나타낸 압축된 익스팬더(53B, 54B)와 같이, 여러 가지 모양과 크기로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A의 활형 배치 형태와는 반대로, 압축된 익스팬더(53B, 54B)는 보다 상당히 선형이며, 각각의 익스팬더(53B, 54B)의 면들은 미작동 상태에서 서로 더 근접해서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각각의 익스팬더에 대한 서로 다른 배치 형태로 인해, 각각의 조직 브릿지로부터의 합력을 맞출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어 맞춤형 모양을 가지도록 조직 브릿지의 중심부 및 측면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직 브릿지가 조직면에 위치하기에 바람직한 특정한 크기 및 방향의 힘을 많이 생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4는 또한, 단일 조직 브릿지(50)가 다중 익스팬더(53A, 53B, 54A, 54B)를 단일 피스 본체를 따라 병합하여, 장치에 미리 하중되는 위치 에너지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복수의 익스팬더(53A, 53B, 54A, 54B)를 이용해 조직 브릿지를 형성함으로써, 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익스팬더를 단지 하나만 사용하는 조직 브릿지와 비교해, 조직 브릿지의 높이와 관련하여 크기가 변경된 합력 벡터를 생성한다. 실제로, 도 14에 나타낸 조직 브릿지(50)는 조직면에 조직 브릿지에 대한 더 낮은 프로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전술한 수평축(x)으로부터 측정되는) 각각의 익스팬더의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낸 "이중 루프" 모양은, 보다 더 큰 중심부로 달성될 합력을 생성한다 (즉, 단일 익스팬더 장치는 상기 수평축(x)으로부터 측정되는 중심부의 높이가 높을 것을 필요로 할 것임).
본원에서 개시하는 조직 브릿지(10)는 효율적인 변형과 힘의 부하(force loading) 뿐만 아니라 환자에 위치시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부착부들 및 2차 장비들을 이용해 개조될 수 있다. 도 15 내지 18은, 상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조직 브릿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병합될 수 있는 부속품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은 예로 포함된 것일 뿐,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5는 조직 브릿지가 다수의 개별 조직 브릿지들(D)을 고정하고 있는 디스펜서(60)에 병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실시 양태는 조직 브릿지가 테이프 롤 또는 다른 접착제(R)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60) 내에서 개구(64)로부터 분포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펜서(60)는, 조직 브릿지의 중심부(12)에 압력을 가하여 환자에 직접 적용되는 조직 브릿지에 미리 하중을 가하는, 경사진 부분을 가지는 채널을 따라 상기 디스펜서의 밖으로 조직 브릿지(D)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도 15의 디스펜서는 다수의 조직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조직 브릿지를 제공하고, 미리 하중을 받은 조직 브릿지를 처치 영역에 직접 적용하는 어플리케이터로서 기능하는, 디스펜서의 일례일 뿐이다.
도 16A 및 16B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조직 브릿지(10)가 환자의 처치 영역에 조직 브릿지(10)를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부가적인 특징부들을 병합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부가적인 예들이다. 도 16A는 사용자가 도 16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각자의 손가락(finger)에 씌울 수 있는 특수한 종류의 고리(63)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리들(63A, 63B)은 각각 고리의 각자의 본체에서 연장되는 부착 돌출부(62)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는 고리가 씌워진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평행하게 된다. 조직 브릿지 커넥터(61A, 61B)는 도 16B에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으며, 일례에서는 구조상 아치형이거나 또는 각이 져 있을 수 있으며 두께가 다양하거나 또는 정해져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전이 숄더(19A, 19B)에 근접해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또는 2차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커넥터 (61A, 61B)를 이용함으로써, 중심부(12)를 확장시킴으로써 조직 브릿지(10)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커넥터(61A, 61B)는 사용자의 2개의 인접하지 않은 손가락에 씌워진 부착 고리들(63A, 63B)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고리들(63A,63B)을 상기 커넥터(61A, 61B)에 연결하여 전이 숄더(19A, 19B)를 통해 중심부(12)를 편리하게 확장하며, 동시에 상기 중심부(12)의 정점(A)을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중심부를 수동으로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대신, 사용자는 도 17A에 나타낸 플런저(plunger)(65)를 이용해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중심부(12)를 확장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17의 실시 양태는, 통상적인 부속품을 이용하여 퍼텐셜 힘을 조직 브릿지에 수동으로 가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식의 예들을 제시한다. 이에, 조직 브릿지는 상기 조직 브릿지의 사용을 돕는 2차 장비들의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조직 브릿지와 함께 사용되는 전술한 2차 장비 키트는 도 17B에 나타낸 측부 익스팬더(6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익스팬더(66)는 각각의 측면부(11A, 11B)에 상기 측부 익스팬더(66)를 연결함으로써, 조직 브릿지(10)가 상기 측면부(11A, 11B)를 통해 하중을 받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측부 익스팬더(66)는 그루브, 통로, 또는 기타 측면부 부착점(68)과 만나는 모양 및 관련된 치수를 가지고 있어서, 장치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퍼텐셜 힘을 미리 가하게 된다. 도 17C는 수동형 변형 메커니즘(69) (예를 들어, 크림퍼(crimper))이 돌출부들(69a, 69b, 69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들은 조직 브릿지(10)의 서로 대항하고 있는 면들에서 피트되어, 상기 조직 브릿지를 확장함을 나타낸 것이다. 크림퍼 핀의 모양은 특정 조직 브릿지 모양에 맞게 변경 또는 조정질 수 있다.
