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52B1 -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52B1
KR102046352B1 KR1020190041800A KR20190041800A KR102046352B1 KR 102046352 B1 KR102046352 B1 KR 102046352B1 KR 1020190041800 A KR1020190041800 A KR 1020190041800A KR 20190041800 A KR20190041800 A KR 20190041800A KR 102046352 B1 KR102046352 B1 KR 10204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water
water suppl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열
Original Assignee
김화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열 filed Critical 김화열
Priority to KR102019004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7Cleaning of machines parts, e.g. removal of deposits like lime scale or proteins from piping or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시세척기 내부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례에 따른 식시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범위내의 온도를 갖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마련된 급수부;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세기의 바람을 공급하는 팬이 마련된 송풍부; 상기 세척수 또는 바람을 세척기 내부로 분사하되, 세척기 내부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양측에 마련된 노즐부; 및 Y자 형상으로 마련되되, 급수부와 연결된 제1배관, 송풍부와 연결된 제2배관 및 상기 노즐부과 연결된 공통배관을 포함하고, 제1배관과 제2배관의 결합 지점에 탄성체를 포함하는 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Dishwasher dry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에 탄성체가 마련되어 건조시 배관 전체의 건조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를 케이스 내측에 투입한 후 식기의 세척, 헹굼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도어타입의 식기세척기는 케이스 내부로 투입되는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공급관과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공급관이 구비되고 헹굼이 완료된 식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가 구비된다.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7173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383호의 식기세척기는 온수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한 후, 온수로 인하여 식기등에 남아 있는 잠열이 식기 외부로 발산 되면서 이 잠열에 의해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가 증발하여 식기가 건조될 수 있게 하거나, 별도의 가스부스터를 이용하여 고온의 공기를 식기에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건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기 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식기에서 자연적으로 발산되는 잠열로 식기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 시키는 자연건조의 경우에는 건조상태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건조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둘째, 가스 밸브를 통해 공급된 가스가 부스터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되면, 이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가진 가스를 이용해 헹궈진 식기를 건조시키고, 사용된 가스는 덕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별도의 구성을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노즐이 마련되되, 회전하며 분사됨으로써, 세척수 및 건조바람을 세척물 전체에 골고루 분사 가능한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 및 건조바람이 유입되는 배관이 하나로 결합되어 마련되되, 내부에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세척수 및 건조바람의 공급이 완벽하게 분리되어 사용 가능한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체가 건조바람에 의해 움직이도록 배관 내부의 일측과 결합됨으로써, 건조시 배관 전체에 바람이 분사되어 배관 내부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용패턴 분석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가능한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환경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한 경우, 내부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배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범위내의 온도를 갖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마련되되, 기설정된 주기로 세척수의 수압이 변동되는 급수부;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세기의 바람을 공급하는 팬이 마련된 송풍부; 세척수 또는 바람을 세척기 내부로 분사하되, 세척기 내부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양측에 마련된 노즐부; 및 Y자 형상으로 마련되되, 급수부와 연결된 제1배관, 송풍부와 연결된 제2배관 및 상기 노즐부과 연결된 공통배관을 포함하고, 제1배관과 제2배관의 결합 지점에 탄성체를 포함하는 배관부;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부는, 세척기 내부에 거치된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 노즐과 하측 노즐을 각각 회전시켜 분사하고, 내부에 세척수를 비산시키도록 가이드판이 마련되되, 가이드판은, 내부에 노즐부의 노즐공 아래에 위치하고, 노즐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노즐공이 마련되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변화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탄성체는, 제2배관 내부의 일측과 연결되되, 제2배관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며, 모서리에 고무소재의 패킹을 포함하고, 송풍부에서 공급되는 바람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온, 수압, 바람 세기,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급수부 및 송풍부에 신호를 전달하되,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자동제어부는, 수온, 수압, 풍량,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배관부 내부의 습도,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며, 급수부의 펌프에 부하된 정도를 감지하여 수치로 산출하는 센서부; 입력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부 및 송풍부에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처리부; 및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이 마련된 통신부;를 포함하고, 입력부는, 버튼 또는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되, 기지정된 항목 및 상기 기지정된 항목별 수치를 입력받고, 입력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센서부는, 배관부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 수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배관의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신호를 신호처리부에 전달하며, 급수부 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여, 노즐부 및 배관부 내부에 생성된 석회물질을 감지하고, 측정된 부하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급수부에서 