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236B1 -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236B1
KR102046236B1 KR1020177025082A KR20177025082A KR102046236B1 KR 102046236 B1 KR102046236 B1 KR 102046236B1 KR 1020177025082 A KR1020177025082 A KR 1020177025082A KR 20177025082 A KR20177025082 A KR 20177025082A KR 102046236 B1 KR102046236 B1 KR 10204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imide
polarizing film
meth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080A (ko
Inventor
유 모리모토
유우스케 도야마
마사쿠니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큰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여도, 발생한 백색 불균일을 단시간에 소실시킬 수 있고, 엄격한 조건 하의 가열 가습 시험 후에 있어서도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당해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당해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오늄-아니온염 (B1), 알칼리 금속염 (B2) 를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4 ∼ 3.5 중량부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와 오늄-아니온염 (B1) 의 중량비 (B2/B1) 가, 1.2 ∼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ADHESIVE LAYER FOR POLARIZING FILM, ADHESIVE LAYER-INCLUDING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당해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및 상기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은, 그 화상 형성 방식에서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고, 일반적으로는 편광 필름이 첩착 (貼着) 되어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을 액정 셀에 첩착시킬 때에는, 통상적으로 광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재료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편광 필름을 고착시키는 데에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 등의 메리트를 갖는 점에서, 점착제는, 편광 필름의 편측에 미리 점착제층으로서 형성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에는, 통상적으로 이형 필름이 첩부 (貼付) 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시,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액정 셀에 첩부할 때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데, 당해 이형 필름의 박리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한 정전기는, 액정 표시 장치 내부의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주어,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사용시의 정전기에 의해, 흑색 표시시에 백색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 그 백색 불균일이, 몇 분간은 없어지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하여, 화면의 표시 특성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 텔레비전 등에 실장한 후여도, 백라이트와 편광판이 스쳤을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가 원인으로, 동일한 백색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정전기의 발생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의 외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적고, 정전기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때문에, 정전기 발생의 근본적인 위치에서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점착제층에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에, 이온성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는 2 참조). 특허문헌 1 에서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에, 이온성 액체, 알칼리 금속염을 대전 방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이온성 화합물로서 오늄-아니온염에 더하여 알칼리 금속염을 병용함으로써 엄격한 조건 하의 가습 시험 후에 있어서도, 대전 방지 기능과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22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48497호
종래부터 문제가 되고 있던 정전기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서, 종래의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점착제층을 사용함으로써, 백색 불균일이 몇 초로 소실되기 때문에 문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발생하는 정전기가 큰 경우, 종래의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점착제층에서는 발생한 전하를 충분히 중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백색 불균일을 단시간에 소실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화면상에 백색 불균일이 존재하고, 이른바「백화」라 불리는 불균일이 발생한다. 상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이온성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염의 첨가량이 충분히 제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정전기가 큰 경우에 백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대전 방지 기능 면에서 추가적인 검토의 여지가 있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발생하는 정전기가 큰 경우, 점착제에 높은 대전 방지 기능성을 부여함으로써 발생한 백색 불균일을 단시간에 소실시킬 수 있다. 점착제에 높은 대전 방지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도전제량을 많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도전제의 양을 많게 하면, 점착제 중에서 결정화가 일어나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도전제의 양을 많게 하면, 피착체 계면 부근에 도전제가 편석되고, 그 결과,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즉, 신뢰성이나 내구성이 떨어진다). 그 때문에 높은 대전 방지 기능과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점착제층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큰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여도, 발생한 백색 불균일을 단시간에 소실시킬 수 있고, 엄격한 조건 하의 가열 가습 시험 후에 있어서도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당해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당해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오늄-아니온염 (B1), 알칼리 금속염 (B2) 를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4 ∼ 3.5 중량부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와 오늄-아니온염 (B1) 의 중량비 (B2/B1) 가, 1.2 ∼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추가로,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추가로, 가교제 (D)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 (D) 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 (D) 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추가로,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편광 필름과, 당해 편광 필름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편측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적어도 1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오늄-아니온염 (B1), 및 알칼리 금속염 (B2) 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과 알칼리 금속염 (B2) 의 첨가량을 특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큰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여도, 발생한 백색 불균일을 단시간에 소실시킬 수 있고, 엄격한 조건 하의 가열 가습 시험 후에 있어서도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 및 당해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은, 