조직 브릿지(10)에 미리 하중을 가하는 2차 장비 외에도, 조직 브릿지는 조직 브릿지의 설치를 돕는 장치와 연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브릿지(10)의 본체는 조직 브릿지(10)가 조직면(5)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유용한 측정부(measurement), 마킹(marking), 눈금(scale), 또는 기타 시각적인 표시부(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 브릿지는 또한, 조직 브릿지(10)의 측면부(11A, 11B)에 부착하는 측방향 연장형 안정화 팔(laterally extending stabilizing arms)(72B)을 포함하는 가이드 스템(72A)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스템(72A)은 도 18A에 나타나 있으며, 처치 영역(28)의 한 면에 기대어 설치하는 데 유용하며, 상기 처치 영역의 반대 면이 가이드 스템(72A)과 용이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도 18B, 18C). 일반적으로, 도 17B, 17C, 및 18은 중심부(12)에서만 작동하는 대신, 장치의 외부 말단들의 지점들에서 조직 브릿지에 하중을 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2차 장비들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들을 나타낸 것이다.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5)의 특정 방향으로 원하는 합력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모양 및 크기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 중 도 19는, 조직 브릿지(10)에 포함될 수 있는 측면부(11A, 11B), 중심부(12), 및 전이부(19)에 대한 20가지의 제안된 모양 및 배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9A는 조직 브릿지의 상부면을 나타낸 것으로, 맞춤형 실시 양태를 위해 중심부(112)의 가장 높은 부분의 가로 방향에서 좁아지는 요크(yoke)를 포함하며, 측면부(114, 116)의 폭은 확장되어 있다. 도 19B에서는, 중심부(11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좁아지는 요크가 확장되어 있으며, 측면부(114, 116)는 둥글고, 측면부로부터 연장해 있는 접착제 탭(115,117)을 사용해 조직 브릿지를 조직면에 부착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9C는, 대상의 조직 브릿지(214)의 상부면에 맞게 상당히 변형 및 조정가능한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D는, 조직 브릿지(312)가 하나 이상의 측면부(314, 315, 316)를 포함하여, 조직면의 더 넓은 표면적 위로 특정 방향의 힘을 가하거나 또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합력(converging force)을 생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E 내지 19O는, 적절한 세트의 합력을 제공하는, 독특하게 조작한 부분들을 가진 단일 피스 장비로서 조직 브릿지를 제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조직 브릿지의 각각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19G는 측부 폴드(lateral fold)(17A, 17B)를 포함하여, 어플리케이터를 가진다. 도 19H는 핸들(18A, 18B)을 포함하여, 조직 브릿지를 수직축에 대해 수동으로 확장할 수 있다. 도 19J는 프롱(prong)(31A, 31B)을 통해 조직면에 조직 브릿지를 부착하며, 이 프롱은 또한 도 29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들에 나타낸 접착 시트를 부착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도 19M 내지 19O는, 중심부 및 전이 숄더를 측면부의 면을 따라 서로 다른 지점에 부착함으로써, 서로 다른 합력이 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P 내지 19V는 원하는 합력을 생성하는 모양의, 점차 특수한 종류의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P에서, 측면부(11)의 모양은 비대칭적이어서, 처치 영역(28)의 서로 다른 영역이 서로 다른 합력 벡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19Q 및 19R은, 중심부(12)는 둥근형이고 측면부는 방사상으로 연장해 있어서, 원형 절개 또는 다른 상처들을 밀폐시켜서, 합력이 처치 영역 주변을 모두 둘러싸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9S는 측면부가 위치하게 될 조직면의 면적에 따라 측면부(11)의 수와 모양의 조합이 임의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T 및 19V는 조직 브릿지(19T) 바로 아래에서 접착제로 또는 측면부(19V)에서 연장되는 접착제 스트립으로 부착되든지 간에, 처치 영역의 어느 한 면에 대칭적인 힘 벡터를 제공한다. 도 19 U는 조직 브릿지(10)가 단순한 모양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며, 조직면에 대한 합력을 조정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개구를 규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 내지 29는 조직 브릿지를 적용하고, 조직 브릿지의 구조에 대한 대칭률, 및 균일하지 않을 수 있는 조직면 (즉, 서로 다른 부착 요건을 가진 골 부위와 근육 부위를 가지는 조직면)에 조직 브릿지를 사용하는 것을 촉진하는 부속품을 다양하게 하는 특수한 방식으로 요구하는 의약 영역으로 조직 브릿지의 개념을 넓힌다. 예를 들어, 도 20은 조직 브릿지(10)를, 조직 브릿지의 중심부(12)가 수용될 개구(82)를 규정하고 있는 어플리케이터(80)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개구(82)를 둘러싸고 있는 어플리케이터(80)의 모서리들은 조직 브릿지(10)에 부착하며, 이러한 부착은 일시적이거나 또는 영구적일 수 있다. 도 20A의 어플리케이터(80)는 조직 브릿지용 어플리케이터의 모양과 배향의 단지 일례일 뿐이며, 어플리케이터(80)의 서로 대항하고 있는 섹션들의 각 운동을 위해, 이의 중간부를 따라 접힘부(folding region)(8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힘부(84)를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터(80)를 구부림으로써, 부착된 조직 브릿지는 조직 브릿지(10)에 퍼텐셜 힘을 어느 한 방향으로 미리 가하게 된다. 도 20C는 조직 브릿지를 변형시킨 후에도 여전히 제자리에 있는 어플리케이터(80)를 이용해 하중을 받은 조직 브릿지의 상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C의 실시 양태는 조직면을 가로질러 설치할 준비가 된 것이다 (나타내지 않음).
