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781B1 -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781B1
KR102046781B1 KR1020180140934A KR20180140934A KR102046781B1 KR 102046781 B1 KR102046781 B1 KR 102046781B1 KR 1020180140934 A KR1020180140934 A KR 1020180140934A KR 20180140934 A KR20180140934 A KR 20180140934A KR 102046781 B1 KR102046781 B1 KR 10204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coating
construction
curing agent
bas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일
김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지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지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지엘텍
Priority to KR102018014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3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은 바탕 면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바탕 면의 크랙부분에 대해 표면 연삭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크랙 부분에 하도재를 충진하여 상기 바탕 면의 크랙 부분을 보수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전체에 상기 하도재를 코팅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재가 경화된 이후,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중도재를 상기 방수층 위에 시공하여 평활성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재의 시공 이후, 고경도 및 불연성, 내화학성을 가지는 상도재를 사용하여 상기 중도재의 시공 면 위에 표면 보호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CRACK REPAIR AND HYBRID FLOORING(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융합 기술을 활용한 유무기 수지의 복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바닥재의 단점을 보완하고 유기물의 장점과 무기물의 장점을 모두 갖춘 바닥재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옥상, 외벽, 터널, 지하실, 주차장 바닥, 수처리 박스 내부 표면 등에는 용도에 따라 방수 또는 방식, 바닥재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선박이나 철재 구조물에는 방식 도막을 하며, 주차장이나 산업시설 바닥에는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수, 바닥 또는 방식 도막은 피착체에 충분히 접착되어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하절기와 동절기의 온도 차이에 의한 부피 변형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유연성 및 거동 대응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방수 및 바닥 공법으로 종래 알려진 것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직접 스프레이 살포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아 수지는 방청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탄력적이면서도 매끄러운 막을 형성하고, 분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어 미끄럼 방지 및 미관 기능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반응성 및 경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 방수층 및 바닥재 형성 목적으로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우레아 수지를 콘크리트에 직접 살포할 경우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좋지 않아 핀홀이 발생되고 표면이 평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따라서 핀홀 발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기 전 부직포나 아스팔트시트를 포장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또한 공정이 번거롭고 옥상 방수의 경우 부직포나 아스팔트 시트로 인해 보행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부직포로 방수층을 보강하는 경우, 부직포 위로 제공되는 도막재로 인해 부직포 표면이 일어나 거칠어질 수 있고, 도막재 또는 도료의 수분이 부직포로 신속히 흡수되어 시공성이 떨어지며, 부직포 자체의 물성상 상부에 제공되는 도막재가 통과될 만한 구멍을 형성하기가 어려워 절연이나 부분절연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없게 됨으로써 모체의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떨어져 모체의 균열이나 습기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2329호(발명의 명칭: 칙소성 우레탄과 섬유시트를 이용한 방수 및 바닥재시공방법, 등록일자: 2007.10.25.)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기물과 무기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재료로서 하도재와 중도재, 상도재를 바탕 면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시공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하도재를 통해 습윤 바탕 면 조건 하에서도 바닥 강화 및 부착력을 증가시키고 중도재를 통해 평활성을 확보하며 상도재를 통해 바닥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은 바탕 면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바탕 면의 크랙 부분에 대해 표면 연삭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크랙 부분에 하도재를 충진하여 상기 바탕 면의 크랙부분을 보수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전체에 상기 하도재를 코팅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재가 경화된 이후,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중도재를 상기 방수층 위에 시공하여 평활성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재의 시공 이후, 고경도 및 불연성. 내화학성을 가지는 상도재를 사용하여 상기 중도재의 시공 면 위에 표면 보호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도재는 상기 바탕 면에 습기가 있을 경우 습윤 면에도 강한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도재는 에폭시 수지 80 내지 96 중량% 및 잔량 희석제로 이루어진 주제; 및 경화제 수지 85 내지 95 중량% 및 잔량 희석제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포함하는 무용제 2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 및 경화제는 상온에서 2:1의 중량비로 사용되고, 상기 희석제는 반응성 희석제와 비반응성 희석제를 1:1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 수지는 수중 경화가 가능한 변성 아민, 폴리아미드 아민계 경화제 수지, 지방족 아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에피클로로히아드린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DGEBA),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크레실 글리시딜 에테르, 버사틱 애시드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파라터셔리 부틸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 