우수한 대전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을 만족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는, 백색 불균일 (백화) 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오늄-아니온염 (B1), 알칼리 금속염 (B2) 를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4 ∼ 3.5 중량부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와 오늄-아니온염 (B1) 의 중량비 (B2/B1) 가, 1.2 ∼ 4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를 함유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는, 통상적으로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며, 본 발명의 (메트) 와는 동일한 의미이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탄소수 1 ∼ 18 의 직사슬형 또는 분기사슬형의 알킬기를 갖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헵틸기, 2-에틸헥실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도데실기, 이소미리스틸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중의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중,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80 ∼ 100 중량% 정도인 것을 말하고, 85 ∼ 99.9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90 ∼ 99.9 중량%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중에는, 접착성이나 내열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1 종류 이상의 공중합 모노머를 공중합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 그러한 공중합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하이드록시라우릴이나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 스티렌술폰산이나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나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아미드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아미노알킬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계 모노머 ;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나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나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나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 등도 개질 목적의 모노머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개질 모노머로서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N-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비닐계 모노머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불소(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나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실란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실란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4-비닐부틸트리메톡시실란, 4-비닐부틸트리에톡시실란, 8-비닐옥틸트리메톡시실란, 8-비닐옥틸트리에톡시실란,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메톡시실란,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메톡시실란,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에톡시실란,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 공중합 모노머로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나,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우레탄 등의 골격에 모노머 성분과 동일한 관능기로서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부가한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중합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중, 0 ∼ 20 중량% 정도이고, 0.1 ∼ 15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0.1 ∼ 10 중량%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공중합 모노머 중에서도, 접착성, 내구성 면에서,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병용할 수 있다. 이들 공중합 모노머는,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가교제와의 반응점이 된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등은 분자간 가교제와의 반응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응집성이나 내열성의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공중합 모노머로서,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 비율은, 0.01 ∼ 15 중량% 가 바람직하고, 0.03 ∼ 1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5 ∼ 7 중량% 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모노머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그 비율은,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 1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 8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 6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는, 통상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 만 ∼ 300 만의 범위의 것이 사용된다. 내구성, 특히 내열성을 고려하면, 중량 평균 분자량은 70 만 ∼ 270 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80 만 ∼ 250 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 만보다 작으면 내열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만보다 커지면, 도공하기 위한 점도로 조정하기 위하여 다량의 희석 용제가 필요해져, 비용 상승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의 제조는,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각종 라디칼 중합 등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용매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인 용액 중합예로는, 반응은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기류하에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통상적으로 50 ∼ 70 ℃ 정도에서, 5 ∼ 30 시간 정도의 반응 조건에서 실시된다.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 반응 조건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이들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그 사용량이 조정된다.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 (상품명 : VA-057,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 등의 아조계 개시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n-옥타노일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1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0.5 중량부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사용하여,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를 제조하려면,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의 전체량 100 중량부에 대해, 0.06 ∼ 0.2 중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8 ∼ 0.175 중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연쇄 이동제, 유화제등은, 종래 공지된 것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의 첨가량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2) 오늄-아니온염 (B1)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이온성 화합물」에 관련된 것으로서, 이온성 액체, 이온성 고체라고도 불린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 카티온 성분과 아니온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티온-아니온염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당해 카티온-아니온염 중에서도, 카티온이 오늄인 오늄-아니온염을 사용한다.