도 21은 이동형 조인트 또는 힌지(14A, 14B)에 의해 연결된 다중 조각 어셈블리로 제조되는 조직 브릿지의 여러 가지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조직 브릿지(10)의 구조적 특징부를 다양한 배치 형태로 연결해서, 조직면에 대해 서로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실시 양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9M, 19N, 및 19O와 유사하게, 도 21A 내지 21D는 중심부(12)가 측면부의 면을 따라 서로 다른 지점에서 측면부(11A, 11B)에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도 21A는 측면부의 중간점에서 중심부에 부착하며, 도 21B는 측면부의 내측 영역에서 연결되며, 도 21C는 측면부의 바깥쪽 말단에서 연결됨). 도 21에 나타낸 배치 형태들은 각각 힌지드 어셈블리(hinged assemblies)(14A, 14B)를 포함하여, 측면부들을 위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직 브릿지의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힌지들(14A, 14B)은 상기 힌지드 어셈브리를 원하는 각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동(ratcheting)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D은 중심부(12)의 정점에 있는 조인트 (14C)를 통해 회전 기능을 추가로 병합한다. 회전형 조인트(14C)는 장치를 비-선형 조직면을 따라 맞추는 부가적인 맞춤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와 함께 사용되는 2차 장비의 보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도 22는 조직 브릿지(10)의 중심부(12)가 중심부 개구(88)를 규정할 수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처치 영역(28)에 의학적 개입을 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개구(88)는 시각적인 조사, 의약의 적용에 이용가능하거나, 또는 도 22에 나타낸 클램프(93)와 같은 다른 툴을 삽입하는 데 이용가능하다. 도 22A는 사용자가 상기 개구(88)를 통해 상기 클램프(93)를 삽입하고,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치 영역(28)과 함께 조직면을 잡아당길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클램프(93)는 조직 브릿지에 미리 하중을 가하기 전에, 미리 하중을 가하는 도중에, 또는 심지어 조직 브릿지에 퍼텐셜 힘을 가한 후에, 조직을 정렬하기 위해 삽입할 수 있다. 일례에서, 클램프(93)는 미리 하중을 가한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에 부착시키기 전에 조직을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켜서, 처치 영역에 조직 브릿지가 정렬하고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독립형 장치로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일련의 조직 브릿지(10)는 처치 영역을 횡단하고, 사용자가 규정한 통로를 따라 합력을 제공한다. 상기 조직 브릿지는, 처치 영역을 따라 서로 격리된 지점에서 원하는 결과를 수득하도록 조작한 크기 및 방향으로 다양한 정도의 힘을 적용하도록 미리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들 선을 따라서, 도 20의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는 도 23A 및 23B에 나타낸 다중 조직 브릿지를 수용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85)는 많은 어플리케이터 개구들(82A 내지 82E)을 규정하고 있어서, 조직 브릿지들(10A 내지 10E)은 조직면에 하중을 가하는 동시에 이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연결된다. 어플리케이터(85)를 접힘부(87)를 따라 구부림으로써, 부착된 조직 브릿지들(10A 내지 10E)은 변형되고 퍼텐셜 힘으로 하중을 받는다.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조직면에 적용된 후에 상기 조직 브릿지로부터 제거된다. 다른 실시 양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가적인 보호를 위해 제자리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23A에 나타낸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85)는 실제로, 연신형 시트 또는 붕대(90)를 통해 조직면을 따라 힘을 가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양태에서, 상기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85)는 스탠드 얼론(stand alnoe) 조직 브릿지들(10A 내지 10E) 없이 조작되며, 대신에 처치 영역을 가로질러 가요성 시트(90)를 적용한다. 이러한 면에서, 상기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85) 및 상기 가요성 시트(90)는 본질적으로 "2-파트" 조직 브릿지로서, 탄성 성분(90)에 의해 제공되는 브릿지의 탄성 기능성과, 어플리케이터(85)에 의해 제공되는 브릿지의 비-압축성의, 강성 특징이 존재한다. 이러한 실시 양태는 본질적으로 2-피스 브릿지로서 적용되는 복합 조직 브릿지를 나타내며, 조직면이 치유됨에 따라 (즉, 팽창부분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85)는 제거되어, 가요성 시트가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양태는 가요성 시트(90) 및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85)가 어플리케이터(85)나 시트(90) 중 어느 것도 장력 하에 존재하지 않은 채, 접혀진 배열로 제조되거나 운송되게 할 수 있다. 이는, 가요성 시트(90)가 일정한 응력 하에 시간 경과에 따라 변형 및 파단되는 중합체로 형성된 붕대, 접착제, 또는 다른 유형의 시트일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도 24의 접힘 실시 양태는, 조직 브릿지 어플리케이터 및 관련 시트가 처치 영역 위로 상기 시트를 연결함으로써 조직 브릿지의 기능을 달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어플리케이터(85)를 폄으로써, 사용자는 시트(90)를 미리 조작한 수준의 장력으로 연신한다. 처치 영역에 시트를 설치하면, 상기 시트(90)가 이의 미작동 상태로 다시 되돌아간 후, 펴지고 처치 영역 위로 합력이 놓이게 된다 (즉, 조직면에 적용된 연신된 시트는 안쪽으로 잡아 당겨질 것임). 가요성 시트(90)는 영구적이거나 또는 일시적인 공지된 접착제에 의해 조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5A 및 25B는 붕대(90)에 연결된 스탠드 얼론 조직 브릿지(10)를 이용해 유사한 붕대 적용을 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A는 가요성 시트(90) 내부의 느슨하거나 또는 장력이 없는 상태의 영역(22)을 나타내며, 이 영역은 중심부(12) 및 측면부(11)의 변형에 의해 조직 브릿지(10)가 미리 하중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요성 시트(90)를 연장한다. 도 25B는 적절한 접착층들(17, 93)을 이용해 처치 영역(28)에 설치된 가요성 시트(90)를 연장하는, 미리 하중을 받은 조직 브릿지(10)를 나타낸 도 25A의 실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조직 브릿지(10)를 붕대 또는 붕대의 기능과 조합하는 실시 양태는, 조직 브릿지 개념의 유용성에 보다 다른 개념을 추가한다. 상기 조직 브릿지(10)를 사용해 붕대, 접착 시트, 보호 커버, 또는 접착층을 의료적 개입을 위해 조직면(5)의 처치 영역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에 접착하는 붕대 또는 다른 시트와 일체형으로(integrally) 형성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26F는 접착층들(17A, 17B)이 부착되어 형성된 조직 브릿지(10)를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개념을 예시한 것이다. 접착층들(17A, 17B)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조직 브릿지와 함께 사용되어 전체적인 조합이 환자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의 종류의 예일 뿐이다. 측면부(11A, 11B)에 연결된 접착층(17A, 17B)을 나타내는 실시 양태들은 접착층(17A, 17B)의 뒷면을 제거함으로써, 조직 브릿지(10)를 변형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양태들(도 26E, 26F)은, 조직 브릿지가 처치 영역에 접착 시트를 적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접착 시트(17A, 17B)는 조직 브릿지가 차지하는 밑면(footprint)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도 27A 및 27B는, 조직 브릿지와 조합해서 사용되는 시트가 의약층, 접착층, 장력 시트, 또는 조직면에 힘이나 다른 의학적 개입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층들일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직 브릿지는 이들 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거나 (도 27A), 또는 이들 층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7B).