디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비반응성 희석제는 벤질 알코올, 퍼퓨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주제에 포함되는 첨가제는 착색안료, 체질안료, 용제, 가소제, 증점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무기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주제 100 중량% 중에서 20~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도재는 무용제 에폭시를 평활하게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에폭시 라이닝 작업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도재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icidyl ether of bispenol A), 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에탄올(Ethan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및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e Dioxide), 에틸 실리케이트 폴리머(Tetraethyl silicate(H4SiO4) 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주제; 및 변성 지방족 아민(Modified cycloaliphatic amine), 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및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 Trimethoxy Silane)을 포함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재의 코팅에 필요한 소요량은 0.3kg/m2이고, 상기 중도재의 시공에 필요한 소요량은 1.5~4.5kg/m2 범위 내에서 결정되며, 상기 상도재의 코팅에 필요한 소요량은 0.15~0.2kg/m2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은 바탕 면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크랙 부분 위에 하도재의 침투가 가능한 메쉬형 탄성부직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전체에 상기 하도재를 코팅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재가 경화된 이후,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중도재를 상기 방수층 위에 시공하여 평활성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재의 시공 이후, 고경도 및 불연성. 내화학성을 가지는 상도재를 사용하여 상기 중도재의 시공 면 위에 표면 보호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물과 무기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재료로서 하도재와 중도재, 상도재를 바탕 면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시공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하도재를 통해 습윤 면 조건 하에서도 바닥 강화 및 부착력을 증가시키고 중도재를 통해 평활성을 확보하며 상도재를 통해 바닥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바닥재의 시공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바닥재의 시공 공정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110)에서는 바탕 면(210)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즉, 상기 바탕 면(210)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탕 면(210)에 대해 청소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바탕 면(210)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120)에서는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Crack) 부분(215)에 대해 표면 연삭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을 V 커팅함으로써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을 V자 홈 모양으로 만들 수도 있다. 예컨대, 0.2mm 미만의 크랙 부분(215)에 대해서는 V 커팅 작업을 수행하여 잔크랙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130)에서는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에 하도재(410)를 충진하여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을 보수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도재(410)를 상기 바탕 면(210)의 전체에 도포하기에 앞서서,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에 상기 하도재(410)가 침투하도록 하여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을 보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140)에서는 상기 바탕 면(210)의 전체에 하도재(510)를 코팅하여 방수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도재(410, 510)는 상기 바탕 면(210)에 습기가 있을 경우에도 습윤 면(예: 함수율 6% 이상)에서도 강한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도재(410, 510)의 코팅에는 0.3kg/m2의 소요량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도재(410, 510)는 에폭시 수지 80 내지 96 중량% 및 잔량 희석제로 이루어진 주제, 및 경화제 수지 85 내지 95 중량% 및 잔량 희석제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포함하는 무용제 2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선 예에서, 상기 주제 및 경화제는 상온에서 2:1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반응성 희석제와 비반응성 희석제를 1: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 수지는 수중 경화가 가능한 변성 아민, 폴리아미드 아민계 경화제 수지, 지방족 아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에폭시 수지이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에피클로로히아드린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DGEBA),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주제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6 중량%를 포함하며, 이 양은 주제의 고형분 함량 80 내지 96 중량%를 유지하는 양이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용제형 에폭시 프라이머(Primer)의 고형분은 35~45 중량%이며, 이와 같이 고형분 함량을 대폭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접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크레실 글리시딜 에테르, 버사틱 애시드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파라터셔리 부틸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 디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반응성 희석제는 벤질 알코올, 퍼퓨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제에 포함되는 첨가제는 착색안료, 체질안료, 용제, 가소제, 증점제, 소포제, 레벨링제 및 무기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주제 100 중량% 중에서 20~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150)에서는 상기 바탕 면(210)의 전체에 코팅된 하도재(510)가 경화된 이후,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중도재(610)를 상기 방수층, 즉 상기 하도재(510)의 코팅 면 위에 시공하여 평활성을 확보한다.