<아니온 성분>
아니온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CN)2N-, C4F9SO3 -, C3F7COO-, (CF3SO2)(CF3CO)N-, -O3S(CF2)3SO3 - 나 하기 일반식 (1) ∼ (4),
(1) : (CnF2n+1SO2)2N- (단, n 은 1 ∼ 10 의 정수 (整數)),
(2) : CF2(CmF2mSO2)2N- (단, m 은 1 ∼ 10 의 정수),
(3) : -O3S(CF2)lSO3 - (단, l 은 1 ∼ 10 의 정수),
(4) : (CpF2p+1SO2)N-(CqF2q+1SO2), (단, p, q 는 1 ∼ 10 의 정수) 로 나타내는 것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니온 성분은, 이온 해리성이 양호한 이온 화합물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아니온 성분은,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이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
상기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으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이미드 아니온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시의 아니온 성분 중의, (CF3SO2)(CF3CO)N- 나 상기 일반식 (1), (2), (4),
(1) : (CnF2n+1SO2)2N- (단, n 은 1 ∼ 10 의 정수),
(2) : CF2(CmF2mSO2)2N- (단, m 은 1 ∼ 10 의 정수),
(4) : (CpF2p+1SO2)N-(CqF2q+1SO2), (단, p, q 는 1 ∼ 10 의 정수) 로 나타내는 것 등이 사용된다. 이들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은, 이온 해리성이 양호한 이온성 화합물이 얻어짐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은, 탄소수 1 ∼ 4 의 불화알킬기 또는 불화알킬렌기를 갖는 것이, 표면 저항값을 작게 제어할 수 있고 정전기 불균일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으로는, (CF3SO2)2N-, (C2F5SO2)2N- 등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CF3SO2)2N- 로 나타내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오늄>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에 있어서의 카티온부를 구성하는 오늄으로는, 오늄 이온이 되는 원자가 프로톤화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오늄은, 이중 결합, 삼중 결합 등의 불포화 결합에 의해 오늄염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오늄으로는, 유기기 등에 의한 치환에 의해 오늄 이온을 형성한 유기 오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기 오늄에 있어서의 유기기로는, 알킬기, 알콕시기, 알케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예를 들어, 1 ∼ 12 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 ∼ 8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 이다. 유기 오늄으로는, 모든 치환기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오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을 사용할 수 있는데, 직사슬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오늄이 고리형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오늄이 5 원자 고리 혹은 6 원자 고리를 갖고, 그 밖의 치환기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늄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함질소오늄, 함황오늄, 함인오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함질소오늄, 함황오늄이 바람직하다.
함질소오늄으로는, 암모늄 카티온, 피페리디늄 카티온, 피롤리디늄 카티온, 피리디늄 카티온, 피롤린 골격을 갖는 카티온, 피롤 골격을 갖는 카티온, 이미다졸륨 카티온,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피라졸륨 카티온, 피라졸리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암모늄 카티온, 피페리디늄 카티온, 피롤리디늄 카티온이 바람직하고, 특히, 피롤리디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함질소오늄으로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카티온, 알킬피페리디늄 카티온, 알킬피롤리디늄 카티온이 바람직하다.
함황오늄으로는, 술포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또 함인오늄으로는, 포스포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 상기 오늄 성분과 아니온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당해 오늄-아니온염 (B1) 중에서도, 아니온이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인, 오늄-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염이 바람직하다.