도 28은 조직 브릿지(10)의 중심부(12)에 패딩층(32)을 병합한 것이다. 상기 패딩층(32)은 약제를 전달하거나, 유체를 흡수하거나, 또는 단순히 조직면의 통증 또는 민감성 부위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조직 브릿지(10)의 측면부(11A, 11B)는 조직 브릿지를 환자의 처치 영역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들(17A, 17B, 17C, 17D)을 수용한다. 도 28의 실시 양태는 각각의 접착층이 조직면에 여러 가지 접착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가장 외부의 접착층(17A,17D)은 조직면에서 매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한편, 접착층의 내부 섹션(17B, 17C)을 제거하려면 더 큰 힘이 필요하다. 다르게는, 내부 접착층이 쉽게 제거가능하여, 부분적으로 부착된 조직 브릿지가 재위치된 후, 측면의 대부분 섹션이 조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양태에서, 측면의 대부분의 섹션은, 가장 효과적인 위치로 위치한 경우, 더 강하고 단단한 부착 장치가 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가장 내부의 층(17B, 17C)의 영역을 따라 더 큰 압박력 또는 신연력을 제공하고, 가장 외부의 영역(17A, 17D)을 따라서는 보다 낮은 크기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한 도면들 중 마지막 도면에서, 도 19H의 실시 양태가 확장되어, 탭 또는 핸들(18A, 18B)을 가진 조직 브릿지(10)의 환경적인 사용을 보여주며, 이러한 탭 또는 핸들은 함께 수동적으로 핀치되어(pinched), 조직 브릿지(10)를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조직 브릿지(10)는 조직면(5)의 처치 영역 위로 위치한 의약 시트(90)를 확장시킨다. 도 29A는 변형되기 전의 미작동 상태의 조직 브릿지(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B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하중을 받은 조직 브릿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C에서, 조직 브릿지 및 의약 시트는 조합된 조직 브릿지로서 작동하여, 처치 영역을 외전시키고, 처치 영역의 조직면을 가로지르는 장력을 감소시킨다. 도 29D에서, 조직 브릿지(10)는 제거되어, 의약 시트가 남아 있으며, 처치 영역(28)에 걸친 외전이 전보다 좀 덜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한 조직 브릿지는 프리로딩 및 방출 힘에 적절한 탄성, 및 조직면에 장치를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중합체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종류의 물질에 보편적인 제조 시스템을 이용해 원하는 사양에 따라 조직 브릿지를 만들 수 있다. 단일 피스 구성물은 조직 브릿지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데 유용하지만,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대로 다중의 부품들을 병합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한 접착제, 접착 시트, 및 가요성 시트 또한, 접착 및 중합체 시트의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조직 브릿지는 의료 목적 또는 환자의 편안함을 위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브릿지로 인한 마모 또는 마찰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처치 영역에 치유 효과를 제공하는 실리콘 코팅).
본원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 및 다른 실시 양태는 이들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알 것이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교시의 이점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은 개시한 구체적인 실시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 또는 다른 실시 양태들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됨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인 용어를 본 발명에서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는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될 뿐, 제한하는 목적을 가지지는 않는다.

Claims (45)

  1. 조직면(tissue plane)에 힘을 가하기 위한 조직 브릿지(tissue bridge)로서,
    환자의 처치 영역 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중심부(central portion)이되, 상기 중심부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이 (i) 상기 조직 브릿지가 미작동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predefined at-rest separation distance)를 가지도록, 그리고 (ii) 상기 조직 브릿지가 변형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distortion-induced separation distance)를 가지도록 상기 중심부는 유연하며,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는 상기 미작동시 격리 거리보다 긴, 중심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면부(lateral section) 및 제2 측면부; 및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와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격리되도록 상기 측면부들을 각각 상기 조직면에 연결하는, 상기 측면부들 상의 각각의 부착부(attachment zone)
    를 포함하고,
    상기 조직 브릿지에 왜곡력의 적용,
    상기 변형 상태에 있는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면에 적용, 및
    상기 왜곡력의 방출
    의 순차적인 과정에 응답하여 상기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 하여금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미작동 상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조직 브릿지.
  2.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한 조직 브릿지로서,
    환자의 처치 영역 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제1 면 및 제2 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이되, 상기 측면부들이 (i) 상기 조직 브릿지가 미작동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의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를 규정하고, 그리고 (ii) 상기 조직 브릿지가 변형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의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를 규정하도록 상기 중심부가 유연하고,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는 상기 미작동시 격리 거리보다 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들이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와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격리되도록 상기 측면부들을 각각 상기 조직면에 연결하는, 상기 측면부들 상의 각각의 부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직 브릿지에 왜곡력의 적용,
    상기 변형 상태에 있는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면에 적용, 및
    상기 왜곡력의 방출
    의 순차적인 과정에 응답하여 상기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 하여금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미작동 상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조직 브릿지.
  3.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한 조직 브릿지로서,
    환자의 처치 영역 위로 연장되는 중심부이되, 상기 중심부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이 (i) 상기 조직 브릿지가 미작동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를 가지도록, 그리고 (ii) 상기 조직 브릿지가 변형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중심부는 유연하며,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는 상기 미작동시 격리 거리보다 긴, 중심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및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와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격리되도록 상기 측면부들을 각각 상기 조직면에 연결하는, 상기 측면부들 상의 각각의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직 브릿지에 왜곡력의 적용,
    상기 변형 상태에 있는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면에 적용, 및
    상기 왜곡력의 방출
    의 순차적인 과정에 응답하여 상기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 하여금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미작동 상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상기 측면부들은 조직면에 부착되어, 상기 조직면을 가로질러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힘은 상기 조직면에 처치를 적용하고,
    상기 처치는,
    (i) 상기 측면부들로부터 상기 중심부 쪽으로 힘이 가해지게 해서, 처치 영역을 가로지르는 장력을 감소시키는 처치,
    (ii) 상기 처치 영역을 압박하는 처치;
    (iii) 상기 조직면의 섹션들을 상기 처치 영역에 대해 근접시키는 처치(approximating);
    (iv) 상기 조직면의 섹션들을 상기 처치 영역에 대해 정렬하는 처치;
    (vi) 조직을 고정하는 처치; 및
    (vii) 상처를 가로지르는 힘을 조정하는 처치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면에 연결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측면부들이 단일 피스 구조(single piece construc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들이 상기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면에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 각각의 전이 숄더(transitional shoul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가 유연성 아치(flexible ar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 각각의 전이 숄더를 포함하며,
    상기 전이 숄더가 상기 측면부들에 연결된 조직 상에 회전력을 부여할 정도로 충분히 유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가 상기 중심부의 정점(apex)으로부터 상기 중심부의 각각의 상기 제1 면 및 제2 면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가지는 유연성 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탈부착가능한 붕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가, 상기 붕대를 환자의 피부 또는 상기 조직 브릿지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 스트립(adhesive strip)을 포함하는, 조직 브릿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가, 상기 조직 브릿지의 변형 시 연신되고 처치 영역에 적용 시 수축되는(retract) 탄성 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 각각의 전이 숄더를 포함하며,
    상기 전이 숄더가 상기 중심부에 가장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면부들에 가장 근접한 지점까지 변화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가 각각의 연결 분절(connection segment)을 따라 상기 중심부에 결합(joining)되며,
    상기 연결 분절은 공통의 수평면 내에 놓이고,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각각의 각도에서 미작동시의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이 상기 조직 브릿지에 대한 수평축을 규정하고, 상기 수평축은 상기 연결 분절들의 각각의 중간점, 및 상기 연결 분절들 사이의 중간점을 포함하며; 및
    상기 중심부가 상기 조직 브릿지의 정점을 포함하며, 상기 정점, 및 상기 연결 분절들 사이의 상기 중간점이 수직축을 규정하며, 상기 수직축은 상기 정점, 및 상기 측면부들 사이의 상기 중간점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 사이에 각각의 전이 숄더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가 유연성 아치를 포함하며; 및
    상기 전이 숄더 및 상기 유연성 아치가 대칭적인 탄성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브릿지.