일측에 마련된 약제통에서 약품을 공급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신호처리부는, 입력부 및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부 및 송풍부를 동작시키며, 통신부는, Bluetooth, Zigbee, NFC,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되, 기설정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노즐이 마련되되, 회전하며 분사됨으로써, 세척수 및 건조바람을 세척물 전체에 골고루 분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세척수 및 건조바람이 유입되는 배관이 하나로 결합되어 마련되되, 내부에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세척수 및 건조바람의 공급이 완벽하게 분리되어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내부 탄성체가 건조바람에 의해 움직이도록 배관 내부의 일측과 결합됨으로써, 건조시 배관 전체에 바람이 분사되어 배관 내부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용패턴 분석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배관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가능한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환경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한 경우, 내부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배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노즐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배관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옵션기능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옵션기능 중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옵션기능 중 센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급수부(10), 송풍부(20), 노즐부(30) 및 배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0)는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범위 내의 온도를 갖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마련되되,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변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기의 세척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세척수에 의해 세척물에 붙어있던 음식물이 분리되어 상기 세척기 내부면 또는 타세척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기설정된 주기에 맞춰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부(10)에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동안, 2초마다 최고 수압과 최저수압으로 교번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송풍부(20)는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세기의 바람을 공급하는 팬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부(30)는 상기 세척수 또는 바람을 세척기 내부로 분사하되, 세척기 내부의 상측 방향과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30)는, 세척기 내부에 거치된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상측방향의 노즐과 하측방향의 노즐을 각각 회전시켜 분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노즐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부(30)는, 상기 세척기 내부에 거치된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 노즐과 하측 노즐을 각각 회전시켜 분사하고,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비산시키도록 가이드판(31)이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판(31)은, 내부에 상기 노즐부(30)의 노즐공(32)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공(32)의 직경보다 작은 다수개의 보조노즐공(33)이 마련되며, 상기 급수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변화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배관부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배관부(40)는 상기 급수부(10), 송풍부(20) 및 노즐부(30)를 연결하되, 하나의 배관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배관부(40)는 Y자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급수부(10)와 연결된 제1배관(41), 상기 송풍부(20)와 연결된 제2배관(42) 및 상기 노즐부(30) 연결된 공통배관(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41)과 제2배관(42)의 결합 지점에 탄성체(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4)는 상기 제2배관(42) 내부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제2배관(42)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며, 모서리에 고무소재의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20)에서 공급되는 바람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부(10)에서 상기 제1배관(41)을 통해 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세척수는 상기 탄성체(44)에 의해 제2배관(42)으로의 유입을 저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송풍부(20)에서 상기 제2배관(42)을 통해 유입되는 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은 상기 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44)를 기울일 수 있으며, 상기 기울어진 탄성체(44)에 의해 바람 제1배관(41)에도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부(40) 내벽에 잔존한 물방울을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옵션기능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옵션기능 중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옵션기능 중 센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일실시례로, 수온, 수압, 바람 세기,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급수부(10) 및 송풍부(20)에 신호를 전달하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제어부(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4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제어부(50)는, 수온, 수압, 풍량,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는 입력부(51), 상기 배관부(30) 내부의 습도,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며, 상기 급수부(10)의 펌프에 부하된 정도를 감지하여 수치로 산출하는 센서부(52), 상기 입력부(51) 및 상기 센서부(52)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부(10) 및 송풍부(20)에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처리부(53) 및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이 마련된 통신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입력부(51)는, 버튼 또는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되, 기지정된 항목별 수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수온, 수압, 풍량,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동작완료까지 남은 시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센서부(52)는, 상기 배관부(40)에서 상기 노즐부(30)로 이동하는 경로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기준 