상기 중도재(610)는 무용제 에폭시를 평활하게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에폭시 라이닝(Epoxy Lining) 작업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도재(610)의 시공에 필요한 소요량은 1.5~4.5kg/m2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160)에서는 상기 중도재(610)의 시공 이후, 고경도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상도재(710)를 사용하여 상기 중도재(610)의 시공 면 위에 표면 보호 코팅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도재(710)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icidyl ether of bispenol A), 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에탄올(Ethan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및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e Dioxide), 에틸 실리케이트 폴리머(Tetraethyl silicate(H4SiO4) 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주제, 및 변성 지방족 아민(Modified cycloaliphatic amine), 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및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 Trimethoxy Silane)을 포함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도재(710)의 코팅에 필요한 소요량은 0.15~0.2kg/m2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무기 복합 하이브리드 재료로 구성된 상도재(710)의 제조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재료의 제조를 위한 화학반응은 졸-겔 공정에 기반을 두며 무기산화물이나 하이브리드 제조를 위하여 알콕사이드계 전구체의 용매, 용액을 사용하는 공정이다.
유리나 세라믹과 같은 무기산화물의 경우는 금속 알콕사이드 전구체들을 사용하나, 하이브리드는 보통 중기성 알콕사이드 전구체를 사용하며, 실리카 망목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유기물이 부착된 유기 실리콘 알콕사이드(organo-alkoxysilane)인 RXSi(OR)y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알콕사이드 전구체에서 알콕시(alkoxy)기는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의 졸-겔 반응에 의해 산화물 망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다양한 알콕사이드 및 나노 입자의 전구체 용액은 졸-겔 반응에 의해서 졸 용액으로 제조되며, 제조된 졸 용액은 기판에 담금, 분사 및 스핀공정 등에 의해서 코팅되며, 코팅된 습식막은 열이나 광조사에 의한 산화물 및 유기물의 가교에 의해서 코팅이 완성된다.
열에 의한 졸-겔 반응에 의해 산화물 망목 구조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실리카 망목 구조에 공유 결합으로 부착되어 있는 반응성 유기 분자가 열이나 광조사에 의한 가교에 의해서 고분자 구조를 갖고 경화되어 유기 분자(vinyl. epoxy. acrylic)의 반응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망목구조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표면연삭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120) 및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부분(215)에 하도재(410)를 충진하는 단계(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대체하여,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 위에 상기 하도재(410)의 침투가 가능한 메쉬형 탄성부직포(810)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이 0.2mm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을 표면 연삭 처리하는 대신에,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 부분(215) 위에 메쉬형 탄성부직포(810)를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부분(215)이 0.2mm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부분(215) 위에 메쉬형 탄성부직포(8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메쉬형 탄성부직포(810)의 그물망 사이로 상기 하도재(410)가 침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부분(215)에 상기 하도재(410)가 충진되어 상기 바탕 면(210)의 크랙부분(215)을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바탕 면
215: 크랙 부분
410, 510: 하도재
610: 중도재
710: 상도재
810: 메쉬형 탄성부직포

Claims (8)

  1. 바탕 면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크랙부분이 미리 정해진 크기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크랙부분에 하도재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상기 크랙부분에 대해 V자 커팅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크랙부분에 상기 하도재를 충진하여 상기 크랙부분을 보수하고, 상기 바탕 면의 크랙부분이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크랙부분에 상기 하도재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상기 크랙부분 위에 메쉬형 탄성부직포를 배치하여 상기 크랙부분을 보수하는 단계;
    상기 바탕 면의 전체에 상기 하도재를 코팅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재가 경화된 이후,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가지는 중도재를 상기 방수층 위에 시공하여 평활성을 확보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재의 시공 이후, 고경도 및 불연성. 내화학성을 가지는 상도재를 사용하여 상기 중도재의 시공 면 위에 표면보호 코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도재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icidyl ether of bispenol A), 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에탄올(Ethan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및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e Dioxide), 에틸 실리케이트 폴리머(Tetraethyl silicate(H4SiO4) 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주제; 및
    변성 지방족 아민(Modified cycloaliphatic amine), 프로폭시에탄올(2-Propoxyethan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 및 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 Trimethoxy Silane)을 포함하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재는
    상기 바탕 면에 습기가 있을 경우 습윤 면에도 강한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재는
    에폭시 수지 80 내지 96 중량% 및 잔량 희석제로 이루어진 주제; 및