오늄-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염의 구체예로는, 상기 오늄 성분과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되고, 함질소오늄염, 함황오늄염 및 함인오늄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나아가서는, 암모늄염, 피롤리디늄염, 피페리디늄염 및 술포늄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1-부틸-3-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부틸-3-메틸피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2-디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노닐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N-디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부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부틸-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펜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N-디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메틸-N-에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부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N-디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부틸-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부틸-N-메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메틸-N-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CIL-314」 (니혼 칼릿 (주) 제조),「ILA2-1」 (코에이 화학 공업 (주) 제조)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에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옥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에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1-디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에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부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펜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헥실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헵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부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펜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헥실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헵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프로필-1-부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부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펜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에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부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펜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헥실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헵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부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펜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헥실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헵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프로필-1-부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부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메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에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부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펜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헥실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헵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부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펜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헥실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헵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1-디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프로필-1-부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1-디부틸피롤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펜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1-디메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에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부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펜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헥실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헵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헵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펜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헥실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헵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프로필-1-부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1-디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1-디부틸피페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N-메틸-N-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화합물의 오늄 성분 대신에, 트리메틸술포늄 카티온, 트리에틸술포늄 카티온, 트리부틸술포늄 카티온, 트리헥실술포늄 카티온, 디에틸메틸술포늄 카티온, 디부틸에틸술포늄 카티온, 디메틸데실술포늄 카티온, 테트라메틸포스포늄 카티온, 테트라에틸포스포늄 카티온,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카티온, 테트라헥실포스포늄 카티온을 사용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의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대신에, 비스(펜타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비스(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이미드, 비스(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헵타플루오로프로판술포닐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닐이미드, 시클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1,3-비스(술포닐)이미드 아니온 등을 사용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오늄-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염 이외의 오늄-아니온염 (B1) 로는, 상기 오늄 성분과 불소 함유 이미드 아니온염 이외의 아니온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1-부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헥실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메틸-1-피롤린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2-페닐인돌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2-디메틸인돌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카르바졸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헵타플루오로부틸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디시안아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티드,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헵타플루오로부틸레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브로마이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2,3-디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메틸피라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3-메틸피라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알릴디메틸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알릴디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부틸피리디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부틸-3-메틸피리디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부틸-3메틸피리딘-1-윰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을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1-메틸-1-에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오늄-아니온염 (B1) 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이 0.1 중량부 미만에서는, 대전 방지 성능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 0.2 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5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이 1.5 중량부보다 많으면, 내구성이나 외관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 1.3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의 비율은, 상기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채용하여 바람직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중에서도, 예를 들어, 1-메틸-1-에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와 같이, 고체이며, 또한 분자가 큰 것은, 첨가량을 1.5 중량부보다 많게 하면, 점착제 중에서 결정화가 일어나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3) 알칼리 금속염 (B2)
알칼리 금속염 (B2) 로는, 알칼리 금속의 유기염 및 무기염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B2) 의 카티온부를 구성하는 알칼리 금속 이온으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의 각 이온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칼리 금속 이온 중에서도 리튬 이온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염의 아니온부는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염을 구성하는 아니온부로는, 예를 들어,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3C-, C4F9SO3 -, C3F7COO-, (CF3SO2)(CF3CO)N-, -O3S (CF2)3SO3 -, PF6 -, CO3 2-, 나 하기 일반식 (1) ∼ (4),
(1) : (CnF2n+1SO2)2N- (단, n 은 1 ∼ 10 의 정수),
(2) : CF2(CmF2mSO2)2N- (단, m 은 1 ∼ 10 의 정수),
(3) : -O3S(CF2)lSO3 - (단, l 은 1 ∼ 10 의 정수),
(4) : (CpF2p+1SO2)N-(CqF2q+1SO2), (단, p, q 는 1 ∼ 10 의 정수) 로 나타내는 것 등이 사용된다. 특히,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니온부는, 이온 해리성이 양호한 이온 화합물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무기염을 구성하는 아니온부로는,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AsF6 -, SbF6 -, NbF6 -, TaF6 -, (CN)2N- 등이 사용된다. 아니온부로는, (CF3SO2)2N-, (C2F5SO2)2N-, 등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CF3SO2)2N- 로 나타내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의 유기염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나트륨, 톨루엔술폰산나트륨,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4F9SO2)2N, Li(CF3SO2)3C, KO3S(CF2)3SO3K, LiO3S(CF2)3SO3K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4F9SO2)2N, Li(CF3SO2)3C 등이 바람직하고, Li(CF3SO2)2N, Li(C2F5SO2)2N, Li(C4F9SO2)2N 등의 불소 함유 리튬이미드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퍼플루오로알킬술포닐)이미드리튬염이 바람직하다.