수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세척 및 건조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신로처리부(53)에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급수부(10) 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여, 상기 노즐부(30) 및 상기 배관부(40) 내부에 생성된 석회물질을 감지하고, 상기 측정된 부하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10)에서 일측에 마련된 약제통에서 약품을 공급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53)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52)는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후, 기설정된 시간(ex. 3분)이 초과된 시점부터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기지정된 기준습도와 현재 감지된 습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습도가 상기 기지정된 기준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지정된 기준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가 상기 노즐부(30)를 통해 분사되는 동안, 상기 센서부(52)는 상기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탁도가 기지정된 기준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지정된 기준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부(1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53)는 상기 급수부(10) 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고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수에 존재하는 석회물질에 의해 상기 노즐부(30) 및 상기 배관부(40) 내부가 막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급수부(10) 펌프의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0) 펌프의 부하가 기지정된 기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지정된 기준부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부(1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53)는 상기 입력부(51) 및 센서부(5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제어신호를 상기 급수부(10) 및 상기 송풍부(20)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51)에서 입력된 수온, 수압, 풍량, 동작시간에 대응하여 입력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부(10) 및 송풍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2)에 의해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부(10) 및 송풍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신호처리부(53)는, 상기 센서부(52)에서 감지된 습도가 상기 기지정된 기준습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현재 감지된 습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송풍부(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20)에 의해 건조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현재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기지정된 기준습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2)에서 감지된 탁도가 상기 기지정된 기준탁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세척수 또는 상기 배관부(40) 내부가 오염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급수부(1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배관부(40) 내부 및 상기 세척수점검을 유도하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52)에서 감지된 부하가 상기 기지정된 기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10) 일측에 마련된 약제통에서 약품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급수부(10)의 약품 공급은, 상기 세척기 내부에 트레이가 제거된 후에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트레이의 제거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54)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4)는 Bluetooth, Zigbee, NFC,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되,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부(54)는 상기 신호처리부(53)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알람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52)에서 상기 기지정된 기준탁도를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오염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2)에서 상기 기지정된 기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10)에서 약품공급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기 내부에 트레이의 제거를 유도하는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에 따르면,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노즐이 마련되되, 회전하며 분사됨으로써, 세척수 및 건조바람을 세척물 전체에 골고루 분사 가능한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및 건조바람이 유입되는 배관이 하나로 결합되어 마련되되, 내부에 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세척수 및 건조바람의 공급이 완벽하게 분리되어 사용 가능한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가 건조바람에 의해 움직이도록 배관 내부의 일측과 결합됨으로써, 건조시 배관 전체에 바람이 분사되어 배관 내부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용패턴 분석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가능한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환경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한 경우, 내부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배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례로, 상기 센서부(52)는 외부에 상기 세척물 트레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로 마련하여, 상기 세척물 트레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도어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의 개폐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로 마련하여, 상기 도어의 자동개폐 시 오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신호처리부(53) 또는 통신부(54) 중 적어도 하나에 알림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53) 및 통신부(54)는 전체 사용패턴을 분석하되, 시간대별 사용량에 기초하여 주로 세척기를 이용하는 시간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만 최대 출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출력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급수부
20 : 송풍부
30 : 노즐부 31: 가이드판
32: 노즐공
33 : 보조노즐공
40 : 배관부 41: 제1배관
42: 제2배관
43: 공통배관
44: 탄성체
50 : 자동제어부 51: 입력부
52 : 센서부
53 : 신호처리부
54 : 통신부

Claims (4)

  1.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범위내의 온도를 갖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마련되되,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변동되는 급수부(10);