    경화제 수지 85 내지 95 중량% 및 잔량 희석제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포함하는 무용제 2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 및 경화제는 상온에서 2:1의 중량비로 사용되고, 상기 희석제는 반응성 희석제와 비반응성 희석제를 1:1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 수지는 수중 경화가 가능한 변성 아민, 폴리아미드 아민계 경화제 수지, 지방족 아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재는
    무용제 에폭시를 평활하게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에폭시 라이닝 작업에 의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재의 코팅에 필요한 소요량은 0.3kg/m2이고,
    상기 중도재의 시공에 필요한 소요량은 1.5~4.5kg/m2 범위 내에서 결정되며,
    상기 상도재의 코팅에 필요한 소요량은 0.15~0.2kg/m2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8. 삭제
KR1020180140934A 2018-11-15 2018-11-15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KR10204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934A KR102046781B1 (ko) 2018-11-15 2018-11-15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934A KR102046781B1 (ko) 2018-11-15 2018-11-15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781B1 true KR102046781B1 (ko) 2019-11-20

Family

ID=6872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934A KR102046781B1 (ko) 2018-11-15 2018-11-15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7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964B1 (ko) * 2021-01-18 2021-08-09 이수진 습윤성 및 급결성이 우수한 보수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KR102537216B1 (ko) 2022-12-26 2023-05-30 성인수 수용성 에폭시 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20230139644A (ko) 2022-03-28 2023-10-05 삼성물산 주식회사 내부 양생 효과를 갖는 폴리머 콘크리트 바닥마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212A (ko) * 2002-08-31 2002-10-09 신경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공법
KR101003409B1 (ko) * 2010-06-21 2010-12-23 주식회사 케미콘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박막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및 그 코팅제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1392636B1 (ko) * 2013-07-08 2014-05-07 함성복 무용제 2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101710126B1 (ko) * 2016-05-25 2017-02-27 주식회사 비씨피 방수 방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212A (ko) * 2002-08-31 2002-10-09 신경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공법
KR101003409B1 (ko) * 2010-06-21 2010-12-23 주식회사 케미콘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박막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및 그 코팅제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1392636B1 (ko) * 2013-07-08 2014-05-07 함성복 무용제 2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101710126B1 (ko) * 2016-05-25 2017-02-27 주식회사 비씨피 방수 방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964B1 (ko) * 2021-01-18 2021-08-09 이수진 습윤성 및 급결성이 우수한 보수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KR20230139644A (ko) 2022-03-28 2023-10-05 삼성물산 주식회사 내부 양생 효과를 갖는 폴리머 콘크리트 바닥마감재
KR102537216B1 (ko) 2022-12-26 2023-05-30 성인수 수용성 에폭시 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781B1 (ko) 습윤 면에 부착이 가능한 크랙보수 및 하이브리드 바닥재 시공 방법
KR101371345B1 (ko) 테트라에톡시 씰란화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탄성 세라믹메탈 함유 우레아수지계 방수·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JP7323699B2 (ja) 構造物保護シー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補強された構造物の製造方法
JP2003524693A5 (ko)
KR101141629B1 (ko) 실란화합물을 함유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1762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학성을 위한 방수·방식용 하이브리드 변성 무용제 에폭시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도막 형성 방법
KR20090119008A (ko) 복합방수시공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복합방수층 구조
KR100563402B1 (ko) 프라이머가 필요없는 무용제형 에폭시 바닥재 도료 조성물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KR10102759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노출방수시공방법
KR102209859B1 (ko) 난연성 페인트 조성물을 이용한 단열 복합 방수 공법
EP3102409B1 (en) Method of coating water-based epoxy formulations for applied fireproofing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JP2005187683A (ja) 樹脂塗膜用プライマー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101437420B1 (ko) 용수로 보수보강 및 방수공법
JP3219028U (ja) 建築構造物の外装材に対する塗装による補修・改修処理層の積層構造
KR102337953B1 (ko) 도포된 내화재료용 수성 에폭시 제형
KR102405009B1 (ko) 친환경 콘크리트 바닥 마감 공법
JP2010101128A (ja) スレート屋根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0516338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JP2018162651A (ja) 建築構造物における塗装補修方法
JP479569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防食・防水方法
JP2021161184A (ja) 被覆材
JP2001340806A (ja) 床透湿塗膜積層工法
KR101002144B1 (ko) 테트라에톡시 씰란을 용매로 사용하여 습윤 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부착성이 유지되는 변성실란 에폭시수지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