  18.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한 조직 브릿지로서,
    환자의 처치 영역 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중심부이되, 상기 중심부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조직 브릿지가 미작동 상태에 있는 동안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서 규정되고, 상기 조직 브릿지가 변형 상태에 있는 동안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규정되게 상기 조직 브릿지가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미작동 상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는 상기 미작동시 격리 거리보다 긴, 중심부;
    서로 반대되는 상부면과 밑면 및 서로 반대되는 내부 단부과 외부 단부를 가지는 제1 측면부이되, 상기 중심부의 제1 면이 상기 내부 단부와 외부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면에 연결되어서, 상기 미작동 상태에서,
    상기 내부 단부는 상기 중심부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부가 위에 연장되는 영역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단부는 상기 중심부가 위에 연장되는 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제1 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부;
    서로 반대되는 상부면과 밑면 및 서로 반대되는 내부 단부와 외부 단부를 가지고 제2 측면부이되, 상기 중심부의 제2 면이 상기 제2 측면부의 내부 단부와 외부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상부면에 연결되어서, 상기 미작동 상태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내부 단부가 상기 중심부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중심부가 위에 연장되는 영역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면부의 외부 단부가 상기 중심부가 위에 연장되는 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제2 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밑면 상에 있고 상기 조직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부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직 브릿지에 왜곡력의 적용,
    상기 변형 상태에 있는 조직 브릿지를 상기 조직면에 적용, 및
    상기 왜곡력의 방출
    의 순차적인 과정에 응답하여 상기 조직면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 하여금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상기 조직 브릿지는 상기 미작동 상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조직 브릿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내부 단부가 상기 제1 측면부의 외부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2 측면부의 내부 단부가 상기 제2 측면부의 외부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조직 브릿지.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유연성 아치를 포함하는, 조직 브릿지.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측면부들이 다중 피스 구조(multi-piece construction)를 포함하는, 조직 브릿지.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제1 면은 상기 제1 측면부의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부의 제2 면은 상기 제2 측면부의 중심에 연결되는, 조직 브릿지.
  23. 제18항에 있어서,
    내부 단부들이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와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 둘 다 연장되는 축에 대하여 안쪽으로 비스듬하게 위로 연장되어서 서로를 향하여 합해지도록 연장되는, 조직 브릿지.
  24. 제18항에 있어서,
    외부 단부들이 상기 예정된 미작동시 격리 거리와 상기 왜곡-유도성 격리 거리 둘 다 연장되는 축에 대하여 안쪽으로 비스듬하게 아래로 연장되어서 서로 멀어지게 갈라지도록 연장되는, 조직 브릿지.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KR1020137028939A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KR102046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9966P 2011-03-31 2011-03-31
US201161470158P 2011-03-31 2011-03-31
US61/470,158 2011-03-31
US61/469,966 2011-03-31
PCT/US2012/031638 WO2012135735A2 (en) 2011-03-31 2012-03-30 Force modulating tissue brid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673A Division KR102191430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993A KR20140020993A (ko) 2014-02-19
KR102046977B1 true KR102046977B1 (ko) 2019-11-20

Family

ID=4693241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39A KR102046977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KR1020217015112A KR102399746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KR1020207035465A KR102256092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KR1020197033673A KR102191430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112A KR102399746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KR1020207035465A KR102256092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KR1020197033673A KR102191430B1 (ko) 2011-03-31 2012-03-30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20140128819A1 (ko)
EP (1) EP2691029A4 (ko)
JP (1) JP2014516288A (ko)
KR (4) KR102046977B1 (ko)
CN (2) CN106725645A (ko)
AU (2) AU2012236205B2 (ko)
BR (1) BR112013025232B1 (ko)
CA (2) CA3158872A1 (ko)
WO (1) WO20121357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9131A1 (en) 2011-03-03 2012-09-07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kin tightening
KR102046977B1 (ko) 2011-03-31 2019-11-20 이엠알지이, 엘엘씨.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BR112014009112B1 (pt) 2011-10-20 2021-06-01 Emrge, Llc. Cobertura removível para objeto
AU2013345041B2 (en) 2012-11-16 2018-08-02 Brijjit Medical, Inc. Fixation device for securing a linear element to a workpiece
US20140336701A1 (en) * 2013-05-09 2014-11-13 Anthony Barr McLorg C-spring suture for primary closure of surgical incisions
WO2015039024A1 (en) 2013-09-16 2015-03-19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Bioabsorbable clips and applicator for tissue closure
DE102014104800A1 (de) * 2014-04-03 2015-10-08 Aesculap Ag Medizinische Befestigungseinrichtung sowie Referenzierungsvorrichtung und medizinisches Instrumentarium
DE102014221259A1 (de) * 2014-10-20 2016-04-21 Aesculap Ag Medizinisches Produkt und medizinisches Kit zur Anwendung beim Verschluss von biologischem Gewebe
CN107106182B (zh) 2014-11-03 2019-11-22 俄勒冈健康与科学大学 用于组织闭合的夹具和施用器
CN105342656A (zh) * 2015-10-19 2016-02-24 张新平 皮肤伤口减张装置