    상기 세척기 내부에 기설정된 세기의 바람을 공급하는 팬이 마련된 송풍부(20);
    상기 세척수 또는 바람을 세척기 내부로 분사하되, 세척기 내부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양측에 마련된 노즐부(30);
    Y자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급수부(10)와 연결된 제1배관(41), 상기 송풍부(20)와 연결된 제2배관(42) 및 상기 노즐부(30)과 연결된 공통배관(41)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41)과 제2배관(42)의 결합 지점에 탄성체(44)를 포함하는 배관부(40); 및
    수온, 수압, 바람 세기,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급수부(10) 및 송풍부(20)에 신호를 전달하고,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제어부(5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제어부(50)는,
    수온, 수압, 풍량, 동작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는 입력부(51);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습도,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며, 상기 급수부(10)의 펌프에 부하된 정도를 감지하여 수치로 산출하는 센서부(52);
    상기 입력부(51) 및 상기 센서부(52)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부(10) 및 송풍부(20)에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처리부(53); 및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이 마련된 통신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51)는,
    버튼 또는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되, 기지정된 항목 및 상기 기지정된 항목별 수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52)는,
    상기 배관부(40) 내부의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 및 탁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기준 수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배관의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53)에 전달하며, 상기 급수부(10) 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여, 상기 노즐부(30) 및 상기 배관부(40) 내부에 생성된 석회물질을 감지하고, 상기 측정된 부하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10)에서 일측에 마련된 약제통에서 약품을 공급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53)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신호처리부(53)는,
    상기 입력부(51) 및 센서부(52)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부(10) 및 상기 송풍부(20)를 동작시키며,
    상기 통신부(54)는,
    Bluetooth, Zigbee, NFC,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되,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30)는,
    상기 세척기 내부에 거치된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 노즐과 하측 노즐을 각각 회전시켜 분사하고,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비산시키도록 가이드판(31)이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판(31)은,
    내부에 상기 노즐부(30)의 노즐공(32)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공(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노즐공(33)이 마련되며, 상기 급수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의 수압이 변화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4)는,
    상기 제2배관(42) 내부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제2배관(42)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며, 모서리에 고무소재의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20)에서 공급되는 바람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4. 삭제
KR1020190041800A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KR102046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00A KR102046352B1 (ko)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00A KR102046352B1 (ko)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352B1 true KR102046352B1 (ko) 2019-11-19

Family

ID=6877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800A KR102046352B1 (ko) 2019-04-10 2019-04-10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909A (ja) * 1994-06-13 1995-12-19 Hitachi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4321877A (ja) * 2003-04-22 2004-11-18 Sanyo Electric Co Ltd 洗浄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909A (ja) * 1994-06-13 1995-12-19 Hitachi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4321877A (ja) * 2003-04-22 2004-11-18 Sanyo Electric Co Ltd 洗浄乾燥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8551B (zh) 用于对洗涤物进行洗涤的洗涤装置和方法
KR100227175B1 (ko)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 바구니
US6675818B1 (en) Dishwashing machine
CN101460085B (zh) 用来评估与确保在一个多贮槽洗碗机中的热卫生效果的方法
EP2048274A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etection system for presence of a living being within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10274993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open-door drying methods
EP3834695B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06028975A1 (en) Dishwasher absolute clean cycle methods and systems
CN103492627B (zh) 滚筒式洗衣机
US7524380B1 (en) Energy efficient dishwashing
KR102046352B1 (ko) 식기세척기 내부 건조장치
KR101754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50083372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WO2012163772A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395941A1 (en) Embedded temperature sensors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articles and status of drying or cleaning cycles
US7562413B2 (en) Compact vehicle wash system
US20090078288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and dishwasher
KR10072201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7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46339B1 (ko) 식기세척기 도어장치
CN113873930A (zh) 洗碗机水槽和洗碗机设备
KR20220101422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5674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0194029A (ja) 食器洗い機
KR20060124293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