또, 알칼리 금속의 무기염으로는, 과염소산리튬, 요오드화리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를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알칼리 금속염 (B2) 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4 ∼ 3.5 중량부이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가 0.4 중량부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표면의 표면 저항값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백색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는, 0.5 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가 3.5 중량부보다 많으면, 엄격한 조건의 가습 시험 후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 성능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또,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가 많으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과 편광 필름 등의 피착체의 계면 부근에 알칼리 금속염 (B2) 가 편석되고, 그 결과,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신뢰성이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는, 3.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의 비율은, 상기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채용하여 바람직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와 오늄-아니온염 (B1) 의 중량비 (B2/B1) 는, 1.2 ∼ 4 이고, 1.2 ∼ 3.5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 (B2/B1) 가 1.2 미만이면, 고레벨의 도전 성능이 얻어지지 않고, 중량비 (B2/B1) 가 4 를 초과하면, 알칼리 금속염의 석출에 의한 외관 악화나 내습 시험시의 성능 악화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4)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은, 도전 성능에 악영향을 잘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도전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피착체와의 접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대전 방지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해소할 수 없었던 큰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여도 백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로는, 예를 들어, 실록산 골격과 메르캅토기를 갖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X-41-1810 (상품명, 메르캅토 당량 : 450 g/mol), X-41-1805 (상품명, 메르캅토 당량 : 800 g/mol), X-41-1818 (상품명, 메르캅토 당량 : 850 g/mol) (모두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점착제층의 급격한 점착력 상승을 억제하여, 피착체로부터 리워크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X-41-1810 이 바람직하다.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의 티올기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메르캅토기의 경우, 메르캅토 당량 1000 g/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 g/mo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급격한 점착력 상승을 억제하여 피착체로부터 리워크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650 g/mo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메르캅토 당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0 g/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 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이 0.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유리 및 ITO 등의 투명 도전층 표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은, 0.01 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이 5 중량부보다 많으면 점착제층의 점착력의 상승이 과잉이 되기 때문에, 당해 점착제층을 피착체로부터 리워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은, 4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의 비율은, 상기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채용하여 바람직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5) 그 외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 이외에도, 가교제 (D) 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 (D) 로는, 유기계 가교제나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이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는, 다가 금속이 유기 화합물과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되고 있는 것이다. 다가 금속 원자로는, Al, Cr, Zr, Co, Cu, Fe, Ni, V, Zn, In, Ca, Mg, Mn, Y, Ce, Sr, Ba, Mo, La, Sn, Ti 등을 들 수 있다.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되는 유기 화합물 중의 원자로는 산소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화합물로는 알킬에스테르, 알코올 화합물, 카르복실산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 (D) 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과산화물형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과산화물형 가교제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 관련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과 부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화물, 뷰렛형 화합물, 나아가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이소프렌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프레폴리머형의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다. 여기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그것에서 유래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변성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변성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머형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변성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예시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수산기와의 반응이, 특히 폴리머에 함유되는 산, 염기를 촉매와 같이 하여, 신속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특히 빠른 가교에 기여하여 바람직하다.
과산화물로는, 가열 또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 활성종을 발생시켜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의 가교를 진행시키는 것이면 적당히 사용 가능하지만, 작업성이나 안정성을 감안하여, 1 분간 반감기 온도가 80 ℃ ∼ 160 ℃ 인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 ∼ 140 ℃ 인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90.6 ℃),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92.1 ℃),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92.4 ℃),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103.5 ℃),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109.1 ℃),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110.3 ℃),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 : 116.4 ℃), 디-n-옥타노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 : 117.4 ℃),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124.3 ℃),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 : 128.2 ℃), 디벤조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 : 130.0 ℃),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136.1 ℃),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1 분간 반감기 온도 : 149.2 ℃)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교 반응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 : 92.1 ℃),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 : 116.4 ℃), 디벤조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 : 130.0 ℃)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과산화물의 반감기란, 과산화물의 분해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과산화물의 잔존량이 절반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임의의 시간에서 반감기를 얻기 위한 분해 온도나, 임의의 온도에서의 반감기 시간에 관해서는, 메이커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닛폰 유지 (주)「유기 과산화물 카탈로그 제 9 판 (2003년 5월)」등에 기재되어 있다.