CN108348254A (zh) * 2015-11-09 2018-07-31 戴尔·诺曼·沃克 用于治疗皮肤伤口的伤口治疗装置以及治疗皮肤伤口的方法
US11096817B2 (en) * 2016-10-19 2021-08-24 6D Tape Inc Therapy tape to aid patient recovery
CN109862833B (zh) 2016-10-21 2023-03-28 埃姆格公司 调整力的组织间桥、相关工具、套件和方法
CN110248625A (zh) * 2016-11-28 2019-09-17 纽约市哥伦比亚大学理事会 多层管状弹性化创伤敷料
DE102016123681B4 (de) * 2016-12-07 2018-11-29 Faurecia Autositze Gmbh Befestigungsmittel zum schwenkbaren Befestigen einer Sitzwanne eines Fahrzeugsitzes,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schwenkbaren Befestigen einer Sitzwanne an einem Fahrzeugsitz
CN107137119A (zh) * 2017-07-04 2017-09-08 安瑞医疗器械(杭州)有限公司 一种缝合夹及其释放方法
USD876641S1 (en) 2017-10-20 2020-02-25 Emrge, Llc. Medical article for treating a wound and/or scar tissue
USD862695S1 (en) 2017-10-20 2019-10-08 Emrge, Llc Medical tool for use in applying medical article
JP7028436B2 (ja) * 2017-11-02 2022-03-02 株式会社レーベン 患部保護具
WO2019102583A1 (ja) * 2017-11-24 2019-05-31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皮膚貼付用テープ
AU2019262706B2 (en) * 2018-05-01 2023-11-02 Suturegard Medical Inc. Deformable suture bridge having an inser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EP3932440A4 (en) * 2019-03-28 2022-05-04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DEVICE
EP3955828A4 (en) 2019-04-19 2023-06-28 Suturegard Medical, Inc. Hemi-brid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RU2719900C1 (ru) * 2019-08-20 2020-04-23 Час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Реавиз"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обширных гнойных ран
US11389346B2 (en) * 2019-08-22 2022-07-19 DePuy Synthes Products, Inc. Skin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EP4041095A4 (en) 2019-10-11 2023-11-08 Brijjit Medical, Inc. MEDICAL DEVICE FOR APPLYING FORCE TO BIOLOGICAL TISSUE, OR SIMILAR
CN111249066B (zh) * 2020-03-20 2022-09-23 段冬雨 一种透气可涂药创可贴
CN111544068B (zh) * 2020-04-23 2021-06-08 孔德栋 一种医用缝合针组件
US11812966B2 (en) 2020-04-24 2023-11-14 NeuraMedica Inc. Clips, appliers, and cartridges
US20220071634A1 (en) * 2020-09-08 2022-03-1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Wound closure systems and methods
USD980434S1 (en) 2021-01-14 2023-03-07 Emrge, Llc Medical article for treating a wound and/or scar tissue
US11950775B2 (en) * 2021-03-07 2024-04-09 Giftedness And Creativity Company Stitching method for everted wound closure
JP2024517188A (ja) * 2021-05-07 2024-04-19 デボ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欠損閉鎖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AU2022375718A1 (en) * 2021-11-01 2024-05-16 Brij Medical, Inc. Applicator tool capable of use with force modulating tissue bridge, and associated systems, methods and k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0186A1 (en) * 2008-03-19 2009-09-24 Hsu-Cheng Fang Wound rebuilding band-aid without need of stitches
JP2011500170A (ja) * 2007-10-11 2011-01-06 スピレイカ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縫合された切開の陰圧創傷治療装置および使用方法
WO2011019859A2 (en) * 2009-08-11 2011-02-17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ressing applicators

Family Cites Families (1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793A (en) 1903-09-16 1904-07-26 John F Ruckel Surgical bridge.
US815264A (en) 1905-02-27 1906-03-13 Joseph E Chambers Suture-bridge.
FR419096A (fr) * 1910-08-09 1910-12-26 Andre Lenormand Attache métallique pour sutures
US1248450A (en) 1917-03-22 1917-12-04 Alfred Burke Hair ornament.
US1908229A (en) 1932-05-12 1933-05-09 F H Noble & Co Fastener for soft collars and other articles
FR794710A (fr) * 1935-09-11 1936-02-24 Pince pour suture chirurgicale
US2254620A (en) * 1939-11-14 1941-09-02 George I Miller Clip
US2371978A (en) * 1941-12-13 1945-03-20 Roy G Perham Clamp for retaining the edges of a wound in apposition
US2341121A (en) 1942-09-03 1944-02-08 Waldes Kohinoor Inc Clip
US2421193A (en) 1943-08-02 1947-05-27 Cleveland Clinic Foundation Surgical dressing
US2912735A (en) 1957-02-14 1959-11-17 Tidy Pin Company Inc Diaper fastener
US2979671A (en) 1959-02-27 1961-04-11 Raytheon Co Magnetron current control systems
US3014483A (en) 1959-10-26 1961-12-26 Avco Corp Surgical bridge for supporting sutures
US3120687A (en) 1960-01-18 1964-02-11 Paul K Greening Spring clip for diapers and the like
US3068870A (en) * 1960-03-18 1962-12-18 Levin Abraham Wound clip
US3082773A (en) 1961-09-21 1963-03-26 Tip Top Products Company Hair clip
US3487836A (en) * 1968-07-16 1970-01-06 Benjamin W Niebel Surgical strip stitch
US3625220A (en) 1969-10-07 1971-12-07 Horizon Ind Ltd Extendible suture guard
US3695271A (en) 1970-06-03 1972-10-03 Technalytics Inc Retention suture bridge
US3831608A (en) 1972-11-24 1974-08-27 Bio Medicus Inc Suture bridges
US3861008A (en) 1973-04-05 1975-01-21 Arne T Wannag Clamp for surgical purpose, preferably for holding together fabrics serving to limit an operation field
US4011639A (en) 1974-04-24 1977-03-15 Wilson Manufacturing Corporation Clip
US4275736A (en) 1979-01-02 1981-06-30 Technalytics, Inc. Retention suture bridge
USD260681S (en) 1979-01-02 1981-09-08 Technalytics, Inc. Retention suture bridge
US4702251A (en) * 1982-04-12 1987-10-27 Kells Medical, Incorporated Wound closure device
US4506669A (en) 1982-09-22 1985-03-26 Blake Joseph W Iii Skin approximator