가교제 (D) 의 사용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3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 (D) 가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한 경향이 있어, 가열시에 발포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한편, 20 중량부보다 많으면 내습성이 충분하지 않아, 신뢰성 시험 등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0.01 ∼ 2 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 ∼ 2 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 1.5 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응집력, 내구성 시험에서의 박리의 저지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과산화물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과산화물 0.01 ∼ 2 중량부이고, 0.04 ∼ 1.5 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1 중량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성, 리워크성, 가교 안정성, 박리성 등의 조정을 위하여, 이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반응 처리 후의 잔존한 과산화물 분해량의 측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HPLC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반응 처리 후의 점착제 조성물을 약 0.2 g 씩 취출하고, 아세트산에틸 10 ㎖ 에 침지시키고, 진탕기로 25 ℃ 하, 120 rpm 으로 3 시간 진탕 추출한 후, 실온에서 3 일간 정치 (靜置) 한다. 이어서, 아세토니트릴 10 ㎖ 첨가하고, 25 ℃ 하, 120 rpm 으로 30 분 진탕하고, 멤브레인 필터 (0.45 ㎛) 에 의해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 약 10 ㎕ 를 HPLC 에 주입하고 분석하여, 반응 처리 후의 과산화물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를 함유하는 것이 내구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로는, 소켄 화학 (주) 제조의 A-100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C2) 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실란 커플링제 (C2) 0.001 ∼ 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1 ∼ 1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2 ∼ 1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5 ∼ 0.6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내구성을 향상시켜, 편광 필름에 대한 접착력을 적당히 유지하는 양이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C2) 와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C2)/(C1) 의 중량비가, 0.1 ∼ 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 0.6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C2) 와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의 배합 비율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피착체에 첩부한 경우에, 첩부 초기에 있어서 피착체로부터 점착제층을 리워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시간 경과에서의 점착력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이외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첨가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2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 분말, 입자상, 박상물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당히 첨가할 수 있다. 또,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환원제를 첨가한 레독스계를 채용해도 된다.
2.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처리한 세퍼레이터 등에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후술하는 편광 필름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편광 필름에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시에는, 적당히 중합 용제 이외의 1 종 이상의 용제를 새로 첨가해도 된다.
박리 처리한 세퍼레이터로는, 실리콘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라이너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점착제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목적에 따라, 적당히,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막을 가열 건조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가열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 ∼ 2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18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 170 ℃ 이다. 가열 온도를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당히,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초 ∼ 2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초 ∼ 10 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 ∼ 5 분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트, 키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 100 ㎛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2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5 ㎛ 이다.
3.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과, 당해 편광 필름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편측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이, 본 발명의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은, 점착제층을 박리 처리한 세퍼레이터 등 상에 형성한 경우, 당해 세퍼레이터 상의 점착제층을 편광 필름의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에 전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편광 필름의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편광 필름에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작된다.
또, 상기 편광 필름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표면 (편광 필름의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 에, 앵커층을 형성하거나,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각종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한 후에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실용에 제공될 때까지 박리 처리한 시트 (세퍼레이터) 로 점착제층을 보호해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는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5 ∼ 200 ㎛, 바람직하게는 5 ∼ 100 ㎛ 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사슬 알킬계 혹은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 (粉)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혼련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사슬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당히 실시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제작시에 사용한, 박리 처리한 시트는, 그대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고, 공정면에 있어서의 간략화를 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편측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고, 요오드 및/또는 요오드 이온을 함유하는 요오드계 편광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이어도 연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께가 10 ㎛ 이하인 박형 편광자도 사용할 수 있다. 박형화의 관점에서 말하면 당해 두께는 1 ∼ 7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박형의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고, 또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편광 필름으로서의 두께도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이 바람직하다.
박형의 편광자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069644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8329호나,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또는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356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막을 들 수 있다. 이들 박형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라고도 한다) 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 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박형 편광막으로는,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또는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3563호에 기재가 있는 바와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3563호에 기재가 있는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 종류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하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갖는 고투명성 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측에는, 투명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에 의해 첩합 (貼合) 된다.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 처리에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0.5 ∼ 60 중량% 의 고형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에,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로는, 자외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선 경화형 편광 필름용 접착제는, 상기 각종의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해, 바람직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3.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적어도 1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 등의 표시 패널과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당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삽입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 형이나 STN 형, π 형, VA 형, IPS 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 등의 표시 패널의 편측 또는 양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당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은 액정 셀 등의 표시 패널의 편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것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층,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 시트,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예 중의 부 및 %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이하에 특별히 규정이 없는 실온 방치 조건은 모두 23 ℃ 65 % RH 이다.
제조예 1 (아크릴계 폴리머 (A-1) 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 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 부 및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1 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였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 (고형분) 100 부에 대해,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부를 아세트산에틸과 함께 주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 부근으로 유지하며 7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0 % 로 조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 140 만의 아크릴계 폴리머 (A-1) 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하였다.
·분석 장치 : 토소사 제조, HLC-8120GPC
·칼럼 : 토소사 제조, G7000HXL + GMHXL + GMHXL
·칼럼 사이즈 : 각 7.8 ㎜φ × 30 ㎝ 합계 90 ㎝
·칼럼 온도 : 40 ℃
·유량 : 0.8 ㎖/min
·주입량 : 100 ㎕
·용리액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검출기 : 시차굴절계 (RI)
·표준 시료 : 폴리스티렌
제조예 2 (박형 편광 필름의 제작)
박형 편광층을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비정성 PET 기재에 9 ㎛ 두께의 PVA 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 ℃ 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추가로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 ℃ 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 연신 배율이 5.94 배가 되도록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4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2 단 연신에 의해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 층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일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층을 구성하는, 두께 4 ㎛ 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당해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층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비누화 처리한 40 ㎛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첩합시킨 후,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박형 편광층을 사용한 박형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1) 용액의 고형분 100 부에 대해, 오늄-아니온염 (B1) 로서, 에틸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0.7 부, 알칼리 금속염 (B2) 로서,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미츠비시머티리얼 전자 화성 (주) 제조) 1 부를 배합하고, 또한 가교제 (D) 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상품명 : 타케네이트 D11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0.095 부와, 디벤조일퍼옥사이드 (상품명 : 나이파 BMT40SV, 닛폰 유지 (주) 제조) 0.3 부,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로서, 메틸기 및 메르캅토기 함유 알콕시실릴 수지 (상품명 : X-41-1810,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0.2 부,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로서,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상품명 : A-100, 소켄 화학 (주) 제조) 0.2 부를 배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제작)
이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세퍼레이터 필름) 의 표면에, 파운틴 코터로 균일하게 도공하고, 155 ℃ 의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에서 2 분간 건조시켜, 세퍼레이터 필름의 표면에 두께 20 ㎛ 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제조예 2 에서 제작한 박형 편광 필름의 편광자의 편광층의 측에, 세퍼레이터 필름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 10, 비교예 1 ∼ 11
실시예 1 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오늄-아니온염 (B1), 알칼리 금속염 (B2) 의 첨가량, 및 실란 커플링제의 종류와 그 첨가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면 저항값>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제 표면의 표면 저항값 (Ω/□) 을 (주) 미츠비시 화학 애널리텍 제조, MCP-HT450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값은, 1.0 × 1011 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1010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010 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패널의 백색 소실 시간>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100 ㎜ × 100 ㎜ 의 크기로 절단하고, 액정 패널에 첩부하였다. 이 패널을 10000 cd 의 휘도를 갖는 백라이트 상에 두고, 정전기 발생 장치인 ESD (ESD-8012A, SANKI 사 제조) 를 사용하여, 5 ㎸, 15 ㎸ 의 정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액정의 배향 흐트러짐을 일으켰다. 그 배향 불량에 의한 표시 불량의 회복 시간 (초) 을, 순간 멀티 측광 검출기 (MCPD-3000, 오츠카 전자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시 불량의 회복 시간은, 5 ㎸, 15 ㎸ 의 어느 경우에도 1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 내구성>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 0.7 ㎜ 의 무알칼리 유리 (코닝사 제조, 1737) 에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첩착하였다. 이어서, 50 ℃, 5 atm 에서, 15 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완전히 무알칼리 유리에 밀착시켰다. 이어서, 이것을, 85 ℃ 의 가열 오븐 (가열) 및 60 ℃/95 % RH 의 항온항습기 (가습) 의 조건 하에 각각 투입하여, 500 시간 후의 편광 필름의 박리의 유무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 상기 무알칼리 유리를 ITO 유리 (상품명 : IT20-N-ES160-60, 지오마텍 (주) 제조) 로 변경하고, 마찬가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 : 전혀 박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 :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박리가 관찰되었다.