US4539990A (en) * 1983-09-16 1985-09-10 Stivala Oscar G Sutureless closure system
USD293717S (en) 1985-05-14 1988-01-12 Proulx Raymond E Venipuncture site protector
US4646731A (en) 1985-05-20 1987-03-03 Brower Arthur B Self adhesive suture and bandage
US4742826A (en) 1986-04-07 1988-05-10 Mclorg Anthony B Cicatrisive strip with bias
JPS62252495A (ja) 1986-04-24 1987-11-04 Nitto Electric Ind Co Ltd 伸縮性布接着テ−プ
US4815468A (en) * 1987-01-09 1989-03-28 Annand David S Sutureless closure
US4825866A (en) 1987-08-27 1989-05-02 Robert Pierce Wound closure device
US5230701A (en) 1988-05-13 1993-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omeric adhesive and cohesive materials
US5047047A (en) 1988-10-26 1991-09-10 Inbae Yoon Wound closing device
US5127412A (en) 1990-03-14 1992-07-07 Cosmetto Aristodeme J Skin tensioning
US5366480A (en) 1990-12-24 1994-11-22 American Cyanamid Company Synthetic elastomeric buttressing pledget
US5176703A (en) 1991-10-30 1993-01-05 Peterson Meldon L Sutureless closure for a skin wound or incision
US5236440A (en) 1992-04-14 1993-08-17 American Cyanamid Company Surgical fastener
USD354134S (en) 1993-04-13 1995-01-03 Menicon Co., Ltd. Pincette for an ocular lens
USD359144S (en) 1993-04-21 1995-06-06 Janelle L. Healzer Combined hair clasp and garland retainer
US5630430A (en) 1993-07-16 1997-05-20 Tecnol Medical Products, Inc. Wound closure device
US5441540A (en) 1993-09-20 1995-08-15 Kim; Paul S.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tissue expansion
US5489083A (en) 1994-04-18 1996-02-06 Rollor; Edward A. Apparatus for moving mechanical objects away from each other
US5562705A (en) 1995-05-23 1996-10-08 Whiteford; Carlton L. Sutureless wound closure device
US6196228B1 (en) 1996-11-26 2001-03-06 Cns, Inc. Nasal dilator
US5775345A (en) 1997-06-23 1998-07-07 Chou; Kuo-Hua Hair clip
US5947998A (en) 1997-09-30 1999-09-07 Technical Alternatives, Ltd. Wound closure strips and packages thereof
CA2244017A1 (en) 1998-07-28 2000-01-28 Stephane Tetreault Moisture-curable adhesive suture strip
USD407489S (en) 1998-08-12 1999-03-30 Southington Tool & Mfg. Corp. Surgical staple remover
US5947917A (en) 1998-08-28 1999-09-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bandage or tape
FR2801188B1 (fr) 1999-11-22 2002-11-08 Didier Detour Dispositif permettant la fermeture non traumatique, sans suture, des bords ouverts d'une plaie de la peau d'un mammifere
US7066182B1 (en) 2000-09-27 2006-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able adhesive wound closures
US20020111641A1 (en) * 2001-01-08 2002-08-15 Incisive Surgical, Inc. Bioabsorbable surgical clip with engageable expansion structure
US6894204B2 (en) 2001-05-02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red stretch removable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US20030221700A1 (en) 2002-06-04 2003-12-04 La Fauci Mary G. Hair clip for firmly holding hair
US7332641B2 (en) * 2003-10-10 2008-02-19 Clozex Medical Llc Interlac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US6966103B2 (en) 2004-03-03 2005-11-22 Gould Sheldon D Fastening system
US8157839B2 (en) 2004-08-31 2012-04-17 Wadsworth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tissue opening
US20060200198A1 (en) * 2004-08-31 2006-09-07 Riskin Daniel J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tissue opening
USD530420S1 (en) 2004-09-03 2006-10-17 Medical Components, Inc. Suture wing
EP1879508B1 (en) 2005-05-12 2014-07-30 Canica Design Inc. Dynamic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US20100081983A1 (en) * 2005-12-23 2010-04-01 Biosara Corporation Wound guard bandage
WO2008019051A2 (en) 2006-08-03 2008-02-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vices and bandage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scars and/or keloid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EP2211726B1 (en) * 2007-10-16 2012-12-12 Close-it B.V. Device for adhering to the skin of a patient
CN101965157B (zh) 2007-11-02 2014-04-16 拜欧米特公司 肘骨折固定系统
ITMI20072156A1 (it) 2007-11-13 2009-05-14 Biofarmitalia Spa Cerotto nasale
US7665191B2 (en) 2007-12-14 2010-02-23 Gould Sheldon D Integral fastening system
KR20090066415A (ko) 2007-12-20 2009-06-24 이기웅 흉터 방지용 탄력 밴드
US20100051046A1 (en) 2008-08-29 2010-03-04 The Pink Hippo Inc. Hair retention system
US20100236566A1 (en) 2009-02-20 2010-09-23 Barbara Carey Stachowski Butterfly clip
US8444614B2 (en) 2009-04-10 2013-05-21 Spiracur,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U2010233221B2 (en) * 2009-04-10 2014-09-04 Kci Licensing,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N101606856B (zh) * 2009-07-07 2011-12-28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生物组织夹具装置
DE102009036165A1 (de) * 2009-07-28 2011-02-03 Karl Storz Gmbh & Co. Kg Vorrichtung zum Dehnen von Gewebebereichen
US8151808B2 (en) 2009-07-29 2012-04-10 Jui-Ming Tu Elastic hair clip
US8936628B2 (en) 2009-08-17 2015-01-20 Kls-Martin, L.P. Suture-retaining sternal clamp assembly
CN101828939B (zh) 2010-06-02 2011-12-21 张升平 皮肤伤口锁合器
CN201683935U (zh) 2010-06-02 2010-12-29 张升平 皮肤伤口锁合器
EP2658493B1 (en) 2010-12-29 2014-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 elastic strip
US8637726B2 (en) 2011-01-02 2014-01-28 Omnitek Partners Llc Shape and pressure adjustable dressing
KR102046977B1 (ko) 2011-03-31 2019-11-20 이엠알지이, 엘엘씨.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EP2704639A4 (en) 2011-05-03 2015-07-08 Dermaclip Internat Ltd DEVICES FOR SAFELY CLOSING TISSUE OPENINGS HAVING MINIMUM MINIMIZED HEALING
WO2013041960A1 (en) 2011-09-23 2013-03-28 Surgical Perspectives Sas Clip for organ retraction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BR112014009112B1 (pt) 2011-10-20 2021-06-01 Emrge, Llc. Cobertura removível para objeto
US9050086B2 (en) 2011-11-01 2015-06-09 Zipline Medical, Inc.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US10123800B2 (en) 2011-11-01 2018-11-13 Zipline Medical, Inc.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US8323313B1 (en) 2011-11-01 2012-12-04 Zipline Medical, Inc.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WO2013086525A2 (en) 2011-12-08 2013-06-13 Iridex Coporation Fasteners,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for ophthalmic tissue closure and fixation of ophthalmic prosthesis and other uses
US10213350B2 (en) 2012-02-08 2019-02-26 Neodyne Biosciences, Inc. Radially tensioned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D671265S1 (en) 2012-03-16 2012-11-20 Rust Innovations, Llc Hair clip
USD674544S1 (en) 2012-03-16 2013-01-15 Rust Innovations, Llc Hair clip
USD667167S1 (en) 2012-03-16 2012-09-11 Rust Innovations, Llc Hair clip
WO2014013348A2 (en) 2012-05-22 2014-01-23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
SG11201509893QA (en) 2012-06-02 2016-01-28 Coolside Ltd Improved travel support structure
SG11201408221YA (en) 2012-06-15 2015-01-29 Univ Washington Ct Commerciali Microstructure-based wound closure devices
CN106974688B (zh) 2012-10-31 2022-02-01 奇普林医药公司 外科切口和闭合设备
USD690020S1 (en) 2012-11-27 2013-09-17 Air Cradle, LLC Hand-supported flexible chin sling
USD683860S1 (en) 2012-11-27 2013-06-04 Air Cradle, LLC Hand-supported flexible chin sling
CN103892877A (zh) 2012-12-27 2014-07-02 吴崇芳 皮肤减张器
WO2014116281A1 (en) 2013-01-25 2014-07-31 Patenaude Bart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US9138244B2 (en) 2013-02-27 2015-09-22 Biomet C.V. Dynamic compression plate
US20140336701A1 (en) 2013-05-09 2014-11-13 Anthony Barr McLorg C-spring suture for primary closure of surgical incisions
US9517163B2 (en) 2013-07-03 2016-12-13 3K Anesthesia Innovations, Llp Pre-stressed pressure device
USD754862S1 (en) 2013-11-27 2016-04-26 Tracey Huff Decorated bandage clip
USD780317S1 (en) 2014-07-30 2017-02-28 Joseph Vandervoort Above-the-eyebrow adhesive strip sweatband
US10064616B2 (en) 2015-07-17 2018-09-04 William Lear Variable stiffness suture bridges compatible with various suture patterns
CN205144638U (zh) 2015-10-16 2016-04-13 王晓梅 医用缝合锁扣
CN105147344B (zh) 2015-10-19 2018-12-21 张新平 皮肤伤口辅助愈合装置
CN108348254A (zh) 2015-11-09 2018-07-31 戴尔·诺曼·沃克 用于治疗皮肤伤口的伤口治疗装置以及治疗皮肤伤口的方法
USD790072S1 (en) 2015-12-15 2017-06-20 Eugene Lloyd Hiebert Cervical collar
USD811609S1 (en) 2016-05-22 2018-02-27 Tracey Jean Huff Bandage clip
USD831220S1 (en) 2016-08-31 2018-10-16 Tactile Systems Technology, Inc. Head garment
CN109862833B (zh) 2016-10-21 2023-03-28 埃姆格公司 调整力的组织间桥、相关工具、套件和方法
USD876641S1 (en) 2017-10-20 2020-02-25 Emrge, Llc. Medical article for treating a wound and/or scar tissue
USD876653S1 (en) 2018-06-18 2020-02-25 Brian Heller Heartburn treatment device
USD918400S1 (en) 2019-06-06 2021-05-04 Qingli MA Hallux valgus corrector
EP4041095A4 (en) 2019-10-11 2023-11-08 Brijjit Medical, Inc. MEDICAL DEVICE FOR APPLYING FORCE TO BIOLOGICAL TISSUE, OR SIMIL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0170A (ja) * 2007-10-11 2011-01-06 スピレイカ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縫合された切開の陰圧創傷治療装置および使用方法
US20090240186A1 (en) * 2008-03-19 2009-09-24 Hsu-Cheng Fang Wound rebuilding band-aid without need of stitches
WO2011019859A2 (en) * 2009-08-11 2011-02-17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ressing applic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27774B2 (en) 2019-06-25
CN103533900A (zh) 2014-01-22
AU2012236205A1 (en) 2013-10-17
KR20200141538A (ko) 2020-12-18
KR102191430B1 (ko) 2020-12-15
WO2012135735A2 (en) 2012-10-04
US20220225991A1 (en) 2022-07-21
EP2691029A2 (en) 2014-02-05
AU2012236205B2 (en) 2016-08-25
KR102399746B1 (ko) 2022-05-18
CN103533900B (zh) 2016-12-28
CN106725645A (zh) 2017-05-31
US20180125492A1 (en) 2018-05-10
AU2016262734C1 (en) 2020-05-07
CA2830918C (en) 2022-07-26
US11298133B2 (en) 2022-04-12
BR112013025232B1 (pt) 2021-06-29
US20190261989A1 (en) 2019-08-29
KR20210060664A (ko) 2021-05-26
WO2012135735A3 (en) 2013-02-07
CA3158872A1 (en) 2012-10-04
KR20190130671A (ko) 2019-11-22
JP2014516288A (ja) 2014-07-10
AU2016262734A1 (en) 2016-12-15
CA2830918A1 (en) 2012-10-04
EP2691029A4 (en) 2015-06-24
KR20140020993A (ko) 2014-02-19
AU2016262734B2 (en) 2019-12-19
US20140128819A1 (en) 2014-05-08
KR102256092B1 (ko) 2021-05-24
BR112013025232A2 (pt)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977B1 (ko) 힘 조정형 조직 브릿지
US11013638B2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102289767B1 (ko) 가변적 엣지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한 상처 또는 피부 치료 장치
US9241835B2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KR20140122756A (ko) 방사상으로 인장되는 상처 또는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US9668922B2 (en)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with variable edge geome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