△ :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은 박리가 관찰되었다.
× : 분명한 박리가 관찰되었다.
<외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에 대해, 육안으로 결정의 석출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 : 결정의 석출이 관찰되지 않았다.
× : 결정이 석출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Figure 112017086499659-pct00001
표 1 중,
(C2) 는,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상품명 : A-100, 소켄 화학 (주) 제조),
(C3) 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상품명 : KBM-403,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C4) 는,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상품명 : X-41-1056,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를 나타낸다.

Claims (12)

  1.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오늄-아니온염 (B1), 알칼리 금속염 (B2),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을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4 ∼ 3.5 중량부 함유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 (B2) 와 오늄-아니온염 (B1) 의 중량비 (B2/B1) 가, 1.2 ∼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계 실란 커플링제 (C1) 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늄-아니온염 (B1) 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교제 (D)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D) 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2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D) 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C2)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10. 편광 필름과, 당해 편광 필름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편측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이, 제 9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12. 제 10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적어도 1 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77025082A 2015-04-03 2016-03-31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46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6809A JP6231036B2 (ja) 2015-04-03 2015-04-03 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JP-P-2015-076809 2015-04-03
PCT/JP2016/060770 WO2016159285A1 (ja) 2015-04-03 2016-03-31 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080A KR20170116080A (ko) 2017-10-18
KR102046236B1 true KR102046236B1 (ko) 2019-11-18

Family

ID=5700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082A KR102046236B1 (ko) 2015-04-03 2016-03-31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31036B2 (ko)
KR (1) KR102046236B1 (ko)
CN (1) CN107429135B (ko)
TW (1) TWI740821B (ko)
WO (1) WO2016159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0436B2 (ja) * 2016-09-29 2022-03-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TWI673543B (zh) 2017-03-28 2019-10-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內置型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TWI673542B (zh) 2017-03-28 2019-10-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內置型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TWI680315B (zh) * 2017-03-28 2019-12-2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內置型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JP6564995B1 (ja) * 2018-06-27 2019-08-28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剤シート
JP7191578B2 (ja) * 2018-08-01 202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81101B2 (ja) * 2019-03-20 2024-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1311A (ja) 2010-05-19 2011-12-01 Dic Corp 粘着剤、粘着フィルム、光学部材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付された積層体
JP2014514387A (ja) * 2011-03-23 2014-06-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0075B2 (en) * 2004-10-21 2010-07-06 Lg Chem, Ltd.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good antistatic property
JP4799900B2 (ja) 2004-10-28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082450B1 (ko) * 2008-01-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5965814B2 (ja) * 2011-10-19 2016-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423574B2 (ja) * 2012-08-31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40443B2 (ja) * 2012-12-06 2016-06-2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付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6097589B2 (ja) * 2013-02-13 2017-03-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1311A (ja) 2010-05-19 2011-12-01 Dic Corp 粘着剤、粘着フィルム、光学部材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付された積層体
JP2014514387A (ja) * 2011-03-23 2014-06-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31036B2 (ja) 2017-11-15
WO2016159285A1 (ja) 2016-10-06
KR20170116080A (ko) 2017-10-18
TWI740821B (zh) 2021-10-01
JP2016196566A (ja) 2016-11-24
CN107429135A (zh) 2017-12-01
CN107429135B (zh) 2020-07-24
TW201700690A (zh) 2017-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8693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054096B1 (ko)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46236B1 (ko) 편광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6423574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15258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7637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형성 편광 필름 및 화상 형성 장치
JP6346413B2 (ja) セパレータ付き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付きの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200010570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형성 장치
JP6705634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607691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184598A (ja) セパレータ付き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付きの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6373299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602896B (zh)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6724065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931339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47341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